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98A - 휴대용 차양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양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98A
KR20090004298A KR1020070068400A KR20070068400A KR20090004298A KR 20090004298 A KR20090004298 A KR 20090004298A KR 1020070068400 A KR1020070068400 A KR 1020070068400A KR 20070068400 A KR20070068400 A KR 20070068400A KR 20090004298 A KR20090004298 A KR 2009000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air
sunshade
portab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용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서덕용
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용, 서성용 filed Critical 서덕용
Priority to KR102007006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98A/ko
Publication of KR2009000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06Portable, self supported sunshades or weather pro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차양구(100)는, 각 양단에 결착밴드(12)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숄더(10)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14)를 하단샤프트(18)로 축연결하고, 한쌍의 아암부(14)의 양측 상단샤프트(18)간에는 차양시트(22)가 부착된 다수의 곡형살대(24)들이 축연결되게 구성하며, 그 상하단샤프트(18)(16)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차양구, 휴대용, 호형숄더, 아암부, 길이조절

Description

휴대용 차양구{PORTABLE SUNSCREEN}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간편히 착용하면서 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차양구에 관한 것이다.
햇빛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거나 야외 스포츠를 즐길 때 그리고 등산 및 낚시 등을 할 때에는 얼굴 안면을 피부에 해로운 적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주로 모자를 쓰거나 양산을 쓰게된다.
모자는 패션 악세사리의 한 종류로서 인식되어 다양한 계층에서 애용되고 있지만 차양의 측면에서 볼 때 모자챙만으로는 얼굴 안면을 충분히 차양시켜주지 못하고 특히 목 뒷부분은 전혀 차양해주지 못한다. 반면 양산은 모자보다 훨씬 넓은범위의 차양을 보장해 주는 이점이 있으나 한손으로 양산 지지대를 잡아주어야 되므로 개인 활동에 많은 지장을 준다.
이러한 양산의 불편함을 개량하기 위해 양산(또는 우산)을 사용하면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착용식 양산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양산(우산)의 지지대가 몸에 기대어져 있는 관계로 사용자의 활동력을 떨어뜨리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동성을 양호하게 해주면서도 얼굴부위를 포함한 머리부를 차양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용 차양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들에 신체조건에 맞게 착용가능하며 자체무게가 가볍고 착용과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차양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차양구는, 각 양단에 결착밴드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 숄더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를 하단샤프트로 축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양측 상단샤프트간에는 차양시트가 부착된 다수의 곡형살대들이 축연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하단샤프트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샤프트는 상기 호형숄더 상부고정축부와 아암부의 하부연결편 축부를 방사상 요철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축연결하되 탄지스프링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축볼트로 축결합되게 체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샤프트는 아암부의 상부연결편 축부에 다수의 살대 축편들이 방사상 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탄지되게 축연결하되, 상기 상부연결편 축부와 면접촉하는 인접 살대축편은 방사상 요철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축연결하고 상기 살대축편들간은 방사상 미세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축연결 구성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차양구는, 각 양단에 결착밴드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 숄더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를 하단샤프트로 축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양측 상단샤프트간에는 소형양산의 지지단봉의 회전조절이 자유롭게 체결 고정되게하는 체결구를 갖는 곡형지지대를 축연결되게 하며, 상기 상하단샤프트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간편히 착용하여 머리부를 차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손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양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차양구(100)의 아암부 상하단샤프트(18)(1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차양구(100)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휴대용 차양구(100)의 차양부를 확개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차양구(100)의 착용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차양구의 아암부 상하단샤프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차양구(100)는 각 양단에 결착밴드(12)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숄더(10)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14)를 하단샤프트(16)로 축연결하고, 한쌍의 아암부(14)의 양측 상단샤프트(18)간에는 차양시트(22)가 부착된 다수의 곡형살대(24)들이 축연결되게 구성하며, 상하단샤프트(18)(16)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차양시트(22)와 다수의 곡형살대(24)들은 차양부(25)를 구성한다.
