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136A - 전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136A
KR20180011136A KR1020177035317A KR20177035317A KR20180011136A KR 20180011136 A KR20180011136 A KR 20180011136A KR 1020177035317 A KR1020177035317 A KR 1020177035317A KR 20177035317 A KR20177035317 A KR 20177035317A KR 20180011136 A KR20180011136 A KR 20180011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crew fixing
fixing member
members
wir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302B1 (ko
Inventor
겐지 가메코
준페이 야마모토
게이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코아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아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6Measuring arrangements for current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e.g. using current dividers, shunts, or measuring a voltage dr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2Compensating for temperature 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8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1C13/02Structural combinations of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6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means to minimise changes in resistance with changes in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에, 다른 부재를 나사 고정 부재의 회전 체결 장착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는 전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배선 부재(11, 12)와, 이들 배선 부재보다도 저항 온도 계수가 작은 금속재이며, 배선 부재와 접합된 저항체(13)와,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배선 부재에 고정된, 해당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16)를 구비하였다. 배선 부재(11, 12)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16)를 고정하고, 해당 배선 기판의 타면에 배치한 다른 부재(18, 19)를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17)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16)에 회전 체결 장착한다.

Description

전류 검출 장치
본 발명은 전류 배선으로서 사용하면서 정밀도가 높은 전류 측정이 가능한 전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의 검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을 구동하는 모터 전류의 검출, 에어컨 등의 전기 기기나 태양 전지 등에 의한 발전 설비 등의 전류의 검출 등에 있어서, 션트 저항기를 사용하여, 저항체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계측함으로써, 전류가 검출되고 있다.
종래, 션트 저항기와 버스 바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션트 저항기의 전극부와 버스 바에 구멍을 형성해 두고, 이 구멍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션트 저항기의 전극부를 볼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전극부에 너트를 사용하여 버스 바를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재공표 특허 WO2011-6820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버스 바와 션트 저항기의 접속 방법에서는, 접속 부분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접촉 저항에 의한 발열의 요인으로 되며, 또한, 접속 신뢰성의 확보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전류를 검출하는 용도로 높은 신뢰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류 검출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9571호 공보에는, 긴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그것들 각 단자의 사이에 용접 고정된 션트 저항으로 구성되는 버스 바가 개시되어 있다(도 6 등 참조).
그러나,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는, 다른 버스 바 등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접속 고정된다. 그때, 볼트 또는 너트가 자유롭게 움직여, 고정 작업이 번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룸 등의 좁은 공간 등에 있어서, 볼트 또는 너트 중 한쪽을 고정하면서, 다른 쪽을 회전 체결 장착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에, 다른 버스 바 등의 부재를 나사 고정 부재의 회전 체결 장착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는 전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류 검출 장치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배선 부재와, 이들 배선 부재보다도 저항 온도 계수가 작은 금속재이며, 해당 배선 부재와 접합된 저항체와,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배선 부재에 고정된, 해당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버스 바 형상의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이며, 배선 부재에, 해당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볼트 또는 너트)의 한쪽이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배선 부재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해당 배선 부재의 타면에 배치한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에 회전 체결 장착한다.
