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541B1 - 편심 가능한 우산 - Google Patents

편심 가능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541B1
KR101476541B1 KR20130079457A KR20130079457A KR101476541B1 KR 101476541 B1 KR101476541 B1 KR 101476541B1 KR 20130079457 A KR20130079457 A KR 20130079457A KR 20130079457 A KR20130079457 A KR 20130079457A KR 101476541 B1 KR101476541 B1 KR 10147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pport
supporting
fixing member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최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혁 filed Critical 최재혁
Priority to KR2013007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2011/005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의 손잡이대 부분을 회동가능하게 하여 우천시 또는 평상시에 우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심 가능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방수커버의 중심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심 가능한 우산{Eccentric umbrella}
본 발명은 편심 가능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의 손잡이대 부분을 회동가능하게 하여 우천시 또는 평상시에 우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심 가능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비(雨備)의 하나로 펴고 접을 수 있어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리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비 또는 눈이 올 때 눈 또는 비를 피하기 위한 목적이나 햇빛을 가리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우산은 통상적으로 방수커버와 방수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 하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104199호(2005. 11. 02)는 손잡이가 틸팅됨으로써 파지가 용이한 우산이 개시된다. 그러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는 그 상부에 상기 캐노피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틸팅시킬 수 있는 틸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산은 우산대에 틸팅부를 구비함으로써, 우천시 등에 우산을 수직상태로 장시간 들고 있는 경우 손잡이를 적절한 각도로 틸팅시켜서 파지할 수 있음으로 손목 등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우산은 우천시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다닐 경우 방수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우산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산을 이용할 때 우산의 가장자리에서 우산을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우산 사용자가 몸을 잘 보호할 수 없어 옷이 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7-0008496호(2007. 01. 17)는 우산을 제작함에 있어 종래의 기존 우산, <우산- 대(축)를 중심으로 전,후,좌,우가 대칭되는 종래의 기존 우산> 개념을 탈피하여, 우산 사용자의 몸이 우산-살(천) 중앙 부분에 위치 되도록 된 `새로운 우산'으로, 우산-대(축)를 잡은 우산 사용자의 몸 앞쪽 부분은 우산-살(천)을 짧게하는 반면, 우산 사용자의 몸 뒷쪽(반대편) 부분의 우산-살(천)은 보다 길게 제작 하므로써, 우산 사용자의 몸이 우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몸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우산은 우산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무게중심이 편심되어 있어 우산을 사용할 때 무게가 한쪽으로 쏠려 있기 때문에 손목이 쉽게 피로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104199호 한국공개특허 10-2007-000849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 내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의 손잡이대 부분을 회동가능하게 하여 우천시 또는 평상시에 우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심 가능한 우산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편심 가능한 우산에 있어서, 방수커버의 중심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해주기 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해주기 위한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두 개로 형성되며, 해당 두 개 사이에 제2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의 홈에 안착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 의 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제1 회동부 및 제2 회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제2 회동부가 상기 연결바를 회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바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 측면에 한쪽 측면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는 어깨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커버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우산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하여 우천시 또는 평상시에 우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심 가능한 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심 가능한 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부 및 어깨보호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심 가능한 우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심 가능한 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심 가능한 우산은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회동부(300)를 포함한다.
편심 가능한 우산은 방수커버(11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우산살(미도시)과 우산살(미도시)을 받쳐주며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를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살(미도시)과 받침살(미도시)을 연결하며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지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커버(110)는 비닐류 또는 방수처리된 천 종류일 수 있으며, 방수커버(110)의 크기는 장우산, 2단 우산, 3단 우산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제1 지지부(100)는 방수커버(110)의 중심을 지지하며 다수의 우산살(미도시)이 한곳으로 모이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0)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200)는 장우산, 2단 우산, 3단 우산일 때 우산을 접었을 때 제1 지지부(100)의 내부에 제2 지지부(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플라스틱, 쇠,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부(300)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회동시켜 주며, 이 때 회동부(300)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서 회동하기 위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심 가능한 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편심 가능한 우산은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회동부(300)를 포함하며, 회동부(300)는 두 개의 제1 회동부(310) 및 제2 회동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편심 가능한 우산은 방수커버(11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우산살(미도시)과 우산살(미도시)을 받쳐주며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를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살(미도시)과 받침살(미도시)을 연결하며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2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지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커버(110)는 비닐류 또는 방수처리된 천 종류일 수 있으며, 방수커버(110)의 크기는 2단 우산, 3단 우산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제1 지지부(100)는 방수커버(110)의 중심을 지지하며 다수의 우산살(미도시)이 한곳으로 모이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0)를 구비한다.
