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372B1 -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372B1
KR101498372B1 KR1020130082984A KR20130082984A KR101498372B1 KR 101498372 B1 KR101498372 B1 KR 101498372B1 KR 1020130082984 A KR1020130082984 A KR 1020130082984A KR 20130082984 A KR20130082984 A KR 20130082984A KR 101498372 B1 KR101498372 B1 KR 10149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larm
led display
traffic acciden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701A (ko
Inventor
박두현
Original Assignee
박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현 filed Critical 박두현
Priority to KR102013008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3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터널 경보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을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은, 터널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 차량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경보음을 출력하며,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제2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와,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소등되되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2경보음과 동시에 출력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과,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경보기 및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와,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황에 따라서 터널 경보 제어장치에 개별 접속하여 상황실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Omitted}
본 발명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터널 경보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을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줄어들지 아니하고 있고, 터널 내에서의 차량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특히 터널 내에서 차량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후속차량에 의한 제2의 교통사고가 날 가능성이 많아 연쇄 추돌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도로 상에 형성된 터널은 외부 환경과 독립된 환경속에 있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터널 관리자가 터널 내부로 이동하여 터널 내부의 환경을 관찰하지 않고는 터널 내부의 환경, 예를 들면 공기 중 유해가스, 먼지 및 매연의 함량, 풍속의 변화,또는 화재발생의 여부 등을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운전자에게 터널의 전방 또는 입구에 터널이 있음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터널 표지판 및 경보등을 설치하여 터널이 있음을 경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터널 표지판 및 경보등에 의해서는 터널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려 차량의 운행에 주의를 요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터널 내부에서 뜻하지 않는 교통사고가 일어날 경우에는 제2의 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더욱 높았으며, 특히나 차량 통행이 뜸한 지역에서는 운전자로 하여금 무관심을 유발시켜 차량이 터널 내로 진입한 이후 터널 내의 연쇄 추돌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터널 경보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을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각 터널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순차 점멸 경고등과 경보기가 동시에 동작하여 사고에 대한 2차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광원으로 막대형 LED가 적용된 순차 점멸 경고등으로 구성하여 LED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막대형 LED 표시부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음으로써 운전자에게 2차 경고 및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황실에 설치된 중앙 제어장치를 통하여 터널에 설치된 터널 경보 제어장치의 점등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은, 터널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 차량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경보음을 출력하며,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제2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와,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소등되되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2경보음과 동시에 출력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과,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경보기 및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와,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황에 따라서 터널 경보 제어장치에 개별 접속하여 상황실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널 경보 제어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순차 점멸 경고등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수신부에 의해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경보기 제2경고음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순차 점멸 경고등은, 터널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반원형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신호봉의 흔들림을 표시하는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는 각각, 제1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하우징 상에 2열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에 의해 스위칭 소자의 연결시 적색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의 순차 점멸 경고등은 터널의 내벽면에 부착되기 위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반원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를 구비하는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는, 중앙에 배치되어 기준 각도를 정의하는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1막대형 LED 표시부에서 각각 기준 각도의 +45 ~ +90도와 -45도 ~ -90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막대형 LED 표시부 및 제3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2막대형 LED 표시부의 사이 및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3막대형 LED 표시부의 사이를 분할하여 배치되는 제4막대형 LED 표시부 및 제5막대형 LED 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 각각은, 하우징 상에 2열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에 의해 점등시 적색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터널 경보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을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은, 각 터널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순차 점멸 경고등과 경보기가 동시에 동작하여 사고에 대한 2차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은, 광원으로 막대형 LED가 적용된 순차 점멸 경고등으로 구성하여 LED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막대형 LED 표시부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음으로써 운전자에게 2차 경고 및 위험을 알릴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은, 상황실에 설치된 중앙 제어장치를 통하여 터널에 설치된 터널 경보 제어장치의 점등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a~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막대형 LED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10)은, 터널(20)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100)와, 터널(20)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 차량 감지 센서(100)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경보음을 출력하며,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제2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200)와, 터널(20)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소등되되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제2경보음과 동시에 출력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300)과, 터널(20) 내부에 설치되어 경보기(200) 및 순차 점멸 경고등(300)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와,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황에 따라서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개별 접속하여 상황실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감지 센서(100)는, 터널(20)의 입구 또는 출구에 구비되어 터널(2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데, 이러한 차량 감지 센서(100)는 차량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경보기에서 제1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신호를 제공한다.
