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599A -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599A
KR20180008599A KR1020177035860A KR20177035860A KR20180008599A KR 20180008599 A KR20180008599 A KR 20180008599A KR 1020177035860 A KR1020177035860 A KR 1020177035860A KR 20177035860 A KR20177035860 A KR 20177035860A KR 20180008599 A KR20180008599 A KR 2018000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tongue
plating
shoelac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 데라이
마사미쓰 이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0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4Openwork fabric, e.g. pelerin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2Button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슈즈 어퍼는, 통모양이며, 발끝과, 발끝과 발뒤꿈치 사이의 부분으로서 텅을 포함하는 몸통과, 발뒤꿈치와, 삽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은, 발등의 중앙부를 덮는 텅과, 발등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텅의 우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우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우측 반을 덮는 우측부분과, 텅의 좌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좌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좌측 반을 덮는 좌측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텅과 우측부분이, 텅의 편사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14)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텅과 좌측부분이, 텅의 편사와 좌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좌측 플레이팅 영역(15)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슈즈 어퍼의 텅과 그 양측의 편성포를 편성기 상에서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SHOE UPPER AND KNITTING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슈즈 어퍼를 편성기(編成機)로 편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슈즈 어퍼의 부위에 따라 신축성, 강도, 통기성 등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편사(編絲)의 종류를 부위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인타샤 편성(intarsia knitting)에 의하여 슈즈 어퍼를 편성하고, 부위와 부위의 경계를 인타샤의 경계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 US 6,931,762B). 또한 인타샤 편성에서는, 부위와 부위는 턱(tuck)에 의하여 접속된다.
다른 선행기술을 나타낸다. 특허문헌2(JP S54-021464B) 및 특허문헌3(JP H09-111619A)은,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을 개시하고 있다.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2개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의 2개의 편사를 포개어 스티치열(stitch row)을 편성하고, 일방(一方)의 편사가 편성포(編成布)의 표면에 나타나고, 타방(他方)의 편사가 편성포의 이면에 나타난다. 특허문헌2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편성포에 패턴을 표현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3은, 편성포의 표면에 나타나는 편사를 교체하지만, 이면에 나타나는 편사를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인타샤 패턴을 편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US 6,931,762B JP, S54-021464B JP, H09-111619A
특허문헌1과 같이 턱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부위와 부위를 접속하면, 접속장소는 베이스가 되는 스티치에 턱 스티치(tuck stitch)가 포개지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의한 접합이 된다. 여기에서 텅(tongue ; 신발의 혀)과 그 양측(兩側)과 같이 힘이 가해지기 쉬운 장소를 턱으로 접속하면, 턱부에 강한 힘이 가해져 편사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텅의 양측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면, 신발끈이 지나가는 구멍에 신발끈으로부터 강한 힘이 가해져, 신발끈 구멍이 신장된다. 또한 이 힘이 턱부에 가해지면, 편사가 끊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텅과 그 양측의 접속부를, 편성과는 별도로 접착 테이프, 열처리 등에 의하여 보강하여도 좋지만,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텅과 그 양측의 접속부를 편성기 상에서 견고하게 접속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텅과 그 양측의 편성포가 편성기 상에서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슈즈 어퍼(shoe upper)는, 발끝과, 발끝과 발뒤꿈치 사이의 부분으로서 텅(tongue)을 포함하는 몸통과, 발뒤꿈치와, 삽입구를 구비하며, 또한 통모양이고,
몸통은, 발등의 중앙부를 덮는 텅과, 발등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텅의 우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우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우측 반을 덮는 우측부분과, 텅의 좌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좌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좌측 반을 덮는 좌측부분을 구비하고,
텅의 편사(編絲)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表裏)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있는 스티치(stitch)가,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 계속되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右側 plating 領域)에 의하여, 텅과 우측부분이 접속되고,
