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830A -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830A
KR20180006830A KR1020160087772A KR20160087772A KR20180006830A KR 20180006830 A KR20180006830 A KR 20180006830A KR 1020160087772 A KR1020160087772 A KR 1020160087772A KR 20160087772 A KR20160087772 A KR 20160087772A KR 20180006830 A KR20180006830 A KR 2018000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ottom portion
health
fabric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철
Original Assignee
인소팩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소팩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소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830A/ko
Publication of KR201800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47G27/0225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for bathroo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81Resisting skidding or cr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60N2/5685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를 1200도로 가열하여 생성된 활성탄소와 폴리에스터를 혼합한 단섬유를 메쉬 구조로 직조한 상단부와 원단의 생지 상태에서 도트가공을 한 후 텐타 가공한 바닥부 및 250 내지 350 데니어로 직조된 모노필라멘트사를 일정한 높이로 상단부와 바닥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공기 흐름이 가능한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어 인체의 땀을 쉽게 배출할 수 있고, 중량에 따른 변형 없이 일정한 탄성과 복원력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하는 건강 매트이다.

Description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Health mat to provide a breathable}
본 발명은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제공하여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하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건강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쿠션 등을 이용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나, 인체의 땀이나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세탁이 용이하지 않아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한 물질이 축적되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더블라셀 기계를 이용하여 3D 입체 매트의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4605호를 참조하면,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중간층을 특징으로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별도로 표면층과 이면층이 본딩을 통해 합포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추가적인 단계가 더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80467호는 더블라셀 기계를 사용하여 제조된 건강통풍매트로 표면원단과 이면원단이 동시에 직조되고, 부가적으로 모노필라멘트사에 의해 일체로 엮이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표면원단과 이면원단이 동시에 직조되므로 일정한 높이를 보장할 수 없어 쿠션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089959호는 쿠션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3차원 입체 시트에 관한 것으로, 연결층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의 충진 지수, 원사의 굵기 등을 특정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탄성과 통기성을 제공하고, 인체에 유해한 본드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소재로만 제조된 건강 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매트에는 통풍이나 통기를 위해 메쉬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원단을 직조 시 폴리에스테르 원사만을 가지고 직조함으로 사용 시 쿠션감이나 일정한 시간 사용 시 몸무게에 의한 눌림에 복원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둥 역할을 하는 연결부는 중량단위인 데니아의 굵기가 중요한데 굵으면 매트용으로 사용하기에 딱딱한 느낌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너무 얇고 부드럽게 하면 복원력이 좋지 않아 신체에 맞는 최적의 중량을 단순히 원단을 기준으로만 반영되고 있다.
종래의 매트는 평평함을 유지하기 위해 매트 상단부에 본드를 사용해서 고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유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환경호르몬이 포함될 수 있는 화학성분 소재를 사용하고 있어 신체에 유해할 수 있다.
또한, 매트는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을 시 접히는 부분으로 인해 부피가 크거나 잘 접히지 않고 접히는 부분의 복원력이 좋지 않아 평편함을 유지하기 어렵다. 더구나 전시나 재난 시에 큰 매트의 경우는 접기에 불편하고 부피가 커서 보관이나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건강매트로서, 일정한 공기 흐름이 가능하여 업드려 자는 유아나 노인 특히 욕창이 생길 염려가 있는 환자가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세탁시에 샤워기로 간단한 물세탁이 가능하며 진드기, 먼지, 유해균 등이 서식할 수 없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건강 매트로서, 남녀노소 모두의 건강 지킴이 역할이 가능한 발명이다.
또한 베개, 방석, 일반매트, 주방매트, 전기매트 등 다양한 파생제품에 적용함으로서 파급효과가 있으며 직조물을 이용한 이불, 카펫, 차량소파 등에 적용이 가능한 산업적 측면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펫, 주방매트, 욕실매트, 미끄럼방지용, 소파용, 차량시트용, 의료용 매트, 유아용 매트, 침대용 등 다양한 용도에서 친환경적 건강매트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건강 매트를 구성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대표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상단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하단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접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발열선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매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피부에 닿는 부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최상단 커버부(10), 대나무 숯을 분말화하여 원사를 만들고 폴리에스터원사를 조합하여 원단으로 직조한 상단부(20), 상단부와 하단부를 250에서 350데니아 굵기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하여 직조한 제1연결부(30), 하단에 상단부와 다른 원사로 직조한 바닥부(40), 미끄럼방지를 위해 바닥부에 유해 성분이 없는 재질로 도트 처리한 최하단 바닥부(50), 각각의 구성을 고정하고 인체에 유해한 본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커버부와 바닥부까지 전체를 조합한 후 S자 형태로 박음질한 제2연결부(60)와, 수납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간에 비연결부(70), 열을 가하기 위한 탄소발열선(80),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90) 및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테두리 부분을 봉제 등의 수단으로 마감 가공한 접합부(100)로 구성한 건강매트이다.
특히, 도1의 비연결부(70)는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절약하여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제1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채용가능하고, 지진 태풍 수해 등 재난 발생 대피소에서 사용하는 큰 매트나 가정에서 카펫처럼 사용하는 매트를 수납시에 작게 접지 못하여 수납공간이 커지는 등 수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의 커버부(10)는 피부에 접하는 부분으로 건강성분인 대나무 숯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음이온 효과로 인한 심신안정, 냄새제거,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피부보호, 전자파차폐, 수분 흡착 및 수질 정화, 땀이나 수분을 흡수하여 불순물을 분해하는 항균, 원적외선방사로 인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효과를 통해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도3의 상단부(20)는 대나무 숯으로 원사를 만들어 일부 혹은 전부를 원단(21)으로 직조하여 상기 숯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연결모양은 통기를 위해 일정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4의 제1연결부(30)는 250 내지 350 데니어로 직조된 모노필라멘트사(31)를 이용하여 상기 상단부와 상기 바닥부를 1.0T 내지 2.0T의 높이로 연결하여 일정한 탄성과 통기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200 데니어보다 낮은 경우 복원력 및 안락감이 떨어지고 400 데니어를 초과한 경우 시트의 촉감이 거칠고, 쿠션감이 떨어져 느껴지고 안락감이 부족할 수 있다.
도5는 제2연결부(60)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최상단 커버 원단을 하단부와 접착하기 위해 유해물질인 본드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원천 차단 및 견고함을 유지하고, 자연주름 자체가 디자인이 될 수 있는 S자 형태의 박음질로 처리된 연결부를 별도로 구비한다.
도6의 바닥부(40)는 일반 원단이나 상단부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원단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도트 처리한 최하단 바닥부(50)를 부가하고 있고, 이는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이 없는 네오티를 사용하고, 공정과정에 발생하는 원단의 수축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생지상태에서 도트가공을 한 후 텐타 가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7의 접합부(100)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테두리 부분을 봉제 등의 수단으로 마감 가공한다.
도8의 탄소발열선(80)은 열제어기 연결단자(90)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숯 성분이 포함된 열선이나 일반선을 넣어 열을 가함으로써 따뜻하게 하거나 연결선, 상단부, 연결부, 하단부에 따뜻한 공기가 일정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소발열선(80)은 필요에 따라 추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하계용으로 사용될 매트에는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
지금까지 기재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을 기초로 일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균등물에 범주에 속할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10: 커버부
20: 상단부, 21:상단부를 구성하는 메쉬원단
30: 제1연결부, 31: 모노필라멘트사
40: 바닥부
50: 최하단 바닥부
60: 제2연결부
70: 비연결부
80: 탄소발열선
90: 연결단자
100: 접합부

