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774B1 - 다기능 목발 - Google Patents

다기능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774B1
KR102249774B1 KR1020190122065A KR20190122065A KR102249774B1 KR 102249774 B1 KR102249774 B1 KR 102249774B1 KR 1020190122065 A KR1020190122065 A KR 1020190122065A KR 20190122065 A KR20190122065 A KR 20190122065A KR 102249774 B1 KR102249774 B1 KR 102249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rutches
center
suppo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622A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9012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33Crutches convertible from armpit crutch into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가 중심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 상하부 외주연에 각각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가압링이 설치된 이음부재를 갖는 파지부; 상기 중심파이프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중심파이프와 상부파이프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상부파이프 상단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견착부; 상기 중심파이프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중심파이프와 상부파이프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하단에 지지부재를 설치한 지지부;로 구성하되, 상기 중심파이프 상하부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외주연으로 탄력적으로 노출되는 돌출핀을 설치하여 복수의 안내공에서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에 돌출핀의 결합에 의해 중심파이프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길이 조정과 중심파이프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목발{Multifunctional crutches}
본 발명은 다기능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의 형태 및 사이즈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다리를 다친 환자를 비롯하여 보행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도구로써, 두 개가 한벌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는 목발을 선택하여 이를 양측 겨드랑이에 끼워 다리에 실리는 하중을 목발로 분산시키며 보행하게 된다.
도 9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목발(100)은 최상측에 구비되는 겨드랑이받침대(110)와, 그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120)와, 상기 상부지지대(120) 의 사이에 구비되는 손잡이(130)와, 상기 상부지지대(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단에 완충부재(150) 가 구비되는 하부지지대(140)로 이루어져 있으며 , 안정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한 쌍의 목발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목발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 사용자는 반드시 양손으로 각각의 목발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목발을 움직이거나 지탱하여야 했으므로 양손이 모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우천시에 타인의 도움없이는 홀로 우산을 쓸수 없었으며 , 물건을 들거나 운반할 수도 없는 등 많은 행동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5-0004840호,(2015.07.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의 형태 변형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파지부에서 견착부를 분리하여 파지부와 지지부를 통해 목발이 아닌 지팡이 형태로 기능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여 목발 이외에 다양한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할 수 있는 팔견착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팔뚝견착부재를 통해 목발 또는 지팡이의 용도로 사용시 사용자의 팔의 지지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견착부, 파지부, 지지부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길이 변경이 가능하여 휴대시 부피를 줄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목발의 사이즈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를 설치하여 야간 보행이 가능하고 경고음을 통해 야간에도 위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가 중심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 상하부 외주연에 각각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가압링이 설치된 이음부재를 갖는 파지부; 상기 중심파이프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중심파이프와 상부파이프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상부파이프 상단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견착부; 상기 중심파이프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중심파이프와 상부파이프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하단에 지지부재를 설치한 지지부;로 구성하되, 상기 중심파이프 상하부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외주연으로 탄력적으로 노출되는 돌출핀을 설치하여 복수의 안내공에서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에 돌출핀의 결합에 의해 중심파이프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길이 조정과 중심파이프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 손을 파지하고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가 중심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이 설치되는 파지부; 상기 상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상부각도부가 하부에 마련된 상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파이프 상부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견착부; 상기 하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각도부가 상부에 마련된 하부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한 지지부;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중심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동작으로 수직 상태인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사이의 중심파이프가 각도가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심파이프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 상부와 하부에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를 각각 힌지 연결하며, 상기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 중심을 각각 힌지 연결하여 지지하는 중심부재가 설치되어 누름 동작하는 버튼과 연결된 탄성부재를 설치한 연결부재가 제1시소부재와 힌지 연결되어 중심부재를 기준으로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를 시소 동작시켜 상기 가이드바 상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걸림핀이 상부각도부의 복수의 홈에 걸림상태가 결정되고, 동시에 상기 제2시소부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걸림핀이 하부각도부의 복수의 홈에 걸림 상태가 결정되어 상기 상부파이프, 중심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동작을 통해 시소동작으로 변경되면 제1걸림핀과 제2걸림핀이 상부각도부와 하부각도부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는 각각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가 상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의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서브파이프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돌출핀이 복수의 안내공 중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제2파이프와 제3파이프의 길이 변경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심파이프 외주연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하는 팔견착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팔견착부재는 상기 중심파이프 외주연 양측에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한 쌍의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전면에 사용자의 팔뚝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팔뚝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의 전면에 누름버튼 방식으로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한 스위치를 통해 손잡이 내부에 설치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 손을 파지하고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가 중심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이 설치되는 파지부; 상기 상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상부각도부가 하부에 마련된 상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파이프 상부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견착부; 상기 하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각도부가 상부에 마련된 하부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한 지지부;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중심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동작으로 수직 상태인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사이의 중심파이프가 각도가 변경된다.