또한 텅의 편사와 좌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있는 스티치가,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 계속되는 좌측 플레이팅 영역(左側 plating 領域)에 의하여, 텅과 좌측부분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텅과 그 우측부분이, 턱(tuck)이 아니라 플레이팅 영역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팅 영역은, 텅의 편사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있는 스티치로 이루어지고, 그 폭은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이다. 이 때문에 텅과 우측부분은,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의 열이 아니라 플레이팅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면(面)에 의하여 접속되어, 접속강도가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텅과 좌측부분의 접속강도도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이 1열 형성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이 우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우측부분에 형성되고,
좌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이 1열 형성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이 좌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좌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마주 보는 2열의 신발끈 구멍열이 포개지도록 2열의 신발끈 구멍열의 중간에서 접으면, 마주 보는 신발끈 구멍이 포개져 신발끈을 통과시킬 수 있다. 2개의 신발끈 구멍을 포개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신발끈 구멍이 넓어지기 어렵고, 또한 신발끈 구멍에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플레이팅 영역에 의하여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모양의 슈즈 어퍼를 전후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상에서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끝 또는 삽입구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발끝과, 발끝과 발뒤꿈치 사이의 부분으로서 텅을 포함하는 몸통과, 발뒤꿈치와, 삽입구를 편성하고,
몸통의 편성에서는, 발등의 중앙부를 덮는 텅과,
발등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텅의 우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우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우측 반을 덮는 우측부분과,
텅의 좌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좌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좌측 반을 덮는 좌측부분과,
텅과 우측부분을 접속함과 아울러, 텅의 편사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과,
텅과 좌측부분을 접속함과 아울러, 텅의 편사와 좌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좌측 플레이팅 영역을
편성하고,
또한 몸통의 편성에서는, 우측부분의 편성, 우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텅의 편성, 좌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좌측부분의 편성의 순으로 편성하는 스텝과, 좌측부분의 편성, 좌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텅의 편성, 우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우측부분의 편성의 순으로 편성하는 스텝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텅을 그 좌우의 부분과 플레이팅 영역에 의하여 접속한 슈즈 어퍼를 편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슈즈 어퍼에서는, 텅과 좌우의 부분의 접속강도가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을 1열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을 우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우측부분에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좌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을 1열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을 좌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좌측부분에 횡편기 상에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신발끈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견디는 신발끈 구멍과 플레이팅 영역을 횡편기 상에서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텅과 그 주위로 이루어지는 몸통은 C편성(C-knitting)에 의하여 C자 모양으로 편성되고, 발바닥에 C자의 개구(開口)가 생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자의 개구를 더블 스티치, 턱 등에 의하여 막아, 몸통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을 횡편기 상에서 접합한다.
횡편기의 니들베드 상에서의 각 부의 배치에서는,
·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이 전후의 니들베드 상에서 마주 보고,
· 우측 플레이팅 영역과 좌측 플레이팅 영역이 전후의 니들베드 상에서 마주 보고,
· 텅의 우반부(右半部)와 좌반부(左半部)가 전후의 니들베드 상에서 마주 본다.
그리고 텅의 우반부의 가장 좌측의 스티치가, 텅의 좌반부의 가장 우측의 스티치와 접속하도록 편성한다.
예를 들면 텅의 편사와, 우측부분 및 좌측부분의 편사를 다르게 한다고 하면, 편성이 C편성이기 때문에 급사구(給絲口)는 텅에 1개, 우측부분에 1개, 좌측부분에 1개로 적어도 3개이다. 텅의 중앙부를 편성폭의 일단(一端), 발바닥의 중앙부를 타단(他端)으로 하면, 급사구의 배치는,
· 우측부분의 급사구가 편성폭의 타단에 있고, 좌측부분의 급사구와 텅의 급사구가 우측부분 및 좌측부분과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과의 경계 부근에 있는 배치(A)와,
· 좌측부분의 급사구가 편성폭의 타단에 있고, 우측부분의 급사구와 텅의 급사구가 우측부분 및 좌측부분과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과의 경계 부근에 있는 배치(B)의 사이를 교대로 반복한다.
그리고
· 우측부분의 급사구로부터의 급사범위는, 몸통의 우측부분과 우측 플레이팅 영역이고,
· 좌측부분의 급사구로부터의 급사범위는, 몸통의 좌측부분과 좌측 플레이팅 영역이며,
· 텅의 급사구로부터의 급사범위는, 텅과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이다.
도1은, 실시예의 슈즈 어퍼의 측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슈즈 어퍼의 평면도이다.
도3은, 플레이팅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4는, 실시예에서의 캐리어별 급사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에서의 슈즈 어퍼에서의 몸통의 편성공정도이다.
