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539A -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539A
KR20180004539A KR1020160084215A KR20160084215A KR20180004539A KR 20180004539 A KR20180004539 A KR 20180004539A KR 1020160084215 A KR1020160084215 A KR 1020160084215A KR 20160084215 A KR20160084215 A KR 20160084215A KR 20180004539 A KR20180004539 A KR 2018000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maining time
progress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626B1 (ko
Inventor
김문극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돌전자통신 filed Critical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16008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신호로 바뀌기 전에 현재 신호의 잔여시간을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리얼 데이터 통신 방식의 보행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과 추가적으로 현재 국내에서는 서비스되고 있지 않은 보행자들이 언제 보행 녹색신호가 시작되는지 확인 가능한 대기시간 표출 장치를 통해서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들에게 안전한 통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정의된 내용들을(신호운영상태 정보, 옵션보드규격 등) 준수하여 서비스하는 구성으로 교통신호제어기 제조사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TIME FOR TRAFFIC SIGNALS}
본 발명은 교통신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 신호로 바뀌기 전에 현재 신호의 잔여시간을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통행을 위한 교차로나 보행자 통행을 위한 횡단보도 주변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등은 교통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색상별로 보행자 신호등에는 2개, 차량 신호등에는 3개 이상의 신호가 구성된다.
이처럼 종래의 신호등은 일정간격의 시간동안 적색, 황색, 녹색신호를 표시하는 차량 신호등과, 차량 신호등의 색신호에 따라 적색과 녹색 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되어 차량과 보행자들의 진행, 정지상태를 시각적으로 통지함으로써 교통 질서유지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신호등은 교차로 및 횡단보도에서 차량 및 보행자의 진행을 의미하는 신호인 녹색등이 점등된 후 잔여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운전자와 보행자가 정지를 의미하는 신호인 적색등이 점등되는 시기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이러한 신호 예측의 어려움으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채 건너기도 전에 녹색등이 깜박거리게 되면 보행자는 언제 적색등으로 바뀔지 몰라 매우 불안한 상태에서 도로를 횡단하게 되며, 또한 뒤늦게 횡단보도에 이른 보행자는 녹색등의 잔여시간을 예측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횡단하려다 사고를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근래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또는 교차로의 신호등 일측에 신호등의 잔여시간을 알려주는 표시 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의 일측에 잔여시간 표시부가 설치되어 녹색등이 점등되면 녹색등의 잔여시간에 따라 표시부의 눈금이 줄어들게 되면서 녹색등의 소등시점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표시부는 진행신호의 잔여시간만을 알려주고 있어 정지신호에서 진행신호로 전환되는 잔여시간을 알려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정지신호에서 진행신호로 전환되는 시기를 예측해서 미리 건너려는 상황이 야기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진행 및 정지 신호와 구분되어 설치되는 표시부는 교통 신호등을 제어하는 주제어기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데, 주제어기는 신호등의 점소등 신호를 신호등에 인가함과 동시에 신호등의 점소등에 따른 잔여시간 신호를 인가하여 잔여시간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의 설치를 위하여 주제어기와 연결해야만 하므로 표시부가 없는 기존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는 주제어 장치와 연결해야 하는 복잡한 설치 과정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호등의 점소등 시간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 신호등의 점소등과 연관된 표시장치의 제어 신호 또한 별도로 변경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주제어기를 통해 진행 및 정지신호의 제어와 잔여시간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주제어 장치 제품에 전원적, 시스템적 부하를 주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3336호(2011.01.29.자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보행자들에게 진행 신호가 시작되는 시점과 정지 신호가 시작되는 시점의 확인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잔여시간 표출 장치를 제공하여 보행자가 다음 신호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없이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을 각각 표출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에 있어 기존 표준교통신호제어기에 장착 가능한 표준화된 규격화 장치로 구성하여 추가 설치의 편리성과 운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신호등의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교대로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 상기 신호 제어부와 독립 제어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신호 표출부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도록 제어하는 잔여시간 제어부; 및 상기 신호 표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잔여시간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신호 표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부; 및 상기 제1전원부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잔여시간 제어부와 상기 잔여시간 표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의 