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40A - 압축 쐐기 - Google Patents

압축 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40A
KR20180002740A KR1020177034506A KR20177034506A KR20180002740A KR 20180002740 A KR20180002740 A KR 20180002740A KR 1020177034506 A KR1020177034506 A KR 1020177034506A KR 20177034506 A KR20177034506 A KR 20177034506A KR 20180002740 A KR20180002740 A KR 20180002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wedge element
socket
scre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971B1 (ko
Inventor
슈테판 밀튼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00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네 개의 쐐기 요소(1, 2, 3, 4)를 포함하는 쐐기에 관한 것이다. 제1 쐐기 요소(1) 및 제2 쐐기 요소(2)는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는 처음 두 개의 쐐기 요소(1, 2)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따라서 처음 두 개의 쐐기 요소(1, 2)와 맞닿는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될 때 서로 멀리 이동될 것이며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가 서로 멀리 이동될 때 서로를 향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은 제1 부분(7)이 제1 쐐기 요소(1)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부분(6, 40)이 제2 쐐기 요소(2)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제1 및 제2 부분(7, 6, 40)은 제1 부분(7)이 제2 부분(6, 40)에 대해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부분(7, 6, 40)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협력 나사산을 갖는다.

Description

압축 쐐기
본 발명은 리드-쓰루(lead-through) 시스템용 쐐기에 관한 것이며, 이 쐐기는 비압축 상태와 압축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프레임, 다수의 모듈, 스테이 플레이트 및 쐐기를 포함하는 리드-쓰루 시스템 용으로 의도된다. 모듈, 스테이 플레이트 및 쐐기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은 압축성 재료로 제조되며 각각의 모듈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수용하게 된다. 스테이 플레이트의 기능은 모듈이 사용 중에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쐐기는 모듈을 파이프, 케이블 또는 와이어에 대해 내측으로 밀봉하고 다른 모듈, 스테이 플레이트 및/또는 프레임에 대해 외측으로 밀봉하기 위해 모듈을 압축하는 압축 수단이다.
이 종류의 리드-쓰루 시스템은 캐비넷, 기술적 쉘터, 접합 박스 및 기계 또한 선박의 갑판 및 벌크헤드와 같은 여러가지 상이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들 시스템은 자동차, 텔레콤, 발전 및 배전뿐 아니라 해양 및 해상과 같은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들 시스템은 유체, 가스, 불, 설치류, 흰개미,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되어야 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WO 96/11353호)에 따른 하나의 쐐기에서, 쐐기는 두 개의 나사에 의해 비압축 상태와 압축 상태 사이를 이동하며, 따라서 각각의 나사는 반대 피치를 갖는 나사산을 갖는다. 나사는 두 개의 쐐기 요소에 연결되며, 이들 쐐기 요소는 나사를 제1 방향으로 돌리면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나사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서로 멀리 이동된다. 나사의 나사산은 쐐기 요소의 나사산과 맞물리며, 따라서 쐐기 요소 중 하나의 쐐기 요소의 나사산은 나사의 제1 피치의 나사산과 맞물리고 다른 쐐기 요소의 나사산은 나사의 반대 피치의 나사산과 맞물린다. 두 개의 제1 쐐기 요소의 양쪽의 경사면에 두 개의 추가 쐐기 요소가 배치되며, 따라서 두 개의 추가 쐐기 요소는 두 개의 제1 쐐기 요소의 이동에 따라서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될 것이다. 두 개의 추가 쐐기 요소가 서로 멀리 이동되면, 쐐기의 두께가 증가하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때 압축력을 부여한다.