경보기(200)는,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1경보음 또는 제2경보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데, 이러한 경보기(200)는 터널(20) 내부의 차량 정상운행 상황에서 차량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1경보음을 출력하며,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제2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터널(20)의 내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순차 점멸 경고등(300)은, 터널(20)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소등되되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의해 순차 점멸되어 교통 사고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터널(20)의 내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는, 터널(20) 내벽면에 설치되어 경보기(200)와 순차 점멸 경고등(300)을 각각 제어하는데, 차량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경보기에서 제1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며 교통사고 상황에서는 경보기(200)에서 제2경보음이 출력됨과 동시에 순차 점멸 경고등(300)이 동작되도록 한다.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는 터널(20)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순차 점멸 경고등(300) 및 경보기(200)와 연결되고,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는 네트워크에 의해 원격지의 중앙 제어장치(500)에 연결된다.
이러한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는, 전원 공급부(410)와, 중앙 제어장치(500)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20)와, 수신부(420)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통하여 순차 점멸 경고등(300)의 점멸 상태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430)와, 수신부(420)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통하여 경보기(200)의 제2경고음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전원 공급부(41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용전원이 공급되는데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축전지가 구비된 예비전원이 형성되어 정전사고시 상기 상용전원과 연결된 정전 감시부(미도시)가 정전을 감지하여 예비전원의 전력을 공급하여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가 항상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수신부(420)는 중앙 제어장치(500)로부터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모든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황실에 설치된 중앙 제어장치(500)를 통해 각 터널(20)에 설치된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수신부(420)와 무선으로 개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중앙 제어장치(500)는, 각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되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황에 따라 상황실에서 원격 제어를 통하여 상기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로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중앙 제어장치(500)는 다수 개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수신부(420)와 인터넷 또는 RS-485방식으로 연결되어 다수 개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과 RS-485 통신방식은 여러 대의 기기를 연결하는 멀티드롭방식에 유리하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속도와 노이즈면에서 다른 통신방식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
도 4a ~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막대형 LED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300)은, 터널(20)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프레임(311)을 구비하는 반원형의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를 구비하는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을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터널의 내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하로 길게 뻗은 프레임(311)이 구비된다.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은 제1제어부(4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330)에 연결되어 하우징(3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를 구비한다.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는,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어 기준 각도를 정의하는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와,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에서 각각 기준 각도의 +45 ~ +90도와 -45도 ~ -90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막대형 LED 표시부(322) 및 제3막대형 LED 표시부(323)와,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와 제2막대형 LED 표시부(322)의 사이 및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와 제3막대형 LED 표시부(323)의 사이를 분할하여 배치되는 제4막대형 LED 표시부(324) 및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는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각도를 제외하고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특히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는 하우징(310) 상에 2열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321a~325a)에 의해 점등시 적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제1제어부(4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제어부(4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이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부(430)와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사이에는 스위칭 소자(330)와 전류제한소자(340)가 구비된다.
스위칭 소자(330)는 제1제어부(4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제어부(4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스위칭한다.
스위칭 소자(330)는 트랜지스터 등이 적용되어 제1제어부(430)의 출력신호를 스위칭시킨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각각의 베이스 단자에 제1제어부(430)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에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전류제한소자(340)는 스위칭 소자(330)와 하나 이상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전류제한소자(340)는 저항체이고, 직렬이나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는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진다. 또한 전류제한소자(340)는 각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마다 연결될 수 있다.
