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156A -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156A
KR20180007156A KR1020160088004A KR20160088004A KR20180007156A KR 20180007156 A KR20180007156 A KR 20180007156A KR 1020160088004 A KR1020160088004 A KR 1020160088004A KR 20160088004 A KR20160088004 A KR 20160088004A KR 20180007156 A KR20180007156 A KR 2018000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unit
optical fiber
fixing ji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412B1 (ko
Inventor
주양진
이정훈
최승현
김성현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신한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4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코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페룰 내의 멀티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다중코어광섬유와, 상기 다중코어광섬유를 수용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페룰조립체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룰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의 제1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페룰의 타 측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페룰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회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Multi-core optical fiber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코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페룰 내의 멀티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섬유 커넥터의 기본적인 접속방식은 서로 맞대는 접속으로 코어를 축과 맞대는 구조와, 그 축과 맞댄 상태를 보호 유지하는 기구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광섬유의 코어 직경은 10∼500㎛정도로 작기 때문에, 커넥터(connector)접속에 있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부품수가 적고 비교적 접속손실이 적은 페룰(ferrule)형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페룰형의 커넥터는 페룰의 중심에 광섬유 외경보다 약간 큰 미소한 직경을 가지며, 광섬유를 그 구멍 속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위치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전송기기와의 접속용으로 고정밀도로 가공한 스테인리스 페룰(stainless ferrule)을 쓴 FC커넥터를 시작으로 지르코니아 페룰을 가지고 원터치(one touch)로 탈착이 가능한 SC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 실장에 적합한 D커넥터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룰을 이용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광섬유는 파이버클래드와, 이 파이버클래드를 보호하고 완충작용을 하는 버퍼튜브와, 케블라 및 외부의 자켓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섬유의 종단부는 버퍼튜브, 케블라 및 자켓이 벗겨진 상태에서 페룰과 페룰플랜지부에 접착되고, 이러한 페룰과 페룰플랜지부를 여러 가지 부품들이 고정하고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광섬유 커넥터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 일정 길이로 광섬유 파이버클래드가 노출되도록 피복을 제거한 후에 페룰과 접착되어 있는 페룰플랜지부에 접착제를 주입한 후 피복이 제거된 파이버클래드를 삽입한다. 이때, 페룰은 중심부에 파이버클래드만이 삽입될 수 있는 파이버클래드삽입부가 형성되고, 페룰플랜지부는 일 측에 페률이 삽입되어 접착되며, 타측에는 광섬유의 파이버클래드와 버퍼튜브가 삽입되도록 광섬유의 규격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페룰플랜지부의 내경이 상이하게 제작된다.
따라서, 파이버클래드는 페룰의 파이버클래드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고, 버퍼튜브가 있는 상태의 광섬유는 페룰플랜지부에 삽입되어 접착된다. 그 후 광섬유 측에서 스프링과, 스톱링이 삽입되고, 스톱링의 종단부에 케블라를 얹힌 후에 코킹으로 스톱링을 압착하여 케블라를 고정한다. 그리고 다시 코킹의 종단부에 자켓을 얹힌 후에 링으로 압착하여 자켓을 고정하게 된다. 그 후 마지막으로 페룰을 보호하고 일정한 탄성을 주기 위한 프레임과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하여 광섬유 커넥터를 조립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같은 광섬유 커넥터는 단일 코어를 가지는 싱글코어광섬유에 적용시 페룰플랜지부에 대한 코어의 위치 정렬이 요구되지 않으나, 다중 코어를 가지는 다중코어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 페룰플랜지부에 대해 복수의 코어들이 일정한 위치에 정렬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와 같은 광섬유 커넥터의 구조에서는 이러한 정렬이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KR 10-2013-0120624 A KR 10-2007-0115468 A KR 10-103819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 코어를 가지는 다중코어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커넥터의 제작에 있어서, 페룰플랜지부에 대해 복수의 코어들을 일정한 위치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다중코어광섬유와, 상기 다중코어광섬유를 수용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페룰조립체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룰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의 제1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페룰의 타 측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페룰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회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페룰을 삽입할 수 있게 상기 페룰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소켓부의 일 측 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고정소켓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1중공부 또는 제2중공부의 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고,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그에는 상기 페룰플랜지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홈에 진입될 수 있게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키홈진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페룰조립체의 고정소켓부를 상기 고정지그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이동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와 상기 페룰조립체의 고정소켓부가 만나는 경계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조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는 다중 코어를 가지는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커넥터의 제작에 있어서, 페룰플랜지부에 대해 복수의 코어들을 일정한 위치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다중코어광섬유의 코어 배치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의 회전부를 통해 페룰을 일정 각되 회전시켜 코어를 배치를 일정한 위치에 정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1)는 메인프레임부(1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와, 거치부(300)와, 고정지그(400)와, 지지부(500)와, 