한쌍의 호형 숄더(10)는 휨성있는 합성수지재질의 호형판재에 섬유원단을 덧씌워 봉착 구성한 것으로 사람의 양 어깨부에 얹혀지는 구조체이다. 호형숄더(10)의 양단에는 벨크로테이프를 갖는 결착밴드(12)가 재봉 고정된다. 그러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66)가 착용한 하네스(60)의 어깨끈(62)을 상기 결착밴드(12)로 감싸 결착하게 되면 휴대용 차양구(100)의 한쌍의 호형숄더(10)가 사용자(66)의 어깨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호형숄더(10)의 결착밴드(12)가 하네스(60)의 어깨끈(62)에 감싸져 결착되는 것을 일예로 들었지만, 상기 결착밴드(12)를 사용자가 맨 등산배낭이나 백의 어깨밴드에 감싸서 결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쌍의 호형숄더(10)의 상부고정축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편(36)과 하부연결편(34)이 삽입되고 다단 탄지걸림조정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된 아암부(14)와 축연결하되, 하단샤프트(16)에 의해서 축결합되게 구성한다. 즉, 하단샤프트(16)는 호형숄더(10)의 상부로 돌출된 상부고정축부(30)와 아암부(14) 하부연결편(34)의 축부(34a)가 방사상 요철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축연결 구성하되, 하부연결편(34)의 축부(34a)의 후면요홈에 탄지스프링(38)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축볼트(40)로 축결합되게 체결구성한 것이다. 이때 호형숄더(10)의 상부고정축부(30)와 아암부(14)의 하부연결편(34)의 축부(34a)의 각 접촉판면에는 방사상 요철톱니부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또 호형숄더(10)와 아암부(14)를 연결하는 하단샤프트(16)는 호형숄더(10)의 상부고정축부(30)와 하부연결편(34)의 축부(34a)를 구성함에 있어, 호형숄더(10)의 상부고정축부(30)에 사각축공(33)을 갖는 원형축봉(32)이 연장형성되게 하고 하부연결편(34) 축부(34a)에는 상기 형성된 원형축봉(32)이 헐겁게 끼워지는 원형축공(35)이 형성되게 하며, 축볼트(40)의 몸통상부에는 사각기둥(42)이 형성되게 하여서 축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러한 축 결합구조에 의해서 축볼트(40)는 회전없이 상부고정축부(30)에 견고히 볼트체결되게 해주고, 아암부(14)의 하부연결편(34)은 원형축봉(32)을 축으로 단계적 탄지걸림되며 축회전됨으로써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해준다.
아암부(14)의 하부연결편(34)은 그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홈이 형성되게 하고 상단부에는 걸림돌기(34b)가 형성되게 하며,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은 그 삽입부(36b)에 다수의 걸림공(44)들이 형성되게 하여서, 상부연결편(36) 삽입부(36b)에 하부연결편(34)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연결편(34)의 걸림돌기(34b)가 삽입부(36b)의 다수 걸림공(45)들 중의 하나에 탄지 걸림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아암부(14)의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는 상부 차양부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맞출 수 있게 해준다.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의 삽입부(36b)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다수 걸림공(44)이 형성되게 할 수 있지만, 도 6에서와 같이 걸림내홈(45)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한쌍의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의 양측 각 축부(36a)는 차양부(25)의 각 살대(24)들의 축편(50)(52)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샤프트(18)에 의해서 축결합되게 구성한다. 즉, 상단샤프트(18)는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의 축부(36a)가 차양부(25)의 살대(24)의 축편(50)(52)와 방사상 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축연결 구성하되, 차양부(25)의 마지막 살대(24) 축편(52)의 후면요홈에 탄지스프링(54)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축볼트(56)로 축결합되게 체결구성한다. 