쐐기를 비압축 상태와 압축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양 나사가 회전되어야 하며 이는 보통 교호적으로 이루어진다. 나사가 교호적으로 회전되지 않으면, 나사에 연결된 쐐기 요소가 비뚤어지고 어쩌면 쐐기 요소의 추가 이동을 로크시킬 위험이 있다. 이 종류의 리드-쓰루 시스템에서는 쐐기에 의해 부여되는 압축력이 미리결정된 값에 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축력이 상기 미리결정된 값 미만이면, 타이트한 밀봉이 제공되지 않을 명백한 위험이 존재한다. 종래 기술의 쐐기에서 나사가 풀어지면 감압력이 부여되며, 따라서 나사 헤드와 쐐기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상기 거리는 인가되는 압축력의 표시이다. 따라서, 미리결정된 값은 나사 헤드와 쐐기 사이의 거리가 특정 값에 달할 때 도달된다. 충분한 압축력이 인가된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리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정은 보통 번거롭다. 종래 기술의 쐐기에서는 나사의 회전에 대한 명백한 정지부가 전혀 없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를 측정하지 않으면, 충분한 압축력이 인가되었는지 또는 불필요하게 높은 압축력이 인가되었는지를 알 길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리드-쓰루 시스템용 쐐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쐐기는 쐐기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와 관련하여 취급이 보다 용이하고 미리결정된 압축력을 달성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네 개의 쐐기 요소를 포함하는 쐐기가 제공된다. 제1 쐐기 요소 및 제2 쐐기 요소는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제3 쐐기 요소 및 제4 쐐기 요소는 처음 두 개의 쐐기 요소의 양쪽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따라서 두 개의 제1 쐐기 요소와 맞닿는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는 제1 및 제2 쐐기 요소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될 때 서로 멀리 이동될 것이며 제3 및 제4 쐐기 요소는 제1 및 제2 쐐기 요소가 서로 멀리 이동될 때 서로를 향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은 제1 부분이 제1 쐐기 요소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부분이 제2 쐐기 요소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제1 및 제2 부분은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회전될 때 제1 및 제2 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협력 나사산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장점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추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쐐기가 사용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리드-쓰루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압축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쐐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비압축 상태에 있는 도 2 및 도 3의 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을 따라서 취한, 비압축 상태에 있는 쐐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지만 쐐기가 압축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소켓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킹 링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쐐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너트의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하나의 쐐기 요소 내부에서 도 14의 너트의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대체 실시예에 따른 쐐기의, 도 6과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부분들은 명료함을 위해 제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쐐기는 도 1에 예시된 리드-쓰루 시스템에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리드-쓰루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의 정확한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1)이 다수의 모듈(102)을 수용한다. 프레임(101)은 벽, 지붕 또는 플로어와 같은 이행부에 배치되어야 하며, 각각의 모듈(102)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수용해야 한다. 모듈(102)을 프레임(101) 내부의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프레임(101) 내부에서 모듈(102)의 각 열 사이에 다수의 스테이 플레이트(103)가 배열된다. 스테이 플레이트(103)는 프레임(101)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즉 도 1에 도시하듯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프레임(101)의 하나의 내측 단부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쐐기(104)가 배치되며, 쐐기(104)와 모듈의 인접한 열 사이에 스테이 플레이트(103)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의 쐐기(104)는 압축 유닛이며, 쐐기(104)는 나사(105)에 의해 프레임(101) 내부에서 팽창될 수 있다. 쐐기(104)의 팽창은 프레임(101) 내부의 모듈(102)에 작용할 것이며, 따라서 모듈(102)은 각각의 모듈(102)의 배치에 따라서 서로에 대해, 스테이 플레이트(103)에 대해, 프레임(101)의 내측에 대해 및/또는 모듈(102) 내부에 수용되는 임의의 케이블 등에 대해 가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쐐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리드-쓰루 시스템에서의 종래 기술의 쐐기(104)를 대체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쐐기는 제1 쐐기 요소(1), 제2 쐐기 요소(2),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를 포함한다. 쐐기는 핸들(5), 나사(6), 소켓(7) 및 너트(8)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쐐기 요소(1)는 주위 재료보다 단단한 재료의 코어(9)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쐐기 요소(2)는 단단한 재료의 코어(10)를 가지며, 제3 쐐기 요소(3)는 단단한 재료의 코어(11)를 갖고, 제4 쐐기 요소(4)는 단단한 재료의 코어(12)를 갖는다. 쐐기 요소(1, 2, 3, 4)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각각의 쐐기 요소(1, 2, 3, 4)의 코어(9, 10, 11, 12)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각각의 쐐기 요소(1, 2, 3, 4)는 탄성, 압축성 고무 재료로 제조되며 각각의 쐐기 요소(1, 2, 3, 4)의 코어(9, 10, 11, 12)는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각각의 쐐기 요소(1, 2, 3, 4)의 코어(9, 10, 11, 12)는 압축되지 않으면서 예상 힘을 견뎌내기에 충분히 강하도록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쐐기 요소(1, 2, 3, 4)의 하나 이상은 고무와 같은 압축성 재료로만 제조된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는 단단한 재료의 코어(9, 10)를 가지며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고무 재료로만 제조된다. 추가 예에 따르면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단단한 재료의 코어(11, 12)를 가지며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는 고무 재료로만 제조된다. 추가 실시예에서는 쐐기 요소(1, 2, 3, 4) 전부가 고무 재료로만 제조된다.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며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며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쐐기 요소(1)는 경사면을 따라서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와 맞닿는다. 제2 쐐기 요소(2)는 경사면을 따라서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와 맞닿는다. 쐐기 요소(1, 2, 3, 4)와 그 협력 경사면은 제1 쐐기 요소(1)와 제2 쐐기 요소(2)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할 때 제3 쐐기 요소(3)와 제4 쐐기 요소(4)가 서로 멀리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대응적으로, 제1 쐐기 요소(1)와 제2 쐐기 요소(2)가 서로 멀리 이동할 때 제3 쐐기 요소(3)와 제4 쐐기 요소(4)는 서로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쐐기 요소(1)와 제2 쐐기 요소(2)는 각각 관통 개구를 갖는다. 상기 관통 개구는 조립된 쐐기에서 서로 일치하여 배치된다.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는 제2 쐐기 요소(2)를 향하는 부분에서보다 제2 쐐기 요소(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서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 내부에는 정지 에지(18)가 형성된다. 상기 정지 에지(18)의 목적은 후술될 것이다.
