KR200458997Y1 - 우산 결착용 멜빵 - Google Patents

우산 결착용 멜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97Y1
KR200458997Y1 KR2020090013362U KR20090013362U KR200458997Y1 KR 200458997 Y1 KR200458997 Y1 KR 200458997Y1 KR 2020090013362 U KR2020090013362 U KR 2020090013362U KR 20090013362 U KR20090013362 U KR 20090013362U KR 200458997 Y1 KR200458997 Y1 KR 200458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spenders
belt
fasten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233U (ko
Inventor
문은미
Original Assignee
문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은미 filed Critical 문은미
Priority to KR2020090013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단에 凸형 버튼을 형성하고 이들 중간에 凹형 버튼을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띠형상의 멜빵본체와; 띠형상의 멜빵본체에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를 형성한 우산대고정 크립과; 체결크립을 형성한 외통과 외통내부에서 승강자재하게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을 구비한 우산손잡이 홀더로 구성하여 낚시, 정원작업이나 농사작업시 우산을 착용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우산 결착용 멜빵에 관한 것이다.
우산,멜빵, 우산 결착.

Description

우산 결착용 멜빵{a fitting string for umbrella}
본 고안은 일산 또는 우산(이하 우산으로 통칭 함)을 사용자의 등에 견실하게 결착, 고정시켜 우산을 착용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여 다른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우산 결착용 멜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양단에 凸형 버튼을 형성하고 이들 중간에 凹형 버튼을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띠형상의 멜빵 본체와; 띠 형상의 멜빵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를 형성한 우산대 고정 크립과; 체결 크립을 형성한 외통과 외통내부에서 승강자재하게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 삽치 내통을 구비한 우산손잡이 홀더로 구성하여 낚시, 정원작업이나 농사작업시 우산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 시야가 충분히 확보된 안정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우산 결착용 멜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는 우산을 사용하고 야외에서 태양을 가리기 위하여 일산을 사용하고 있음은 일상적이며, 이러한 우산이나 일산은 통상적으로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게 됨으로서 우산이나 일산을 사용하면서 다른 작업,예컨데 낚시, 정원 가꾸기, 논밭 등 뜨거운 태양아래에서 일산을 사용하면서 작업하기에는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고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결착시켜 우산을 착용한 후 양손을 사용하면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인의 선출원등록고안 제431814호와 제20-2007-736호를 위시하여 실용신안 제446034호등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본인의 선등록고안 제431814호와 제446034호는 모두 착용자의 가슴측에 착용하게 되어 있고, 작업상태가 통상 허리를 굽힌 자세에서 작업하게 되므로서 착용 후 허리를 굽혀 작업할 때 인체보다 고위에 위치한 우산의 무게 중심이 가슴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우산의 착용상태가 불안정하게되어 쉽게 해체되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자세도 불안정하여지고, 가슴전방의 우산대 등에 양손의 활동에도 저해요인으로 나타내고 있는 등 사용상 여러 가지 불편과 단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인의 선등록출원 제20-2007-736호의 경우에 있어서는 우산을 등쪽에 배면형태로 착용하게하여 가슴착용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불편과 단점을 해소하고 있으나, 이는 우산을 인체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는 결속수단이 착용자의 허리 벨트부분에만 치우쳐 결속되게 됨으로서 작업중 심하게 몸을 움직이면 우산대 지지력이 약해 우산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등 착용감이 불안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없었으며, 허리와 머리까지 상반신의 장단에 다라 