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10A -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110A
KR20180001110A KR1020160079821A KR20160079821A KR20180001110A KR 20180001110 A KR20180001110 A KR 20180001110A KR 1020160079821 A KR1020160079821 A KR 1020160079821A KR 20160079821 A KR20160079821 A KR 20160079821A KR 20180001110 A KR20180001110 A KR 2018000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자영
신영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16007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110A/ko
Publication of KR2018000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찌뽕나무추출물, 세신추출물, 속단추출물, 마가목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을 함유한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 효소 및 티로시나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이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아데노신과 레티놀에 비하여 엘라스타아제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미백 효능으로 우수한 알부틴과 비슷한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 미백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Natural complex cosmetic materials for antiwrinkle, skin whitening and skin antioxidative function based on Cudrania tricuspidata, Phlomis umbrosa, Asarum sieboldii and Sorbus commixta extracts}
본 발명은 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꾸찌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혼합하여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피부의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세포의 생리적 기능과 활성이 점차 저하되고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어 나타나는 내인적 노화 및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또는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외인적 노화로 나뉘며,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탄력의 감소나 주름 형성, 색소 침착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된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특히 유럽을 비롯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화장품 관련 기업에서는 식물추출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수 많은 식물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보습제를 겨냥한 추출물, 피부 화이트닝 효능을 갖는 추출물, 피부노화방지 기능을 갖는 추출물, 잔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추출물들이 천연물의 추출기술을 통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피부 노화예방 및 주름 개선 그리고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에 관한 기술들이 많은 논문과 특허들로부터 발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정도로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 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피부 탄력을 유지해주는 동물 결합조직의 불용성 탄성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유일한 분해효소로 알려져 있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Chem., 265(5), p14791, 1990).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피부자극에 의해 과잉생성 된다. 과잉 생성된 엘라스타제가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하여 콜라겐 간 결합이 약화되고 피부에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40대 이후에서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수 있다. (Bissett, D. L., Photochem. Photobiol., 46, pp367-378, 1987 ; Bizot-Foulon V., Godeat G., W. Int. J. Cos. Sci., 17, pp255-264, 1995). 현재,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엘라스타아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 시에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개선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할 뿐 아니라 피부 보호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스카벤져(Free Radical Scavenger)]의 역할을 하지만 자외선의 과량 노출,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해 과다하게 피부 내에 생성되면 색소침착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색이 검게 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상기 외부 자극 요인 중 자외선은 가장 큰 멜라닌 생합성 자극원 으로서,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멜라닌의 산화 촉진,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촉진 등을 통해 멜라닌 과다 생성을 유도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가장 큰 특징은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관여한다는 것으로, 상기 티로시아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방지하게 되면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미백제는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양을 줄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타이로시나제 저해제로 알려진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하이드록시아니솔(hydroxyanisole),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유도체, 코지산(kojic acid), 아제락산(azelaic acid),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레티노이드(retinoids), 아부틴(arbutin) 등이 있으나, 안전성과 경제성 등의 문제점으로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이드록시아니솔 및 하이드로퀴논 등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은 있으나 동시에 색소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유발하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코직산은 사용 중의 변색, 물질자체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개선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및 주름을 개선하기 위해 천연 약재식물 추출물들에 대한 다양한 피부 생리활성을 검색한 결과 천연 식물 추출물 중에서 꾸찌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이 엘라스타아제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종의 약재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재식물 4종의 추출물은 피부주름개선 효과로 잘 알려진 아데노신과 레티놀보다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피부 미백 효과로 잘알려진 알부틴과 비슷한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약재식물 4종은 주름개선 및 미백 목적의 화장료나 의약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식물약재들의 지표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항산화 HPLC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의 부위별 크로마토그램이다. 꾸찌뽕 나무 줄기, 세신 전초, 속단 전초, 마가목 수피 모두 단순 페놀릭 화합물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세신은 플라보노이드도 포함하고 있는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약재 식물들과 그리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레티놀과 아데노신의 주름억제 활성 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약재 식물들과 그리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알부틴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식물들과 양성 대조군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트롤록스 (Trolox) 와 아스코르빅산 (Ascorbic acid)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식물들과 양성 대조군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트롤록스 (Trolox) 와 아스코르빅산 (Ascorbic acid)의 농도별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식물 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꾸찌뽕나무, 속단, 세신, 마가목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10여종의 식물추출물을 주름개선 및 미백 물질 스크리닝에 이용되는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 및 티로시나제 억제율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꾸찌뽕 나무 (Cudrania tricuspidata Bureau)는 한국, 일본, 중국의 산기슭의 양지나 마을 부근에서 자라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이다.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다. 세갈래로 갈라지는 잎은 끝이 둔하고 밑이 둥글다. 달걀 모양의 잎은 끝과 밑이 뾰족하고 길이 6∼10cm, 폭 3∼6cm로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융모가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25mm로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수꽃이삭은 지름이 1cm이고 많은 수의 작은 꽃들이 모여 달리며 둥근 모양이다. 암꽃이삭는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지름 1.5cm의 타원 모양이다. 수꽃은 화피조각이 3∼5개이고 수술이 4개이며, 암꽃은 화피조각이 4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가 5mm이다. 열매들이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데 지름이 2∼3cm로 둥근 모양이고 육질이며 9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잎은 뽕잎 대용을 쓰고,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잼을 만들거나 술을 담그고, 나무 껍질과 뿌리는 약용이나 종이 원료로 쓴다.
