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25Y1 - 우산 착용구 - Google Patents

우산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25Y1
KR200437725Y1 KR2020070000048U KR20070000048U KR200437725Y1 KR 200437725 Y1 KR200437725 Y1 KR 200437725Y1 KR 2020070000048 U KR2020070000048 U KR 2020070000048U KR 20070000048 U KR20070000048 U KR 20070000048U KR 200437725 Y1 KR200437725 Y1 KR 200437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ixed
fixing
umbrella sta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2020070000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A45B2200/109Sockets therefo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 착용구는 우산의 손잡이부가 삽입 고정되어 지지되는 우산대 지지구와, 상기 우산대 지지구의 하단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굽혀지는 가요성 연결봉과, 상기 가요성 연결봉의 하단이 고정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판체 형상으로 신체의 일부에 대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암 연결구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 연결구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지지구는 상기 가용성 연결봉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 측벽에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체와 ;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에 대향되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체와 ; 상기 고정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고정된 고정볼트와 ;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지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에 조여짐으로서 고정체와 이동체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하여 우산대 고정홈들 사이에 끼워진 우산대가 고정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우산대 지지구의 구성을 단순화시킴으로서 우산 착용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성 요소가 단순화됨으로서 잦은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우산, 가요성관, 우산대 지지구, 고정벨트, 지지판