도6은, 변형예에서의 편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6에 실시예와 그 변형을 나타내고, 도1은 슈즈 어퍼(2)를 판판하게 접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2는 편 상태를 나타낸다. 4는 발끝, 6은 삽입구이고, 8은 발등과 측부(側部) 및 발바닥을 둘러싸는 몸통으로서, 발끝(4), 몸통(8) 및 삽입구(6)는 모두 통모양이다. 10은 삽입구(6)와 몸통(8) 사이의 발뒤꿈치로서,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슈즈 어퍼(2)의 저부(底部)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아웃솔(outsole)을 부착한다.
5는 편성이 시작되는 편성시작라인이고, S, S'은 그 양 단(端)이며, 도1, 도2의 테두리 안을 비워 둔 화살표의 방향으로 발끝(4)에서부터 삽입구(6)를 향하여 편성하지만, 삽입구(6)에서부터 발끝(4)을 향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삽입구(6)는, 통모양이며 개구(開口)(7)를 구비하고 있다. 발뒤꿈치(10)는, 예를 들면 3개의 영역(10', 10'', 10''')으로 이루어지고, 몸통(8)의 다음에 각 영역(10', 10'', 10''')을 되돌림 편성함으로써, 웨일(wale)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또한 도1의 검은 화살표는 코스방향(course 方向), 테두리 안을 비워 둔 화살표는 웨일방향(wale 方向)을 나타낸다.
몸통(8)은, 발등의 중심부를 덮는 텅(tongue ; 신발의 혀)(11)과, 발바닥의 우측 반 및 발등의 우측부를 덮는 우측부분(12), 발바닥의 좌측 반 및 발등의 좌측부를 덮는 좌측부분(13), 및 좌우의 부분(12, 13)과 텅(11) 사이의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을 포함하고 있다. 텅(11),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 및 좌우의 부분(12, 13)은 횡편기(橫編機) 상에서 C자 모양으로 편성되고, C자의 개구는 좌우의 부분(12, 13) 사이의 발바닥측에 있다. 그리고 접합부(20)에 의하여 C자의 개구의 양측의 스티치를 접합하여, 좌우의 부분(12, 13)을 무봉제(無縫製)로 접합한다. 접합은, 예를 들면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 또는 턱(tuck)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접합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횡편기 상에서 접합하지 않고 접착제, 봉제 등으로 접합하여도 좋다. 슈즈 어퍼(2)는, 예를 들면 무봉제로 편성한다.
슈즈를 신으면 발의 움직임에 따라, 슈즈 어퍼(2)에는 원주방향으로 인장력(引張力)이 가해진다. 또한 텅의 주변에 신발끈을 통과시키는 신발끈 구멍을 형성하면, 신발끈의 움직임이 영향을 미쳐 신발끈 구멍이 신장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좌우의 부분(12, 13)의 편사와 텅(11)의 편사 쌍방으로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을 한다. 그러면 텅(11)은 좌우의 부분(12, 13)과,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으로 이루어지는 면(面)에 의하여 접합되어, 접합부의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편성포의 신장이나 움직임을 억제하고, 편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신발끈 구멍이 신장되는 것과 같은 일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2종류의 편사가 표리(表裏)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2개의 급사구(給絲口)의 위치를 맞추어 니들베드 상을 이동시키고, 니들베드에 대한 2개의 급사구의 전후의 관계에 따라, 표면측(表面側)에 나타나는 편사와 이면측(裏面側)에 나타나는 편사가 정해진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은 모두, 예를 들면 직사각형 모양이며, 편성폭은 2스티치 이상으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10스티치이다.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에는, 길이방향으로 신발끈 구멍열(lace hole row)(16, 17)이 2열로 형성되고, 신발끈 구멍열(16, 17)은 대칭축(18)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대칭축(18)을 경계로 하여 플레이팅 영역(14, 15)을 접으면, 신발끈 구멍열(16, 17)이 겹치도록 되어 있다. 신발끈 구멍열(16, 17)은, 그 일방(一方)이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에 있으면 좋지만, 강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각 플레이팅 영역(14, 15)에 각각 2열의 신발끈 구멍열(16, 1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2열의 신발끈 구멍열(16, 17)로 하더라도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 플레이팅 영역(14, 15)의 편성폭을 넓혀 각 플레이팅 영역에 각각 4열의 신발끈 구멍열을 형성하고, 접어서 플레이팅 영역(14, 15)을 4층 상태로 사용하면 견고한 신발끈 구멍열이 된다.