우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어 장신자의 경우 우산과 머리부분의 높이가 밀착되어 전방시야가 불량하여 작업시 답답하고 불편함을 느기게 되는 불편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우산 결속수단의 단점과 불편을 해소하고, 본인의 선등록출원 제20-2007-736호를 개량하여 착용상태가 견실하고, 우산의 착용위치가 등쪽의 배면위치에 착용하게하여 허리를 굽혀 작업시 우산의 무게 중심이 등쪽으로 쏠리더라도 등이 이를 받쳐주게 하여 우산의 착용상태를 견실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하여 편안한 자세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우천시에는 물론 야외 작업용 일산으로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우산 결착용 멜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멜빵을 띠형상으로 형성하고 착용시 목과 어깨, 가슴이 이루는 삼각형태로 상부를 지지하고 하부는 배부분에서 지지하게 멜빵을 구성하고, 멜빵의 결속위치를 사용자의 체위나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신장이나 신체의 대소에 구애됨이 없이 겉옷 속에 간편하게 착용하고, 필요시 준비된 우산이나 일산을 결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일상적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 결착용 멜빵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우산체결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우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하여 사용용도에 따른 전방 시야확보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신장의 장단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우산 결착용 멜빵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 양단에 凸형 버튼을 형성하고 이들 중간에 凹형 버튼을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띠형상의 멜빵본체와; 띠형상의 멜빵본체에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를 형성한 우산대고정 크립과; 체결크립을 형성한 외통과 외통내부에서 승강자재하게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을 구비한 우산손잡이 홀더로 구성하여 낚시, 정원작업이나 농사작업시 우산을 착용한 상태에서 충분히 전방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착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의 우산대와 고정크립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B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단(1a),(1b)에 凸형 버튼(2),(3)을 각각형성하고, 凸형 버튼(2),(3) 사이에 凹형 버튼(4),(5)을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시킨 띠형상의 멜빵본체(1)와; 띠형상의 멜빵본체(1)에 걸고리(6a)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6b),(6c)를 형성한 우산대 고정 크립(6)과; 체결크립(7)을 외주에 형성하고 내면에 승강 나선홈(8)을 형성한 외통(9)과 외통(9)의 승강 나선홈(8)과 결합하는 승강 나선돌기(10)를 외주에 형성하고 상 부에 논슬립파지턱(11)을 형성하여 외통(9) 내부에서 승강자재하게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12)을 구비한 우산손잡이 홀더(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d는 크립탄발스프링, 14는 우산, 15는 우산손잡이, 16은 우산대이며, 17은 허리벨트,18은 버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통상 착용시 먼저 띠형상의 멜빵본체(1)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凹형 버튼(4),(5)가 전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단(1a)을 목뒤부분 어깨쪽으로 감고 상단(1a)에 형성된 임의 위치의 凹형 버튼(4)을 체위에 맞추어 선택하여 상단(1a)에 형성된 凸형 버튼(2)을 결착한 후, 하단(1b)을 허리벨트(17)의 버클(18)의 안쪽으로 삽입한 다음 상부로 U턴시켜 하단(1b)에 형성된 凸형 버튼(3)을 하부에 위치하는 凹형 버튼(5)중 요구되는 위치의 凹형 버튼(5)를 결착하여 멜빵본체(1)를 가슴전면에 지지되게 밀착착용한다.
