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987B1 -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987B1
KR101753987B1 KR1020150141287A KR20150141287A KR101753987B1 KR 101753987 B1 KR101753987 B1 KR 101753987B1 KR 1020150141287 A KR1020150141287 A KR 1020150141287A KR 20150141287 A KR20150141287 A KR 20150141287A KR 101753987 B1 KR101753987 B1 KR 10175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se member
magnet
spoon
sp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972A (ko
Inventor
문정욱
강하은
Original Assignee
문정욱
강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욱, 강하은 filed Critical 문정욱
Priority to KR1020150141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9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포크부재의 양측에 포크와 스푼을 각각 형성하고, 스포크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포크와 스푼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재는 자석에 의하여 위치고정 가능하므로 포크와 스푼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TABLE UTENSILS FOR HANDICAPPED PERSON WITH SPINAL CORD INJURY}
본 발명은 스푼, 포크 등의 식사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척추손상 장애인을 위한 식사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척추 손상으로 인한 장애인들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고, 물체를 쥘 수 있는 악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식사를 하는 경우 스푼이나 포크를 정확하게 잡고 사용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장애인들의 식사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니버설 커프(universal cuff)라는 기구가 개발되었다. 유니버설 커프는 밴드 형식으로 손에 감아서 고정되며,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서 포크나 스푼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척추손상 장애인들은 악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니버설 커프의 도움을 받아 식사를 한다.
그러나 유니버설 커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포크와 스푼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척추 손상 장애인들의 식사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척추 손상 장애인들은 자세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식사시에 한 손은 테이블을 잡거나 하는 식으로 상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한 손은 유니버설 커프를 사용하여 식사를 한다. 식사를 할 때에는 포크와 스푼을 교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유니버설 커프에 이들을 교대로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스푼을 사용하다가 포크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진 스푼을 입으로 잡아서 빼고, 다시 포크를 입으로 물어서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넣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식사의 즐거움을 감퇴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푼의 앞 부분이 포크 형상으로 된 숟가락포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국물이 포크 부분으로 새버린다. 포크와 스푼이 버튼의 터치만으로 자동으로 교대장착되게 하는 장치도 개발되었지만 이는 매우 고가여서 대중적으로 활용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척추손상 장애인들이 보다 즐겁게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포크와 스푼을 매우 간단하게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식사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사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유니버설 커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일측과 타측에 각각 포크부와 스푼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 사이의 중앙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부재;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가 각각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포크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자석과,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동포인트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회전자석 및 제2회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포크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고정자석과 제1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며, 상기 스푼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제2위치에서 상기 제1고정자석과 제2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상기 스포크부재를 위치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고정자석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제2고정자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고정자석과 제2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고정자석과 제1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함께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재와 스포크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리벳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벳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끼워지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력이 인가되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몸통부와, 상기 한 쌍의 몸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직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몸통부가 상호 접근되었을 때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삽입가능하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한 쌍의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져 장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대하여 단차져서 배치되며 상기 스포크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호 단차진 상기 끼움부와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부와 스푼부를 매우 간단하게 위치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이를 통해 척추손상 장애인들은 식사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고,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재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포크부와 스푼부가 식사에 편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편의성은 더욱 증대된다.
또한 스포크부재와 베이스부재를 매우 간단한 구성인 자석으로 상호 고정함으로써 경제성과 함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리벳을 이용하여 베이스부재와 스포크부재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식사 후에 식사보조기구를 청결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척추손상 장애인의 식사보조를 위한 유니버설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를 실제 제작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스포크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베이스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포크부재와 베이스부재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리벳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척추손상 장애로 인하여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고, 악력이 부족하여 포크나 스푼을 제대로 쥘 수 없는 사람의 식사를 보조하기 위한 도구이다. 다만, 본 발명이 단지 척추손상 장애인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손의 악력이 부족하여 스푼과 포크를 정확하게 쥘 수 없거나, 일시적으로 기브스를 하여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는 등 다양한 사람들의 식사를 보조하기 위한 도구로 확장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척추손상 장애인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척추손상 장애인의 식사시 스푼과 포크의 사용이 쉽지 않다는 점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숟가락 포크, 기계식 장치 등이 개발되었지만 이들은 사용이 불편하거나, 동작이 복잡하거나 하는 등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는 무엇보다도 장애인의 입장에서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그리고 식사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세척이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대중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척추손상 장애인의 식사 패턴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장애인의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척용이성 그리고 대중성을 모두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도출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이하 '식사보조기구'라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를 실제 제작한 사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스포크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베이스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사보조기구(100)는 베이스부재(10), 스포크부재(20), 결합수단으로서의 리벳(30) 및 고정수단으로서의 자석(41,42,51,52)을 구비한다.
