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784A -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784A
KR20200032784A KR1020180111364A KR20180111364A KR20200032784A KR 20200032784 A KR20200032784 A KR 20200032784A KR 1020180111364 A KR1020180111364 A KR 1020180111364A KR 20180111364 A KR20180111364 A KR 20180111364A KR 20200032784 A KR20200032784 A KR 20200032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er
holder
meal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583B1 (ko
Inventor
최광진
김태경
정윤아
장윤선
박성우
강지수
정아영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을 떠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된 헤더부; 상기 헤더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탑재되어 헤더부의 전후, 좌우 기울기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 상기 헤더부와 손잡이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각조절부; 상기 헤더부와 손잡이부 사이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사각조절부; 및 상기 평형감지센서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헤더부의 위치가 항상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각조절부 및 경사각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로서, 평형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스푼의 기울기 뒤틀림을 감지하고 이를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하거나 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음식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고, 이로서 사용자의 자존감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MEAL ASSISTIVE DEVICE}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유지 기술을 토대로 손떨림 보정가능을 실현한 숟가락으로 기울임을 인식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를 탑재하고 작은 모터를 달아 손떨림 등에도 숟가락 머리부분이 흔들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보조기구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의 식사를 돕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987호를 통해 척추손상 장애인을 위한 식사보조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척추손상 장애인의 식사보조를 위한 유니버설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스포크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베이스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식사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유니버설 커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0); 일측과 타측에 각각 포크부(21)와 스푼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21)와 스푼부(22) 사이의 중앙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부재(20); 상기 스포크부재(2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포크부(21)와 스푼부(22)가 각각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포크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손떨림이 심하거나 손목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의 경우 음식물을 떠서 입으로 옮기는 과정에 음식물을 쉽게 흘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9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형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스푼의 기울기 뒤틀림을 감지하고 이를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하거나 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음식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을 떠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된 헤더부; 상기 헤더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탑재되어 헤더부의 전후, 좌우 기울기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 상기 헤더부와 손잡이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각조절부; 상기 헤더부와 손잡이부 사이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사각조절부; 및 상기 평형감지센서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헤더부의 위치가 항상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각조절부 및 경사각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더부는 포크, 스푼 또는 포크와 스푼이 결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홀더부와 탈착 결합하도록 된 헤더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헤더부의 헤더부몸체에 대응 결합하도록 몸체 전단에 회전축부재가 형성되고, 홀더부의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감지하도록 몸체에 평형감지센서를 탑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전용 무선충전기에 접속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충전접속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싸서 고정이 가능한 스트랩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각조절부는 콘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의 좌우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에 결합된 헤더부의 좌우 비틀림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1엑츄에이터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각조절부는 콘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의 상하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에 결합된 헤더부의 상하 굴절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2엑츄에이터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평형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스푼의 기울기 뒤틀림을 감지하고 이를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하거나 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음식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고, 이로서 사용자의 자존감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척추손상 장애인의 식사보조를 위한 유니버설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의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스포크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사보조기구의 베이스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헤더부(110), 홀더부(120), 평형감지센서(130), 손잡이부(140), 회전각조절부(150), 경사각조절부(160), 콘트롤부(1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떠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된 헤더부(110)와, 상기 헤더부(1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홀더부(120)와, 상기 홀더부(120)에 탑재되어 헤더부(110)의 전후, 좌우 기울기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130)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140)와, 상기 헤더부(110)과 손잡이부(140)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각조절부(150)와, 상기 헤더부(110)과 손잡이부(140) 사이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사각조절부(160) 및 상기 평형감지센서(13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헤더부(110)의 위치가 항상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각조절부(150) 및 경사각조절부(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부(110)은 포크, 스푼 또는 포크와 스푼이 결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전단부(111) 및, 상기 전단부(111)의 후방에 형성되어 홀더부(120)과 탈착 결합하는 헤더부몸체(113)로 구성될 수 있다.
