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571U -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571U
KR20180002571U KR2020170000816U KR20170000816U KR20180002571U KR 20180002571 U KR20180002571 U KR 20180002571U KR 2020170000816 U KR2020170000816 U KR 2020170000816U KR 20170000816 U KR20170000816 U KR 20170000816U KR 20180002571 U KR20180002571 U KR 20180002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astening
case body
faste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일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장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일 filed Critical 장기일
Priority to KR202017000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571U/ko
Publication of KR2018000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용홈부를 형성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단속하는 케이스덮개; 및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구와, 상기 케이스 덮개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구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구성한 힌지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구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선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연통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돌기수용홈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핀부재를 생산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핀 체결용 장치를 이용한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낯출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제품의 생산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joint Structure of compact cosmetics case}
본 고안은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핀부재와 핀 체결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콤팩트 화장품 용기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화장품 용기는 보통 거울이 붙어있고 분 또는 연지 따위가 수용된 휴대용 화장품 내지는 화장도구를 의미하며, 이러한 것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는 화장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0)와, 내면에 거울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 하는 케이스덮개(20)와, 상기 케이스덮개(20)가 케이스본체(10)에 대해 회전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체결구(3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체결구(3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덮개(2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면접촉하는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되 중공의 핀 삽입구(30a)를 형성한 제1 체결부(31) 및 제2 체결부(32)와, 상기 제1 체결부(31) 및 제2 체결부(32)의 핀 삽입구(30a)에 끼워지는 핀부재(33)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적용된 힌지체결구(30)는 상기 제1 체결부(31)와 제2 체결부(32)의 핀 삽입구(30a)를 서로 연통시키는 가결합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핀부재(33)를 억지 끼워넣는 조립구조이므로, 이때 상기 제1 체결부(31)와 제2 체결부(32)의 핀 삽입구(30a)를 서로 연통시키는데 있어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기 직접 상기 핀 삽입구(30a)에 핀부재(33)를 끼워 넣는 것이 매우 어려워 별도의 핀 체결용 장치(도 2참조)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제조과정 전체가 복잡하고 길어질 뿐만 아니라 핀 체결 공정에 있어서 고가의 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는 상승시키고 생산성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덮개(20)가 힌지체결구(30)에 의해 조립된 후 상기 케이스본체(10) 또는 케이스덮개(20)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하면 억지 끼워진 핀부재(30)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결국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덮개(20) 모두를 폐기시켜야 하는 자원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06094호(2000.09.2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핀부재와 핀 체결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콤팩트 화장품 용기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는, 수용홈부를 형성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단속하는 케이스덮개; 및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구와, 상기 케이스 덮개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구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구성한 힌지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구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선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연통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돌기수용홈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는 상호 잡아당기거나 미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 간의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홈은 선단측으로부터 돌기수용홈 쪽으로 길수록 공간부의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하여 개폐되는 회전 작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하여 개폐작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완충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과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체결구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는 돌기수용홈과 절개홈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핀부재를 생산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핀 체결용 장치를 이용한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낯출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제품의 생산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는 상호 잡아당기거나 미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를 간편하게 착탈결합시킬 수 있어, 제품조립 후 케이스본체 또는 케이스덮개 중 어느 하나에 있어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불량 케이스만 교체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케이스는 다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핀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핀 체결용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힌지체결구의 구성 및 결합과정을 나나탠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힌지체결구의 구성 및 결합과정을 나나탠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힌지체결구에 마찰부재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3의 힌지체결구에 완충스프링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는 크게, 케이스본체(100), 케이스덮개(200) 및 힌지체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본체(100)는 내부에 화장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로써, 내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본체(100)는 휴대성이 용이한 플라스틱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관은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덮개(200)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수용홈부(110)를 개폐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덮개(200)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덮개(200)의 내면에는 화장할 때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거울(2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는 상기 케이스덮개(200)를 선택적으로 개폐단속할 수 있도록 상호 작용하는 개폐수단(220)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220)은 버튼을 눌러서 개방시킬 수 있는 원터치 구조이거나, 걸림쇠 등을 손으로 밀어올리는 수동식 개폐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는 종래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힌지체결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힌지체결구(300)는 상기 케이스덮개(200)와 케이스본체(100)를 일체형의 형태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덮개(200)가 케이스본체(100)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체결구(300)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구(310)와, 상기 케이스 덮개(200)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구(310)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3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체결구(310)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체결돌기(311)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11)는 종래의 핀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결구(310)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로 핀부재를 생산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핀 체결용 장치를 이용한 조립공정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핀부재 생산 및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제품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체결구(320)에는 상기 체결돌기(311)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돌기수용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구(320)의 선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돌기수용홈(321)에 연통되며 상기 체결돌기(311)가 돌기수용홈(321)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의 절개홈(3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체결구(320)의 절개홈(322)을 통해 상기 체결돌기(311)를 간편하게 돌기수용홈(321)에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를 잡고 상호 잡아당기거나 미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구(310)와 제2 체결구(320)의 착탈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체결구(300)의 착탈식 체결구조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가 힌지체결구(300)에 의해 조립된 후 상기 케이스본체(100) 또는 케이스덮개(200) 중 어느 하나에 있어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불량 케이스만 교체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케이스는 다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체결구(32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개홈(322)을 상기 체결돌기(311)에 대응하여 양측에 각각 형성할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10)와 제2 체결구(320)를 상호 직선방향으로 미는 가압력으로부터 신속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체결구(32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개홈(322)을 상기 체결돌기(311)에 대응하는 어느 일측에 한정하여 형성할 경우, 절개홈(322)이 형성되지 않는 제2 체결구(320)의 일측을 체결돌기(311)에 측방향으로 끼워 넣는 1차 체결을 진행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홈(322)이 형성된 제2 체결구(320)를 나머지 체결돌기(311) 쪽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미는 가압력을 전달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차 체결을 진행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체결구조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가 서로 완전히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절개홈(322)은 선단측으로부터 돌기수용홈(321) 쪽으로 길수록 공간부의 폭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6b 참조).
즉, 상기 제1 체결구(310)와 제2 체결구(320) 간의 체결작업시 상기 절개홈(322)의 선단측으로부터 진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체결돌기(311)가 상기 돌기수용홈(321)으로 원활하게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돌기수용홈(321)에 위치한 체결돌기(311)가 절개홈(322) 쪽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공간부의 협소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311)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200)가 케이스본체(100)에 대하여 개폐되는 회전 작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재(33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311)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200)가 케이스본체(100)에 대하여 개폐작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완충스프링(3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덮개(200)에는 상기 완충스프링(340)의 일측과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구멍(101,201)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완충스프링(34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덮개(200)가 케이스본체(100)에 강하게 맞닿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각 케이스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케이스본체 200 : 케이스덮개
300 : 힌지체결구 310 : 제1 체결구
311 : 체결돌기 320 : 제2 체결구
321 : 돌기수용홈 322 : 절개홈
330 : 마찰부재 340 : 완충스프링