본 발명의 속단 (Phlomis umbrosa Turcz.)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1m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약 13㎝, 폭이 약 10㎝ 정도이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또한 잎 가장자리에 둔한 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면서 달걀 모양이며 마주난다. 꽃은 붉은색 빛이 돌고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고 입술 모양으로 피는데 길이는 1.8㎝ 정도이다. 꽃의 윗입술 부분은 모자 모양으로 겉에 우단과 같은 털이 빽빽하게 있고 아랫입술 부분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9~10월경에 꽃받침에 싸여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상기 속단의 이름을 갖게 된 스토리로 옛날 어느 마을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의원이 있었다. 그는 산에서 약초를 캐서 팔기도 하고 이 마을 저 마을로 다니며 환자를 고쳐 주기도 하면서 생계를 이어갔다. 어느 날 의원이 어느 마을을 지나다가 한 젊은이가 죽었다는 소문을 들었다. 의원이 그 집으로 가 보니 집안 식구들이 죽은 젊은이를 붙잡고 통곡을 하고 있었다. 의원은 약병에서 환약 두 개를 꺼내어 젊은이의 입을 벌려 집어넣고는 물을 삼키게 하였다. 과연 조금 있으니 환자는 숨을 쉬기 시작하였다. 의원이 죽은 사람을 살려 냈다는 소문이 퍼지자 사방에서 환자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의원은 그 마을에 머물면서 정성을 다해 환자를 치료해 주었다. 그런데 그 마을에는 욕심 많고 마음씨가 고약한 약장수가 있었다. 약장수는 환혼단에 대한 얘기를 듣고는 어떤 수를 써서라도 그 약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어 큰돈을 벌어 보겠다고 결심을 했다. 어느 날 약장수는 값진 음식을 차려놓고 의원을 초대했다. ““선생님이 만든 환혼단에 대한 소문을 많이 들었습니다. 나와 같이 힘을 합쳐 약을 만들면 큰돈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럴 수 없습니다. 이것은 사람을 살리기 위한 약입니다. 돈벌이 도구로 쓸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돈을 많이 드릴 터이니 그 약을 만드는 비법을 저한테 파십시오.”” ““안 됩니다. 그것은 나쁜 일입니다.”” ““아니 이 돌팔이 놈이 감히 내 말을 거역하겠다고”” 약장수가 손뼉을 한번 치자 그의 하인들이 의원을 뒷 뜰로 데리고 가서 몽둥이로 마구 때려 초주검이 되게 하여 집 밖으로 내던졌다. 의원은 간신히 기어서 산으로 올라가 약초를 캐 먹으며 한 달쯤 몸조리를 하다가 몸이 회복되자 다시 마을로 내려와 약을 팔며 환자를 치료했다. 이 소문을 들은 부자 약장수는 하인을 불러 명령했다. ““이놈을 가만두지 않겠다. 그놈의 다리를 부러뜨려 산골짜기에 갖다 버려라. ”” 하인들은 의원을 마구 때려 초주검이 되게 하여 산에 갔다 버렸다. 그때 마침 한 젊은이가 나무를 하러 산에 올라갔다가 골짜기에서 신음하는 사람 소리를 듣고 달려 내려갔다. 가까이 가서 보니 바로 자기 목숨을 구해 준 바로 그 의원이 아닌가. ““의원님, 이게 어찌된 일입니까?”” 그러나 의원은 이미 대답할 기력조차 없었다. 젊은이는 의원을 업어 가까운 풀밭에 가서 눕혔다. 풀밭에는 보라색 꽃이 피고 깃털처럼 생긴 잎이 달린 풀이 많이 있었는데 의원은 그 풀을 뜯어 먹으면 부러진 뼈와 상처를 고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젊은이는 그 풀을 많이 뜯어서 의원을 업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 풀을 달여서 의원에게 복용시켰더니 두 달쯤 뒤에 부러진 다리와 상처가 차츰 아물었다. 그러던 어느 날 의원은 젊은이에게 말했다. ““나는 이곳에 오래 머물 수 없으니 자네가 부러진 뼈를 치료하는 약초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도록 하게.”” 