이와 같이 착용하고 우산(14)을 착용하고져 할 때에는 우산(14)를 편 상태에서 먼저, 허리벨트(17)의 요추부위에 우산손잡이 홀더(13)를 외통에 형성된 체결크립(7)으로 체결하고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12)에 우산손잡이(15)를 삽치시켜 우산(14)의 손잡이(15)를 안정되게 고정시킨 다음, 멜빵본체(1)에 슬라이드 자재하게 설치되어 목뒤부분에 위치하는 우산대고정 크립(6)을 원호면의 집게(6b),(6c)를 벌려 우산대(16)을 파지하게 되는데, 이때 우산대고정 크립(6)의 집게(6b),(6c)는 원호면의 형태를 지니고 있음으로서 우산대(16)의 굵기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확실하게 파지하여 견실하게 고정, 결착시키게 되며, 우산(14)과 멜빵본체(1)가 결착 될 때, 우산(14)의 하부 손잡이(15)는 인체(19)의 배면위치인 허리벨트(17)의 후측에 체결크립(7)에 의하여 하방으로 하중이 걸리는 상태로 체결된 우산손잡이 홀더(13)의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12)내에 삽입되어 중심을 유지하고, 우산대(16)의 상부는 가슴과 복부 및 어깨의 삼각지점에서 지지되는 멜빵본체(1)의 우산대고정 크립(6)에 의하여 등판에 밀착되는 상태로 착용되게 되므로서, 우산(14)을 등에 착용한 후 허리를 굽혀 양손으로 작업할때에는 우산(14)이 인체(19)의 등부분에 안착되여 지지되게 됨으로서 착용상태가 흐트러지거나 위치가 변형되는 사례없이 안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착용자는 허리를 굽힌 편안한 자세에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우산손잡이 홀더(13)의 외통(9)과 원통형 우산손잡이 삽치내통(12)는 외통(9) 내면의 승강 나선홈(8)과 결합된 승강 나선돌기(10)에 의하여 논슬립파지턱(11)을 잡고 외통(9)을 회전시켜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12)를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승강시켜 착용시 우산손잡이(15)의 삽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자는 신장의 장단에 따라 우산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시 전방시야 확보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알맞게 조정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멜빵본체(1)의 하단(1b)을 "I"형 으로 하여 허리벨트(17)의 버클(18) 부분 한군데에서 고정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과 같이 멜빵본체(1)의 하단(1b)을 2지형인 "ㅅ"형태로 하여 허리벨트(17)의 전면 양측에서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은 우산 손잡이(15)를 우산 손잡이 홀더(13)을 이용하여 체결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손잡이(15)에 직접 체결크립(77)을 형성하여 주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우산대(16)을 체결함에 있어서도 띠형상의 멜빵본체(1)에 걸고리(6a)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6b),(6c)를 형성한 우산대고정 크립(6)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원호면의 집게(66a)가 일측에만 형성된 우산대고정 클립(66)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멜빵본체를 목에 걸어 凹凸 버튼으로 체결하는 수단만으로 견실하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이 간편하고, 우산의 착용위치가 등쪽의 배면위치에 착용하게하여 허리를 굽혀 작업시 우산의 무게 중심이 등쪽으로 쏠리더라도 등이 이를 받쳐주게 하여 우산의 착용상태를 견실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하여 편안한 자세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멜빵을 띠형상으로 형성하고 착용시 목과 어깨, 가슴이 이루는 삼각형태로 상부를 지지하고 하부는 배부분에서 지지하게 멜빵을 구성하고, 멜빵의 결속위치를 사용자의 체위나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우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하여 사용용도에 따른 전방 시야확보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신장의 장단이나 신체의 대소에 구애됨이 없이 겉옷 속에 간편하게 착용하고, 필요시 준비된 우산이나 일산을 결착시켜 전방시야가 충분히 확조되는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착용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하게 함으로서, 일상적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착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의 우산대와 고정크립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B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멜빵의 타실시예시도로서,
도 6 및 도 7은 우산대고정 크립의 타실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멜빵의 타실시 착용상태도 이고,
도 9는 우산대에 체결크립을 형성한 본 고안의 타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띠상의 멜빵본체 1a:상단 1b:하단
2,3:凸형 버튼 4,5:凹형 버튼
6:우산대 고정 크립
6a:걸고리 6b,6c:원호면의 집게 6d:스프링
66:우산대 고정 크립 66a:원호면 집게
7:체결크립 77:체결크립
8:승강나선홈 9:외통 10:승강나선돌기 11:논슬립파지턱
12: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 13:우산 손잡이 홀더
14:우산 15:우산손잡이 16:우산대
17:허리벨트 18:버클 19:인체