쐐기의 나사(6)는 제1 쐐기 요소(1) 및 제2 쐐기 요소(2)의 관통 개구에 각각 배치된다. 제2 쐐기 요소(2) 내부에 배치된 나사(6)의 단부는 외부 나사산(13)을 갖는다. 나사(6)의 대향 단부, 즉 제1 쐐기 요소(1)에 배치되는 단부 또한 최외측 착색 단부(15)를 제외하고 외부 나사산(14)을 갖는다. 상기 착색 단부(15)의 기능은 후술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외측 단부와 나사산(14) 사이에 있는 단부 부분의 전체가 착색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부면만 착색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에는 적색이 부여된다. 제1 쐐기 요소(1)에 배치된 나사산(14)의 외경은 나사(6)의 착색 단부(15) 및 잔여부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나사산(14)과 착색 단부(15) 사이 및 나사(6)의 나사산(14)과 잔여부 사이의 접합부에는 각각 정지 에지(16, 17)가 형성된다. 상기 정지 에지(16, 17)의 기능은 후술될 것이다.
쐐기의 소켓(7)은 튜브형 부분(19)을 가지며 튜브형 부분(19)과 대향하는 일 단부에 너트(20)를 형성한다. 튜브형 부분(19)과 너트(20) 사이에 플랜지(2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1)는 튜브형 부분(19)의 둘레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고 튜브형 부분(19)에 수직하다. 소켓(7)은 일체로 제조된다. 튜브형 부분(19)의 외측에 홈(22)이 배열되며, 상기 홈(22)은 튜브형 부분(19)의 둘레 주위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홈(22)은 소켓(7)의 플랜지(21)로부터 짧은 거리에 배치된다. 소켓(7)은 관통 개구(35)를 갖는다. 관통 개구(35)의 내부에는 적어도 너트(20)의 영역에서 색상이 부여된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35) 내부의 색상은 적색이다. 관통 개구(35)의 직경은 플랜지(21) 및 너트(20) 내부에서보다 튜브형 부분(19) 내부에서 더 크다. 따라서 소켓(7)의 관통 개구(35) 내부에는 정지 에지(23)가 형성된다. 관통 개구(35)는 튜브형 부분(19)의 영역에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소켓(7)의 나사식 관통 개구(35), 정지 에지(23), 플랜지(21), 색상 및 홈(22)의 목적은 후술될 것이다.
너트(8)는 일 단부에 외부 나사산을 갖는 튜브형 부분(24)을 갖는다. 튜브형 부분(24)에 이어서 다각형 부분(25)이 제공되고 이후 외측 단부(26)가 제공된다. 외측 단부(26)는 원형이며 자유 단부를 향해서 모따기된다. 튜브형 부분(24) 및 다각형 부분(25)의 내부에는, 튜브형 부분(24)의 자유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26)로 상향 연장되는 내부 개구(27)가 배열된다. 외측 단부(26)에는 개구가 전혀 없다. 내부 개구(27)는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너트(8)는 일체로 제조된다. 나사산 및 다각형 부분(25)의 목적은 후술될 것이다.