신발끈 구멍열(16, 17)의 신발끈 구멍은, 횡편기 상에서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발끈 구멍이 코스방향(도3의 상하방향)으로 2스티치 폭인 경우에, 신발끈 구멍에 위치하는 2스티치의 각각의 스티치를 도3의 위와 아래로 트랜스퍼하면, 2스티치 폭의 신발끈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도4, 도5에 텅(11),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 우측부분(12) 및 좌측부분(13)의 편성을 나타낸다. 편성은, 적어도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를 구비하고, 복수의 급사구(30)로부터 편사를 급사하는 횡편기 상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좌측부분(13), 좌측 플레이팅 영역(15)을 편성하고, 뒤쪽 니들베드(BB)에서 우측부분(12), 우측 플레이팅 영역(14)을 편성하지만, 전후 니들베드의 할당을 반대로 하여도 좋다. 횡편기는, 예를 들면 연동핀을 구비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하고, 급사구(30)는 연동핀에 의하여, 원하는 구간에 대하여 캐리지에 연동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급사구(30)에는, 통상의 급사구와 스프링 등에 의하여 스윙이 가능한 인타샤용(intarsia用)의 급사구가 있고, 그 중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캐리지에 연동되지 않고 자주(自走)하는 급사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편사는 텅(11)용, 우측부분(12)용 및 좌측부분(13)용의 적어도 3개를 사용하고,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을 각 2개의 편사로 편성한다. 또한 우측부분(12)용의 편사와 좌측부분(13)용의 편사는, 예를 들면 동종(同種)의 편사이다.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2종류의 편사를 나란하게 하여 편성하고, 일방의 편사가 슈즈 어퍼(2)의 표면에 나타나고, 타방(他方)의 편사는 이면에 숨겨진다. 그리고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2개의 급사구(30, 30)를 나란하게 하여 이동시킨다.
도4는 편성폭(W)에 대한 급사구(30)의 할당을 나타내고, 좌측부분(13)에 번호1의 급사구, 우측부분(12)에 번호3의 급사구, 텅(11)에 번호2의 급사구를 할당한다. 또한 도4는 3개의 급사구의 편성범위를 나타내고, 각 급사구는 각각의 편성범위 내를 왕복한다. 또한 편성은, 통모양 편성포를 주회(周回)가 아니라 왕복으로 편성하는 C편성(C-knitting)이고, C자의 개구를 접합부(20)에 의하여 막는다. 그리고 우측 플레이팅 영역(14)에 번호3과 번호2의 급사구로부터 급사하고, 좌측 플레이팅 영역(15)에는 번호1과 번호2의 급사구로부터 급사한다.
도5는 몸통의 편성공정도이고, 하측의 1)에서부터 상측의 11)의 순서로 편성한다. 1)은 3개의 급사구(30)의 최초의 배치를 나타내고, 번호1의 급사구가 접합부(20)측에, 번호2, 3의 급사구가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측에 있다. 2)에서 번호1의 급사구에 의하여 몸통의 좌측부분(13)을 편성한다. 계속하여 3)에서 좌측 플레이팅 영역(15)을 번호1, 2의 급사구를 나란하게 하여 플레이팅 편성을 한다.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2개의 급사구로부터의 편사를 상하로 나란하게 하여 스티치의 열을 형성하고, 이를 위하여 2개의 급사구를 나란하게 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이때에, 번호2, 3의 급사구로부터의 편사가 좌측부분(13)에서 바늘에 포착되지 않고, 또한 플레이팅 영역(15)에서 번호3의 급사구로부터의 편사가 바늘에 포착되지 않도록, 공지의 급사구 반환(kick the yarn feeder without knitting) 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자주식의 급사구인 경우에, 불필요한 장소에서 편사가 바늘에 포착되지 않도록 급사구를 대피시킨다.
플레이팅 영역(15)을 편성하면, 번호1의 급사구를 편성으로부터 분리하고, 4)에서 텅(11)의 좌측부분(11L)을 번호2의 급사구로 편성하고, 도5의 5)에서 텅(11)의 우측부분(11R)을 번호2의 급사구로 편성한다. 또한 우측부분(11R)과 좌측부분(11L)은, 도5에서의 편성폭의 우단(右端)에서 접속되어 있다.
도5의 6)에서, 번호2의 급사구와 번호3의 급사구에 의하여 우측 플레이팅 영역(14)을 플레이팅 편성한다. 이때에 번호1의 급사구의 편사가 편성에 관여하지 않도록 급사구 반환 등의 처리를 한다. 도5의 7)에서는, 번호2의 급사구를 편성으로부터 분리하고, 번호3의 급사구에 의하여 몸통의 우측부분(12)을 편성한다.