상황실 담당자가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을 접수받아 수신부를 통하여 터널 경보 제어장치에 교통사고 상황에 관한 신호를 입력하면, 제1제어부(430)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330)를 스위칭시킨다.
제1제어부(430)가 스위칭 소자(330)를 스위칭시키면, 스위칭 소자(330)는 턴온되면서 전류제한소자(340)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일단에 연결된 전압이 해당하는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를 점등시킨다.
즉, 제1스위칭 소자(331)가 스위칭되면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의 LED가 점등되고, 제2 스위칭 소자(332)가 스위칭되면 제2막대형 LED 표시부(322)의 LED가 점등되며, 제5스위칭 소자(335)가 스위칭되면,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5)의 LED가 점등된다. 이때, 제1제어부(430)는 해당 스위칭 소자(330)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일정 주기로 조절하게 되면 각각의 LED는 순차적인 점등과 소등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제1제어부(4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LED 중에서 제1막대형 LED 표시부(321)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2막대형 LED 표시부(322)가 점등되고, 제2막대형 LED 표시부(322)가 점등 후에 소등됨과 동시에 제3막대형 LED 표시부(323)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동안 사람의 눈에는 착시현상에 의하여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한편, 제1제어부(430)에는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의 점등 주기를 변경하는 설정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부를 통하여 상황실 담당자는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321~325)의 점등 주기를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점멸 경고등(30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가 적용된 LED 소자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신호봉이 상하로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음으로써 운전자에게 2차 경고 및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황실에 접수되는 교통사고 상황 정보는 CCTV, 운전자의 휴대전화, 비상전화 등에 의해 상황실에 수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터널 내부가 정상운행 상황일 때 차량이 터널 내부로 진입하여 차량 감지 센서(100)에 감지되면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제2제어부(440)는 경보기(200)에서 통상의 경보음으로 정의되는 제1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순차 점멸 경고등(300)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CCTV, 운전자의 휴대전화 등 수동에 의해 상황실로 터널(20) 내부의 교통 사고 상황이 감지되면 상황실 담당자는 중앙 제어장치(500)를 통하여 각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에 접속하여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제1제어부(430)와 제2제어부(440)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터널(20)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된다.
즉, 중앙 제어장치(500)는 터널 경보 제어장치(400)의 제1제어부(430)를 통하여 순차 점멸 경고등(300)을 원격 제어하고, 제2제어부(440)를 통하여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비상의 경보음으로 정의되는 제2경보음을 표시하도록 경보기(200)를 원격 제어한다.
특히, 순차 점멸 경고등(300)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은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각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동안 사람의 눈에는 착시현상에 의하여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320)의 막대형 LED 표시부(321~325)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처럼 보이게 되면서, 차량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서 사고에 대한 2차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터널 경보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을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20...터널
100...차량 감지 센서 200...경보기
300...순차 점멸 경고등 310...하우징
320...신호봉 흔들림 표시부 400...터널 경보 제어장치
410...전원 공급부 420...수신부
430...제1제어부 440...제2제어부
500...중앙 제어장치

Claims (7)

  1. 터널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상기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 상기 차량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상기 제1경보음과 구별되는 제2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와,
    상기 터널 내부의 정상운행 상황에서는 소등되되 상기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에서 상기 제2경보음과 동시에 출력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과,
    상기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보기 및 순차 점멸 경고등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터널 경보 제어장치;와,
    상기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기 상황에 따라서 상기 터널 경보 제어장치에 개별 접속하여 상황실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경보 제어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순차 점멸 경고등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경보기 제2경고음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점멸 경고등은,
    상기 터널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반원형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신호봉의 흔들림을 표시하는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경보 제어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순차 점멸 경고등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경보기 제2경고음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는 각각,
    상기 제1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 2열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연결시 적색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5. 삭제
  6. 터널의 내벽면에 부착되기 위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반원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막대형 LED 표시부를 구비하는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신호봉 흔들림 표시부는,
    중앙에 배치되어 기준 각도를 정의하는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상기 제1막대형 LED 표시부에서 각각 기준 각도의 +45 ~ +90도와 -45도 ~ -90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막대형 LED 표시부 및 제3막대형 LED 표시부와,
    상기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2막대형 LED 표시부의 사이 및 상기 제1막대형 LED 표시부와 제3막대형 LED 표시부의 사이를 분할하여 배치되는 제4막대형 LED 표시부 및 제5막대형 LED 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의 순차 점멸 경고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막대형 LED 표시부 각각은,
    상기 하우징 상에 2열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에 의해 점등시 적색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의 순차 점멸 경고등.
