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346A -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346A
KR20180009346A KR1020177036380A KR20177036380A KR20180009346A KR 20180009346 A KR20180009346 A KR 20180009346A KR 1020177036380 A KR1020177036380 A KR 1020177036380A KR 20177036380 A KR20177036380 A KR 20177036380A KR 20180009346 A KR20180009346 A KR 2018000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dd
tray
holder
hou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877B1 (ko
Inventor
유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인프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인프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8000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HDD 유닛은, HDD 케이스와, HDD 홀더를 구비한다. HDD 케이스는, HDD 트레이와, HDD 커버를 구비한다. HDD 트레이는, HDD가 적재 가능하게 구성된다. HDD 커버는, 상기 HDD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HDD 상에 배치되며 상기 HDD를 억제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HDD 트레이 상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HDD 상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가압부를 갖는다. HDD 홀더는, 상기 HDD 케이스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HDD 케이스를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Description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본 발명은 HDD 유닛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HDD 유닛이 설치된다. HDD 유닛은, HDD(hard disk drive)와, HDD를 유지하는 HDD 트레이와, HDD 트레이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HDD 홀더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HDD 유닛은, 하우징의 전방면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방면부에 형성된 슬롯 개구로부터 HDD가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HDD는 HDD 트레이에 대하여 복수 개소에서 나사 고정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보수 작업성이 높은 HDD 유닛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HDD 유닛은,
HDD 케이스와, HDD 홀더를 구비한다.
HDD 케이스는 HDD 트레이와, HDD 커버를 구비한다.
HDD 트레이는 HDD가 적재 가능하게 구성된다.
HDD 커버는, 상기 HDD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HDD 상에 배치되며 상기 HDD를 억제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HDD 트레이 상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HDD 상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가압부를 갖는다.
HDD 홀더는, 상기 HDD 케이스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HDD 케이스를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HDD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HDD 유닛의 HDD 유닛의 일부의 제1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HDD 유닛의 일부의 제2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HDD 유닛의 HDD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HDD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HDD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HDD 유닛의 교환 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HDD 유닛의 교환 시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HDD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10) 및 HDD 유닛(12)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10)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HDD 유닛(12)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HDD 유닛(12)의 일부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HDD 트레이(24)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HDD 유닛(12)의 보수 작업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HDD 커버(25)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X, Y, Z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X는 전후 방향인 제1 방향, Y는 폭 방향인 제2 방향, Z는 상하 방향인 제3 방향을 각각 따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 좌우 전후 등의 방향에 대해서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1)의 바닥판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배치하였을 때의 방향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각 방향은 전자 기기(10)의 자세에 따라서 적절히 변화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설치된 HDD 유닛(12)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천장판(11a)과, 천장판(11a)의 하방에 대향 배치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는 전방판(11c)과, 바닥판의 양쪽 측부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11d)과, 바닥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는 후방판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이들 바닥판(11b), 천장판(11a), 전방판(11c), 후방판 및 한 쌍의 측판(11d)에 의해 둘러싸인 직육면체형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1)은 그 수용 공간 내의 전단부이며 전방판(11c)의 이면측에, 복수의 HDD 유닛(12)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1)은 각 HDD 유닛(12)의 배면부에 기립 설치되는 백보드(14) 외에, 광학 드라이브 유닛, 냉각 장치, 기판 유닛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을 수용한다.
하우징(11)의 전방판(11c)에는, 후술하는 HDD 홀더(23)의 슬롯(40a)에 연통하는 슬롯 개구(11f)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HDD 유닛(12)은 예를 들어 복수의 HDD(21)와, HDD(21)를 각각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HDD 케이스(22)와, 복수의 HDD 케이스(22)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HDD 홀더(2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HDD 유닛(12)은 HDD 케이스(22)를 상하 2단으로 배치하는 2단 구조의 HDD 유닛(12)을 예시한다.
HDD(21)는, 예를 들어 소정의 두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자기 디스크를 복수 내장하고 있다.
HDD 케이스(22)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HDD(21)가 적재되는 HDD 트레이(24)와, HDD 커버(25)를 구비한다.