이에 의해,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의 고정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의 회전 체결 장착 작업만으로, 배선 부재의 타면에의 다른 부재의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측만으로부터만 회전 체결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그리고, 나사 고정 부재가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이므로, 강도를 갖는 나사 고정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배선 부재 자체의 가공이 최저한으로 된다. 또한, 버스 바의 배선 기능과, 션트식의 전류 검출 기능을 일체화한 버스 바 형상의 전류 검출 장치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접속 점수가 적어, 고정밀도ㆍ고신뢰성의 전류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너트(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의 조립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 도면은 분해 사시도이고, 우측 도면은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형상의 너트(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의 조립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 도면은 분해 사시도이고, 우측 도면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전류 검출 장치에 다른 버스 바를 고정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2의 전류 검출 장치의 상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2의 전류 검출 장치의 하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3의 전류 검출 장치의 상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실시예 3의 전류 검출 장치의 하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전류 검출 장치에 다른 버스 바를 고정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5의 전류 검출 장치에 다른 버스 바를 고정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실시예 6의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볼트(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의 조립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6의 전류 검출 장치에 다른 버스 바를 고정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류 검출 장치(10)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Cu, Cu계 합금, Al 등의 고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긴 제1 배선 부재(11) 및 제2 배선 부재(12)와, 이들 배선 부재보다도 저항 온도 계수가 작은 금속재이며, 제1 배선 부재 및 제2 배선 부재와 접합된 저항체(13)를 구비한다. 긴 제1 배선 부재(11) 및 제2 배선 부재(12)는 전류 경로로 되는 버스 바이며, 저항체(13)에 접합하는 단자재이기도 하다. 제1 배선 부재(11)와 제2 배선 부재(12)는 길이나 형상이 동일해도 되고, 또한, 상이해도 된다.
저항체(13)는 Cu-Mn계, Cu-Ni계, Ni-Cr계 등의 저항 온도 계수가 Cu 등의 금속재보다도 현저히 작은 저항 합금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체(13)의 양 단부면은 배선 부재(11)의 단부면과 배선 부재(12)의 단부면에, 단부면끼리를 맞대어 용접되어, 접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용접에는, 전자 빔 용접, 레이저 빔 용접, 납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저항체의 단부와 배선 부재의 단부를 겹쳐, 압접하는 등의 구조여도 된다. 따라서, 이 전류 검출 장치(10)는 전체로서 버스 바 형상이다.
저항체(13)의 양측의 배선 부재(11, 12)에는, 저항체(13)의 근방에 전압 검출 단자(14, 15)가 설치되어 있다. 배선 부재(11, 12)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체(13)를 통과하고, 그 양단의 전위차가 전압 검출 단자(14, 15)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이 전류 검출 장치(10)의 저항체(13)와 그 주변의 구조에 의해 높은 전류 검출 정밀도가 얻어진다.
그리고, 배선 부재(11, 12)가 전극(단자재)의 기능을 하고, 버스 바의 기능과 션트 저항의 기능을 일체로 함으로써, 대전류가 흐르는 접속 부분이 불필요해져,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고,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고정밀도 또한 고신뢰성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배선 부재(11, 12)는, 굴곡부 C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버스 바로서의 배선 배치의 자유도가 확보된다.
저항체(13)의 양측의 배선 부재(11, 12)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배선 부재의 일면에 고정된, 해당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너트)(16)를 구비한다. 너트(16)는 암나사부(16a)를 구비하고, 돌출 부분(16c)이 배선 부재(11)의 구멍부(11c)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배선 부재(11)의 구멍부(11c)는 돌출부(16c)보다도 약간 직경이 작다.
따라서, 배선 부재(11)에 구멍부(11c)를 구비하고, 너트(16)의 평탄 부분(16b)은 구멍부(11c)의 주위의 배선 부재(11)의 표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너트(16)의 돌출부(16c)의 외주면은 구멍부(11a)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이들 맞닿음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배선 부재(11, 12)는 부드러운 구리를 사용하고 있지만, 너트(16)의 평탄 부분(면)(16b)이 배선 부재(11, 12)의 표면과 맞닿는다. 이 때문에, 다소 강하게 체결해도 배선 부재(11, 12)를 파손시키는 일이 없다.
도 3은 나사 고정 부재(너트)(16)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너트(16A)는 외주가 육각형인 면(16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선 부재(11)에는, 얕은 육각형의 단차부(11b)와 그 중앙에 형성한 원형의 관통 구멍(11c)을 구비한다. 너트(16A)에는, 암나사부(16a)를 구비하고, 육각형의 면(16d)이 얕은 육각형의 단차부(11b)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16A)의 저면은 관통 구멍(11c)의 주위의 얕은 단차부(11b)의 표면에 맞닿고, 너트(16A)의 측면인 면(16d)은 얕은 단차부(11b)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고, 이들 맞닿음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도 4는 실시예 1의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의 단부를 다른 버스 바에 접속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배선 부재(11)의 단부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다른 배선 부재(18)의 단부의 관통 구멍(18c)을 위치 정렬하고, 양 구멍에 볼트(17)를 삽입 관통하여, 그 수나사부(17a)를 너트(16)의 암나사부(16a)에 회전 체결 장착(나사 고정)한다.