전원부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고장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 및 진행신호와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를 포함하는 신호등을 제어하고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표출부의 표시 신호가 진행신호로 점등되는 제1점등 단계; 상기 진행 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팅 단계; 상기 표시 신호가 상기 정지 신호로 점등하는 제2점등 단계; 및 상기 정지 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신호등을 구성하는 신호 중 하나인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진행신호 제어부;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각각 표출하는 진행신호 표출부; 상기 진행신호 제어부와 독립 제어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등을 구성하는 신호 중 다른 하나인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정지신호 제어부;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각각 표출하는 정지신호 표출부; 상기 진행신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부; 및 상기 제1전원부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정지신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고장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잔여시간을 제어하는 진행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진행신호의 점등과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진행신호 표출부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잔여시간을 제어하는 정지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정지신호의 점등과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정지신호 표출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행신호 표출부에서 진행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진행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는 제1표출 단계; 상기 정지신호 표출부에서 정지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정지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는 제2표출 단계; 상기 진행신호가 동작하는 구간에서 상기 정지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제2전원부 충전단계; 및 상기 정지신호가 동작하는 구간에서 상기 진행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제1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제1전원부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제어부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정의된 내용들을(신호운영상태 정보, 옵션보드규격 등) 준수하여 서비스하는 구성으로 교통신호제어기 제조사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들에게 정지신호의 잔여시간을 알려줌으로써 언제 진행신호가 점등되는지 알게 하여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에 따른 신호 제어부의 개략적인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에 따른 잔여시간 제어부의 개략적인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은 신호등의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100); 신호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교대로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110); 신호 제어부(100)와 독립 제어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신호 제어부(100)로부터 신호 표출부(11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진행신호와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도록 제어하는 잔여시간 제어부(200); 및 신호 표출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잔여시간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진행신호와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100)와 신호 표출부(110)는 제1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운영되며, 잔여시간 제어부(200)와 잔여시간 표출부(210)는 제1전원부와 별도의 제2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운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전원부와 제2전원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1전원부와 제2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의 전원부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고장전원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진행신호 표출부(111)와 정지신호 표출부(112)로 구성되는 신호 표출부(110)를 제어하는 주제어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혹은 관리자의 관리에 따라서나 교통 상황에 따라 진행신호와 정지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 표출부(110)를 제어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100)는 신호 표출부(110)의 진행신호 표출부(111) 또는 정지신호 표출부(112) 중 한 신호의 점등 상태를 지속시키거나 다른 신호로 바뀌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제어부(100)는 신호 표출부(110) 중 하나의 신호가 점등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점멸하다가 다음 신호로 바뀌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잔여시간 표출부(210)는 신호 표출부(110)의 신호가 전환되기까지의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LED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부(미도시)와 LED 구동부에 따라서 숫자 형태로 표출되는 LED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신호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 표출부(110)에서 표출되고 있는 진행신호(111) 또는 정지신호(112)가 각각 다른 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아있는 시간을 잔여시간 표출부(210)에서 숫자로 표시되게 한다.