HDD 트레이(24)는 직사각형 바닥 프레임(31)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32)과, 전방 프레임(33)을 구비하고, 상면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다. HDD 트레이(24)는 HDD 홀더(23)에, 제1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HDD 트레이(24)는 HDD(21)가 적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31)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31)의 상면에 HDD(21)가 적재된다. 바닥 프레임(31)의 전방 부위에는 원 형상의 구멍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31a)는 조작 시에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31)의 전단부의 소정 위치이며, HDD(21)의 적재부의 전방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규제부로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규제 돌기(31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규제 돌기(31b)는, 바닥 프레임(31)의 일부가 역ㄷ자 형상으로 잘라내어져, 상방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리브 형상의 부재이다. 규제 돌기(31b)는, HDD(21)의 전방면에 맞닿음으로써 HDD(21)의 전방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한다.
전방 프레임(33)은 바닥 프레임(31)의 전단 모서리에 기립 설치되며, 바닥 프레임(31)의 전방을 막는 판 형상 부재이다. 전방 프레임(33)의 일단에는, 전방 프레임(33)을 폐쇄하였을 때 전방 프레임(33)을 하우징(11)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34)가 설치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32)은 바닥 프레임(31)의 양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부재이다. 측부 프레임(32)은 예를 들어 그 상단 모서리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레일 돌기(32a)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 돌기(32a)는 소정 위치에, 후방부가 전방부보다도 상측 위치로 되는 단차부(32b)를 갖고 있다. 즉, 레일 돌기(32a)는 단차부(32b)의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형성되고, 후방부의 레일 돌기(32a)가 전방부의 레일 돌기(3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차부(32b)는 링크 레일(43) 중 전방의 저위의 레일 돌기(43a)에 맞닿음으로써, 링크 레일(43)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32)은 HDD 홀더(23)의 한 쌍의 링크 레일(43)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한다. 즉, 측부 프레임(32)이 링크 레일(43)의 내면의 제2 가이드 슬릿(43c)에 배치됨으로써, HDD 트레이(24)의 후단부가, HDD 홀더(23)의 전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한다.
측부 프레임(32)의 내면에는, 스프링 플레이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35)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판 형상이며, 그 양단부에, 가압부로 되는 판 스프링부(35a)를 구비한다. 판 스프링부(35a)는 스프링 플레이트(35)의 단부가 HDD 홀더(23)의 슬롯(40a)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판 스프링부(35a)는 측부 프레임(32)의 내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바닥 프레임(31) 상에 적재되는 HDD(21)의 측면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GND 접지와, HDD(21)의 제2 방향의 위치 결정 기능을 수행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32)의 전단부에는, HDD 커버(2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체(3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구멍(3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32c)에는 축체(36)가 삽입된다. 축체(36)는 예를 들어 E링 등의 지지 부재(32f)에 의해 측부 프레임(32)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32)의 후단부에는, 그 일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규제부로서의 규제벽(32d)이 설치되어 있다. 규제벽(32d)은 HDD(21)의 적재부의 후방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고, HDD(21)의 후단부에 맞닿음으로써 HDD(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HDD 커버(25)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플레이트 부재이며, 전방 프레임(33)의 상단에 있어서 측부 프레임(32) 사이에, 축체(3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HDD 커버(25)는 HDD(21) 상에 배치되며 HDD(21)를 억제하는 폐쇄 상태와, HDD 트레이(24) 상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HDD 커버(25)는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회동축으로부터의 거리가 크게 구성된 돌출부(25a)를 구비하고, 중앙부는 회동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작게 구성되어 있다.
HDD 커버(25)는 돌출부(25a)의 선단부에 누름편(25b)을 갖는다. 누름편(25b)은 HDD 커버(25)가 폐쇄 상태를 향하는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편, 즉 HDD(21)를 향하여, 비스듬히 굴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누름편(25b)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삽입 방향의 안쪽 및 하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HDD(21)의 상면에 가압된다.
HDD 커버(25)는 돌출부(25a)에, 각각 제1 판 스프링부(25c) 및 제2 판 스프링부(25d)를 구비한다.