즉, 배선 부재(11, 12)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너트)(16)가 고정되고, 배선 부재(11, 12)의 타면에 다른 배선 부재(18, 19)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볼트)(17)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너트)(16)에 회전 체결 장착한다. 너트(16)는 배선 부재(11, 12)와는 다른 부재이며, 배선 부재(11, 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너트(16)의 고정 작업을 요하지 않고, 볼트(17)만을 너트(16)에 회전 체결 장착함으로써, 배선 부재(18, 19)를 배선 부재(11, 12)에 접속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 단부를 다른 버스 바 등에 접속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즉, 볼트를 너트에 체결 장착 고정할 때, 어느 쪽인가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회전 체결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류 검출 장치(10)에 있어서는, 다른 배선 부재(18, 19)를 사이에 두고, 볼트(17)의 회전 체결 장착 작업만으로, 배선 부재(11과 18) 및 배선 부재(12와 19)의 접속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엔진 룸 등의 좁은 공간 등에 있어서, 볼트측만으로부터만 회전 체결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나사 고정 부재가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이므로, 강도를 갖는 나사 고정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배선 부재 자체의 가공이 최저한으로 된다. 그리고, 버스 바의 배선 기능과, 션트식의 전류 검출 기능을 일체화한 버스 바 형상의 전류 검출 장치에 적용하므로,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접속 점수가 적어, 고정밀도의 전류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5a-도 5b는 실시예 2의 전류 검출 장치(10A)를 도시하고, 전압 검출 단자(14A, 14B)의 배선 부재(11, 12)에의 고정에,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의 한쪽(너트)(16)을 고정한 배선 부재(11, 12)를 사용하고, 다른 부재의 볼트(17)로 체결 장착 고정한 예이다. 여기서, 배선 부재(11)에는 구멍부(11c)에 위치 정렬한 너트(16)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압 검출 단자(14A, 14B)에는 편평한 접속부(14a)를 구비하고, 해당 접속부에는 관통 구멍(14c)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압 검출 단자의 관통 구멍(14c)을 배선 부재의 구멍부(11c)에 위치 정렬하고, 볼트(17)의 수나사부(17a)를 삽입하여, 너트(16)의 암나사부(16a)에 회전 체결 장착(나사 고정)한다. 따라서, 너트(16)의 고정 작업은 불필요하고, 볼트(17)의 회전 체결 장착 작업만으로, 전압 검출 단자(14A, 14B)의 배선 부재(11, 12)에의 접속 고정이 가능해진다. 특히, 볼트측만으로부터만 회전 체결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6a-도 6b는 실시예 3의 전류 검출 장치(10B)를 도시하고, 배선 부재(11, 12)에 설치한 전압 검출 단자(14, 15)에 접속하는 회로 기판(20)을 고정하는 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배선 부재(11, 12)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해당 관통 구멍에 위치 정렬하여 고정한 나사 고정 부재(너트)(16)를, 배선 부재(11, 12)의 하면측에 구비한다.