회동부(300)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회동시켜 주며, 이 때 회동부(300)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서 회동하기 위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회동부(300)는 제1 회동부(310) 및 제2 회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회동부(310)와 제2 회동부(320)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부(310)는 제1 지지부(100)와 연결바(40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지지부(100)와 연결바(400) 사이를 회동시켜 주며, 제2 회동부(320)는 연결바(4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바(4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회동시켜 줄 수 있다.
제1 회동부(310)는 제2 회동부(320)가 연결바(400)를 회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결바(4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회동부(300)는 제1 회동부(310)와 연결바(400)가 회동되는 방향이 우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회동 된다면, 연결바(400)와 제2 회동부(320)가 회동되는 방향은 우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1 회동부(310)와 연결바(400)가 회동되는 방향이 우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 방향으로 회동된다면, 연결바(400)와 제2 회동부(320)가 회동되는 방향은 좌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그 중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우산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회동부의 상태도이며, 도 3의 (b)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회동부의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동부(300)는 제1 연결부재(330), 제2 연결부재(340), 회동축(350)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330)는 제1 지지부(100)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 지지부(200)와 연결해준다.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만큼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는 135~180도일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만큼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를 회동시켜줄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30)는 두 개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연결부재(330) 사이에는 연결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좌측에 위치한 제1 연결부재(330)의 제1 면(334)과 제1 지지부(100)의 좌측 측면(336) 사이에는 경사면(338)이 형성되며, 경사면(338)이 제1 면(334)과 이루는 각도는 135~180도일 수 있으며, 경사면(338)이 이루는 각도 사이에서 제2 지지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40)는 제2 지지부(200)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1 지지부(100)와 연결해준다.
제1 연결부재(330) 사이에 제2 연결부재(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히는 제2 연결부재(340)는 제1 연결부재(330)의 연결홈(332)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축(350)은 제1 연결부재(330)와 제2 연결부재(34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회동시켜 줄 수 있다. 이는 제1 연결부재(330) 및 제2 연결부재(340) 사이에는 체결공(352)이 형성되어, 체결공(352) 내부로 회동축(350)이 형성되어 회동부(300)가 힌지결합 되는 구조이다.
회동부(300)는 회동부(300)가 하나일 때와 두 개일 때와 두 개 이상일 때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은 회동부(300)가 하나일 때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회동부(300)가 두 개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회동부(300)가 두 개일 때는 제1 회동부(310) 및 제2 회동부(320)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500)는 제1 고정부재(510)와 제2 고정부재(5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00)는 회동부(300)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회동한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510)는 제2 지지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제1 지지부(100)의 홈(102)에 안착 고정된다.
제1 고정부재(510)는 수용홈(512)과 수용홈(512)에 형성된 스프링(514)과 스프링(514)에 결합된 돌기(516)와 덮개(5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홈(512)은 제2 지지부(200)의 상단부에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수용홈(512)은 스프링(514)과 돌기(516)를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홈(512)의 내부에 연결된 스프링(514)과 돌기(516)가 수용홈(512)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덮개(518)를 개방할 시 스프링(514)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복귀되어 제1 지지부(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홈부(102)에 각각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제2 고정부재(520)는 제1 고정부재(5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고정부재(510)와 유사한 구조인 수용홈(522)과 수용홈(522)에 형성된 스프링(524)과 스프링(524)에 결합된 돌기(526)를 포함하며, 제2 지지부(200)의 양측 외측면에 홀(202)이 형성되어 제1 고정부재(51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제2 고정부재(520)는 탄성력에 의해 제2 지지부(200)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2 지지부(200)의 홀(202)로 돌출되어 제1 고정부재(5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500)는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부 및 어깨보호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편심 가능한 우산은 제1 지지부(100)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한쪽 측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이는 회동된 제2 지지부(200)를 원위치로 위치시켜 우산을 접었을 경우 등받이부(120)에 끼워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등받이부(120)와 제2 지지부(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등받이부(120)와 제2 지지부(200) 사이 공간을 어깨에 올려 우산을 잡을 필요없이 어깨에 얹혀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추가로 고정끈(미도시)를 추가하여 등받이부(120) 또는 제2 지지부(200)에 체결시켜 어깨에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00)의 상단부에는 우산의 하중이나 제2 지지부(200)로부터 초래되는 압력으로부터 어깨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어깨보호패드(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깨보호패드(220)는 어깨 상부면과 어깨 전후면에 부합되는 모양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보호패드(220)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자석, 고정브라켓, 후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부(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작되며, 제2 지지부(220)에서 사용자의 어깨에 해당되는 위치에 고정 결합하여 어깨에 느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심 가능한 우산은 손잡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천시 빗물에 의해 손잡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의 표면은 미끄러짐이 없는 고무, 실리콘, 발포된 폴리우레탄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610)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표면에는 손가락과 동일한 모양으로 손가락홈(6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손가락홈(620)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어 빗물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표면에 지압용 돌기(630)가 복수개 형성되어, 우산을 이용할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00)에 스위치부(700)를 구비하여 제2 지지부(200) 내부에 방수커버(110)를 펼 수 있도록 연결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우산을 자동으로 펼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 지지부 120 : 등받이부
200 : 제2 지지부 220 : 어깨보호패드
300 : 회동부 310 : 제1 회동부
320 : 제2 회동부 330 : 제1 연결부재
340 : 제2 연결부재 350 : 회동축
400 : 연결바 500 : 고정부재
510 : 제1 고정부재 520 : 제2 고정부재
600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13)

  1. 방수커버의 중심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해주기 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해주기 위한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회동축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의 홈에 안착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 의 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가능한 우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가능한 우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 측면에 한쪽 측면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가능한 우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는 어깨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가능한 우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가능한 우산.