전단부(111)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푼이나 포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환자의 상태에 맞춰서 스푼이나 포크의 각도를 맞춤형으로 절곡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헤더부몸체(113)은 전단부(111)을 고정하는 동시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 내부에 회전축부재(121)이 안내 결합되는 축가이드홈(115)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120)은 헤더부(110)과 손잡이부(14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헤더부(110)의 축가이드홈(115)에 대응 결합하도록 몸체 전단에 회전축부재(121)이 형성되고, 홀더부(120)의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감지하도록 몸체에 평형감지센서(130)을 탑제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120)의 몸체는 평형감지센서(130), 회전각조절부(150)을 내장하는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40)은 몸체 내부에 전용 무선충전기에 접속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충전접속부(180), 콘트롤부(170), 경사각조절부(16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40)의 몸체 상부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싸서 고정이 가능한 스트랩(141)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140)의 몸체 외면에 미끌림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1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각조절부(150)은 콘트롤부(170)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120)의 좌우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120)에 결합된 헤더부(110)의 좌우 비틀림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1엑츄에이터(151)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151)의 회전축이 회전축부재(12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헤더부(11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조절부(160)은 콘트롤부(170)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120)의 상하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120)에 결합된 헤더부(110)의 상하 굴절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2엑츄에이터(161)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161)의 회전력을 홀더부(120)의 굴절운동으로 전달하는 아암(163)로 구성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식사 보조장치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근력이 저하되어 수저나 젓가락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을 감싼 쥔 상태에서 스트랩(141)을 고정시켜 사용자의 손에서 손잡이부(1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헤더부(110)은 사용자의 식사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포크나 스푼 또는 포크나 스푼의 복합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세트를 구비한 상태에서 면류 등의 식사 때는 포크를 사용하고, 국물류 등은 스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40)을 파지한 상태로 식기에 있는 음식을 떠 올리게 되는데, 사용자는 손의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떠 올리는 과정이나 입으로 가까이 옮기는 과정에서 손이 떨리거나 뒤틀려 음식물을 쏟을 우려가 있는데, 평형감지센서(130)에서는 음식물이 담겨진 헤더부(110)의 전단부(111)이 평형상태인지를 실시간을 센싱하여 콘트롤부(17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콘트롤부(170)에서는 평형감지센서(130)의 신호를 받아 평형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보정하는 보정신호를 회전각조절부(150) 또는 경사각조절부(160)에 송출하여 전후좌우 평형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도 8에서와 같이 그릇의 음식을 떠서 올리는 과정에서 손잡이부(140)의 선단이 하향 경사지는 경우로서, 콘트롤부(170)은 경사각조절부(160)의 제2엑츄에이터(161)을 평형감지센서(130)의 기울기 보정값만큼 회전시켜 헤더부(110)이 손잡이부(140)에 대해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시켜 헤더부(110)의 전후 평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떠올린 음식을 입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손잡이부(140)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는 경우로서, 콘트롤부(170)은 경사각조절부(160)의 제2엑츄에이터(161)을 평형감지센서(130)의 기울기 보정값만큼 회전시켜 헤더부(110)이 손잡이부(140)에 대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시켜 헤더부(110)의 전후 평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평형감지센서(130)은 헤더부(110)의 좌우 기울기를 감지하여 콘트롤부(170)에 전송하고, 콘트롤부(170)에서는 신호를 받아 회전각조절부(150)의 제1엑츄에이터(151)을 평형감지센서(130)의 좌우 기울기 보정값만큼 회전시켜 스푼이 비틀려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평형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스푼의 기울기 뒤틀림을 감지하고 이를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하거나 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음식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고, 이로서 사용자의 자존감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헤더부 111: 전단부
113: 헤더부몸체 115: 축가이드홈
120: 홀더부 121: 회전축부재
130: 평형감지센서 140: 손잡이부
141: 스트랩 143: 논슬립패드
150: 회전각조절부 151: 제1엑츄에이터
160: 경사각조절부 161: 제2엑츄에이터
163: 아암 170: 콘트롤부
180: 무선충전접속부

Claims (8)

  1. 음식을 떠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된 헤더부(110);
    상기 헤더부(1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홀더부(120);
    상기 홀더부(120)에 탑재되어 헤더부(110)의 전후, 좌우 기울기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130);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140);