배선 부재의 상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을 구비한 회로 기판(20)이 배치되고, 볼트(17)가 해당 관통 구멍 및 배선 부재의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여, 너트(16)에 회전 체결 장착(나사 고정)된다. 회로 기판(20)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증폭 회로, 마이크로컴퓨터, 신호 출력 단자 등이 탑재된다(도시 생략). 이에 의해, 전압 검출 단자(14, 15)에 접속한 배선 패턴으로부터 취출된 검출 전압 신호가 증폭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압 검출 장치에 송출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도, 너트(16)의 고정 작업은 불필요하고, 볼트(17)의 회전 체결 장착 작업만으로, 전압 검출 단자(14, 15)에 접속하는 회로 기판(20)을 배선 부재(11, 12)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4의 전류 검출 장치(10C)에 다른 버스 바(18, 19)를 접속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배선 부재(11, 12)의 일면[본 예에서는 전압 검출 단자(14, 15)와 반대측의 면]에 너트(16)가 고정되고, 배선 부재(11, 12)의 타면에 다른 버스 바(18, 19)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각각의 관통 구멍[예를 들어 배선 부재(18)의 관통 구멍(18c)]에 삽입 관통하여 볼트(17)를 너트(16)에 회전 체결 장착하여, 다른 버스 바(18, 19)를 접속 고정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를, 다른 버스 바 등에 접속 고정할 때에, 나사 고정 부재의 회전 체결 장착에 의해,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에 회전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단자재와 저항체의 접합면에 응력이 가해져, 전류 검출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는 길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엔진 그 밖의 진동에 의해, 션트 저항으로서 구성된 버스 바에 진동이 발생하면, 저항체는 단자재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그 계면에 진동에 의한 응력이 인가되어, 전류 검출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배선 부재(11, 12)에 고정한 너트(21)와 배선 부재(11, 12)의 관통 구멍 및 배선 부재(18, 19)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배선 부재(11, 12 및 18, 19)를 사이에 두고, 볼트(22)를 너트(21)에 회전 체결 장착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다.
이 회전 체결 장착을 먼저 행함으로써, 볼트(17)의 회전 체결 장착 시에, 한쪽의 배선 부재(11, 12)에 대한 다른 쪽의 배선 부재(18, 19)의 상대적인 회전이 저지되어, 배선 부재(11, 12와 18, 19)를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고, 동일 위치에 양자를 배치하여, 접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항체(13)와 배선 부재(11, 12)의 접합 계면에 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볼트(23)로 배선 부재(12)를 고정부(24)에 고정하고 있다. 배선 부재(11, 12)는 버스 바 형상이며 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엔진 룸 등에 배치하면, 엔진의 진동에 의해 버스 바 형상의 전류 검출 장치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저항체(13)와 배선 부재(11, 12)의 계면에 진동이 가해져, 전류 검출 정밀도의 열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긴 배선 부재(11, 12)의 중간에 정지체에의 고정부(24)를 설치함으로써, 진동이 저항체(13)와 배선 부재(11, 12)의 계면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 5의 전류 검출 장치(10D)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진동 방지를 위한 고정부의 변형예이다. 즉, 배선 부재(11)에 고정한 너트(25)에, 배선 부재(11) 및 고정 판재(27)를 사이에 두고 볼트(26)를 회전 체결 장착함으로써, 배선 부재(11)의 중간 부분을 정지체인 고정 판재(27)에 고정한 예이다.