KR1020130082984A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KR10149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84A KR101498372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84A KR101498372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01A KR20150008701A (ko) 2015-01-23
KR101498372B1 true KR101498372B1 (ko) 2015-03-03

Family

ID=5257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84A KR101498372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60A (zh) * 2019-09-03 2019-12-03 福建工程学院 一种充当汽车停驶时的临时双闪的方法及系统
KR102299978B1 (ko) 2021-02-26 2021-09-09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터널경보장치중 선로변에 설치되는 현장제어반의 안전출력 제어장치
KR102645085B1 (ko) * 2023-02-24 2024-03-06 장현실 비상전원을 구비한 도로교통안전시설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11B1 (ko) * 2019-01-24 2019-11-04 (주)아성정보 차량의 다중 추돌 사고 예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238A (ja) * 1997-01-23 1998-08-04 Ado Bitsuku:Kk 発光型注意喚起装置
KR200257747Y1 (ko) * 2001-09-18 2001-12-31 정태헌 터널 내부의 교통상황 경보장치
KR20110040131A (ko) * 2009-10-13 2011-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널 및 지하도로의 차량 안전을 위한 정보 전달 발광 장치 및 방법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238A (ja) * 1997-01-23 1998-08-04 Ado Bitsuku:Kk 発光型注意喚起装置
KR200257747Y1 (ko) * 2001-09-18 2001-12-31 정태헌 터널 내부의 교통상황 경보장치
KR20110040131A (ko) * 2009-10-13 2011-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널 및 지하도로의 차량 안전을 위한 정보 전달 발광 장치 및 방법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60A (zh) * 2019-09-03 2019-12-03 福建工程学院 一种充当汽车停驶时的临时双闪的方法及系统
KR102299978B1 (ko) 2021-02-26 2021-09-09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터널경보장치중 선로변에 설치되는 현장제어반의 안전출력 제어장치
KR102645085B1 (ko) * 2023-02-24 2024-03-06 장현실 비상전원을 구비한 도로교통안전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01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6536C (en) Led light bar for optical traffic control systems
US20110115645A1 (en) LED Light Bar for Optical Traffic Control Systems
CN103116996B (zh) 一种隧道照明及安保系统
KR102077113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498372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터널 내부의 교통사고 경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순차 점멸 경고등
CN106530772B (zh) 智能交通信号灯及控制系统和应急控制方法
KR20070001862A (ko) 도로위험 사전 경보표시 장치
WO2018145489A1 (zh) 盲区监测方法和带有盲区监测的车牌架装置和后视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CA3071498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11062574B2 (en) Strobe notification appliance and emergency lighting appliance with directional information
KR101405398B1 (ko) 보행자친화형 안전 알림장치 및 방법
CN207565446U (zh) 一种车辆的会车警示系统
KR101923626B1 (ko) 교통신호 잔여시간 표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0276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조시스템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102099463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13236Y1 (ko)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100799067B1 (ko)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KR101672099B1 (ko)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델리네이터 모듈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976196B1 (ko) 차량용 교통신호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CN205722436U (zh) 带故障检测及报警的信号灯
KR101318283B1 (ko) 가로등주의 누전 및 램프상태 표시장치
CN113470397A (zh) 一种关于交通信号备用控制与报警系统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