Claims (7)

  1. 통기성 및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에 있어서,
    숯 성분이 포함된 원사를 다각형 형태로 직조한 상단부(20);
    매쉬 원단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도트를 부착한 바닥부(40);
    250 내지 350데니어로 직조된 모노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상기 상단부와 상기 바닥부를 1.0T 내지 2.0T의 높이로 연결하여 일정한 탄성과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1연결부(30);
    상기 상단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직접 인체와 접촉하는 커버부(10);
    상기 커버부, 상단부 및 바닥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동시에 연결하는 제2연결부(60); 및
    매트의 가장자리를 마감 처리한 접합부(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20)는 대나무를 1200도로 가열하여 생성된 활성탄소와 폴리에스터를 혼합한 단섬유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콜 필라멘트사와 면을 혼합하여 다각형 형태로 직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40)는 상기 커버부(10)에 S자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누비는 제조공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를 위한 상기 도트는 상기 바닥부(40)를 구성하는 매쉬 원단의 변형 또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원단의 생지 상태에서 도트가공을 한 후 텐타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매트는 침대용 매트, 바닥용 매트, 의자용 매트, 의료용 매트, 자동차용 매트, 주방용 매트, 욕실매트, 유아용 매트, 미끄럼 방지용 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매트는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비연결부(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기를 공급하기 위한 탄소발열선(80); 전기를 연결하는 어댑터와 연결하는 연결단자(90);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상단부에 봉제하여 발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매트.
KR1020160087772A 2016-07-11 2016-07-11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KR20180006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772A KR20180006830A (ko) 2016-07-11 2016-07-11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772A KR20180006830A (ko) 2016-07-11 2016-07-11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830A true KR20180006830A (ko) 2018-01-19

Family

ID=6102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772A KR20180006830A (ko) 2016-07-11 2016-07-11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2042A (zh) * 2018-08-24 2019-01-08 嘉兴市金乐染织有限公司 一种麂皮绒面料的加工方法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2042A (zh) * 2018-08-24 2019-01-08 嘉兴市金乐染织有限公司 一种麂皮绒面料的加工方法
CN109162042B (zh) * 2018-08-24 2020-12-11 嘉兴市金乐染织有限公司 一种麂皮绒面料的加工方法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4344A1 (en) Component with multiple layers
US8656534B2 (en) Household bed covering for families with pets
KR20180020028A (ko) 유아용 기능성 3d 에어쿠션 베게
KR20180006830A (ko) 통기성을 제공하는 건강 매트
KR101231233B1 (ko) 다용도 전기온열매트
US20150128351A1 (en) Washable mattress topper
JP3182080U (ja) 布団干し兼用敷布団敷板装置及びベンチ装置
WO2019183545A1 (en) Sleep comfort system
CN207323127U (zh) 一种可加热护颈的凝胶坐垫
JP3168319U (ja) 清涼感を得られる敷きパッド
JP3101719U (ja) マットレス
KR101653112B1 (ko)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통풍매트
JP3045700U (ja) 健康寝具
JP3137418U (ja) 敷物類
KR200455459Y1 (ko) 하절기용 매트
JP2005110871A (ja) マットレス装置
CN209031623U (zh) 一种冷感坐垫
JP2018196565A (ja) 寝具用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75636Y1 (ko) 건강보조용 매트리스
JP3027030U (ja) 敷パット
JP3110047U (ja) 多機能繊維シート
JP2003310407A (ja) 寝装品
KR20190115955A (ko) 입체직조매트와 폼 쿠션을 분리 적층한 매트리스 제조 방법
JPH02249511A (ja) 車両用座席又は椅子等の敷物材料
JP3203480U (ja) 敷き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