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409A -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409A
KR20180009409A KR1020160090632A KR20160090632A KR20180009409A KR 20180009409 A KR20180009409 A KR 20180009409A KR 1020160090632 A KR1020160090632 A KR 1020160090632A KR 20160090632 A KR20160090632 A KR 20160090632A KR 20180009409 A KR20180009409 A KR 2018000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occupant
passenge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고상경
신종인
조성윤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409A/ko
Publication of KR2018000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서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탑승자의 심박수 및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편의수단이 구비되는 전동 시트부와;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가 반영되어 작동되는 네비게이션부와; 탑승자가 사용자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 및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 시트부의 편의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SYSTEM FOR ELECTROMOTIVE SEAT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지만, 산업이 고도화되고 차량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차량은 단순히 수송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편의 기능이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탑승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지 않고 차량 스스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연구되면서 자율주행 차량이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연구가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고,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한편, 종래에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운전자가 수면을 취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앉는 시트에 대한 연구는 운전자로 하여금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시트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근래의 자율주행 차량에서는 운전자(탑승자)의 수면을 유도 및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탑승자)에게 수면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편의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다.
공개특허 10-2014-0065299 (2014. 05. 29) 공개특허 10-2015-0074873 (2015. 07. 02)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서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수면을 원하는 경우에서 수면에서 기상까지 탑승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되는 전동시트 시스템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탑승자의 심박수 및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편의수단이 구비되는 전동 시트부와;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가 반영되어 작동되는 네비게이션부와; 탑승자가 사용자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 및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 시트부의 편의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시트부의 감지수단은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와; 탑승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시트부의 편의수단은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는 파워시트 모듈과;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모듈과;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햅틱모터와;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냉풍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냉온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센서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심박수 정보를 활용하여 탑승자의 상태를 정상상태 또는 수면상태로 판단하고, 판단된 탑승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파워시트 모듈을 작동시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고,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탑승자가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하고, 마사지 모듈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가 수면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이 멈추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센서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체온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냉온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햅틱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에 목적지 및 경유지에 도착한 것이 확인되면 수면모드의 유지 또는 수면모드의 해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수면모드의 해제는 상기 파워시트 모듈 및 마사지 모듈을 사용자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전동 시트부에 탑승자의 심박수 및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감지수단과 연동하여 전동 시트부에 마련된 다양한 편의수단을 작동시켜 자율주행 상태에서 탑승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율주행 상태에서 수면을 원하는 경우에 전동 시트부에 마련된 다양한 편의수단을 활용하여 탑승자의 수면을 유도 및 유지하고,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부와 연동하여 차량이 목적지 또는 경유지에 도착하는 경우에 수면 상태의 탑승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탑승자에게 수면에서 기상까지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의 작동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은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10)이 구비되고,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편의수단(120)이 구비되는 전동 시트부(100)와;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가 반영되어 작동되는 네비게이션부(200)와; 탑승자가 사용자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300)와; 상기 조작부(300)에서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110) 및 네비게이션부(2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 시트부(100)의 편의수단(12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시트부(100)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전동 시트부(100)는 헤드 레스트, 암 레스트 및 레그 레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헤드 레스트, 암 레스트 및 레그 레스트도 시트쿠션과 시트백과 마찬가지로 그 자세를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전동 시트부는 차량의 운전석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전동 시트부(100)는 운전석으로만 제한 되지 않고, 1열의 보조석 또는 2열의 후방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동 시트부(100)에는 상기 감지수단(110) 및 편의수단(120)이 다양한 방식으로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10)은 탑승자의 심박수(심장 박동수) 및 체온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111)와 탑승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112)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심박센서(111) 및 체온센서(112)는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선택되는 부분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의수단(120)은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는 파워시트 모듈(121)과; 탑승자에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모듈(122)과; 탑승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햅틱모터(123)와; 탑승자에게 냉풍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냉온 모듈(124)을 포함을 포함한다.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 마사지 모듈(122), 햅틱모터(123) 및 냉온 모듈(124)은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은 전동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는 모듈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전동 펌프에 의한 유압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그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파워시트 모듈(121)의 다양한 자세를 탑승자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특히 수면모드인 경우의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설정하여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 모듈(122)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내부에 내장되는 롤러 또는 공기 주머니를 작동시켜 탑승자의 신체를 주무르거나 타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햅틱모터(123)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그 진동을 탑승자에게 전달하는 유닛이다.