회전부(600)와, 촬영부(700)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메인프레임부(100)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200)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잭스크류(jackscrew)나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0)는 베이스플레이트(200) 상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 및 고정된 제1스탠드(310)상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페룰조립체(10)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페룰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코어광섬유(11)와, 다중코어광섬유(11)를 내부에 수용하는 페룰(13)과, 페룰(13)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거치부(300)의 상면에는 다중코어광섬유(11)를 일부 수용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300)에는 페룰조립체(10)의 고정소켓부(15)를 고정지그(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 이동지지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지지부(500)는 제1스탠드(310)와 거치부(300)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가 제1스탠드(310)에 고정되고 상부는 거치부(300)를 이동지지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지지한다.
상기 고정지그(400)는 거치부(300)의 전방 측 베이스플레이트(200) 상에 설치 및 고정된 제2스탠드(410)상에 설치되며, 페룰(13)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룰플랜지부(20)를 내측에 삽입 및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지그(400)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20)와 페룰조립체(10)의 고정소켓부(15)가 만나는 경계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조사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페룰플랜지부(20)의 외주면, 더욱 상세하게는 페룰(13)과 인접하는 고정소켓부(15)의 외주면에 자외선경화제를 도포하고, 고정소켓부(15)를 페룰플랜지부(20)에 끼워 상호간의 고정 위치를 지정한 상태에서 고정소켓부(15)와 페룰플랜지부(20)가 만나는 경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고정소켓부(15)와 페룰플랜지부(20)를 1차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페룰플랜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페룰(13)을 일 측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게 페룰(1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중공부(21)가 형성되고, 제1중공부(21)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페룰(13)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소켓부(15)의 일 측 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게 고정소켓부(15)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중공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제1중공부(21)는 제2중공부(2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페룰플랜지부(20)의 내부가 단턱지게 되어 있으며, 이 단턱진 구조에 의해 고정소켓부(15)가 제1중공부(21)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페룰플랜지부(20)의 가장자리에는 제1중공부(21) 또는 제2중공부(22)의 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고, 페룰플랜지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그(400)는 페룰플랜지부(20)가 삽입될 수 있게 내측에 삽입홀(401)이 형성되고, 삽입홀(401)의 내주면에는 키홈(23)에 진입될 수 있게 삽입홀(40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진입돌기(402)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돌기(402)는 페룰플랜지부(20)에 형성된 키홈(2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보다 적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고정지그(400)의 전방 측 제2스탠드(410) 상에 설치되고, 고정지그(400)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20)의 제1중공부(21) 및 제2중공부(22)를 통과하여 페룰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페룰(13)의 타 측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00)의 상면에는 상기 페룰(13)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된 'V' 또는 'U'자 형상의 지지홈(5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600)는 지지부(500)의 상부에서 지지부(500)에 거치된 페룰(13)의 일 측 단부에 접촉되어 페룰(13)을 회전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00)에 상에 제1스탠드(310) 및 제2스탠드(410)의 상부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3스탠드(610)와, 제3스탠드(61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620)과, 회전프레임(620)에 고정되는 회전모터(630)와, 회전모터(630)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며 가장자리가 페룰(13)에 접촉되면서 페룰(13)을 회전시키는 회전판(64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600)의 회전프레임(620)에는 회전판(640)이 지지부(500)측으로 회전되어 페룰(13)에 접촉 및 회전할 때, 회전판(640)과 회전모터(630)의 자중에 의해 페룰(13)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면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페룰(13)이 회전되지 않고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3스탠드(610)를 기준으로 회전모터(630)와 대향되는 측에 웨이트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는 무게를 가감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640)에는 회전판(6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페룰(13)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링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링은 페룰(13)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 및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700)는 지지부(500)에 거치된 페룰(13)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도록 메인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페룰(13)의 일 측 단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촬영부(700)는 촬상소자가 구비된 카메라(710)와, 상기 카메라(710)가 설치되고, 카메라(710)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스테이지부(72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회전부(6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카메라(7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1)를 통해 다중코어광섬유(11)의 코어를 정렬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코어(C)들이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 및 수용된 다중코어광섬유(11)와, 다중코어광섬유(11)가 내부에 수용되는 페룰(13)과, 페룰(13)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부(15)로 이루어진 페룰조립체(10)를 거치부(300)에 거치시킨다. 페룰조립체(10)를 거치부(300)에 거치하기 이전에 고정소켓부(15)의 일 측 외주면에 자외선경화제를 도포한다.