예를 들면 진행신호(111)가 표출되고 있을 때는 진행신호(111)의 잔여시간을 나타내어 1초에 하나씩 다운카운팅 되도록 동작하며, 정지신호(112)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신호(111)에서 카운팅이 완료되면 정지신호(112)에 대한 잔여시간을 나타내어 1초에 하나씩 다운카운팅 되도록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신호 표출부(110)에서 표출되고 있는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의 상태를 입력 값으로 수신받아서 각 신호가 점등 및 소등하는 시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등 및 소등 시간을 검출한다는 것은 진행신호(111) 또는 정지신호(112)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의 신호로 전환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상기와 같은 검출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검출되는 점소등 시간의 주기가 변경될 시에 이를 신호 제어부(100)의 고장신호로 인식하게 되어 신속한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은 신호 제어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전원(미도시)과 잔여시간 제어부(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전원(미도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1전원과 제2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기존 잔여시간 표출부(2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신호등의 신호 제어부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표준화된 보드타입의 장치로 구성되므로써 잔여시간 표출부의 추가 설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과 운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은 진행신호(111)와 정지신호(112)를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110) 및 진행신호(111)와 정지신호(112) 각각에 대한 진행신호 잔여시간(211)과 정지신호 잔여시간(212)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210)를 포함하는 신호등을 제어하고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신호 표출부(110)의 표시 신호가 진행신호(111)로 점등되는 제1점등 단계; 진행신호(111)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팅 단계; 표시 신호가 상기 정지 신호로 점등하는 제2점등 단계; 및 정지 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100)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은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에 따른 신호 제어부의 개략적인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제어부(100)는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입력단계(S110); 신호 표출부(110)에 표출될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여부 선택단계(S120);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에 대한 입력 값과 점소등 선택값이 일치하는지는 판별하여(S130) 일치할 경우 해당 신호 표출하고 표출값을 후술할 잔여시간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신호입력단계(S110)는 신호 표출부(110)에서 표출되는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지정하는 단계로서, 교통 상황에 맞는 일정 주기의 신호가 반복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여부 선택단계(S120)는 신호입력단계(S110)에서 입력 받은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표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진행신호와 정지신호가 표출되는 지정 시점에 맞추어 표출되기 위한 해당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때 신호입력 단계(S110)에서 입력받은 신호와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여부 선택단계(S120)에서 표출되는 표출값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통하여 신호입력 단계(S110)에서 입력받은 신호와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여부 선택단계(S120)에서 선택된 표출값이 일치하는 경우 선택된 표출값을 신호 표출부로 표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신호 표출부에서 표출되고 있는 표출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로 해당 표출값을 송신하는 단계(S140)를 진행한다.
이때 고장검출단계(S131)를 더 포함하여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에 대한 입력 값과 점소등 선택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 제어부(100)의 고장으로 인식하므로써 다시 한번 점소등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0)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고장검출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에는 신호 표출단계(S140)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신호 제어부(100)의 고장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잔여시간 제어부(200)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4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에 따른 잔여시간 제어부의 개략적인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신호 제어부(100)에서 표출되는 신호 표출값을 입력값으로 수신하는 신호 표출값 수신 단계(S210); 그리고 수신받은 신호 표출값을 통하여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잔여시간 산출 단계(S220); 산출된 잔여시간과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시간이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단계(S230); 및 산출된 잔여시간과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시간이 일치할 경우 해당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신호 표출값 수신 단계(S210)는 신호 제어부(100)에서 신호 표출값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신호 표출부(110)에서 진행신호와 정지신호 중 현재 표출되고 있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는 현재 표출되고 있는 신호의 종류, 점등시간, 소등시간 등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잔여시간 산출 단계(S220)는 신호 표출값 수신 단계(S210)에서 수신받은 신호 제어부(100)의 정보를 기초로 현재 표출되고 있는 신호의 점등시점으로부터 소등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잔여시간 산출 단계(S220)에서 산출된 잔여시간과 신호 제어부(100)에서 표출되고 있는 신호의 점소등 시간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30)를 통하여 각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표출되고 있는 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표출하게 된다(S240).
그러나 산출된 잔여시간과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 시간이 일지하는지 판별하여(S230)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고장검출 단계(S231)를 더 포함하여 다시 한번 잔여 시간을 산출하게 한다. 이와 같이 고장검출 단계(S231)가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에는 잔여시간 표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잔여시간 제어부(200)의 고장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호 표출부(110)와 별도의 전원을 통하여 운영되는 잔여시간 표출부(210)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신호 제어부(1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잔여시간 표출부(210)는 잔여시간 제어부(200)에 의해 그 동작이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신호 제어부(100)에서 발생되는 표출신호를 검출하여 입력값으로 사용하게 된다(S310).