제1 판 스프링부(25c)는 HDD 커버(25)의 돌출부(25a)의 소정의 영역이 U자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스프링편이 상방으로 곡절 가공되어 구성된다. 제1 판 스프링부(25c)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방향 후방이 기단이고, 슬라이드 방향 전방이 자유단으로 되는 외팔보의 구조이며, 선단부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제1 판 스프링부(25c)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볼록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판 스프링부(25d)는 HDD 커버(25)의 돌출부(25a)의 기단 부분의 소정의 영역이 U자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스프링편이 하방으로 곡절 가공되어 구성된다. 제2 판 스프링부(25d)는 예를 들어 폭 방향 중앙측이 기단이며, 폭 방향 외측이 자유단으로 되는 외팔보의 구조이고, 선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제2 판 스프링부(25d)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볼록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HDD 커버(25)는 도 2에 도시한 폐쇄 위치와, 도 1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HDD 커버(2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1 판 스프링부(25c)의 스프링 볼록부(25e)의 선단 위치와 제2 판 스프링부(25d)의 스프링 볼록부(25e)의 선단 위치에 의해 규정되는 치수는, HDD(21)의 상면과 슬롯(40a)의 천장면 사이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즉, 폐쇄 상태에 있어서 슬롯(40a)의 천장면과 HDD(2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 HDD 커버(25)에 의해, HDD(21)의 상면이 제2 판 스프링부(25d)와 누름편(25b)에 의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압박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HDD 홀더(23)는 외곽을 구성하는 하우징(41)과, HDD 트레이(24)가 적재되는 2개의 지지 프레임(42)과, 지지 프레임(42)에 HDD 트레이(2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레일(43)을 구비한다.
HDD 홀더(23)는 하우징(41)과 2단의 지지 프레임(42)에 의해, 상하 및 양측부를 둘러싸는 단면 직사각형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HDD 홀더(23)는 하우징(41)과 2단의 지지 프레임(42)에 의해, 그 전후에 각각 개구되는 슬롯(40a)을 높이 방향 2단 구비한다.
하우징(41)은 상측 벽부(41a)와 한 쌍의 측벽부(41b)를 일체로 구비한다. 하우징(41)은 상측 벽부(41a)의 측부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며, 체결 부재의 체결 구멍을 갖는 고정편(41c)을 전후 좌우의 4개소에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41)은 측벽부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플랜지편(41d)과, 측벽부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플랜지편(41e)을 일체로 구비한다. 하우징(41)은 그 후단부에, 바닥판이 고정되는 보드 고정부(41f)를 일체로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42)은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직사각형 바닥 플레이트(42a)와, 바닥 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42b)을 일체로 구비한다.
한 쌍의 측벽(42b)은 소정의 높이 치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측벽(42b)은 그 상단 모서리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레일 돌기(42c)를 일체로 갖고 있다. 이 레일 돌기(42c)에 의해, 측벽(42b)의 내벽에 링크 레일(43)이 배치되는 오목부인 가이드 슬릿(42d)이 형성된다.
레일 돌기(42c)는 소정 위치에, 후방부가 전방부보다도 상측 위치로 되는 단차부(42g)를 갖고 있다. 즉, 레일 돌기(42c)는 단차부(42g)의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설치되며, 후방부의 레일 돌기(42c)가 전방부의 레일 돌기(42c)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42b)의 소정 위치에는, 가압부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부(42e)가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42e)는 한 쌍의 측벽(42b)의 소정 영역이 U자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스프링편을 갖고 구성된다. 판 스프링부(42e)는 슬라이드 방향 전방이 기단이고, 슬라이드 방향 후방이 자유단으로 되는 외팔보의 구조이며, 그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볼록부(42f)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 레일(43)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형상 부재이며, 그 상단 및 하단에 있어서 슬롯(40a) 내측으로 돌출되는 레일 돌기(43a)를 구비하고, 예를 들어 단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 레일(43)은 레일 돌기(43a)에 의해, 그 내벽에,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오목부인 제2 가이드 슬릿(43c)을 형성한다.