이때 살대(24)간의 축편(52)들의 각 접촉판면에는 방사상 미세톱니부가 형성되게 하고, 첫번째 살대(24)의 축편(50)과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의 축부(36a)의 각 접촉판면에는 방사상 요철톱니부가 형성되게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단샤프트(18)에서 아암부(14)의 상부연결편(36)의 축부(36a)와 첫번째 살대(24)의 축편(50)의 축연결을 위한 구체 구조는 하단샤프트(18)의 구체 구조 즉, 호형숄더(10)의 상부고정축부(30)와 하부연결편(34)의 축부(34a)의 구체 축연결 구조와 거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차양구(100)를 착용한 사용자(66)는 아암부(14)의 길이를 자기에게 맞게 조절할 수 있고, 하단샤프트(16)를 이용하여서 아암부(14)가 서있는 각도를 자신에게 편리하게 회전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단샤프트(18)를 이용 하여 살대(24)들중 첫번째 살대(24)가 서있는 각도를 자신에게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첫번째 이후의 다른 살대(24)들을 임의대로 확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66)는 차양부(25)의 차양 위치선정 및 차양각도 선정을 자신이 편리한 대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양구(100A)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아암부 상단샤프트(18) 관련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휴대용 차양구(100A)의 양산부 체결구(7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의 체결구(7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양구(100A)는 지지단봉(76)으로된 양산부(74)가 상부에 체결가능케 구현한 것으로, 전술한 휴대용 차양구(100)의 구조와 거의 유사하지만 그 차양막 구조가 다르다. 휴대용 차양구(100A)에서의 차양막 구조는 지지단봉(76)으로된 양산부(74)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갖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휴대용 차양구(100A)는 각 양단에 결착밴드(12)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숄더(10)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14)를 하단샤프트(16)로 축연결하고, 한쌍의 아암부(14)의 양측 상단샤프트(18)간에는 곡형지지대(70)를 축연결되게 체결하고 상하단샤프트(18)(16)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곡형지지대(90)은 양산부(74) 지지단봉(76)의 회전조절이 자유롭게 체결 고정되게하는 체결구(72)를 갖도록 구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산부(74)를 체결지지하기 위한 곡형지지대(70)의 양단 축부(71)는 도 2에 도시된 하단샤프트(16)를 구성하는 아암부(14)내 하부 연결편(34)의 축부(34a)나 상단샤프트(18)를 구성하는 곡형살대(24)의 첫번째 축편(50)과 유사한 축구조를 갖으며, 아암부(14)내 상부연결편(36)의 축부(36a)와 축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지지대(70)는 지지대 상부를 양측으로 분리 구성하고, 체결구(72) 조립구성을 위해서 그 분리편 선단부에 조립홈과 양측 결합돌기(90)가 형성되게 하여서 양 분리편을 마주할 때 조립구멍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구성은 휴대용 차양구(100A) 미사용시 두개의 구성부로 분리가능하게 해주므로 그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 분리편 구성없이 곡형지지대(70)를 하나로 구성하고, 하나로된 곡형지지대(70)의 상측에 조립공만 형성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구(72)는 양산부(74)의 지지단봉(76)의 하단 죠인트볼(88)을 수납하는 수납홈(86)을 갖는 조인트조립체(80)와, 죠인트조립체(80)의 하부나사부와 상부나사부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체결너트(82)와 상부체결너트(84)로 구성한다. 죠인트조립체(80)는 걸림테(81)의 상하에 상부나사부와 하부나사부를 형성하되 상부 나사부에는 다수의 절개홈선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사용자는 수납홈(86)을 갖는 조인트조립체(80)를 곡형지지대(70)를 구성하는 양측 분리편의 조립홈 위에서부터 끼워 넣어 조인트조립체(80)의 걸림테(81)가 걸려지게 하되, 곡형지지대(70)의 양측 분리편의 양측 결합돌기(9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92)에 삽입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조인트조립체(80)의 하부나사부를 하부체결너트(82)로 나사체결하여서 체결구(72)의 조인트조립체(80)가 곡 형지지대(7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그 후 상부체결너트(84)를 미리 끼워넣은 상태의 양산부(74)의 지지단봉(76)의 죠인트볼(88)을 조인트조립체(80)의 수납홈(86)에 삽입 수납하고 조인트조립체(80)의 상부나사부를 미리 끼워 넣어둔 상부체결너트(84)로 나사체결하게되면 상부나사부에 절개홈선이 상부부터 오므라지면서 지지단봉(76)의 죠인트볼(88)을 현재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양산부(74)의 차양방향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절한 다음 상부체결너트(84)로 나사체결하게 되면 그 상태로 위치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차양을 할 수가 있게된다.
