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17Y1 - 면봉 수납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면봉 수납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17Y1
KR200489317Y1 KR2020170003713U KR20170003713U KR200489317Y1 KR 200489317 Y1 KR200489317 Y1 KR 200489317Y1 KR 2020170003713 U KR2020170003713 U KR 2020170003713U KR 20170003713 U KR20170003713 U KR 20170003713U KR 200489317 Y1 KR200489317 Y1 KR 200489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lid
cover bas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218U (ko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정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원 filed Critical 정승원
Priority to KR2020170003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1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면봉 수납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면봉 수납용 케이스는, 복수의 면봉을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의 상측에 착탈 결합 가능하고, 상기 용기와의 결합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의 모서리 내측에 접촉 지지 가능한 복수의 지지 리브가 마련되며,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져 외력에 벤딩 가능한 걸림후크가 마련되는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마련되는 커버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 베이스에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를 마련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부분 구성품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면봉 측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봉 수납용 케이스{COTTON STICK CONTAINER}
본 고안은, 면봉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부분 구성품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면봉 측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 변형에 의해 커버가 제대로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봉은 케이스 내에 위생적으로 보관되어 어린이나 성인들의 코나 귀를 깨끗하게 소제시 사용하도록 제공되는데, 특히 유아를 포함한 어린이들의 코나 귀의 내부를 소제하고자 사용 시에는 유아나 어린이들의 연약한 피부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천연 오일을 묻혀서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종래 면봉 수납 케이스는, 용기와 용기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데 대개 제조 비용의 절감을 위해 용기와 뚜껑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조 비용을 더욱 절감하기 위해 사출물 두께를 얇게 하게 되는데 사출물 두께가 얇아질수록 외력에 대해 형상 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형상 변형이 발생한 경우 용기에 대한 뚜껑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형상 변형이 발생하여 용기와 뚜껑의 틈으로 먼지나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이 용기 내의 면봉으로 침투하여 면봉의 위생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92614호 (2002. 12. 12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부분 구성품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면봉 측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성품의 형상 변형에 의해 커버가 제대로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거나 장시간 사용하여 커버의 형상이 일정 이상 변형하더라도 커버의 오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면봉을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의 상측에 착탈 결합 가능하고, 상기 용기와의 결합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의 모서리 내측에 접촉 지지 가능한 복수의 지지 리브가 마련되며,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져 외력에 벤딩 가능한 걸림후크가 마련되는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마련되는 커버 뚜껑;을 포함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 베이스에는 상기 커버 뚜껑의 가장자리 뚜껑벽이 삽입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서로 이격된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뚜껑벽 삽입부는 그 내측 폭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하지 않은 구간이 마련되되, 상기 걸림후크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뚜껑벽 삽입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걸림후크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확장된 확장 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후크에 상대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확장 구간과 연통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감소한 협소 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뚜껑벽 삽입부를 형성하는 이중벽 중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벽은, 그 상단이 상기 커버 베이스의 중앙 영역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 베이스에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를 마련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부분 구성품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면봉 측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베이스에 복수의 지지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용기에 대한 커버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하는데, 용기의 형상이 외력에 의해 일부 변형하더라도 결합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통해 한층 원활하게 용기에 커버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베이스의 뚜껑벽 삽입부에 협소 구간 이외에 확장 구간을 추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커버 뚜껑의 뚜껑벽이나 뚜껑벽 삽입부의 형상 변형이 일부 발생하더라도 커버 뚜껑의 오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뚜껑벽 삽입부의 벽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커버 뚜껑의 오픈 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의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의 커버의 커버 베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에서 지지 리브가 커버와 용기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의 커버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에서 뚜껑벽 삽입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구성품이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부분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면봉 측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 변형에 의해 커버가 제대로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력이 작용하거나 장시간 사용하여 커버의 형상이 일정 이상 변형하더라도 커버 뚜껑의 오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봉 수납용 케이스(10)는, 복수의 면봉(미도시)을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100)와, 용기(100)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100)와 커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커버(200)는 용기(100)의 상측 개구부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기(100) 내에 수납된 면봉(미도시)의 외부 이탈을 저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0)는, 용기(100)의 상측에 착탈 결합 가능한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베이스(2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 베이스(210)의 중앙 개구부(230)를 외부에 대해 오픈 또는 폐쇄하는 커버 뚜껑(220)을 포함한다.