링크 레일(43)은 후단측 영역이 지지 프레임(42)의 제1 가이드 슬릿(42d)에 배치됨으로써, 지지 프레임(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한다. 또한, 링크 레일(43)은 그 내벽에 구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43c)에 HDD 트레이(24)의 측부가 배치됨으로써 HDD 트레이(24)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안내한다.
레일 돌기(43a)는 소정 위치에, 후방부가 전방부보다도 상측 위치로 되는 단차부(43b)를 갖고 있다. 즉, 레일 돌기(43a)는 단차부(43b)의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설치되며, 후방부의 레일 돌기(43a)가 전방부의 레일 돌기(4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차부(43b)는 측벽(42b) 중 전방부의 저위의 레일 돌기(42c)에 맞닿음으로써, 링크 레일(43)과 지지 프레임(42)의 제1 방향의 상대 위치 관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된다.
즉, HDD 케이스(22), 지지 프레임(42) 및 링크 레일(43)에 의해 2단계로 신축 가능한 가이드 레일 기구가 구성된다. HDD 케이스(22)는 HDD 홀더(23)에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링크 레일(43)의 소정 위치에는, 가압부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부(43e)가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43e)는 링크 레일(43)의 소정 영역이 U자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스프링편을 갖고 구성된다. 판 스프링부(43e)는 슬라이드 방향 전방이 기단이고, 슬라이드 방향 후방이 자유단으로 되는 외팔보의 구조이며, 그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볼록부(43f)가 형성되어 있다.
백보드(14)는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기판이며, HDD 유닛(12)의 배면부에 기립 설치된다. 백보드(14)는, 예를 들어 HDD(21)의 배면에 대향 배치되는 주면에, HDD(21)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탑재하고 있다. HDD 홀더(23)의 슬롯(40a)에 HDD(21)가 삽입되어, 수납되면, HDD(21)의 후단의 단자가, HDD 홀더(23)의 슬롯(40a)의 후방측 개구에 배치되어, 백보드(14)의 커넥터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HDD(21)의 후단이 백보드(14)에 접속됨으로써, HDD(21)의 후방이 지지된다.
HDD 유닛(12)은 복수의 가압부로서, 판 스프링부(25c, 25d, 35a, 42e, 43e)가 GND의 접지점을 겸한다. 즉,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HDD 케이스에 설치된 도전성의 판 스프링부(25c, 25d, 35a)와, HDD 홀더(23) 및 링크 레일(43)에 설치된 도전성의 판 스프링부(42e, 43e)에 의해, HDD(21)로부터, HDD 케이스(22) 및 HDD 홀더(23)까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HDD 유닛(12)의, HDD(21)의 교환 작업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제1 상태에 있어서, HDD 유닛(12)은 HDD 트레이(24)가 슬롯(40a) 내의 안쪽이며, 슬라이드 방향 후방 단부에, 압입되어 수납된 상태이다. 이때, HDD 트레이(24) 상에는 HDD(21)가 적재되고, HDD 커버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 제1 상태에 있어서는, 커버가 HDD(21) 상면에 씌워지며, 슬롯(40a)의 천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판 스프링이 천장부를 가압하고, 하판 스프링이 HDD(21)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커버의 누름편(25b)은 HDD(21)의 상면에 가압되어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42)과 레일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기구는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1 상태로부터, 체결 부재(34)를 해제하여, HDD 트레이(24)를 인출 방향으로 인장하면, HDD 케이스(22), 지지 프레임(42) 및 링크 레일(43)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기구가 신장되어, HDD 트레이(24)가 전방판(11c)보다도 전방으로 인출되는 제2 상태로 된다. 이 제2 상태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 있는 HDD 커버(25)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방 상태로 하여, HDD 트레이(24)의 상방을 개방한다. 그리고 HDD(21)를 취출하고, 다른 HDD(21)를 HDD 트레이(24) 상에 세트한다.