    상기 헤더부(110)과 손잡이부(140)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각조절부(150);
    상기 헤더부(110)과 손잡이부(140) 사이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사각조절부(160); 및
    상기 평형감지센서(13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헤더부(110)의 위치가 항상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각조절부(150) 및 경사각조절부(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110)은 포크, 스푼 또는 포크와 스푼이 결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전단부(111) 및, 상기 전단부(111)의 후방에 형성되어 홀더부(120)과 탈착 결합하도록 된 헤더부몸체(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20)은 헤더부(110)의 헤더부몸체(113)에 대응 결합하도록 몸체 전단에 회전축부재(121)이 형성되고, 홀더부(120)의 전후좌우 수평상태를 감지하도록 몸체에 평형감지센서(130)을 탑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40)에는 전용 무선충전기에 접속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충전접속부(180)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40)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싸서 고정이 가능한 스트랩(14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조절부(150)은 콘트롤부(170)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120)의 좌우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120)에 결합된 헤더부(110)의 좌우 비틀림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1엑츄에이터(151)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조절부(160)은 콘트롤부(170)의 신호에 따라 홀더부(120)의 상하회전각을 미세 제어함으로써, 홀더부(120)에 결합된 헤더부(110)의 상하 굴절을 평형상태로 제어하는 제2엑츄에이터(161)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조절부(160)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KR1020180111364A 2018-09-18 2018-09-18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KR10217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64A KR102177583B1 (ko) 2018-09-18 2018-09-18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64A KR102177583B1 (ko) 2018-09-18 2018-09-18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784A true KR20200032784A (ko) 2020-03-27
KR102177583B1 KR102177583B1 (ko) 2020-11-12

Family

ID=6995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64A KR102177583B1 (ko) 2018-09-18 2018-09-18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9512A (zh) * 2021-01-18 2021-06-01 段刚 一种老人用防抖勺
US11980305B1 (en) 2020-08-11 2024-05-14 Jeffery James Wagoner Damped articul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081A (ja) * 2006-05-15 2006-09-07 Nagatoshi Yasukawa 飲食用補助具
KR101753987B1 (ko) 2015-10-08 2017-07-05 문정욱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20170089682A (ko) * 2016-01-27 2017-08-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식사 도구
WO2018013320A1 (en) * 2016-07-14 2018-01-18 Verily Life Sciences Llc High amplitude tremor stabilization by a handheld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081A (ja) * 2006-05-15 2006-09-07 Nagatoshi Yasukawa 飲食用補助具
KR101753987B1 (ko) 2015-10-08 2017-07-05 문정욱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20170089682A (ko) * 2016-01-27 2017-08-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식사 도구
WO2018013320A1 (en) * 2016-07-14 2018-01-18 Verily Life Sciences Llc High amplitude tremor stabilization by a handheld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305B1 (en) 2020-08-11 2024-05-14 Jeffery James Wagoner Damped articulation system
CN112869512A (zh) * 2021-01-18 2021-06-01 段刚 一种老人用防抖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583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816B2 (en) Flexible drinking cup
US9066615B2 (en) Feeding assistant robot
US10478370B2 (en) Actuated glove orthosis and related methods
KR20200032784A (ko)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TW453968B (en) Bicycle equipped with drive assist
US11865395B2 (en) Movement therapy apparatus
JP7192528B2 (ja) アシスト装置
ES2870671T3 (es) Dispositivo portátil para la rehabilitación de los miembros superiores
NO304722B1 (no) Spaserstokk
WO2017199348A1 (ja) 介助装置
KR101694465B1 (ko) 능동형 식사재활 보조 장치
WO2021166739A1 (ja) 装着式動作補助装置
KR102437655B1 (ko)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US7524294B1 (en) Arm lift flexion device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KR20170089682A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식사 도구
JP2000051292A (ja) 片手機能障害者用食事補助具
JP2003503788A (ja)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グリップ装置
CN210204317U (zh) 一种限定患者仰头角度的饮水杯
US10986879B2 (en) Hands-free adjustable bib for securing a container
JP3235802U (ja) 車椅子
KR101561775B1 (ko) 식사 보조장치
KR102615939B1 (ko) 식사보조로봇용 스푼
CN209933289U (zh) 趴架
CN112369887B (zh) 一种神经内科用帕金森病人自助进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