Claims (5)

  1. 수용홈부를 형성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단속하는 케이스덮개; 및,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구와, 상기 케이스 덮개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구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구성한 힌지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구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선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연통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돌기수용홈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는 상호 잡아당기거나 미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 간의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선단측으로부터 돌기수용홈 쪽으로 길수록 공간부의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하여 개폐되는 회전 작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스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하여 개폐작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완충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과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KR2020170000816U 2017-02-17 2017-02-17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KR20180002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16U KR20180002571U (ko) 2017-02-17 2017-02-17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16U KR20180002571U (ko) 2017-02-17 2017-02-17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71U true KR20180002571U (ko) 2018-08-28

Family

ID=6340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16U KR20180002571U (ko) 2017-02-17 2017-02-17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57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094B1 (ko) 1995-07-21 1999-07-01 와다 다다시 반도체 유리면웨이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094B1 (ko) 1995-07-21 1999-07-01 와다 다다시 반도체 유리면웨이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051B2 (en) Airtight compact container
RU244273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навесной крышкой для бутылок и тому подобных с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рывания крышки
JP5811320B2 (ja) ゲートバルブ
WO2010134222A1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JPH0739177Y2 (ja) 合成樹脂製ハウジングにおけるヒンジ結合蓋
KR20180002571U (ko) 콤팩트 화장품 용기 체결구조
JP5435203B2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TWM507404U (zh) 密封蓋
JP5830193B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4799110B2 (ja) キャップ
JP2003335353A (ja) 気密容器
US20160174682A1 (en) Automatic Openable/Closable Dispensing Structure Of Easy-Filling Powder Compact
US20050166949A1 (en) Assembled umbrella receiver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S64810Y2 (ko)
JP5553692B2 (ja) 化粧料容器
JP7204298B2 (ja) コンパクト容器及びコンパクト容器の製造方法
KR200264763Y1 (ko)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KR200489317Y1 (ko) 면봉 수납용 케이스
KR200206094Y1 (ko) 콤팩트 케이스
JP2002019808A (ja) 容 器
KR100737423B1 (ko) 분리형 손잡이부가 장착된 인조손톱 보관용기
KR101841417B1 (ko) 포장백 지퍼용 조립식 슬라이드
KR101810960B1 (ko) 회전 개방식 원터치캡
JP3076136U (ja) 容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