이를 통해, 목발의 파지부, 견착부 및 지지부가 수직 상태인 일직선상으로 적용하는 제1실시예와 파지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제2실시예로 선택적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의 형태 변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호환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파지부에서 견착부를 분리하여 파지부와 지지부를 통해 목발이 아닌 지팡이 형태로 기능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여 목발 이외에 다양한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할 수 있는 팔견착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팔뚝견착부재를 통해 목발 또는 지팡이의 용도로 사용시 사용자의 팔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보의 안전성을 더욱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견착부, 파지부, 지지부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길이 변경이 가능하여 휴대시 부피를 줄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목발의 사이즈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를 설치하여 야간 보행이 가능하고 경고음을 통해 야간에도 위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하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침투침을 통해 노면 상태에 따라 목발의 안전한 지지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1실시예에 팔견착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파지부와 견착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에 팔견착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침투침의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목발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1실시예에 팔견착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파지부와 견착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에 팔견착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의 침투침의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10)은 파지부(100), 견착부(200), 지지부(300)로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기능 목발은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파지부(100)를 기준으로 견착부(200)와 지지부(300)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파지부(100)에서 견착부(200)와 지지부(3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견착부(200)와 지지부(300)를 수직 상태에서 파지부(100)의 경사 각도를 조정 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제1실시예의 파지부(100)는 사용자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110)가 중심파이프(120)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120) 상하부 외주연에 각각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가압링(124)이 설치된 이음부재(126)를 갖는다.
상기 견착부(200)는 상기 중심파이프(12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210)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126)를 통해 중심파이프(120)와 상부파이프(210)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상부파이프(210) 상단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중심파이프(120)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파이프(310)를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126)를 통해 중심파이프(120)와 상부파이프(210)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하부파이프(310) 하단에 지지부재(330)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중심파이프(120) 상하부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1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 내부에 스프링(128)에 의해 외주연으로 탄력적으로 노출되는 돌출핀(127)을 설치하여 복수의 안내공(125)에서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125)에 돌출핀(127)의 결합에 의해 중심파이프(120)에서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의 길이 조정과 중심파이프(120)에서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중심파이프(120)에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를 결합한 다음 이음부재(126)를 나사 체결하면 상기 이음부재(126)는 리드 이동하면서 가압링(124)이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 외주연을 가압하여 상호 긴밀한 고정력을 갖는다.
반대로 상기 이음부재(126)의 나사 체결 상태를 해제시키면 가압링(124)의 압박 상태를 해제시켜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의 길이 조정은 안내공(125)에 결합된 돌출핀(127)을 눌려 안내공(125)에서 이탈시킨 다음 중심파이프(120)에서 상부파이프(130)와 하부파이프(140)의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동이 완료되면 돌출핀(127)을 원하는 해당 위치에 형성된 안내공(125)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키면 길이 조정을 완료한다.
제2실시예는 상기 파지부(100)는 사용자 손을 파지하고 버튼(111)이 설치된 손잡이(110)가 중심파이프(120)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120)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브라켓(130)과 하부브라켓(140)이 설치된다.
상기 견착부(200)는 상기 상부브라켓(130)에 힌지 연결되는 상부각도부(220)가 하부에 마련된 상부파이프(210)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파이프(210) 상부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하부브라켓(140)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각도부(320)가 상부에 마련된 하부파이프(31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파이프(310) 하부에 지지부재(330)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파이프(210), 중심파이프(120) 및 하부파이프(310)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111)의 누름동작으로 수직 상태인 상부파이프(210)와 하부파이프(310)의 사이의 중심파이프(120)가 각도가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100)는 중심파이프(120)에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손잡이(110)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110)에는 버튼(11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111)에는 버튼스프링(112)이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버튼(111)의 원상 복귀를 가능하도록 하여 반복적인 누름 동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브라켓(130)과 하부브라켓(140)은 포크 형태로 형성되어 힌지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적용된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경우 경사 각도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파지부(100)의 중심파이프(120) 양단에 설치된 상부브라켓(130)에 견착부(200)의 상부각도부(220)를 힌지 결합하고, 하부브라켓(140)에 지지부(300)의 하부각도부(320)를 힌지 결합한다.