Description

우산 착용구{A wearing apparatus of the umbrella}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에 구성된 우산대 지지구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우산대 지지구
110 : 고정체
111 : 우산대 고정홈
113 : 가이드홀
120 : 이동체
121 : 우산대 고정홈
122 : 볼트 고정공
123 : 가이드대
130 : 고정볼트
140 : 조임너트
20 : 가요성 연결봉
30 : 고정구 40 : 지지판
50 : 고정벨트 51 : 암 연결구
52 : 수 연결구
본 고안은 우산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신체의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우산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비를 피하기 위한 수단이나 햇볕을 가리기 위한 수단으로 우산과 양산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 중 우산이나 양산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인체의 상부를 가리는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항시 손으로 우산대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많은 물건을 휴대하거나 어린아이를 업었을 경우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우산을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게 한 수단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우산을 신체의 일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우산 또는 양산 착용구(이하, '우산 착용구'라 칭합니다.)에는 쉽게 구부릴 수 있는 파이프 등을 우산대의 손잡 이부에 끼워 착용구를 어깨나 허리 또는 가슴에 감아 우산이 신체에 고정되게 하거나 소정의 고정구를 벨트 등으로 사용자의 허리나 가슴에 묶을 수 있게 구성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우산 착용구의 경우 우산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신체로부터 이탈되거나 우산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것이 실용신안등록 제411415호"우산 착용구"이다.
이 우산 착용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의 손잡이부가 삽입고정되어 지지되는 우산대 지지구(10)와 ; 우산대 지지구(10)의 하단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굽혀지는 가요성 연결봉(20)과 ; 가요성 연결봉(20)의 하단이 고정된 고정구(30)와 ; 고정구(3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판체 형상으로 신체의 일부에 대향되는 지지판(40)과 ; 지지판(40)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암 연결구(51)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 연결구(52)가 설치된 고정벨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우산대 지지구(10)를 고정구(30)에 고정되고 일측에 길게 우산대 고정홈(11a)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정대(11)와 ; 고정대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a)과 대향되는 면에 역시 우산대 고정홈(11a)이 형성된 이동대(12)와 ; 고정대(11)와 이동대(12)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볼트(13)와 ; 고정볼트(13)의 고정대(11)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고정볼트(13)를 고정대(1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하여 이동대(12)가 고정대(12)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스프링(14) 및 ; 이동대(12)의 고정대를 향한 단부에 가장자리가 대향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형 판체로서,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일측 단부의 볼트머리가 당겨짐에 의해 고정대(11)측으로 당겨지는 이동대(12)를 밀어주기 위한 편심 회전판(15)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산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지지구(10)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노후에 의해 이동대가 충분히 밀리지 않아 우산대가 우산대 고정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거나 편심 회전판(15)이 변형 또는 편심 회전판(15)에 의해 밀리는 이동대(12)가 편심 회전판(15)의 회전시 마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다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너무 많이 요구됨으로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면 우산대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우산 착용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우산 착용구는 우산의 손잡이부가 삽입 고정되어 지지되는 우산대 지지구와, 상기 우산대 지지구의 하단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굽혀지는 가요성 연결봉과, 상기 가요성 연결봉의 하단이 고정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판체 형상으로 신체의 일부에 대향되는 지지판 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암 연결구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 연결구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지지구는 상기 가용성 연결봉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 측벽에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체와 ;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에 대향되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체와 ; 상기 고정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고정된 고정볼트와 ;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지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에 조여짐으로서 고정체와 이동체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하여 우산대 고정홈들 사이에 끼워진 우산대가 고정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에 구성된 우산대 지지구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착용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우산대 착용구를 개선한 것으로 우산의 손잡이부가 삽입고정되어 지지되는 우산대 지지구(100)와, 상기 우산대 지지구(100)의 하단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굽혀지는 가요성 연결봉(20)과, 상기 가요성 연결봉(20)의 하단이 고정된 고정구 (30)와, 상기 고정구(3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판체 형상으로 신체의 일부에 대향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암 연결구(51)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 연결구(52)가 설치된 고정벨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우산대 지지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구성을 우산대 지지구를 단순화한 것이 본 고안의 요지이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우산대 고정구(100)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우산대 지지구(100)는 상기 가용성 연결봉(20)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벽에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111)이 형성된 고정체(110)와 ;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에 대향되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121)이 형성된 이동체(120)와 ; 상기 고정체(11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체(120)에 고정된 고정볼트(130)와 ; 상기 고정볼트(130)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지날개(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30)에 조여짐으로서 고정체(110)와 이동체(12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하여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 사이에 끼워진 우산대가 고정되게 하는 조임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가요성 연결봉(20)에 고정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그 일측에 우산대 고정홈(1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110)는 전체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일부에 홈을 더 형성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수평으로 관통하여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110)만으로는 우산대를 고정시킬 수 없고 이에 대향되는 이동체(120)가 더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이동체(120)의 상기 고정체(110)와 대향되는 면 즉,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역시 우산대 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체(110)와 이동체(120)의 측면 전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120)에는 고정볼트(130)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30)가 설치되고 이 고정볼트(1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체(110)의 고정체(110)와 대향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130)의 다른 단부 즉, 고정체(110)를 관통하여 노출된 단부에는 머리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체(110)로부터 고정볼트(130)가 분리되지 않게 하였으며, 이 고정볼트(130)에는 조임너트(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너트(140)는 고정볼트(130)에 조여지거나 풀어어짐으로서 고정체(110)와 이동체(120)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고정체(110)와 이동체(120)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 사이에 우산대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여짐으로서 우산대가 우산대 고정홈(111, 12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11)에는 상기 관통공(1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1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120)에는 상기 각 가이드홀(113)에 대향되는 가이드대(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113)과 가이드봉(123)은 고정체(110)와 이동체(120)가 서로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원기둥 및 원형홀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내지 다각 기둥 및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우산 착용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즉,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벨트(50)를 감은 후 고정벨트 양단에 설치된 암, 수 연결구(51, 52)를 서로 결합하여 지지판(40)이 신체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한다.
신체에 지지판(40)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15a)를 돌려 편심 회전판(15)의 광폭부가 고정대(11)와 이동대(12)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 이동대(12)가 고정대(11)로부터 멀어져 고정대(11)와 이동대(12) 사이의 우산대 고정홈(11a)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이 상태에서 우산대를 우산대 고정홈(11a) 사이에 끼워 넣은 후 다시 회전 손잡이(15a)를 회전시켜 편심 회전판(15)의 협폭부가 고정대(11)와 이동대(12)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 우산대 고정홈(11a)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대가 고정된다.
우산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산대의 방향을 임의로 바꾸어주면 가요성 연결봉(20)이 휘어지고 휘어진 가요성 연결봉(20)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우산을 지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인 우산대 고정구(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고정볼트(130)에 채워진 조임너트(140)을 충분히 풀어서 고정체(110)와 이동체(12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벌어지게 한다.
고정체(110)와 이동체(120)의 사이가 멀어지면 각각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이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우산대 또는 우산의 손잡이가 우산대 고정홈(111, 121) 사이에 충분히 끼워질 수 있는 상대가 된다.
이렇게 우산대 고정홈(111, 121)사이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 우산대를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 사이에 끼운 후 조임너트(140)을 조이면 이동체(120)가 고정체(110)를 향하여 이동하고 이동체(120)가 충분히 이동하면 이동체(120)와 고정체(110)사이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 121)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 사이에 우산대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란 우산대 착용구는 고정벨트를 신체에 맞게 조절하여 작용함으로서 우산이나 양산을 보다 견고하게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 연결봉을 휘어 우산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우산이 지향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우산대 착용구를 구성하는 우산대 지지구를 단순화시킴으로서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 요소가 단순화됨으로서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우산의 손잡이부가 삽입고정되어 지지되는 우산대 지지구(100)와, 상기 우산대 지지구(100)의 하단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굽혀지는 가요성 연결봉(20)과, 상기 가요성 연결봉(20)의 하단이 고정된 고정구(30)와, 상기 고정구(3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판체 형상으로 신체의 일부에 대향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암 연결구(51)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 연결구(52)가 설치된 고정벨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지지구(100)는 상기 가용성 연결봉(20)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벽에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111)이 형성된 고정체(110)와 ;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우산대 고정홈(111)에 대향되는 호형의 우산대 고정홈(121)이 형성된 이동체(120)와 ;
    상기 고정체(11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체(120)에 고정된 고정볼트(130)와 ;
    상기 고정볼트(130)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지날개(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30)에 조여짐으로서 고정체(110)와 이동체(12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하여 우산대 고정홈(111, 121)들 사이에 끼워진 우산대가 고정되게 하는 조임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착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11)에는 상기 관통공(1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1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120)에는 상기 각 가이드홀(113)에 대향되는 가이드대(12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착용구.
KR2020070000048U 2007-01-03 2007-01-03 우산 착용구 KR200437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48U KR200437725Y1 (ko) 2007-01-03 2007-01-03 우산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48U KR200437725Y1 (ko) 2007-01-03 2007-01-03 우산 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25Y1 true KR200437725Y1 (ko) 2007-12-21