두 사람이 얘기를 끝내기도 전에 약장수가 하인들을 데리고 들이닥쳤다. 약장수는 하인들에게 의원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결국, 의원은 하인들에게 맞아 죽고 말았다. 젊은이는 의원의 일을 이어받아 뼈를 고치는 약초를 세상에 널리 알렸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환혼단을 만드는 방법은 전수되지 못하였다. 다만, 다친 뼈를 붙이는 그 약초는 훗날 속단(續斷)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본 발명의 세신(Asarum sieboldii Miq.)은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근경에 마디가 많으며 원줄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퍼진다. 잎은 심장형이며 너비는 5∼10㎝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홍자색으로 잎이 나오려고 할 때 잎 사이에서 1개씩 나온다. 열매는 장과상이고 끝에 화피열편(花被裂片)이 달려 있으며 종자가 20개 정도 들어 있다. 뿌리는 5∼7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약성은 온화하고 맛이 맵다. 효능은 감기로 코가 막히거나 콧물이 계속 흐르고 인후 부위에서 분비물이 계속 배출되며 땀이 잘 안 날 때에 발한시키면서 병원균을 체외로 배출시킨다. 또 감기로 열이 심하고 특히 두통이 심하여 견딜 수 없을 때에 긴요하다. 만성기관지염이나 기관지확장증으로 인하여 대량의 가래를 배출하면서 기침을 심하게 할 때에 진해작용도 한다. 이 밖에 구내염에 분말로 만들어 뿌려 주면 곧 치유된다. 다만, 기운이 허약하고 땀을 많이 흘리거나 빈혈로 두통이 있을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여로(藜蘆)와 같이 배합해서도 안 된다. 민간에서는 이가 아픈 곳에 물고 있으면 곧 진통이 된다고 하여 진통제로 이용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세신탕이 있다. 세신이라는 명칭은 뿌리가 지극히 가늘고 몹시 매운 맛을 띠고 있어서 명명된 것이다. 이두 향명으로는 세심(洗心)이라 하였으며, 시()·소신(少辛)··세초(細草)라고도 하였다.
상기 족도리풀의 이름을 갖게된 스토리로 경기도 포천 지방에 아주 예쁜 소녀가 있었는데 그녀의 아름다움이 꽃과 같다 하여 꽃아가씨라 불렀다. 꽃아가씨는 산나물을 캐고 꽃나무를 심으며 생활했는데, 궁녀로 뽑혀가 시집도 못가고 궁에서 생활하던 중 다시 중국으로 팔려나가고 말았다. 머나먼 중국 땅으로 팔려가 들판에 굴러다니는 풀과 같은 인생을 겪고 세월이 흘러 할머니가 되어서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중국 땅에서 죽고 말았다. 그러는 동안 그녀의 어머니도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모녀가 죽은 뒤 그 집 뒷마당에 풀들이 자라기 시작했는데, 그 풀의 꽃은 마치 처녀가 시집갈 때 쓰는 족도리 같은 모양이었다. 이 이야기가 널리 퍼져 많은 사람들이 구경을 왔고, 그 사람들은 그 풀꽃이 꽃아가씨의 한이 맺힌 꽃이라고 하였다. 그 후로 그 풀을 족도리풀이라 불렀다는 설이 있다.
본 발명의 마가목 (Sorbus commixta HEDL.)은 장미과(Rosaceae)의 낙엽성의 활엽교목으로 높이는 6~8m에까지 이른다. 겨울눈은 끈적거리는 물질로 덮여 있으며 눈을 둘러싼 받침잎은 일찍 떨어져버린다. 잎은 9~13장의 잎 조각이 깃털 모양으로 모여 이루어지며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한다. 잎 조각의 생김새는 넓은 피침 꼴 또는 타원 꼴에 가까운 피침 꼴이고 가장자리에는 길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 몸은 잎맥에 따라 깊이 패이고 주름이 잡힌다. 잔가지 끝에 희고 작은 꽃이 우산 꼴로 모여서 피어난다. 꽃은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름은 8~10mm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는 팥배나무의 열매와 흡사한 열매를 맺는데 지름이 5~8mm이고 익으면 붉게 물들어 아름답다.