이렇게, 파지부(100)의 상부에는 견착부(200)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지지부(300)를 설치하고, 상기 견착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에서 파지부(100)의 경사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파이프(210), 중심파이프(120) 및 하부파이프(310)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111)의 누름동작으로 수직 상태인 상부파이프(210)와 하부파이프(310)의 사이의 중심파이프(120)가 각도가 변경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111)의 누름동작을 통해 버튼스프링(112)을 압착하면서 가이드바(150), 제1시소부재(160), 제2시소부재(170) 및 중심부재(180)를 통해 시소동작으로 변경되어 상기 상부각도부(220)와 하부각도부(320)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파이프(120)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50) 상부와 하부에 제1시소부재(160)와 제2시소부재(170)를 각각 힌지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시소부재(160)와 제2시소부재(170) 중심을 각각 힌지 연결하여 지지하는 중심부재(180)가 설치된다.
아울러, 누름 동작하는 버튼(111)과 연결된 탄성부재를 설치한 연결부재가 제1시소부재(160)와 힌지 연결되어 중심부재(180)를 기준으로 제1시소부재(160)와 제2시소부재(170)를 시소 동작시킨다.
다시 말해, 버튼(111)의 누름동작이 수행되면 탄성부재가 탄력적으로 압박되면서 중심부재(180)를 기준으로 제1시소부재(160)가 시소 동작한다.
동시에 제1시소부재(160)와 힌지 연결된 가이드바(150)가 연동하여 중심부재(180)를 기준으로 제2시소부재(170)를 시소 동작시킨다.
결국, 버튼(111)을 통해 제1시소부재(160)와 제2시소부재(170)가 시소 동작한다.
이후, 상기 제1시소부재(160)와 가이드바(150)가 힌지 부위와 연결된 제1걸림핀(151) 및 제2시소부재(170) 일단에 힌지 연결된 제2걸림핀(152)이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111)의 누름 동작으로 제1걸림핀(151)을 하부로 이동하고, 제2걸림핀(152)은 상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가이드바(150) 상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걸림핀(151)이 상부각도부(220)의 복수의 홈에 걸림상태가 결정되고, 동시에 상기 제2시소부재(170)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걸림핀(152)이 하부각도부(320)의 복수의 홈에 걸림 상태가 결정된다.
결국, 버튼(111)을 통한 목발의 사용에 대한 실시예의 변경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목발의 첫 번째 사용방법은 파지부(100), 견착부(200), 지지부(300) 즉, 상기 상부파이프(210), 중심파이프(120) 및 하부파이프(310)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로 목발을 수직 상태로 적용하여 사용자의 겨드랑이와 손을 파지하여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목발의 두 번째 사용방법은 상기 상부파이프(210), 중심파이프(120) 및 하부파이프(310)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111)의 누름동작을 통해 시소동작으로 변경되면 제1걸림핀(151)과 제2걸림핀(152)이 상부각도부(220)와 하부각도부(320)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는 수직 상태이고 중심파이프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후술 될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하는 팔견착부재를 중심파이프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겨드랑이, 팔뚝 및 손을 파지하여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상부파이프(210)와 하부파이프(310)는 각각 메인파이프(250)와 서브파이프(260)가 상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의 동일 구조를 갖는다.
상기 메인파이프(250)의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25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서브파이프(260)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돌출핀(261)이 복수의 안내공(251) 중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2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제2파이프(123)와 제3파이프의 길이 변경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파지부(100), 지지부(300)의 상부파이프(210)와 하부파이프(310)는 길이 변경이 가능하다.
즉, 메인파이프(250)에 복수의 안내공(2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파이프(260)에 각각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돌출핀(261)이 복수의 안내공(251) 중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2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상부파이프(210) 및 하부파이프(310)의 길이 변경을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서, 발명의 다기능 목발(10)은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팔뚝을 견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파이프(120) 외주연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하는 팔견착부재(4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팔견착부재(400)는 상기 중심파이프(120) 외주연 양측에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121)에 결합되는 걸림돌기(411)를 갖는 한 쌍의 탄력부재(410)와, 상기 탄력부재(410) 전면에 사용자의 팔뚝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팔뚝부재(420)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팔견착부재(400)의 탄력부재(410)를 중심파이프(120)에 가압하면 탄력부재(410)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걸림돌기(411)가 걸림홈(121)에 결합되고, 반대로 팔견착부재(400)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탄력부가 벌어지면서 걸림홈(121)에서 걸림돌기(411)가 이탈되어 팔견착부재 분리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팔견착부재(400)를 목발에 적용이 가능하며, 여기서 상기 목발은 제1실시예의 수직 상태 또는 제2실시예의 파지부(100)의 경사 각도 변경 상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110)의 전면에 누름버튼(111) 방식으로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500)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10)의 상부에 설치한 스위치를 통해 손잡이(110) 내부에 설치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600)를 갖는다.