커버 베이스(210)는 용기(10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련 도면에서는 대략 4각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00)를 마주보는 커버 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용기(100)와의 결합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용기(100)의 모서리 내측에 접촉 지지 가능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240)가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 리브(240)는 커버 베이스(210)의 가장자리 영역이 쉽게 벤딩되지 않도록, 즉 커버 베이스(210)가 좀 더 견고한 외관 형상을 유지하도록 일정 이상의 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사용자가 커버 베이스(210)를 용기(10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삽입시킬 때 복수의 지지 리브(240)의 양단은 용기(100)의 4군데 모서리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사용자가 커버 베이스(210)를 더욱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커버 베이스(210)는 지지 리브(240)의 접촉 이동(지지 리브의 양단이 용기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하강 이동)으로 인해 더욱 용이하면서도 정위치로 용기(100)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커버 베이스(210)에는 복수의 지지 리브(240)의 강도를 더욱 향상하도록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리브(2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지지 리브(240)로 인해 용기(100)에 대한 커버(200)의 결합 위치 및 결합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00)와 커버(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용기(100) 형상이 일정 이상 변형되더라도 지지 리브(240)를 통해 커버(2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여 좀 더 원활하게 커버(200)를 다시 결합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210)의 일측에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져 외력(사용자에 의한 누름 동작 등)에 의해 일정 이상 벤딩 가능하도록 걸림후크(26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베이스(210)의 일측에는 그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후크블록(270)이 마련되며 커버 베이스(210)의 중앙 개구부(230)를 향하는 후크블록(270)의 일측면에 걸림후크(260)가 마련된다. 걸림후크(260)와 대응하는 커버 베이스(210)의 바닥면에는 사출금형에서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걸림후크(260)를 형성하도록 절개구(280)가 마련된다.
다음,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뚜껑(220)은 커버 베이스(2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후크(260)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턱(290)이 마련된다.
커버 뚜껑(220)은 커버 베이스(210)의 후방에 복수의 연결편(297)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에는 걸림턱(290)이 마련된다. 커버 뚜껑(220)의 전방에는 걸림턱 돌출부(298)가 일정 이상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턱 돌출부(298)의 상면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걸림턱(290)이 형성된다. 커버 베이스(210)의 걸림후크(260)는 커버 뚜껑(220)의 걸림턱(290)에 탄성적으로 걸림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후크블록(27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푸시함으로써 전술한 탄성 걸림이 해제되며 커버 베이스(210)의 중앙 개구부를 외부에 개방하기 위한 커버 뚜껑(2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커버 뚜껑(220)의 상면에는 용기(100)에 수용된 제품에 대한 광고 인쇄물 등이 부착되거나 광고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다시 커버 베이스(2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210)에는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29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베이스(210)의 중앙 개구부(230)를 둘러싸면서 커버 뚜껑(220)의 가장자리 뚜껑벽(294)이 삽입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서로 이격된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291)가 마련된다.
이러한 뚜껑벽 삽입부(291)는, 용기(100),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뚜껑(2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 머리카락, 이물질 등이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뚜껑(220)의 사이 틈새를 통해 용기(100)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100)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좀 더 밀폐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뚜껑벽 삽입부(291)는 바닥면을 갖는 대략 '∪'자의 채널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100),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뚜껑(2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뚜껑(220)이 필요 이상으로 용기(100) 내측을 향해 회전하여 제대로 밀폐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뚜껑벽 삽입부(291)의 바닥면은 커버 뚜껑(220)의 더 이상의 하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벽으로 기능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뚜껑벽 삽입부(291)는 그 내측 폭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하지 않은 구간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걸림후크(26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뚜껑벽 삽입부(291)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 중 걸림후크(26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확장된 확장 구간(292)이 마련되고, 걸림후크(260)에 상대적으로 이격되고 확장 구간(292)과 연통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감소한 협소 구간(293)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뚜껑(220)이 걸림후크(260)와 걸림턱(290)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후크(260)와 걸림턱(290)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확장 구간(292)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후크블록(270)을 푸시하여 걸림후크(260)와 걸림턱(290)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때 커버 뚜껑(220)이 한층 원활하게 커버 베이스(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만약, 확장 구간(292) 없이 뚜껑벽 삽입부(291)가 전체적으로 협소 구간(293)으로만 이루어진 상태에서 커버 뚜껑(220)의 뚜껑벽(294)의 형상 변형이 발생한 경우라면 사용자가 후크블록(270)을 푸시해서 걸림후크(260)와 걸림턱(290)의 걸림상태를 해제해도 커버 뚜껑(220)이 쉽게 커버 베이스(210)로부터 분리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커버 뚜껑(220)의 뚜껑벽(294)이 일측으로 벤딩되거나 구부러져서 형상 변형되거나 마찬가지로 뚜껑벽 삽입부(291)도 벽체가 일측으로 벤딩되거나 구부려져서 형상 변형이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뚜껑(220)과 커버 베이스(210)의 원활한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 베이스(210)와 커버 뚜껑(220)이 얇은 살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형상 변형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확장 구간(292)을 마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변형이 일부 발생하더라도 커버 베이스(210)로부터 커버 뚜껑(220)이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100) 내부 공간의 밀폐 효과를 확실하게 하면서 뚜껑벽(294)과 뚜껑벽 삽입부(291)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커버 뚜껑(22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본 고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벽 삽입부(291)를 형성하는 이중벽 중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벽(295)이, 그 상단이 커버 베이스(210)의 중앙 영역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즉, 전술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커버 뚜껑(220)의 뚜껑벽(294)과 커버 베이스(210)의 벽(295) 사이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제공하여 커버 뚜껑(220)의 원활한 상측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용기 200: 커버
210: 커버 베이스 220: 커버 뚜껑
240: 지지 리브 291: 뚜껑벽 삽입부
292: 확장 구간