핸들(5)은 제1 쐐기 요소(1)의 코어(9)와 통합된다. 핸들(5)은 아크(arc)(28), 부착 판(29), 및 아크(28)와 부착 판(29) 사이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주(30, 31)를 포함한다. 부착 판(29)은 제1 쐐기 요소(1)의 외부 연질 재료와 맞닿으며 쐐기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된다. 아크(28)는 부착 판(29)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되며 두 개의 굴곡 부분을 거쳐서 직선 부분으로 진행된다. 아크(28)의 직선 부분은 부착 판(29)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부착 판(29)과 평행하다. 아크(28)의 직선 부분은 상기 직선 부분의 중심에 배치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다. 또한 부착 판(29)은 아크(28)의 관통 개구와 일치하여 배치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다. 지주(30, 3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격 거리는 적어도 소켓(7)에 대한 여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추가로, 부착 판(29)은 제1 쐐기 요소(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태그 홀더(33)를 갖는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쐐기는 프레임 내로의 쐐기 삽입을 촉진하기 위해 제2 쐐기 요소(2)의 외측 단부에 모따기(32)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핸들(5) 및 제1 쐐기 요소(1)의 코어(9) 전체가 일체로 제조된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두 개의 스프링 장치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각각의 스프링 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37), 로드(38) 및 두 개의 핀(39)을 포함한다. 스프링(37)은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의 관통 개구 내에 로드(38)를 둘러싸고 배치되며, 상기 관통 개구는 서로 일치하여 배치된다.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의 외측에 있는 각각의 관통 개구의 입구에는 각각, 상기 입구를 가로지르는 세장형 홈이 제공된다. 스프링(37)의 각 단부는 하나의 핀(39) 주위에 후크 연결되며, 상기 핀(39)은 이후 하나의 홈 안에 각각 배치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프링 장치는 로드(38)를 전혀 갖지 않으며, 따라서 이는 스프링(37) 및 두 개의 핀(39)을 포함할 뿐이다. 스프링 장치에 의해,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핸들(5)의 태그 홀더(33) 중 하나에는 RFID 태그와 같은 태그(34)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의 아크(28)로 인해 태그(34)는 비교적 잘 보호된다. 태그(34)의 기능을 방해하는 위험을 없애기 위해 핸들(5)은 금속을 전혀 갖지 않는 적절한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너트(8)는 제2 쐐기 요소(2) 내부에 체결된다. 제2 쐐기 요소(2)는 일 실시예에서 너트(8)의 튜브형 부분(24) 및 다각형 부분(25) 주위에 사출 성형된다. 제2 쐐기 요소(2)의 재료는 이후 튜브형 부분(24)의 외부 나사산 내로 진행될 것이며 너트(8)의 다각형 부분(25)의 측부 전체와 맞닿아 배치될 것이다. 따라서 너트(8)는 제2 쐐기 요소(2)의 내부에 확고하게 유지될 것이며 일체의 축방향 이동 또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데 방해될 것이다. 나사(6)의 착색 단부(15)에 대향하는 단부는 너트(8) 내에 삽입된다. 나사(6)는 나사(6)의 나사산(13)과 너트(8)의 내부 개구(27)의 나사산 사이의 협력에 의해 너트의 내부 개구(27)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6)의 단부는 나사산 로커(threadlocker)의 사용에 의해 너트(8)의 나사식 개구(27)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이 로크된다. 나사산 로커 또는 나사산-로킹 유체는 이완, 누설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 및 볼트와 같은 체결구의 나사산에 도포되는 얇은 단일-성분 접착제이다. 나사(6)는 또한 다른 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너트(8) 내부에서 로크될 수 있다.
도 14에는 대체 실시예에 따른 너트(40)가 도시되어 있다. 너트(40)는 외부 홈(flute) 또는 외부 나사산 및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너트(40)는 대체 실시예를 갖는 제2 쐐기 요소(41) 내부에 체결된다. 이 대체 실시예에서 너트(40)는 제2 쐐기 요소(41)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제2 쐐기 요소(41) 내부에 배치된다. 쐐기의 다른 부분들의 어느 것도 이들 대체 실시예에 따른 너트(40) 및 제2 쐐기 요소(41)에 적응될 필요가 없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2 쐐기 요소(41)는 너트(40) 주위에 사출 성형된다. 제2 쐐기 요소(41)에는 제1 쐐기 요소(1)를 향하게 되는 에지로부터 너트(40)까지 연장되는 개구(42)가 형성된다. 나사(6)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너트(40)에 수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사(6)는 나사산 로커에 의해 너트(40) 내부에서 로크된다. 제2 쐐기 요소(41) 및 너트(40)를 제외하고, 이 대체 실시예의 쐐기는 도 2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된 쐐기와 일치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2 쐐기 요소(43)의 대체 실시예에서는, 나사의 착색 단부(15)와 대향하는 단부에 배열된 나사(6)의 나사산(13)이 제2 쐐기 요소(43)에 직접 배열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 쐐기 요소(43) 내부에 너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쐐기 요소(43)는 제2 쐐기 요소(43)의 외측 부분보다 단단한 재료의 코어(44)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나사(6)는 나사(6)의 나사산(13)이 제2 쐐기 요소(43)의 개구 내부의 나사산과 맞물린다는 점에서 제2 쐐기 요소(43)에 수용된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나사(6)는 나사산-로킹 유체 또는 나사산 로커에 의해 제2 쐐기 요소(43) 내부에서 로크된다. 대안적으로 제2 쐐기 요소(43)의 코어(44)는 나사(6)의 나사산(13) 주위에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나사(6) 및 제2 쐐기 요소(43)는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이동될 수 없는 상태에서 각각 고정된다. 제2 쐐기 요소(43)를 제외하고, 이 대체 실시예의 쐐기는 도 2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된 쐐기와 일치한다.