베이스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는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니버설 커프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장착부(12)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1)가 장착부(1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이들은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배치된다. 끼움부(11)와 장착부(12)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부(13)가 형성된다. 장착부(12)에는 제1관통공(14)이 형성된다.
스포크부재(20)도 길게 형성되어, 일측단에는 포크부(21)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스푼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포크부재(20)의 중앙부, 즉 포크부(21)와 스푼부(22)의 사이에는 제2관통공(23)이 형성된다. 스포크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리벳(30)이다. 리벳(3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리벳(30)은 베이스부재(10)의 제1관통공(14)과 스포크부재(20)의 제2관통공(23)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에 끼워져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벳(30)은 걸림부(31)와 한 쌍의 몸통부(32,33) 및 한 쌍의 머리부(34,35)를 구비한다. 걸림부(31)는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에 끼워져 들어갈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이 모두 원형이고, 걸림부(31)도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걸림부(31)의 직경이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의 직경보다 크다. 한 쌍의 몸통부(32,33)는 걸림부(3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에 함께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몸통부(32,33)는 서로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는 길게 슬릿(36)이 형성된다. 슬릿(36)으로 인하여 한 쌍의 몸통부(32,33)에 외력을 가하면 한 쌍의 몸통부(32,33)는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물론 외력을 주지 않으며, 한 쌍의 몸통부(32,33)는 탄성복원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한 쌍의 머리부(34,35)는 한 쌍의 몸통부(32,33)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데, 제1관통공(14)의 직경방향을 따라 몸통부(32,3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력을 가하여 한 쌍의 몸통부(32,33)를 서로 접근시킨 상태에서는 머리부(34,35)는 제1관통공(14) 및 제2관통공(23)에 삽입되지만, 외력을 해제하여 몸통부(32,33)가 원위치로 복원되면 머리부(34,35)는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벳(30)을 이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이 상호 겹쳐지게 하고, 한 쌍의 몸통부(32,33)를 가압하여 서로 접근시킨 상태에서 머리부(34,35)와 몸통부(332,33)를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에 밀어 넣는다. 한 쌍의 머리부(34,35)는 서로 접근된 상태로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을 완전히 통과하게 한다. 머리부(34,35)가 제2관통공(23)을 통과하고 나면 외력이 해제되어 한 쌍의 몸통부(32,33)는 원위치로 탄성복원되므로 머리부(34,35)가 거꾸로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즉 리벳(30)은 고정된다. 거꾸로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 쌍의 머리부(34,35)에 힘을 주어 서로 접근시킨 상태에서 관통공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매우 간단하게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23)에는 한 쌍의 몸통부(32,33)가 끼워져 있는데, 몸통부(32,33)의 직경이 제1관통공(14) 및 제2관통공(23)의 직경보다 작아 여유가 있으므로,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는 제1관통공(14)을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호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크부(21)가 사용자 쪽으로 향하는 제1위치와 스푼부(22)가 사용자를 향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스포크부재(20)를 회동시켜 포크와 스푼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포크부(21)와 스푼부(22)가 각각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스포크부재(20)가 회전되면 식사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스포크부재(20)가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마련한다.