이후, 페룰조립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페룰플랜지부(20)를 고정지그(400)에 삽입 고정하고, 거치부(300)에 거치된 페룰조립체(10)의 페룰(13)과 고정소켓부(15)를 고정지그(400)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20)의 제1중공부(21) 및 제2중공부(22)로 통과시켜 페룰조립체(10)와 페룰플랜지부(20)를 가결합한다. 이때, 이동지지부(500)를 통해 고정소켓부(15)의 후단을 고정지그(400)를 향하도록 가압함으로써 페룰조립체(10)와 페룰플랜지부(20)가 긴밀하게 밀착되며, 고정지그(400)의 페룰플랜지부(20)를 통과한 페룰(13)의 단부가 지지부(500)에 안착된다.
그리고, 촬영부(700)는 이동스테이지부(720)를 통해 카메라(710)의 위치를 이동하여 카메라(710)의 초점을 페룰(13) 내부에 수용된 다중코어광섬유(11)에 맞추고,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카메라(710)에서 획득되는 영상에서는 페룰(13)과 코어(C)가 구분되지 않으므로 페룰(13)과 코어(C)의 구분을 위해 페룰조립체(10)의 타단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코에 해당하는 부분만 발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메라(710)에서 촬영된 영상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코어(C)를 중심으로 복수의 코어(C)가 일 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틀어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의 코어(C)와 그 주변 어느 하나의 코어(C)가 수직방향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부(600)를 작동시켜 페룰(13)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의 코어(C)를 기준으로 그 주변의 코어(C)들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회전부(6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자외선조사부를 통해 페룰(13)의 고정소켓부(15)와 페룰플랜지부(20)의 경계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고정소켓부(15)의 외주면에 도포된 자외선경화제가 경화되면서 페룰플랜지부(20)가 고정소켓부(15)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페룰조립체 11 : 다중코어광섬유
13 : 페룰 15 : 고정소켓부
20 : 페룰플랜지부 21 : 제1중공부
22 : 제2중공부 23 : 키홈
100 : 메인프레임부 110 : 본체
120 : 슬라이딩플레이트 200 : 베이스플레이트
300 : 거치부 310 : 제1스탠드
320 : 이동지지부 400 : 고정지그
410 : 제2스탠드 500 : 지지부
600 : 회전부 610 : 제3스탠드
620 : 회전프레임 630 : 회전모터
640 : 회전판 700 : 촬영부
710 : 카메라 720 : 이동스테이지부

Claims (4)

  1.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다중코어광섬유와, 상기 다중코어광섬유를 수용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페룰조립체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페룰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룰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의 제1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페룰의 타 측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페룰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페룰의 일 측 단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회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페룰을 삽입할 수 있게 상기 페룰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소켓부의 일 측 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고정소켓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1중공부 또는 제2중공부의 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고, 상기 페룰플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그에는 상기 페룰플랜지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홈에 진입될 수 있게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키홈진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페룰조립체의 고정소켓부를 상기 고정지그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이동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페룰플랜지부와 상기 페룰조립체의 고정소켓부가 만나는 경계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조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KR1020160088004A 2016-07-12 2016-07-12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KR10196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04A KR101962412B1 (ko) 2016-07-12 2016-07-12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04A KR101962412B1 (ko) 2016-07-12 2016-07-12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56A true KR20180007156A (ko) 2018-01-22
KR101962412B1 KR101962412B1 (ko) 2019-03-26

Family

ID=6109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004A KR101962412B1 (ko) 2016-07-12 2016-07-12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4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031A (zh) * 2018-12-30 2019-03-08 安徽相和通信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机调芯机构