이 예에 있어서도, 버스 바 형상의 전류 검출 장치(10D)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전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배선 부재(11)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16, 21)가 고정되고, 배선 부재(11)의 타면에 다른 배선 부재(18)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17, 22)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16, 21)에 회전 체결 장착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9a와 도 9b는 실시예 6의 전류 검출 장치(10E)를 도시하고, 도 10은 그 단부를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너트)에 의해 다른 버스 바(18, 19)에 접속 고정하는 예이다. 상술한 볼트(17)와 너트(16)로 이루어지는 나사 고정 부재는, 모두 너트(16)를 배선 부재(11, 12)에 고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시예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7)를 배선 부재(11, 12)에 고정하고, 다른 버스 바(18, 19)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너트(16)의 회전 체결 장착(나사 고정)에 의해, 다른 버스 바(18, 19)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7)는 수나사부(17a)를 구비하고, 너트(16)의 암나사부(16a)(도시하지 않음)가 수나사부(17a)에 회전 체결 장착한다. 그리고, 볼트(17)는 돌출부(17c)를 구비하고, 배선 부재(11, 12)에 마련한 구멍부에 끼움 장착하고, 볼트(17)의 외주면이 배선 부재(11, 12)에 마련한 구멍부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또한, 볼트의 평탄면(17b)은 배선 부재(11, 12)에 마련한 구멍부의 주위의 표면에 맞닿고, 이들 맞닿음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전류 검출 장치(10E)에 있어서는, 배선 부재(11, 12)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볼트)(17)가 고정되고, 배선 부재(11, 12)의 타면에 다른 배선 부재(18, 19)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너트)(16)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볼트)(17)에 회전 체결 장착한다. 이에 의해, 버스 바[배선 부재(11, 12)] 단부를 다른 버스 바[배선 부재(18, 19)] 단부 등에 접속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버스 바 형상의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배선 부재와,
    이들 배선 부재보다도 저항 온도 계수가 작은 금속재이며, 배선 부재와 접합된 저항체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선 부재에 고정된, 해당 배선 부재와는 다른 부재의 나사 고정 부재를 구비한,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는 전체로서 버스 바 형상인,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나사 고정 부재는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극에 구멍을 구비하고, 나사 고정 부재는 구멍의 주위의 전극 표면에 맞닿아 있는,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극에 구멍을 구비하고, 나사 고정 부재의 일부는 구멍의 내면에 맞닿아 있는,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배선 부재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굴곡부를 구비하는, 션트식 전류 검출 장치.
  7.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배선 부재와, 해당 배선 부재보다도 저항 온도 계수가 작은 금속재이며 해당 배선 부재와 접합한 저항체를 구비한 전류 검출 장치의 해당 배선 부재의 일면에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해당 배선 부재의 타면에 다른 부재를 배치하여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나사 고정 부재를 상기 한쪽의 나사 고정 부재에 회전 체결 장착하는, 전류 검출 장치에의 다른 부재의 고정 방법.
KR1020177035317A 2015-05-19 2016-05-13 전류 검출 장치 KR10251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1880A JP6714974B2 (ja) 2015-05-19 2015-05-19 電流検出装置
JPJP-P-2015-101880 2015-05-19
PCT/JP2016/064256 WO2016186022A1 (ja) 2015-05-19 2016-05-13 電流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136A true KR20180011136A (ko) 2018-01-31
KR102515302B1 KR102515302B1 (ko) 2023-03-29

Family

ID=5732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317A KR102515302B1 (ko) 2015-05-19 2016-05-13 전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73695B2 (ko)
JP (1) JP6714974B2 (ko)
KR (1) KR102515302B1 (ko)
CN (1) CN107533891B (ko)
DE (1) DE112016002235T5 (ko)
WO (1) WO2016186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865A (ko) * 2019-04-02 2020-10-13 에베르슈페허 컨트롤스 란다우 게엠베하 & 코. 카게 전류 측정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330720T3 (pl) * 2016-11-30 2020-02-28 Yuyang Dnu Co., Ltd Układ cyklera do ładowania-rozładowania
JP6436275B1 (ja) * 2017-01-11 2018-1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流検出デバイス、給電装置
JP7288314B2 (ja) * 2018-03-08 2023-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ント構造体、電流検出装置、電流検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流検出装置の取付方法
JP7184567B2 (ja) * 2018-08-24 2022-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式電流センサおよびシャント抵抗付きバスバー
CN209055581U (zh) * 2018-09-17 2019-07-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组件及电池包
KR102258813B1 (ko) * 2018-11-20 2021-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복합형 전류 측정장치
JP7265751B2 (ja) * 2019-02-19 2023-04-27 株式会社アスター バスバー接合体の製造方法
JP7288315B2 (ja) * 2019-03-08 2023-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ント構造体及び電流検出装置
DE102019203496B3 (de) * 2019-03-14 2020-07-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assiver Stromsensor mit vereinfachter Geometrie
JP7399647B2 (ja) 2019-08-19 2023-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検出装置
WO2021090905A1 (ja) * 2019-11-07 2021-05-14 Koa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モジュール及び、シャント抵抗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JP7479174B2 (ja) 2020-03-25 2024-05-08 株式会社マキタ バッテリパック
DE102020214083A1 (de) * 2020-11-10 2022-05-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Widerstandsbaugruppe und Batteriesensor mit Widerstandsbaugruppe
JP2022123626A (ja) * 2021-02-12 2022-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754U (ko) * 1980-04-19 1981-11-21
JPH0550855A (ja) * 1991-08-23 1993-03-0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建付け方法
WO2011068205A1 (ja) * 2009-12-03 2011-06-09 コーア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8841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차량용 배터리 센서
JP2012034469A (ja) * 2010-07-29 2012-02-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スバー及びボルト締結構造
KR20150014218A (ko) * 2013-07-29 2015-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
WO2015060102A1 (ja) * 2013-10-25 2015-04-30 コーア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498A (en) * 1907-03-15 1908-12-08 Edward Weston Shunt or electrical resistance.