KR20130079457A 2013-07-08 2013-07-08 편심 가능한 우산 KR10147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457A KR101476541B1 (ko) 2013-07-08 2013-07-08 편심 가능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457A KR101476541B1 (ko) 2013-07-08 2013-07-08 편심 가능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541B1 true KR101476541B1 (ko) 2014-12-30

Family

ID=5267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457A KR101476541B1 (ko) 2013-07-08 2013-07-08 편심 가능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7945A1 (pt) * 2015-08-14 2017-02-23 Ligorio Jr Afonso Guarda-chuva com o cabo na borda
KR20210039622A (ko)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다기능 목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456Y1 (ko) * 1991-08-10 1993-12-22 김영택 우산대 중심이동형 절첩우산
KR200381350Y1 (ko) * 2005-01-20 2005-04-12 곽병의 미끄럼 방지구가 구비된 우산손잡이
KR200432814Y1 (ko) * 2006-05-09 2006-12-08 용 현 문 우산 결속용 멜빵
JP2009189798A (ja) * 2008-11-07 2009-08-27 Toshiko Izumi 傘(支柱傾斜角度多段階変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456Y1 (ko) * 1991-08-10 1993-12-22 김영택 우산대 중심이동형 절첩우산
KR200381350Y1 (ko) * 2005-01-20 2005-04-12 곽병의 미끄럼 방지구가 구비된 우산손잡이
KR200432814Y1 (ko) * 2006-05-09 2006-12-08 용 현 문 우산 결속용 멜빵
JP2009189798A (ja) * 2008-11-07 2009-08-27 Toshiko Izumi 傘(支柱傾斜角度多段階変位)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7945A1 (pt) * 2015-08-14 2017-02-23 Ligorio Jr Afonso Guarda-chuva com o cabo na borda
KR20210039622A (ko)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다기능 목발
KR102249774B1 (ko) 2019-10-02 2021-05-07 김미경 다기능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099B2 (en) Protective cover support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4908659U (zh) 一种公园长椅
US10231896B2 (en) Crutch
US10532001B2 (en) Crutch
US20210145688A1 (en) Crutch
TW200942195A (en) Handle of a hideaway type belt
KR101476541B1 (ko) 편심 가능한 우산
CN106235845A (zh) 自动收折式雨伞架
KR101857174B1 (ko) 틸팅이 가능한 우산
US3491781A (en) Collapsible seating enclosure
EP3681458B1 (en) Crutch
KR10191400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US9340221B1 (en) Hand truck
US20160237715A1 (en) Back-Type Expanding and Opening Foldable Sunshade Apparatus
WO2016004829A1 (zh) 防盗伞
KR200445794Y1 (ko)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가방
KR200470570Y1 (ko) 양우산 휴대구
KR101477564B1 (ko) 가방에 일체로 형성된 우산
CN208481023U (zh) 水杯的自锁式折叠手柄
CN206380832U (zh) 多折自动开收伞伞面可旋转结构
US9635913B1 (en) Umbrella with adjustable coverage adapted to backpack
CN210901861U (zh) 一种具有防脏功能的背包腰靠装置
CN213664046U (zh) 一种便于伞布整理的伞具
JP6440652B2 (ja) 携帯品の携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