양산부(74)는 차양을 위한 양산용도로 이용되었지만, 비를 가리는 우산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등산이나 야외작업 등을 하는 사람들에게 차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양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차양구의 아암부 상하단샤프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차양구 종단면도,
도 4는 휴대용 차양구의 차양부를 확개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차양구 착용 상태도,
도 6은 휴대용 차양구내 아암부의 다른 일예 종단면도,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차양구의 아암부 상하단샤프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양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아암부 상단샤프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휴대용 차양구의 양산부 체결구 부분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체결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호형숄더 (12)-- 결착밴드
(14)-- 아암부 (16)-- 하부샤프트
(18)-- 상부샤프트 (22)-- 차양시트
(24)-- 곡형살대 (25)-- 차양부
(30)-- 상부고정축부 (34)-- 하부연결편
(36)-- 상부연결편 (100)(100A)-- 휴대용 차양구

Claims (5)

  1. 각 양단에 결착밴드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 숄더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를 하단샤프트로 축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양측 상단샤프트간에는 차양시트가 부착된 다수의 곡형살대들이 축연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하단샤프트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양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샤프트는 상기 호형숄더 상부고정축부와 아암부의 하부연결편 축부를 방사상 요철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축연결하되 탄지스프링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축볼트로 축결합되게 체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양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샤프트는 아암부의 상부연결편 축부에 다수의 살대 축편들이 방사상 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탄지되게 축연결하되, 상기 상부연결편 축부와 면접촉하는 인접 살대축편은 방사상 요철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축연결하고 상기 살대축편들간은 방사상 미세톱니구조로 면접촉하면서 축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양구.
  4. 각 양단에 결착밴드가 고정된 한쌍의 호형 숄더상에 길이조절 가능한 한쌍의 아암부를 하단샤프트로 축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양측 상단샤프트간에는 소형양산의 지지단봉의 회전조절이 자유롭게 체결 고정되게하는 체결구를 갖는 곡형지지대를 축연결되게 하며, 상기 상하단샤프트 각각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양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소형양산의 지지단봉의 죠인트볼을 수납하는 조인트조립체와, 상기 조인트조립체의 하부나사부와 상부나사부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체결너트와 상부체결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양구.
KR1020070068400A 2007-07-07 2007-07-07 휴대용 차양구 KR20090004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400A KR20090004298A (ko) 2007-07-07 2007-07-07 휴대용 차양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400A KR20090004298A (ko) 2007-07-07 2007-07-07 휴대용 차양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98A true KR20090004298A (ko) 2009-01-12

Family

ID=4048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400A KR20090004298A (ko) 2007-07-07 2007-07-07 휴대용 차양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11B1 (ko) * 2014-02-12 2015-05-26 전재관 작업용 햇빛가리개
CN104939419A (zh) * 2015-07-08 2015-09-30 成都梦工厂网络信息有限公司 虚拟现实头盔设备
CN107041611A (zh) * 2016-02-06 2017-08-15 孙东方 肩棚
KR102565112B1 (ko) * 2023-01-10 2023-08-09 권원기 방호장치를 겸한 개인용 차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11B1 (ko) * 2014-02-12 2015-05-26 전재관 작업용 햇빛가리개
CN104939419A (zh) * 2015-07-08 2015-09-30 成都梦工厂网络信息有限公司 虚拟现实头盔设备
CN107041611A (zh) * 2016-02-06 2017-08-15 孙东方 肩棚
KR102565112B1 (ko) * 2023-01-10 2023-08-09 권원기 방호장치를 겸한 개인용 차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11650A1 (en) Article of headwear
US20110173739A1 (en) Invisible zipper ponytail cap
KR101245940B1 (ko)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KR20090004298A (ko) 휴대용 차양구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KR100555729B1 (ko) 보조차양을 갖는 차양모
KR101210003B1 (ko) 사이즈 조절장치를 구비한 모자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US20150296915A1 (en) Convertible Headwear
KR102265720B1 (ko) 얼굴 햇빛 차단용 후드
US5704062A (en) Sun visor
KR101522811B1 (ko) 작업용 햇빛가리개
KR101163379B1 (ko) 통기성을 향상시킨 모자
CN217524043U (zh) 一种软帽檐可拆卸遮阳帽
KR20090004131U (ko) 다용도헤어밴드집게
JP2003310320A (ja) 並立した2本の軸9で構成され体に装具できる傘
CN211794550U (zh) 一种折叠式头戴雨伞帽
JP3235346U (ja) 帽子用日除け
TWM502368U (zh) 穿戴式傘具
KR200164111Y1 (ko) 자외선차단용차양모
KR200286272Y1 (ko) 모자에 결합이 가능한 보조챙
KR200158600Y1 (ko) 차광모 겸용 양산
KR200300936Y1 (ko) 차양장치
KR200299417Y1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모
KR20130129536A (ko) 기능성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