전술했듯이 나사(6)는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를 통과한다. 쐐기의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6)는 제3 쐐기 요소(3)와 제4 쐐기 요소(4) 각각의 사이로 진행한다.
소켓(7)은 핸들(5)의 아크(28)의 중심 관통 개구를 통과하고 핸들(5)의 부착 판(29)의 중심 관통 개구를 통과하여 배치된다. 나사(6)의 착색 단부(15)는 소켓(7) 내부에 수용되며, 따라서 나사(6)의 착색 단부(15)에서의 나사산(14)은 소켓(7)의 관통 개구(35) 내의 나사산에 수용된다. 따라서, 각 부분의 나사산에 의해, 나사(6)의 착색 단부(15)의 위치는 소켓(7)의 관통 개구(35) 내부에서 변경될 수 있다. 소켓(7)은 소켓(7)의 튜브형 부분(19)의 외측의 홈(22) 안에 배치되는 로킹 링(36)에 의해 핸들(5)의 아크(28)에서 유지된다. 소켓(7)은 로킹 링(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아크(28)는 소켓(7)의 플랜지(21)와 소켓(7)의 홈(22) 안에 배치된 로킹 링(36) 사이에 배치된다. 소켓(7)을 핸들(5)에서 유지하기 위해 소켓(7)의 플랜지(21)와 홈(22) 사이의 거리는 핸들(5)의 아크(28)의 두께와 대략 일치해야 한다.
조립된 쐐기에서, 나사(6)는 일체의 회전 운동 또는 축방향 이동 없이 제2 쐐기 요소(2)에 대해 고정 유지되지만, 나사(6) 상에서의 소켓(7) 회전에 의해 소켓(7)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소켓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나사는 핸들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지만 나사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전술한 소켓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나사는 핸들에서 유지되는 바, 이는 핸들이 플랜지와 나사의 홈 안에 수용된 로킹 링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나사는 핸들에 배치되는 나사의 단부에서 너트-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너트형 단부는 핸들 외부에 배치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나사는 제2 쐐기 요소에 배치된 너트 내부에서 회전되며, 따라서 나사는 일방향 회전 시에 너트 내로 더 이동되고 반대 방향 회전 시에 너트 내로 덜 이동될 것이다. 제1 및 제2 쐐기 요소가 나사 및 너트에 각각 고정되므로, 제1 및 제2 쐐기 요소는 나사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 멀리 이동될 것이다.
사용 시에 쐐기는 두 극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1 극단에서, 도 5에 도시하듯이, 제3 쐐기 요소(3)의 상면은 제1 쐐기 요소(1)의 상면 및 제2 쐐기 요소(2)의 상면과 대략 동일 평면에 있으며 제4 쐐기 요소(4)의 하면은 제1 쐐기 요소(1)의 하면 및 제2 쐐기 요소(2)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에 있다. 쐐기의 이 제1 극단은 평탄화된 위치로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쐐기가 그 위치에서 최대한 얇기 때문이다. 상기 극단에서,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나사(6)에 맞닿거나 그 근처에 배치된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각각 나사(6)의 영역에 리세스를 갖는다. 제1 극단에서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각 리세스의 외부 영역에서 상호 맞닿거나 상호 근접하여 배치될 것이다. 제2 극단에서, 도 6에 도시하듯이,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는 이들이 이동될 수 있을 때 서로 가깝게 이동되며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이들이 이동될 수 있을 때 서로 멀리 이동된다. 제2 극단에서 쐐기는 최대한 두껍다. 쐐기는 극단 사이의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지만, 사용 시에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극단 중 하나에 배치된다. 이는 프레임 내로의 삽입을 위해 제1 극단에 배치되며 프레임 내부에 미리결정된 압축을 부여하기 위해 제2 극단에 배치된다.