JPS5861640U (ja) * 1981-10-21 1983-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成形天井における内装部品の取付構造
CN1319078C (zh) 2003-07-09 2007-05-30 彭德龙 精密分流电阻器及其生产方法
DE102006001874B4 (de) * 2006-01-13 2012-05-2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rom- und Temperaturmessung in einer leistungselektronischen Schaltung
JP2008039571A (ja) 2006-08-04 2008-02-21 Denso Corp 電流センサ
DE102010035485A1 (de) 2010-08-26 2012-03-01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Strommesswiderstand
JP5873315B2 (ja) * 2011-12-13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2013221796A (ja) * 2012-04-13 2013-10-28 Yazaki Corp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6329754B2 (ja) * 2013-11-22 2018-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締結部材付き部品とその取付方法
JP6637250B2 (ja) * 2015-04-28 2020-01-29 Koa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754U (ko) * 1980-04-19 1981-11-21
JPH0550855A (ja) * 1991-08-23 1993-03-0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建付け方法
WO2011068205A1 (ja) * 2009-12-03 2011-06-09 コーア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8841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차량용 배터리 센서
JP2012034469A (ja) * 2010-07-29 2012-02-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スバー及びボルト締結構造
KR20150014218A (ko) * 2013-07-29 2015-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
WO2015060102A1 (ja) * 2013-10-25 2015-04-30 コーア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
JP2015083944A (ja) * 2013-10-25 2015-04-30 コーア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865A (ko) * 2019-04-02 2020-10-13 에베르슈페허 컨트롤스 란다우 게엠베하 & 코. 카게 전류 측정 어셈블리
US11346863B2 (en) 2019-04-02 2022-05-31 Eberspächer Controls Landau Gmbh & Co. Kg Current-measur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302B1 (ko) 2023-03-29
CN107533891B (zh) 2019-12-17
US10473695B2 (en) 2019-11-12
JP2016217829A (ja) 2016-12-22
DE112016002235T5 (de) 2018-02-22
CN107533891A (zh) 2018-01-02
JP6714974B2 (ja) 2020-07-01
WO2016186022A1 (ja) 2016-11-24
US20180156844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1136A (ko) 전류 검출 장치
KR102514824B1 (ko) 전류 검출 장치
KR102508028B1 (ko) 전류 검출 장치
WO2015156247A1 (ja) 金属板抵抗器
WO2017203963A1 (ja)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シャント抵抗器の実装構造
WO2018003360A1 (ja) 電流測定装置
JP6462233B2 (ja) 電流検出構造
JP6564482B2 (ja) 金属板抵抗器
JP6802645B2 (ja) シャント式電流検出装置
US11061054B2 (en) Current measuring device
JP5614806B2 (ja) シャント抵抗装置
JP6687462B2 (ja)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シャント式電流検出装置
US11549974B2 (en) Current sensor
US11525844B2 (en) Current sensor
US11536771B2 (en) Current sensor
JP7348237B2 (ja) 電流センサ
JP2023084282A (ja)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その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