Claims (5)

  1. 우산 체결용 멜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하단(1a),(1b)에 凸형 버튼(2),(3)을 각각형성하고, 凸형 버튼(2),(3) 사이에 凹형 버튼(4),(5)을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시킨 띠형상의 멜빵본체(1)와; 띠형상의 멜빵본체(1)에 걸고리(6a)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6b),(6c)를 형성한 우산대고정 크립(6)과; 체결크립(7)을 외주에 형성하고 내면에 승강 나선홈(8)을 형성한 외통(9)과 외통(9)의 승강 나선홈(8)과 결합하는 승강 나선돌기(10)를 외주에 형성하고 상부에 논슬립파지턱(11)을 형성하여 외통(9) 내부에서 승강자재하게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 삽치내통(12)을 구비한 우산손잡이 홀더(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체결용 멜빵.
  2. 제 1 항에 있어서,
    띠상의 멜빵본체(1)의 하단(1a)이 "I"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체결용 멜빵.
  3. 제 1 항에 있어서,
    띠상의 멜빵본체(1)의 하단(1a)이 "ㅅ"형인 것을 더 포함하는 우산 체결용 멜빵.
  4. 제 1 항에 있어서.
    우산 손잡이(15)에 직접 체결크립(77)을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는 우산 체결용 멜빵.
  5. 제 1 항에 있어서,
    띠형상의 멜빵본체(1)에 걸고리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삽설된 원호면의 집게를 형성한 우산대고정 크립을 원호면의 집게(66a)가 한개만 형성된 우산대고정 크립(66)인 것을 더 포함하는 우산 체결용 멜빵.
KR2020090013362U 2009-10-14 2009-10-14 우산 결착용 멜빵 KR200458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2U KR200458997Y1 (ko) 2009-10-14 2009-10-14 우산 결착용 멜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2U KR200458997Y1 (ko) 2009-10-14 2009-10-14 우산 결착용 멜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33U KR20090011233U (ko) 2009-11-03
KR200458997Y1 true KR200458997Y1 (ko) 2012-03-21

Family

ID=4155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62U KR200458997Y1 (ko) 2009-10-14 2009-10-14 우산 결착용 멜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54B1 (ko) * 2013-05-16 2013-12-06 문은미 우산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22Y1 (ko) * 1992-08-22 1994-11-18 박정훈 작업용 우산
KR20000010478U (ko) * 1998-11-19 2000-06-15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KR200307747Y1 (ko) 2002-12-12 2003-03-20 병무 김 착용식 우산고정대
KR20080002712U (ko) * 2007-01-15 2008-07-18 용 현 문 우산의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22Y1 (ko) * 1992-08-22 1994-11-18 박정훈 작업용 우산
KR20000010478U (ko) * 1998-11-19 2000-06-15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KR200307747Y1 (ko) 2002-12-12 2003-03-20 병무 김 착용식 우산고정대
KR20080002712U (ko) * 2007-01-15 2008-07-18 용 현 문 우산의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33U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033B2 (en) Self-adjusting holster particularly adapted for holding implements of a wide range of sizes
US7765620B2 (en) Belt support
US20140250640A1 (en) Device for securing an article of clothing
US20140173804A1 (en) Glove security kit
US20080116236A1 (en) Combination umbrella, support and method of use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US8006353B2 (en) Retainer for bag shoulder strap
US20100252592A1 (en) Sandal/footwear carrying device
US9173446B2 (en) Decorative device for thong sandal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US20080083798A1 (en) Mobility aid retention clip
KR101335507B1 (ko)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200458997Y1 (ko) 우산 결착용 멜빵
CN215189744U (zh) 可调节且可穿戴的装置
US9775456B2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US7066361B1 (en) Landing net transport device
EP3089613B1 (en) Portable securing device
KR20170053558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CN213908985U (zh) 功能性双肩减重背带支撑架
US9192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hydration garment
US20080277432A1 (en) Assist device for doffing stockings
JP3213966U (ja) ポール身体装着保持装具
CN201480240U (zh) 一种免手持多用伞
KR101440279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JP2008100019A (ja) 傘取り付け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