제1 극단에서 나사(6)의 착색 단부(15)에 배치된 나사산(14)의 내측 단부에서의 정지 에지(17)는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 내부의 정지 에지(18)와 맞닿을 것이다. 이들 정지 에지(17, 18)는 쐐기를 평탄화하는 이동의 개별 정지부를 제공할 것이다. 제2 극단에서 나사(6)의 착색 단부에서의 정지 에지(16)는 소켓(7)의 관통 개구(35) 내의 정지 에지(23)와 맞닿아서, 상기 제2 극단에서 개별 정지부를 제공할 것이다.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상기 정지 에지(23)는 나사(6)의 착색 단부(15)가 소켓(7)의 너트(20)의 외측 단부와 동일 평면에 있게 될 위치에 배치된다. 자유 단부와 나사산(14)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인 나사(6)의 착색 단부의 길이는 소켓(7)의 너트(20)와 플랜지(21) 내부의 관통 개구(35)의 길이와 일치한다. 따라서, 쐐기의 제2 극단에서, 나사(6)의 착색 단부는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입구에서 명확히 보일 것이다. 쐐기의 상기 제2 극단에서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내부 착색 표면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것이다.
쐐기는 일반적으로 쐐기가 제1 극단에 있는 상태에서 프레임(101) 내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프레임(101) 내부의 모듈(102)에는 압축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을 것이다. 쐐기가 제2 극단에 있을 때, 이는 프레임(101) 내부의 모듈(102)에 최대 압축력을 가할 것이다.
나사(6)의 착색 단부(15) 및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내표면에 상이한 색상을 제공함으로써, 쐐기가 제2 극단에 있다는 표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나사(6)의 착색 단부는 녹색인 반면에 소켓(7)의 개구(35)의 내표면은 적색이다. 따라서, 제2 극단에서, 소켓(7)의 너트(20)의 중심에는 녹색 "점(dot)"이 존재할 것이다. 쐐기가 제2 극단에 있지 않는 즉시,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적색 내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보일 것이다. 쐐기가 제2 극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적색 내표면이 더 많이 보일 것이다. 따라서,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적색 내표면이 전혀 보이지 않을 때, 이는 쐐기가 제2 극단에 있으며 프레임 내부(101)에서 최대의 압축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나사(6)의 외측 단부와 소켓(7)의 관통 개구(35) 사이의 관계는 또한 압축의 촉각 표시(tactile indication)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사(6)의 단부가 소켓(7)의 관통 개구(27)의 외측 단부와 동일 평면에 있지 않음을 느낄 수 있는 한, 소켓(7)은 줄곧 최대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아직 나사결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쐐기는 아직 제2 극단에 도달하지 못했다. 촉각 표시는 시인성이 취약한 설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전술한 시각 및 촉각 표시는 정비공에게 뿐만 아니라 임의의 관리자에게 유익하며, 이는 쐐기가 적절히 설치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표시를 제공할 것이다.
소켓(7)을 예를 들어 소켓(7)의 너트(20) 상에 배치된 렌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쐐기는 제1 극단을 향해서 이동할 것이며 소켓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쐐기는 제2 극단을 향해서 이동할 것이다. 소켓(7)의 회전에 의해 나사(6)는 소켓(7)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나사(6)와 소켓(7) 사이의 이 상대 축방향 이동은 나사(6)의 착색 단부(15)에서의 나사산(14)과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나사산 사이의 협력에 의해 부여된다. 나사(6)와 소켓(7) 사이의 상기 상대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에는, 소켓(7)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를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 멀리 이동시키는 대응 상대 축방향 이동이 부여된다.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될 때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서로 멀리 이동하여,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강요될 것이다.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가 서로 멀리 이동될 때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서로를 향해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의 외표면 상의 홈 안에 배치된 핀(39)에 연결되는 스프링(37)에 의해서 및 프레임(101) 내부의 탄성 모듈(102)에 의해서 서로를 향하도록 압박될 것이다.
쐐기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쐐기의 제1 극단인 평탄화된 상태로 프레임 내에 삽입된다. 제2 쐐기 요소(2)의 외측 단부에서의 모따기(32)는 프레임 내로의 쐐기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쐐기가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경우 쐐기는 제1 극단으로 이동되며 이후 쐐기는 핸들(5)을 파지함으로써 인출된다.