신호 제어부(100)에서 검출한 신호 값을 기초로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잔여시간을 산출한다(S320). 그리고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을 각각 제어하여 잔여시간 표출부(210)에 각 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잔여시간 제어부(200)는 신호 제어부(100)에서 수신받은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의 표출 상태를 이용하여 각 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을 산출한 값을 기초로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진행신호를 제어하는 경우(S330) 신호 제어부(100)로부터 진행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 받고(S331) 진행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잔여시간 표출부(210)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진행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은 신호 표출부(110)에서 진행신호(111)가 점등되어 표출되고 있다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행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은 진행신호(111)가 점등되어 표출되는 동안 진행신호의 잔여시간(211)은 카운팅 되는 동작을 수행(S332)하는 동시에 정지신호는 소등된 상태에서 정지신호 잔여시간(212) 역시 소등된 상태를 유지(S333)하는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지신호를 제어하는 경우(S340) 신호 제어부(100)로부터 정지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 받고(S341) 정지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잔여시간 표출부(210)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정지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은 신호 표출부(110)에서 정지신호(112)가 점등되어 표출되고 있다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지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은 정지신호(112)가 점등되어 표출되는 동안 정지신호 잔여시간(212)은 카운팅 되는 동작을 수행(S343)하는 동시에 진행신호(111)와 진행신호 잔여시간(211)은 소등된 상태를 유지(S343)하는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호 표출부(110)는 제1전원부로 구동되는 신호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S334)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잔여시간 표출부(210)는 제2전원부로 구동되는 잔여시간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S344)되도록 하여 신호 제어부(100)와 잔여시간 제어부(200) 각각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및 제2전원부에 역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별도의 제어를 통해 운영되는 본 발명은 신호 제어부(100)의 불량이 발생해도 신호 제어부(100)와 통신하는 잔여시간 제어부(200)에서 수신 받았던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시간을 지속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전원부와 제2전원부 중 하나의 전원부가 고장났을 시에 나머지 하나의 전원부가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 신호로 바뀌기 전에 현재 신호의 잔여시간을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정의된 내용들을(신호운영상태 정보, 옵션보드규격 등) 준수하여 서비스하는 구성으로 교통신호제어기 제조사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보행자들에게 적색신호의 대기시간을 알려줌으로써 언제 녹색신호가 점등되는지 알게 하여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신호 제어부
110: 신호표출부
200: 잔여시간 제어부
210: 잔여시간 표출부

Claims (7)

  1. 신호등의 진행신호와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교대로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의 점등과 소등을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
    상기 신호 제어부와 독립 제어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신호 표출부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도록 제어하는 잔여시간 제어부; 및
    상기 신호 표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잔여시간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진행신호와 상기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신호 표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부; 및
    상기 제1전원부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잔여시간 제어부와 상기 잔여시간 표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의 전원부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고장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4. 진행신호와 정지신호를 표출하는 신호 표출부 및 진행신호와 정지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잔여시간 표출부를 포함하는 신호등을 제어하고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표출부의 표시 신호가 진행신호로 점등되는 제1점등 단계;
    상기 진행 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팅 단계;
    상기 표시 신호가 상기 정지신호로 점등하는 제2점등 단계; 및
    상기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
  5. 신호등을 구성하는 신호 중 하나인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진행신호 제어부;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진행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각각 표출하는 진행신호 표출부;
    상기 진행신호 제어부와 독립 제어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등을 구성하는 신호 중 다른 하나인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정지신호 제어부;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상기 정지신호의 점소등 잔여시간을 각각 표출하는 정지신호 표출부;
    상기 진행신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부; 및
    상기 제1전원부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정지신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1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인지한 경우 고장난 전원부의 역할을 나머지 하나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고장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7. 진행신호의 점소등과 잔여시간을 제어하는 진행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진행신호의 점등과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진행신호 표출부 및 정지신호의 점소등과 잔여시간을 제어하는 정지신호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정지신호의 점등과 잔여시간을 표출하는 정지신호 표출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행신호 표출부에서 진행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진행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는 제1표출 단계;
    상기 정지신호 표출부에서 정지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정지신호에 대한 잔여시간이 카운팅 되는 제2표출 단계;
    상기 진행신호가 동작하는 구간에서 상기 정지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제2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제2전원부 충전단계; 및
    상기 정지신호가 동작하는 구간에서 상기 진행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제1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제1전원부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방법.