Claims (4)

  1. 복수의 면봉을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의 상측에 착탈 결합 가능하고, 상기 용기와의 결합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의 모서리 내측에 접촉 지지 가능한 복수의 지지 리브가 마련되며,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져 외력에 벤딩 가능한 걸림후크가 마련되는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마련되는 커버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에는 상기 커버 뚜껑의 가장자리 뚜껑벽이 삽입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서로 이격된 이중벽 구조의 뚜껑벽 삽입부가 마련되되, 상기 뚜껑벽 삽입부는 그 내측 폭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하지 않은 구간이 마련되되, 상기 걸림후크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뚜껑벽 삽입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걸림후크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확장된 확장 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후크에 상대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확장 구간과 연통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내측 폭이 감소한 협소 구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벽 삽입부를 형성하는 이중벽 중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벽은, 그 상단이 상기 커버 베이스의 중앙 영역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 수납용 케이스.




KR2020170003713U 2017-07-17 2017-07-17 면봉 수납용 케이스 KR200489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13U KR200489317Y1 (ko) 2017-07-17 2017-07-17 면봉 수납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13U KR200489317Y1 (ko) 2017-07-17 2017-07-17 면봉 수납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18U KR20190000218U (ko) 2019-01-25
KR200489317Y1 true KR200489317Y1 (ko) 2019-05-31

Family

ID=6526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13U KR200489317Y1 (ko) 2017-07-17 2017-07-17 면봉 수납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1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93Y1 (ko) * 2013-05-07 2013-09-11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23Y2 (ja) * 1993-08-27 1998-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
KR20020092614A (ko) 2001-06-05 2002-12-12 이기원 면봉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93Y1 (ko) * 2013-05-07 2013-09-11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18U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128B2 (en) Foldable transportation container
US9386836B2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US7870862B2 (en) Vanity case
JP2008094464A (ja) ケースの嵌合構造
JP5260199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489317Y1 (ko) 면봉 수납용 케이스
EP2666731A2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JP4825161B2 (ja) なす環
JP6605296B2 (ja) バックル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1332837B1 (ko)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2001606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JP4441932B2 (ja) 箸箱
JPS6020367Y2 (ja) キヤツプ構造
JP6740115B2 (ja) 小口キャップ及び格子ユニット
KR20120024321A (ko) 패킹의 교환성을 우수하게한 밀폐용기 뚜껑
JP2009034346A (ja) 箸箱
JP3973396B2 (ja) ボトルホルダ内蔵容器
JP4509076B2 (ja) スライド蓋付きケース
JP4606542B2 (ja) 容器
JPS6026727Y2 (ja) コンパクト容器
TWI552704B (zh) 收納盒
KR20100012090U (ko)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제 밀폐용기
JP5260200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5592981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