Claims (12)

  1. 제1 쐐기 요소(1), 제2 쐐기 요소(2, 41, 43),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를 포함하는 쐐기이며,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는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이에 의해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는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의 양쪽에 배치되며 경사면을 따라서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와 맞닿고, 이에 의해 쐐기 요소(1, 2, 41, 43, 3, 4) 및 경사면은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될 때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가 서로 멀리 이동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가 서로 멀리 이동될 때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가 서로를 향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쐐기 요소(1, 2, 41, 43)는 제1 쐐기 요소(1)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 고정되도록 배열되는 소켓(7), 및 제2 쐐기 요소(2, 41, 43)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고 고정되도록 배열되는 나사(6)를 포함하는 제2 부분에 의해 서로를 향해서 및 서로 멀리 이동되며, 이에 의해 제2 및 제1 부분은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쐐기는 두 개의 극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들 극단 각각은 나사(6)의 하나의 정지 에지(16, 17) 및 인접한 부분의 정지 에지(18, 2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너트(8, 4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나사(6)는 너트(8, 40)의 내부 개구(27)의 내부 나사산과 협력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13)을 가지며, 상기 나사(6)는 나사산 로커에 의해 너트(8, 40)의 내부 개구(27)에 고정되는, 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6)의 일 단부가 소켓(7)의 관통 개구(35)에 수용되며, 상기 소켓(7)의 관통 개구(35)는 나사(6)의 외부 나사산(14)과 협력하기 위한 나사산을 갖는, 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8)는 외부 나사산을 갖는 튜브형 부분(24), 및 인접한 다각형 부분(25)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튜브형 부분(24) 및 다각형 부분(25) 주위에 제2 쐐기 요소(2)가 형성되는, 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2 쐐기 요소(43)에 고정된 나사(6)인, 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7)은 튜브형 부분(19) 및 인접 너트(20)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튜브형 부분(19)에 인접한 너트(20) 상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1) 및 소켓(7)의 너트(2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튜브형 부분(19) 상의 원주형 홈(22)이 제공되는, 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7)은 제1 쐐기 요소(1)에 고정된 핸들(5)에 체결되며, 이에 의해 핸들은 소켓(7)의 플랜지(21)와 소켓(7)의 튜브형 부분(19)의 홈(22) 안에 수용된 로킹 링(36) 사이에 배치되는, 쐐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7) 내부에 배치된 나사(6)의 나사산(14)은 나사(6)의 인접한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나사산(14)의 양 단부에 정지 에지(16, 17)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 개구(35)의 직경은 소켓(7)의 너트(20)의 부분에서보다 소켓(7)의 튜브형 부분(19)의 영역에서 더 크며, 이에 의해 정지 에지(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의 직경은 제2 쐐기 요소(2, 41, 43)를 향하는 부분에서보다 제2 쐐기 요소(2, 41, 4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서 더 크며, 이에 의해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 내부에 정지 에지(18)가 형성되는, 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6)의 정지 에지(16, 17), 상기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정지 에지(23) 및 상기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의 정지 에지(18)는 제2 쐐기 요소(2, 41, 43)를 향하는 나사(6)의 나사산(14) 측에서의 정지 에지(17)가 제1 쐐기 요소(1)의 관통 개구 내의 정지 에지(18)를 타격할 때 쐐기가 제1 극단에 도달하고 제2 쐐기 요소(2, 41, 4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나사(6)의 나사산(14) 측에서의 정지 에지(16)가 소켓(7)의 관통 개구(35)의 정지 에지(23)를 타격할 때 쐐기가 제2 극단에 도달하도록 배열되는, 쐐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쐐기 요소(3) 및 제4 쐐기 요소(4)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서로를 향해서 압박되는, 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장치는 스프링(37)과 두 개의 핀(39)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스프링은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의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스프링(37)의 대향 단부들이 핀(39)의 각각 하나에 체결되며, 이들 핀은 각각 제3 및 제4 쐐기 요소(3, 4)의 외표면 상의 홈에 수용되는, 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장치는 스프링(37) 내부에 배치되는 로드(38)를 추가로 포함하는, 쐐기.