이를 통해, 목발의 이용하여 야간 보행이 가능하고 경고음을 통해 야간에도 위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지지부재(330)의 중앙 내부에 선단이 뾰족한 침투침(350)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침투침(350)에 돌출되게 안내돌기(360)를 설치한 다음 상기 하부파이프(310)에 상하단이 절곡되어 길이를 갖는 절곡공(340)에 안내돌기(360)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절곡공(340)은 상하부가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멍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안내돌기(360)를 통해 지지부재(330)의 하단에서 침투침(350)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노면 상태에 따라서 안전한 지지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목발(10)은 크게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즉, 제1실시예의 목발(10)은 파지부(100), 견착부(200) 및 지지부(300)를 일직선상으로 유지한 채 겨드랑이 및 손을 이용하여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의 목발은 견착부(200) 및 지지부(300)를 일직선상으로 유지한 채 파지부(10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여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목발(100)에는 선택적으로 팔견착부재(400)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팔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팔견착부재(4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선택적으로 견착부(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목발(10)의 파지부(100), 견착부(200) 및 지지부(300)가 수직 상태인 일직선상으로 적용하는 제1실시예와 파지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제2실시예로 선택적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체형 또는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에 맞추어 목발의 형태 변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호환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부(100)에서 견착부(200)를 분리하여 파지부(100)와 지지부(300)를 통해 목발이 아닌 지팡이 형태로 기능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여 목발 이외에 다양한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할 수 있는 팔견착부재(4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팔견착부재(400)를 통해 목발 또는 지팡이의 용도로 사용시 사용자의 팔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보의 안전성을 더욱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착부(100), 파지부(200), 지지부(300)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길이 변경이 가능하여 휴대시 부피를 줄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목발의 사이즈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를 설치하여 야간 보행이 가능하고 경고음을 통해 야간에도 위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다기능 목발 100 : 파지부
110 : 손잡이 111 : 버튼
112 : 버튼스프링 120 : 중심파이프
121 : 걸림홈 124 : 가압링
125 : 안내공 126 : 이음부재
127 : 돌출핀 128 : 스프링
130 : 상부브라켓 140 : 하부브라켓
150 : 가이드바 151 : 제1걸림핀
152 : 제2걸림핀 160 : 제1시소부재
170 : 제2시소부재 180 : 중심부재
200 : 견착부 210 : 상부파이프
220 : 상부각도부 230 : 받침부재
250 : 메인파이프 260 : 서브파이프
300 : 지지부 310 : 하부파이프
320 : 하부각도부 330 : 지지부재
340 : 절곡공 350 : 침투침
360 : 안내돌기 400 : 팔견착부재
410 : 탄력부재 411 : 걸림돌기
420 : 팔뚝부재 500 : 램프부
600 : 스피커부

Claims (7)

  1. 삭제
  2. 사용자 손을 파지하고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가 중심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파이프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이 설치되는 파지부;
    상기 상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상부각도부가 하부에 마련된 상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파이프 상부에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지지되는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견착부;
    상기 하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각도부가 상부에 마련된 하부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한 지지부;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중심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동작으로 수직 상태인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사이의 중심파이프가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파이프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 상부와 하부에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를 각각 힌지 연결하며,
    상기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 중심을 각각 힌지 연결하여 지지하는 중심부재가 설치되어
    누름 동작하는 버튼과 연결된 탄성부재를 설치한 연결부재가 제1시소부재와 힌지 연결되어 중심부재를 기준으로 제1시소부재와 제2시소부재를 시소 동작시켜
    상기 가이드바 상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걸림핀이 상부각도부의 복수의 홈에 걸림상태가 결정되고,
    동시에 상기 제2시소부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걸림핀이 하부각도부의 복수의 홈에 걸림 상태가 결정되어
    상기 상부파이프, 중심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일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동작을 통해 시소동작으로 변경되면 제1걸림핀과 제2걸림핀이 상부각도부와 하부각도부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는,
    각각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가 상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의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의 안내공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서브파이프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돌출핀이 복수의 안내공 중 어느 한 개소의 안내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제2파이프와 제3파이프의 길이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파이프 외주연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사용자의 팔뚝을 지지하는 팔견착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팔견착부재는,
    상기 중심파이프 외주연 양측에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한 쌍의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전면에 사용자의 팔뚝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팔뚝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전면에 누름버튼 방식으로 불빛을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한 스위치를 통해 손잡이 내부에 설치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 내부에 선단이 뾰족한 침투침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침투침에 돌출되게 안내돌기를 설치한 다음 상기 하부파이프에 상하단이 절곡되어 길이를 갖는 절곡공에 안내돌기를 노출시켜
    상기 안내돌기를 통해 지지부재의 하단에서 침투침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목발.