상기 냉온 모듈(124)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내부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냉풍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냉풍을 방출하는 유닛 및 열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의수단(120)에는 시트백에 내장되어 탑승자의 요추부위를 받쳐 주도록 작동되는 럼버 서포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 마사지 모듈(122), 햅틱모터(123), 냉온 모듈(124) 및 럼버 서포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 마사지 모듈(122), 햅틱모터(123), 냉온 모듈(124) 및 럼버 서포트가 각각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정 형식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구현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네비게이션부(200)는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GP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서 차량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탑승자가 설정하는 목적지 또는 경유지에 따라 길안내를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위치와 목적지(경유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부(200)는 차량 위치와 목적지(경유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특정 형식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구현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작부(300)는 탑승자가 사용자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탑승자가 파워시트 모듈(121), 마사지 모듈(122) 및 냉온 모듈(124) 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300)에는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 및 파워시트 모듈(121), 마사지 모듈(122) 및 냉온 모듈(124)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작부(300)는 제시된 버튼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탑승자가 모드 선택 및 해당 모듈들을 조작할 수 있다면 버튼식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작부(300)는 탑승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전동 시트부(100)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작부(300)에서 선택하는 사용자모드는 탑승자가 직접 운전을 하거나 수면이 아닌 휴식을 취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고, 수면모드는 차량을 자율주행시킨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작부(300) 및 네비게이션부(200)와 연동하여 전동 시트부(100)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조작부(300), 네비게이션부(200) 및 전동 시트부(100)의 감지수단(11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전동 시트부(100)의 편의수단(120)을 작동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제어부(400)는 심박센서(111)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심박수 정보를 활용하여 탑승자의 상태를 정상상태 또는 수면상태로 판단하고, 판단된 탑승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을 작동시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고, 상기 마사지 모듈(122)의 작동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300)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하고, 마사지 모듈(122)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심박수의 감지 결과 탑승자가 수면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마사지 모듈(122)의 작동이 멈추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체온센서(112)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체온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냉온 모듈(124)의 작동을 조절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체온을 쾌적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네비게이션부(2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햅틱모터(123)의 작동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에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네비게이션부(200)에서는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했다는 정보를 제어부(400)에 제공하고, 제어부(400)에서는 이 정보와 연동하여 햅틱모터(123)를 작동시켜 탑승자에게 진동 알람으로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했다는 사실을 인지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300)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한 상태라면 상기 네비게이션부(2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에 목적지에 도착한 것이 확인되면 수면모드의 유지 또는 수면모드의 해제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선택을 탑승자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이때 탑승자가 수면모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파워시트 모듈(121) 및 마사지 모듈(122)을 사용자모드로 변환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의 작동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는 차량의 자율주행 중 수면을 하고 싶은 경우에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400)에서는 먼저 파워시트 모듈(121)을 수면모드 상태로 작동시켜 쿠션시트 및 시트백의 자세를 탑승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자세(기 설정된 수면모드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탑승자는 파워시트 모듈(121)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파워시트 모듈(121)의 수면모드를 해제하거나 쿠션시트 및 시트백을 다른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수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400)에서는 파워시트 모듈(121)의 수면모드 전환과 함께 마사지 모듈(122)을 작동시킨다. 이때 탑승자가 마사지 모듈(122)이 아닌 럼버 서포트의 작동을 원한다면 럼버 서포트를 작동시키고 마사지 모듈(122)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만약 마사지 모듈(122)이 작동되는 동안 심박센서(111)에서는 탑승자의 심장 박동수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심장 박동수의 변화에 따라 탑승자가 수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사지 모듈(122)의 작동을 해제하여 탑승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상태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탑승자가 수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400)에서는 네비게이션부(200)와 연동하여 탑승자가 설정한 목적지 또는 경유지와 차량의 위치 관계를 차량의 자율주행 중 연속적으로 제공받는다. 그래서 차량이 설정된 목적지 또는 경유지에 도착하는 경우에 제어부(400)에서는 햅틱모터(123)를 작동시켜 탑승자에게 진동 알람을 제공하여 수면을 취하고 있는 탑승자를 기상하도록 한다. 이때 탑승자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수면모드를 유지하던지 아니면 수면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모드로 전환이 되면 파워시트 모듈(121) 및 마사지 모듈(122) 등이 모두 사용자 모드로 전환이 된다.