KR1020160084215A 2016-07-04 2016-07-04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2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15A KR101923626B1 (ko) 2016-07-04 2016-07-04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15A KR101923626B1 (ko) 2016-07-04 2016-07-04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39A true KR20180004539A (ko) 2018-01-12
KR101923626B1 KR101923626B1 (ko) 2018-11-29

Family

ID=6100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215A KR101923626B1 (ko) 2016-07-04 2016-07-04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68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세진기업 교통 신호등 및 교통 신호의 제어 방법
KR20190138022A (ko) 2018-06-04 2019-12-12 최세진 신호등의 시간 표시 시스템
KR20210129417A (ko) * 2020-04-20 2021-10-28 설동열 보행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2438440B1 (ko) * 2022-03-18 2022-08-31 주식회사 피엔디 보행등과 연계작동되는 횡단보도 투광등 제어시스템
KR102449412B1 (ko) 2022-07-20 2022-09-29 홍석우 숫자형 신호등 보조 장치
KR102572263B1 (ko) * 2022-11-18 2023-08-29 주식회사 필립트론 오류 감지 및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잔여 표시기 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68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세진기업 교통 신호등 및 교통 신호의 제어 방법
KR20190138022A (ko) 2018-06-04 2019-12-12 최세진 신호등의 시간 표시 시스템
KR20210129417A (ko) * 2020-04-20 2021-10-28 설동열 보행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2438440B1 (ko) * 2022-03-18 2022-08-31 주식회사 피엔디 보행등과 연계작동되는 횡단보도 투광등 제어시스템
KR102449412B1 (ko) 2022-07-20 2022-09-29 홍석우 숫자형 신호등 보조 장치
KR102572263B1 (ko) * 2022-11-18 2023-08-29 주식회사 필립트론 오류 감지 및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잔여 표시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626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26B1 (ko)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206378B2 (ja) 運転支援装置
KR102077113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7047894A (ja) 信号制御システム、および信号制御装置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2012011459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CN103794067A (zh) 一种智能交通信号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90882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변화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799067B1 (ko)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JP4872595B2 (ja) 通信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機、及び、路上通信装置
KR101661964B1 (ko) 차량 신호전용 경보 점멸등을 활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JP5315843B2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駆動装置、交通信号制御機及び信号制御判定方法
KR101490060B1 (ko) 과속 시 차량의 실내 조명을 이용한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101498372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CN105139675A (zh) 集成有监控和网络反馈单元的城市智能交通指挥装置
KR20190114468A (ko) 교통 신호등 및 교통 신호의 제어 방법
KR100984747B1 (ko) 교통신호등의 보행자 신호조작장치
JP2008158670A (ja) 路車間通信の判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これに用いる車載機、光ビーコン
KR101775151B1 (ko) 신호등 전력 검출을 통한 고장 검지 기능을 가진 교통신호기
JP5454551B2 (ja) 交通信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装置
JPH11120484A (ja) 照明装置
KR20130054816A (ko) 적색등 및 녹색등의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차량용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JP2008234489A (ja) 渋滞報知システム
KR100367224B1 (ko) 횡단보도 정지선위반 정차차량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1023908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변화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