도5의 7)의 처리를 완료하였을 때에 급사구(30)의 배치는, 1)의 최초의 배치에 대하여 번호1의 급사구와 번호3의 급사구를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7)의 상태로부터 1)의 상태를 향하여 2)∼7)과는 역순으로, 또 편성방향을 반대로 하여 편성한다. 그러면 급사구(30)의 배치는 1)의 최초의 배치로 되돌아가고, 슈즈 어퍼를 전후 각 1코스씩 편성할 수 있다. 따라서 1)에서의 급사구(30)의 배치와, 7)에서의 급사구(30)의 배치에 있어서, 일방이 최초의 배치, 타방이 최후의 배치가 되고, 급사구(30)의 배치는 이들 2개의 배치 사이에서 변화한다.
도5의 7)의 상태로부터 1)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한 편성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5의 8)에서,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에 신발끈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몸통의 좌측부분(13)과 우측부분(12)을 접속하고, 접합부(20)로 C자의 개구를 막는다. 신발끈 구멍의 형성은, 예를 들면 구멍 내에 위치하는 스티치를 좌우로 이동시켜 다른 스티치에 포갬으로써 이루어진다.
도5의 9)는 7)의 편성방향을 반대로 한 것, 도5의 10)은 6)의 편성방향을 반대로 한 것, 도5의 11)은 5)의 편성방향을 반대로 한 것이다. 이하 마찬가지로 도5의 4), 3), 2)의 편성을, 이 순서대로 또한 편성방향을 반대로 하여 실행하면, 도5의 1)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4, 도5의 편성 전에, 편성시작라인(5)으로부터 텅(11)의 앞쪽까지 통모양 편성을 하고, 예를 들면 번호1, 3의 급사구의 일방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도4, 도5의 편성 후에, 발뒤꿈치(10)의 편성과 삽입구(6)의 편성을 하고, 예를 들면 번호1, 3의 급사구의 일방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도6은, 변형예에서의 몸통의 편성을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좌우의 플레이팅 영역(14, 15)을 각각 2개의 플레이팅 영역(14, 14'), (15, 15')으로 분할하고, 이에 따른 급사구(30)를 5개 사용한다. 각 급사구에 대한 편성범위의 할당을 도6에 나타내고, 도6의 하측의 급사구의 배치와 상측의 급사구의 배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편성한다. 사용하는 편사의 굵기나 강도를 다르게 하여 단계적으로 편성하거나 색 등을 변경함으로써, 여러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2 : 슈즈 어퍼
4 : 발끝
5 : 편성시작라인
6 : 삽입구
7 : 개구
8 : 몸통
10 : 발뒤꿈치
11 : 텅
12 : 우측부분
13 : 좌측부분
14, 15 : 플레이팅 영역
16, 17 : 신발끈 구멍열
18 : 대칭축
20 : 접합부
30 : 급사구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W : 편성폭

Claims (4)

  1. 발끝과, 발끝과 발뒤꿈치 사이의 부분으로서 텅(tongue)을 포함하는 몸통과, 발뒤꿈치와, 삽입구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슈즈 어퍼(shoe upper)에 있어서,
    몸통은, 발등의 중앙부를 덮는 텅과, 발등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텅의 우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우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우측 반을 덮는 우측부분과, 텅의 좌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좌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좌측 반을 덮는 좌측부분을 구비하고,
    텅의 편사(編絲)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表裏)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있는 스티치(stitch)가,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 계속되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右側 plating 領域)에 의하여, 텅과 우측부분이 접속되고,
    또한 텅의 편사와 좌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있는 스티치가,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 계속되는 좌측 플레이팅 영역(左側 plating 領域)에 의하여, 텅과 좌측부분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어퍼.
  2. 제1항에 있어서,
    우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이 1열 형성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이 우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우측부분에 형성되고,
    좌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이 1열 형성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이 좌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좌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어퍼.