한편, 사용자 모드 또는 수면모드 시에 체온센서(112)에서는 탑승자의 체온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체온의 변화에 따라 냉온 모듈(124)을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탑승자에게 온기를 제공하고, 체온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탑승자에게 냉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전동시트부 110: 감지수단
111: 심박센서 112: 체온센서
120: 편의수단 121: 파워시트 모듈
122: 마사지 모듈 123: 햅틱모터
124: 냉온 모듈 200: 네비게이션부
300: 조작부 400: 제어부

Claims (8)

  1.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되는 전동시트 시스템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탑승자의 심박수 및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편의수단이 구비되는 전동 시트부와;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가 반영되어 작동되는 네비게이션부와;
    탑승자가 사용자모드 또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 및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 시트부의 편의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시트부의 감지수단은 탑승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와; 탑승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시트부의 편의수단은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는 파워시트 모듈과;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모듈과;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햅틱모터와; 상기 시트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탑승자에게 냉풍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냉온 모듈을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센서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심박수 정보를 활용하여 탑승자의 상태를 정상상태 또는 수면상태로 판단하고, 판단된 탑승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파워시트 모듈을 작동시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자세를 조절하고,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탑승자가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하고, 마사지 모듈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가 수면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마사지 모듈의 작동이 멈추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센서에서 감지되는 탑승자의 체온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냉온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햅틱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수면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도착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에 목적지 및 경유지에 도착한 것이 확인되면 수면모드의 유지 또는 수면모드의 해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수면모드의 해제는 상기 파워시트 모듈 및 마사지 모듈을 사용자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KR1020160090632A 2016-07-18 2016-07-18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KR2018000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32A KR20180009409A (ko) 2016-07-18 2016-07-18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32A KR20180009409A (ko) 2016-07-18 2016-07-18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09A true KR20180009409A (ko) 2018-01-29

Family

ID=6102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32A KR20180009409A (ko) 2016-07-18 2016-07-18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40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692A (zh) * 2019-05-10 2019-08-06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系统及方法
US11058958B2 (en) 2019-07-15 2021-07-13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playing game using seat and ball in autonomous vehicle
KR20210119608A (ko) * 2020-03-24 2021-10-06 정성우 자율주행차의 인공지능 수면 보조 시스템
KR20210131028A (ko)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생체신호 기반 능동형 수면시트 시스템
KR20220058055A (ko)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0569A (ko) * 2020-11-02 2022-05-12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692A (zh) * 2019-05-10 2019-08-06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系统及方法
US11058958B2 (en) 2019-07-15 2021-07-13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playing game using seat and ball in autonomous vehicle
KR20210119608A (ko) * 2020-03-24 2021-10-06 정성우 자율주행차의 인공지능 수면 보조 시스템
KR20210131028A (ko)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생체신호 기반 능동형 수면시트 시스템
KR20220058055A (ko)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US11827123B2 (en) 2020-10-30 2023-11-28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Seat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60569A (ko) * 2020-11-02 2022-05-12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409A (ko)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CN110072731B (zh) 车辆座椅
EP3025921A1 (en) Vehicular drive assist device, and vehicular drive assist method
US20140152057A1 (en) Heated headrest
US11548410B2 (en) Seat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2874135B (zh) 汽车座椅调节控制器及其控制方法
EP2952381B1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and vehicle seat device
CN104163087A (zh) 用于具有起动/停止发动机的车辆的hvac控制系统
JP2010006163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推奨システム
SE535896C2 (sv) System och anordning för styrning av fordonsstol
US1146563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11301243A (zh) 具有用于舱内气候控制的热舒适度传感器的车辆
JP202206959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040122575A1 (en) Device for detecting a seating position of a passenger in a motor vehicle
US2020027691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system for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safety system for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8207635A (ja) 座席駆動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20075472A1 (ja) シートヒータ装置
US11820269B2 (en) Vehicle seat
JP201816762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0070087A (ja) 自動車用暖房装置
CN202219770U (zh) 车辆座椅的防盗结构
JP2020093623A (ja) シートシステム
KR20070112339A (ko) 다목적 다기능 자동차
US11827123B2 (en) Seat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4969A (ko) 통합형 운전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