Family

ID=4162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48U KR200437725Y1 (ko) 2007-01-03 2007-01-03 우산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59B1 (ko) 2011-08-18 2013-05-2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KR101284456B1 (ko) 2011-09-20 2013-07-0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59B1 (ko) 2011-08-18 2013-05-2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KR101284456B1 (ko) 2011-09-20 2013-07-0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550B2 (en) Adjustable umbrella
BRPI0710391A2 (pt)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WO2007060607A3 (en) Stand with a securing device
KR101482915B1 (ko) 우산거치대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KR200437725Y1 (ko) 우산 착용구
CN208176194U (zh) 磁铁搭扣、背包
EP4140356A1 (en) Hairdryer holder
KR20180011467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TWI501738B (zh) Adjustable hanger structure
US20140326839A1 (en) Support for positioning an article in a free standing manner
KR101411815B1 (ko) 우산 거치대
KR200411415Y1 (ko) 우산 착용구
TWI304722B (ko)
US8151384B2 (en) Shower expander
KR101284456B1 (ko) 우산장착장치
KR101484404B1 (ko) 가방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방
KR101308042B1 (ko) 레저용 스틱
KR101232794B1 (ko) 휴대용 운동기구
US20220136278A1 (en) Solar protection or wind protection device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130079472A (ko) 집게부가 설치된 기능성 우산
CN205624763U (zh) 鞋子连接装置
KR200460102Y1 (ko) 램프가 구비된 지팡이
RU2805697C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ф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