고정수단은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간단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자석을 사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은 제1고정자석(41)과 제2고정자석(42), 제1회전자석(51)과 제2회전자석(52)으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자석(41)과 제2고정자석(42)은 베이스부재(10)에 매설되며, 제1관통공(1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회전자석(51)과 제2회전자석(52)은 고정자석들과 대응되게 스포크부재(20)의 제2관통공(23)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포크부재(20)를 회전시켜 스포크부재(20)와 베이스부재(10)가 평행하게 배치되면, 고정자석과 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크부(21)가 전방으로 나오는 제1위치에서는 제1고정자석(41)과 제1회전자석(51)이 상호 부착되고, 제2고정자석(42)과 제2회전자석(52)이 상호 부착된다. 거꾸로 스푼부(22)가 전방으로 나오는 제2위치에서는 제1고정자석(41)과 제2회전자석(52), 그리고 제2고정자석(42)과 제1회전자석(51)이 상호 부착된다.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가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스포크부재(20)를 식기나 테이블에 대고 약간만 밀어주면 자석들이 상호 떨어져서 스포크부재(20)가 회전된다. 즉, 제1위치에서 포크부(21)를 사용하다가 스푼부(22)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포크부재(20)를 살짝만 밀어주면 스포크부재(20)가 회전되며, 제2위치 근방에서 자석들이 다시 부착되어 매우 간단하게 포크와 스푼을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간단한 방식으로 포크부와 스푼부를 상호 위치변경할 수 있으므로 척추손상 장애인들은 식사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고,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재(10)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더욱이, 리벳(30)을 이용하여 베이스부재(10)와 스포크부재(20)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식사 후에 식사보조기구를 청결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00 ...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10 ... 베이스부재 20 ... 스포크부재
30 ... 리벳 41 ... 제1고정자석
42 ... 제2고정자석 51 ... 제1회전자석
52 ... 제2회전자석

Claims (5)

  1.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유니버설 커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일측과 타측에 각각 포크부와 스푼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 사이의 중앙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부재;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가 각각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포크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자석과,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동포인트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회전자석 및 제2회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포크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고정자석과 제1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며, 상기 스푼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제2위치에서 상기 제1고정자석과 제2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어 상기 스포크부재를 위치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져 장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대하여 단차져서 배치되며 상기 스포크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호 단차진 상기 끼움부와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고정자석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제2고정자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고정자석과 제2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고정자석과 제1회전자석이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함께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재와 스포크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리벳을 더 구비하며,
    상기 리벳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끼워지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력이 인가되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몸통부와,
    상기 한 쌍의 몸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직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몸통부가 상호 접근되었을 때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삽입가능하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한 쌍의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5. 삭제
KR1020150141287A 2015-10-08 2015-10-08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10175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87A KR101753987B1 (ko) 2015-10-08 2015-10-08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87A KR101753987B1 (ko) 2015-10-08 2015-10-08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72A KR20170041972A (ko) 2017-04-18
KR101753987B1 true KR101753987B1 (ko) 2017-07-05

Family

ID=5870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87A KR101753987B1 (ko) 2015-10-08 2015-10-08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784A (ko) 2018-09-18 2020-03-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15B (zh) * 2019-06-26 2024-03-29 南昌大学 一种辅助手部残疾人进食餐桌
KR20230100076A (ko) 2021-12-28 2023-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식기구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28B2 (ja) * 1995-10-27 2000-09-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後2軸車用軸重配分調整装置
KR200209764Y1 (ko) * 2000-08-11 2001-01-15 김명수 장애인용 식사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28B2 (ja) * 1995-10-27 2000-09-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後2軸車用軸重配分調整装置
KR200209764Y1 (ko) * 2000-08-11 2001-01-15 김명수 장애인용 식사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784A (ko) 2018-09-18 2020-03-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72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987B1 (ko)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US5193567A (en) Mobility enhancement device
JP2005177183A (ja) 箸用補助具
CN111372499A (zh) 勺子
WO2006004290A1 (en) Chopsticks
EP2822527B1 (en) A feeding device and a feeding apparatus
KR101850686B1 (ko) 숟가락
USD763636S1 (en) Tortilla turning utensil
WO2018000412A1 (zh) 一种玩具
JP3110363U (ja) 手指の不自由者用箸
JP3165458U (ja) 杖、ステッキ等のホルダー
KR102061583B1 (ko) 휴대용 젓가락 교정기
JP2003265297A (ja) 手障害者用食事補助具
KR102092594B1 (ko) 젓가락
CN202477242U (zh) 手部残疾人专用汤勺
KR20100118926A (ko) 숟가락이 구비된 원터치 젓가락
KR101047916B1 (ko)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JP5844926B1 (ja) 飲料容器傾斜具
KR102694891B1 (ko) 위생용 집게 젓가락
CN209547714U (zh) 一种儿童学习筷子
JP6348617B1 (ja) 高齢者、病人及び幼児用補助グリップ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CN201057921Y (zh) 一种把手
CN201855200U (zh) 新型洗澡用具
KR200337792Y1 (ko)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