그 후, HDD 커버(25)를 개방 위치에 있는 HDD 커버(25)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여, HDD 상에 씌운다. 다음에, HDD 트레이(24)를 슬롯(40a)의 안쪽으로 압입한다. 그렇게 하면, 다시 가이드 레일 기구가 수축되고, HDD 트레이(24)가 슬롯(40a) 내에 수용되어, 제1 상태로 되며, 체결 부재(34)를 체결하고,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HDD 유닛(12) 및 전자 기기(10)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HDD 트레이(24)에, HDD(21)를 위로부터 탄성적으로 억제하는 HDD 커버(2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HDD(21)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무나사화가 가능하고, 보수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예를 들어 계산실 등의 특수한 장소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나사 등의 작은 부품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안전성이 높다.
또한, HDD 트레이(24), 링크 레일(43) 및 지지 프레임(42)의 측벽 부분에, 외팔보 구조의 판 스프링부(25c, 25d, 35a, 42e, 43e)를 형성함으로써, HDD의 폭 방향의 이동 규제와 GND 접지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외팔보 구조의 판 스프링부(25c, 25d, 35a, 42e, 43e)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방진성이 높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HDD 트레이(24)는 HDD(21)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31d)와, 후방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벽(32d)을 구비함으로써, HDD(21)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HDD 트레이(24)는 2단계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이드 레일 기구에 의해 HDD 홀더(23)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HDD 트레이(24)를 하우징(11)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수 작업성이 높다. 또한, 전자 기기(10)로부터 HDD 트레이(24)를 크게 인출해도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로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10에 도시한 HDD 트레이(24A)는, 가압부로서, 스프링 플레이트(35) 대신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가스킷(46)을 구비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HDD 트레이(24A)와 마찬가지이다. EMI 가스킷(46)은 예를 들어 쿠션성이 있는 스펀지형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의 표면에 감기는 도전성 천 등의 도전 피복재(피복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EMI 가스킷(46)과, HDD(21)로부터, 금속제의 HDD 트레이(24A) 및 금속제의 HDD 홀더(23)까지, 각 가압부(25c, 25d, 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전자 기기
12 : HDD 유닛
14 : 백보드
22 : HDD 케이스
23 : HDD 홀더
24 : HDD 트레이
25 : HDD 커버
25a : 돌출부
25b : 누름편
25c : 제1 판 스프링부(가압부)
25d : 제2 판 스프링부(가압부)
25e : 스프링 볼록부
31 : 바닥 프레임
31a : 구멍부
31b : 규제 돌기(규제부)
32 : 측부 프레임
32a : 레일 돌기
32b : 단차부
32c : 축 구멍
32d : 규제벽(규제부)
33 : 전방 프레임
35 : 스프링 플레이트
35a : 판 스프링부(가압부)
36 : 축체
40a : 슬롯
41 : 하우징
42 : 지지 프레임
42a : 바닥 플레이트
42b : 측벽
42c : 레일 돌기
42d : 가이드 슬릿
42e : 판 스프링부(가압부)
42f : 스프링 볼록부
42g : 단차부
43 : 링크 레일
43a : 레일 돌기
43b : 단차부
43c : 가이드 슬릿
43e : 판 스프링부(가압부)
43f : 스프링 볼록부

Claims (7)

  1. HDD가 적재 가능하게 구성된 HDD 트레이와, 상기 HDD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HDD 상에 배치되며 상기 HDD를 억제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HDD 트레이 상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HDD 상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가압부를 갖는 HDD 커버를 구비하는 HDD 케이스와, 상기 HDD 케이스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HDD 케이스를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HDD 홀더를 구비하는 HDD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D 트레이는, 상기 HDD가 적재되는 바닥 프레임과, 측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HDD 홀더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상기 측부 프레임은 상기 HDD의 측부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HDD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DD 커버는, 상기 HDD 트레이의 상기 제1 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HDD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상기 HDD 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HDD 상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플레이트 부재이며, 상기 슬롯의 천장부와 상기 HDD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HDD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 판 스프링과,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장부를 가압하는 제2 판 스프링을 갖는 HDD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DD 트레이는, 상기 HDD의 적재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과 후방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HDD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각각 구비하는 HDD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금속 재료를 포함한 외팔보 구조의 판 스프링 부재이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HDD 트레이와 상기 HDD 홀더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HDD 유닛.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을 덮는 도전성의 피복부를 구비하는 EMI 가스킷이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HDD 트레이와 상기 HDD 홀더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HDD 유닛.