KR1020190122065A 2019-10-02 2019-10-02 다기능 목발 KR10224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65A KR102249774B1 (ko) 2019-10-02 2019-10-02 다기능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65A KR102249774B1 (ko) 2019-10-02 2019-10-02 다기능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22A KR20210039622A (ko) 2021-04-12
KR102249774B1 true KR102249774B1 (ko) 2021-05-07

Family

ID=7543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065A KR102249774B1 (ko) 2019-10-02 2019-10-02 다기능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47Y1 (ko)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KR200311338Y1 (ko) * 2003-01-17 2003-05-01 정진욱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0410906Y1 (ko) * 2005-12-08 2006-03-10 최남택 등산용 스틱
KR101125522B1 (ko) 2010-03-10 2012-03-22 김윤환 각도조절이 가능한 효자손
KR101128853B1 (ko) 2010-04-22 2012-03-23 이신희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KR101476541B1 (ko) 2013-07-08 2014-12-30 최재혁 편심 가능한 우산
JP2015519122A (ja) 2012-05-11 2015-07-09 ブリグノン,レナート 調節可能な杖
KR101776037B1 (ko) * 2016-10-06 2017-09-07 성윤모 기능성 목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783A (ko) * 2011-11-30 2013-06-10 박윤구 접이식 목발
JP5601426B2 (ja) 2012-05-18 2014-10-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KR102054340B1 (ko) * 2015-08-28 2019-12-11 김희원 회전형 목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47Y1 (ko)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KR200311338Y1 (ko) * 2003-01-17 2003-05-01 정진욱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0410906Y1 (ko) * 2005-12-08 2006-03-10 최남택 등산용 스틱
KR101125522B1 (ko) 2010-03-10 2012-03-22 김윤환 각도조절이 가능한 효자손
KR101128853B1 (ko) 2010-04-22 2012-03-23 이신희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JP2015519122A (ja) 2012-05-11 2015-07-09 ブリグノン,レナート 調節可能な杖
KR101476541B1 (ko) 2013-07-08 2014-12-30 최재혁 편심 가능한 우산
KR101776037B1 (ko) * 2016-10-06 2017-09-07 성윤모 기능성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22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718A (en) Folding assembly for a trolley
WO2005037162A3 (en)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US7347215B1 (en) Ergonomic crutches
US20090235966A1 (en) Ergonomic crutches
KR102249774B1 (ko) 다기능 목발
US4253479A (en) Extendable cane
JP6590177B1 (ja) 杖補助具及び杖
KR20120131884A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JP2005152592A (ja) 前腕保持具が可傾の杖、および杖に着脱できる前腕保持具の可傾連結装置
KR101753987B1 (ko)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EP2289478A1 (en) A-frame walker
JP2008142251A (ja) 歩行補助具
KR101709613B1 (ko) 웨어러블 크러치
JP3204362U (ja) 杖の石突構造
JP3116653U (ja) 歩行補助具
CN203328101U (zh) 拐杖的接地支撑结构
JP5690013B1 (ja) 段差昇降補助機能及び起立補助機能付き歩行補助具
JP2015171409A (ja) 歩行補助及び起立補助用杖
JP2007330693A (ja)
CN104116280B (zh) 一种弹性收折式拐杖
KR200157049Y1 (ko) 간이의자로서 사용가능한 지팡이
KR20120001356U (ko) 지팡이
JP2019195391A (ja) 折り畳み杖
JP3136248U (ja) 補強支持用傘の握り柄構造
CN110812133B (zh) 具有关节结构的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