WO2020154577A1 (en) * 2019-01-24 2020-07-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fiber ferrule assembly and measurement methods
CN114325955A (zh) * 2021-12-09 2022-04-12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纤纤芯自动对准的系统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263A (ja) * 1995-09-14 1997-03-28 Seiko Giken:Kk 光ファイバの偏波面方向を指示する角度インデックスを備える光ファイバフェルール組立体
JP2003021752A (ja) * 2001-07-05 2003-01-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20070115468A (ko) 2006-06-02 2007-12-06 주식회사 제씨콤 광통신용 커넥터의 페룰-광섬유 고정용 접착수지의 기포제거방법
KR101038195B1 (ko) 2010-07-08 2011-06-0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JP2012208236A (ja) * 2011-03-29 2012-10-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コアファイバ用ファンナウト部品
JP2013522680A (ja) * 2010-03-16 2013-06-13 オーエフエス ファイテル,エルエルシー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ための多心ファイバコネクタ
KR20130120624A (ko) 2012-04-26 2013-11-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263A (ja) * 1995-09-14 1997-03-28 Seiko Giken:Kk 光ファイバの偏波面方向を指示する角度インデックスを備える光ファイバフェルール組立体
JP2003021752A (ja) * 2001-07-05 2003-01-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20070115468A (ko) 2006-06-02 2007-12-06 주식회사 제씨콤 광통신용 커넥터의 페룰-광섬유 고정용 접착수지의 기포제거방법
JP2013522680A (ja) * 2010-03-16 2013-06-13 オーエフエス ファイテル,エルエルシー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ための多心ファイバコネクタ
KR101038195B1 (ko) 2010-07-08 2011-06-0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JP2012208236A (ja) * 2011-03-29 2012-10-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コアファイバ用ファンナウト部品
KR20130120624A (ko) 2012-04-26 2013-11-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031A (zh) * 2018-12-30 2019-03-08 安徽相和通信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机调芯机构
WO2020154577A1 (en) * 2019-01-24 2020-07-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fiber ferrule assembly and measurement methods
CN114325955A (zh) * 2021-12-09 2022-04-12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纤纤芯自动对准的系统及方法
CN114325955B (zh) * 2021-12-09 2023-02-03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纤纤芯自动对准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412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3670A1 (en) Lens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962412B1 (ko) 다중코어광섬유 코어 정렬장치
US6865333B2 (en) Visual alignment of multiple-reflector collimation system
US7494402B2 (en) Ferrule holder assembly for optical-fiber-end-face grinding apparatus
TWI416186B (zh) An optical collimator and a light connector for use, and a holding member for an optical collimator
US20120219254A1 (en) Single-fiber connectors for optical fiber cables
JP5767229B2 (ja) 光ファイバを光学素子にアラインメントするための基板及びグリッパ及び関連方法
EP2548061A1 (en) Simplex connectors for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s
JPH08627U (ja) 終端された光ファイバ
KR20140005749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US20140036256A1 (en) Method for distinguishing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fusion-splicing optical fibers
TWI619979B (zh) 低反射光纖連接器
KR100764407B1 (ko) 카메라 모듈의 화상 검사장치
US66908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alignment of optical fiber
EP1417520B1 (en) Fiber-optic cable alignment system
JP2006184754A (ja) 光導波路、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光ファイバ実装治具及び光ファイバ実装方法
JP2004012335A (ja) 被検体の傾き誤差調整支援方法
JP4158896B2 (ja) 光コネクタ
JP2010002856A (ja) レンズ鏡筒、レンズ鏡筒の製造方法、及び光学機器
JP6713544B2 (ja) 内視鏡
JP2008233631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WO2004017115A1 (en) Fiberoptical ferrule
EP2824491B1 (en) Optical connector
JP2012014113A (ja) fB調整及びシフト調整可能なレンズ枠及び調整装置
JP2004004222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