  7. 제1항에 기재된 HDD 유닛과, 상기 HDD 유닛을 수용 가능한 상자 형상으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슬롯에 연통하는 슬롯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홀더의 배면에 기립 설치됨과 함께, 상기 HDD의 상기 인출 방향 후방에 설치되는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탑재하는 백보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177036380A 2016-05-31 2017-05-17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KR102051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9210A JP6585005B2 (ja) 2016-05-31 2016-05-31 Hdd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JP-P-2016-109210 2016-05-31
PCT/JP2017/018545 WO2017208825A1 (ja) 2016-05-31 2017-05-17 Hdd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46A true KR20180009346A (ko) 2018-01-26
KR102051877B1 KR102051877B1 (ko) 2019-12-17

Family

ID=6047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380A KR102051877B1 (ko) 2016-05-31 2017-05-17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585005B2 (ko)
KR (1) KR102051877B1 (ko)
CN (1) CN107851450B (ko)
SG (1) SG11201801929UA (ko)
TW (1) TWI655810B (ko)
WO (1) WO2017208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316A (ko) * 2020-11-25 2022-06-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스토리지 유닛 및 정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2748B1 (en) * 2019-03-26 2020-09-22 Quanta Computer Inc. Chassis for hard disk driv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149U (ja) * 2002-10-01 2003-04-18 船井電機株式会社 筐体内へのデッキシャーシの固定構造
JP3102081U (ja) * 2003-12-04 2004-07-02 浩▲しん▼股▲ふん▼有限公司 ディスクドライブ用拡張装置
JP2007294043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462310B2 (ja) * 2007-09-10 2010-05-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5696860B2 (ja) * 2013-04-05 2015-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振動抑制機構
TWI529516B (zh) * 2013-10-01 2016-04-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伺服器
TWI486951B (zh) * 2014-05-07 2015-06-01 Quanta Comp Inc 托盤組件
TWI559842B (zh) * 2015-07-30 2016-11-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免工具之零件承載機構與電子裝置
TWM522447U (zh) * 2016-02-23 2016-05-21 Cheng-Yu Huang 免螺釘固定硬碟機抽取承載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316A (ko) * 2020-11-25 2022-06-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스토리지 유닛 및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877B1 (ko) 2019-12-17
CN107851450B (zh) 2019-10-08
WO2017208825A1 (ja) 2017-12-07
TW201804683A (zh) 2018-02-01
CN107851450A (zh) 2018-03-27
JP6585005B2 (ja) 2019-10-02
JP2017216026A (ja) 2017-12-07
SG11201801929UA (en) 2018-04-27
TWI655810B (zh)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7736B2 (en) Casing and server using the same
US8840453B2 (en) Apparatus on which fan can be mounted
KR20180009346A (ko) Hdd 유닛 및 전자 기기
US91135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method
US20220001679A9 (en) Image forming apparatus
TWM469657U (zh) 電連接器
KR101748481B1 (ko)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JP4504919B2 (ja) カード保持機構を有する装置
TW201417097A (zh) 電子裝置殼體
US10129997B2 (en) Guide assembly for proper electrical blind mating of a module in an enclosure
US20220174834A1 (en) Chassis and cage thereof
JP2012069475A (ja) カードコネクタ、配線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599441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22324A (ja) カードコネクタ
JP6930789B2 (ja) ブラケット
US9089045B2 (en) Display apparatus
CN113934261A (zh) 机箱及具有该机箱的服务器
WO2013136650A1 (ja) カードトレイ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672119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6445371B2 (ja) キャビネット
SG186517A1 (en) Card connector
JP2022083691A (ja) ストレージユニット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192315B2 (ja) Hdd装置、hdd収納装置およびhdd本体
TWI628996B (zh) 電子卡連接器
JP6124732B2 (ja) コーナー用吊戸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