  3. 통모양의 슈즈 어퍼를 전후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상에서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끝 또는 삽입구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발끝과, 발끝과 발뒤꿈치 사이의 부분으로서 텅을 포함하는 몸통과, 발뒤꿈치와, 삽입구를 편성하고,
    몸통의 편성에서는,
    발등의 중앙부를 덮는 텅과,
    발등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텅의 우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우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우측 반을 덮는 우측부분과,
    텅의 좌측에 있으며 또한 발등의 좌측에서부터 발바닥의 좌측 반을 덮는 좌측부분과,
    텅과 우측부분을 접속함과 아울러, 텅의 편사와 우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우측 플레이팅 영역과,
    텅과 좌측부분을 접속함과 아울러, 텅의 편사와 좌측부분의 편사가 표리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포개져 스티치를 형성하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슈즈 어퍼의 원주방향을 따라 2스티치 이상의 편성폭으로 편성되는 좌측 플레이팅 영역을
    편성하고,
    또한 몸통의 편성에서는, 우측부분의 편성, 우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텅의 편성, 좌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좌측부분의 편성의 순으로 편성하는 스텝과, 좌측부분의 편성, 좌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텅의 편성, 우측 플레이팅 영역의 플레이팅 편성, 우측부분의 편성의 순으로 편성하는 스텝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어퍼의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우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을 1열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을 우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우측부분에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좌측 플레이팅 영역에,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신발끈 구멍열을 1열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고, 또한 신발끈 구멍열과 마주 보는 다른 신발끈 구멍열을 좌측 플레이팅 영역, 텅 또는 좌측부분에 횡편기 상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어퍼의 편성방법.
KR1020177035860A 2015-05-29 2016-05-10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 KR201800085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9553 2015-05-29
JP2015109553 2015-05-29
PCT/JP2016/063865 WO2016194557A1 (ja) 2015-05-29 2016-05-10 シューズアッパーとその編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599A true KR20180008599A (ko) 2018-01-24

Family

ID=5744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60A KR20180008599A (ko) 2015-05-29 2016-05-10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60774A1 (ko)
EP (1) EP3305119A4 (ko)
JP (1) JP6433589B2 (ko)
KR (1) KR20180008599A (ko)
CN (1) CN107613802A (ko)
TW (1) TW201708649A (ko)
WO (1) WO201619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7624A (zh) * 2020-06-11 2020-09-15 陈惠兰 一种针织袜子鞋面拖鞋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405A (ja) * 1995-04-18 1996-10-29 Mariko Kin く つ
JP3037022U (ja) * 1996-10-18 1997-05-06 好子 渡辺 体調不全緩和用履き物
US6931762B1 (en) * 2002-12-18 2005-08-23 Nike, Inc. Footwear with knit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US8303885B2 (en) * 2003-10-09 2012-11-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9675134B2 (en) * 2012-01-20 2017-06-13 Shima Seiki Mfg., Ltd. Footwear, and knitting method for knit fabric
JP5940411B2 (ja) * 2012-08-08 2016-06-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BR112015004289A2 (pt) * 2012-09-25 2017-07-04 Shima Seiki Mfg calçado e método para tecelagem de malha de calçado
US9861160B2 (en) * 2012-11-30 2018-0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545128B2 (en) * 2013-03-04 2017-01-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tensile strand
US20150075031A1 (en) * 2013-09-13 2015-03-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Monofilament Areas
US8997529B1 (en) * 2014-02-03 2015-04-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monofilament knit element with peripheral knit portions
US10028545B2 (en) * 2014-03-28 2018-07-24 Shima Seiki Mfg., Ltd.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5119A1 (en) 2018-04-11
US20180160774A1 (en) 2018-06-14
CN107613802A (zh) 2018-01-19
JP6433589B2 (ja) 2018-12-05
TW201708649A (zh) 2017-03-01
JPWO2016194557A1 (ja) 2018-03-08
WO2016194557A1 (ja) 2016-12-08
EP3305119A4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3850B (zh) 鞋面之製造方法及鞋面
US10292455B2 (en) Shoe up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hoe upper
US9719198B2 (en) Footwear and method for knitting footwear
KR101954655B1 (ko) 슈즈 어퍼 및 슈즈 어퍼의 제조방법
JP5980409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JP6138266B2 (ja) インステップカバー、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
KR101934279B1 (ko) 편성포 및 편성포의 접합방법
US10351978B2 (en) Method for knitting a footwear element and footwear element obtained by such a method
TWI653372B (zh) 鞋面、及鞋面之編織方法
US20160053415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DE202013012939U1 (de) Schuhwerk mit einer gestrickten Komponente mit einer Zunge
KR101753631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JP2012219421A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2631625B1 (ko) 어퍼 및 어퍼의 제조 방법
KR20180008599A (ko) 슈즈 어퍼와 그 편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