KR1020177034506A 2015-05-04 2016-05-03 압축 쐐기 KR10259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564A SE538884C2 (en) 2015-05-04 2015-05-04 Compression wedge for a lead-through system
SE1550564-7 2015-05-04
PCT/SE2016/050403 WO2016178625A1 (en) 2015-05-04 2016-05-03 Compression we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40A true KR20180002740A (ko) 2018-01-08
KR102590971B1 KR102590971B1 (ko) 2023-10-18

Family

ID=5721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506A KR102590971B1 (ko) 2015-05-04 2016-05-03 압축 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71182B2 (ko)
EP (1) EP3292337B1 (ko)
KR (1) KR102590971B1 (ko)
CN (1) CN107532753B (ko)
ES (1) ES2822136T3 (ko)
RU (1) RU2697212C2 (ko)
SE (1) SE538884C2 (ko)
WO (1) WO2016178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003C2 (en) * 2015-05-04 2017-03-14 Roxtec Ab Distinct stops of a compression wedge
DE202016103494U1 (de) * 2016-06-30 2017-07-06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Kabelwanddurchführung und Bausatz
SE540296C2 (en) * 2016-11-03 2018-05-29 Roxtec Ab A wedge for a lead-through system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US11211779B2 (en) * 2017-10-17 2021-12-28 Framatome Cable lead-through assembly, electrical assembly, an electrical cabinet and associated method
US11191178B2 (en) 2019-01-24 2021-11-30 Steelcase Inc. Display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EP4185158A1 (en) 2020-07-23 2023-05-31 Steelcase Inc. Display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187B1 (ko) * 1994-10-06 2002-11-18 록스텍 악티엔볼라그 케이블트랜시트
KR101223090B1 (ko) * 2012-10-05 2013-01-17 극동일렉콤주식회사 전자파 차폐를 위한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용 엔드패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2544A (en) * 1963-03-11 1966-11-01 Lyckeaborgs Bruk Ab Tight lead-through inlet frame device for electrical lines
DE2654806A1 (de) * 1976-12-03 1978-06-15 Nils Brendel Tech Spezialverfa Dichtende wanddurchfuehrung fuer leitungen und rohre
SE412820B (sv) * 1978-12-27 1980-03-17 Weckesser Co Sjelvlasande genomforing
SE415619B (sv) * 1979-01-18 1980-10-13 Lyckeaborgs Bruk Ab Genomforing for brandseker forleggning av elektriska kablar genom en oppning i en vegg eller liknande
SE441795B (sv) * 1984-03-23 1985-11-04 Lyckeaborgs Bruk Ab Skyddsanordning for att dempa pulsformad hogfrekvent, elektromagnetisk stralnings passage genom en brandskyddande genomforing
NL8403650A (nl) * 1984-11-30 1986-06-16 Johannes Alfred Beele Doorvoerinrichting.
GB2181902B (en) * 1985-10-09 1989-09-27 Plessey Co Plc Bulkhead gland assembly
AT391044B (de) * 1987-09-09 1990-08-10 Doepfl Rudolf Gmbh Einrichtung zur pressung von in einem rahmen befindlichen packstuecken zur herstellung von kabeldurchfuehrungen
US5783776A (en) * 1991-10-29 1998-07-21 O-Z Gedney Company Llc Electrical cable penetration seal with compliant module
DE10150075A1 (de) 2001-10-10 2003-04-17 Roxtec Ingenieur Gmbh Modulare Schottung zur dichten Durchführung von Kabeln und Rohrleitungen durch Bauteile aller Art (mit nachweisbarer Dichte)
SE528099C2 (sv) * 2004-01-30 2006-09-05 Roxtec Ab Kompressionsenhet för en ram som tar emot kompressibla enheter för rörgenomföring
US8096562B2 (en) * 2006-07-20 2012-01-17 Mct Brattberg Aktiebolag Pressure sealing means for a cable transit
KR101014761B1 (ko) 2009-02-06 2011-02-15 주식회사 엘스콤 천장 및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화재확산방지장치
EP3346565B1 (en) 2012-07-02 2019-10-09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Seal actuator with actuation level indicator
SE538128C2 (sv) * 2014-10-07 2016-03-08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hal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187B1 (ko) * 1994-10-06 2002-11-18 록스텍 악티엔볼라그 케이블트랜시트
KR101223090B1 (ko) * 2012-10-05 2013-01-17 극동일렉콤주식회사 전자파 차폐를 위한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용 엔드패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2337B1 (en) 2020-07-15
RU2017141983A3 (ko) 2019-06-04
RU2697212C2 (ru) 2019-08-13
SE538884C2 (en) 2017-01-24
ES2822136T3 (es) 2021-04-29
SE1550564A1 (en) 2016-11-05
KR102590971B1 (ko) 2023-10-18
CN107532753B (zh) 2020-03-06
US10371182B2 (en) 2019-08-06
WO2016178625A1 (en) 2016-11-10
EP3292337A1 (en) 2018-03-14
CN107532753A (zh) 2018-01-02
EP3292337A4 (en) 2018-12-19
RU2017141983A (ru) 2019-06-04
US20180156253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740A (ko) 압축 쐐기
KR20180002738A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의 표시 수단
KR102542223B1 (ko) 압축 쐐기의 개별 정지부
KR20080089498A (ko) 압축 표시기
KR102532610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
US11231130B2 (en) Wedge clip
KR20190085030A (ko) 고정 장치
JP6874931B2 (ja) リードスルー・システムのためのウェッジ
JP6891134B2 (ja) ボルト及びナットのカバー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