상기 마가목은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말의 이빨과 같이 힘차게 돋아난다고 하여 중국에서는 ?마아목(馬牙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봄에 무리지어 피는 하얀 꽃은 밀원(蜜源)으로 이용되고 붉게 물드는 단풍잎과 빨간 열매가 아름다워 세계적으로 80여종이 재배되고 있다. 영국, 프랑스, 캐나다 등에서도 정원수로 인기가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에는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생약재 식물들의 대한 스토리와 효능으로서 화장품 소재로 산업적 이용가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식물인 꾸찌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이란, 열매, 잎, 줄기, 뿌리, 꽃, 수피 등 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식물 추출물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2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실질직인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제형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1: 약재 식물 추출물의 제조
약재시장에서 구매한 식물 약재들을 잘게 자른후 건조 중량 100g씩을 각각 플라스크에 넣고 70% 에탄올 (Ethyl alcohol) 1ℓ로 1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약재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제조되어 만들어진 각 추출물들은 감압농축을 한후 무게를 제어 수율로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부위) 수율(%)
꾸찌뽕나무(줄기) 1.01
속단(전초) 2.48
세신(전초) 2.29
마가목(수피) 4.57
실시예 2: ABTS 온라인항산화 HPLC를 활용한 지표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은 메탄올로 용해하여 0.45 ?m PVDF syringe filter(Whatman, Maidstone, England)를 통과시킨 다음 온라인 항산화 HPLC 장치 (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지표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하였다. 컬럼은 INNO C18 column (4.6 × 250 mm), 검출기는 UV(280 nm), 이동상은 HPLC grade용 아세토니트릴 (A)과 물 (B)을 0~10분, 10% A; 10~30분 10-100% A 의 조건으로 linear gradient하였으며, 유량은 1.0 mL/분 (아세토나이트릴, 물)과 0.5 mL/분 (ABTS 용액)으로 하였고, 시료주입량은 10 ?L로 하였다. 이 때 생약재 추출물의 지표성분 및 항산화 성분의 프로파일은 포지티브 피크로서 280nm의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내었고 각 피크에대한 항산화 활성은 네거티브 피크로서 734nm에서 측정 되어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약재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약재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 아데노신과 레티놀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10, 20, 50, 100ppm 의 농도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여 비교하였다. 먼저, 완충용액(0.267M Tris 용액을 0.267M 염산용액으로 pH 8.0이 되도록 조정) 1mL에 엘라스타아제 기질 Succ-Ala-Ala-p-nitroanilide(시그마사, 미국)을 4mg 넣어 섞었다(8.8mM 기질용액이 됨). 다음으로 효소인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 (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 시그마사, 미국)를 완충용액으로 10㎍/mL의 농도로 만든다. 이렇게 준비된 기질용액과 각각 의 시료를 섞은 후, 효소용액을 첨가하여 25 ℃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버퍼를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버퍼와 샘플 녹인 용매만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기재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실험예 2. 약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실험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약재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 알부틴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각각 최종농도 10ppm, 20ppm, 50ppm, 100ppm 씩 농도를 조절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감자나 버섯으로부터 정제되는 효소로서, 본 실험에서는 버섯류로부터 추출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시료와 0.1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 210㎕ 및 1.5mM L-DOPA 용액 4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온도를 유지시켰다. 그 후 머시룸티로시나제(1500unit/mL) 20㎕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9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버퍼를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버퍼와 샘플 녹인 용매만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기재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실험예 3. 약재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능력 실험
(1) DPPH 라디칼 포집 실험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유기 용매에 녹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은 515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은 DPPH 라디칼을 소거하여 고유의 색인 보라색을 잃고 노랗게 변화시킨다.
DPPH 라디칼 포집의 측정을 위하여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으로 추출한 약재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E의 유도체인 트롤록스와 비타민C인 Ascorbic acid를 각각 최종농도 10ppm, 20ppm, 50ppm, 100ppm 씩 농도를 조절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와 에탄올을 96-웰에 넣은 후 DPPH 라디칼을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515nm에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소거능을 %로 표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샘플녹인 용매인 에탄올과 DPPH 라디칼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샘플 녹인 용매인 에탄올만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4]에 기재하였다.
DPPH 라디칼소거효과(%)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2) ABTS 라디칼 포집 실험 (ABTS radical scavenging test)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는 과황화 칼륨(potassium persulfate)과 반응 하였을 때 전자를 잃으면서 불안정한 라디칼을 형성한다. 항산화 물질은 734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이 라디칼을 소거시키며 라디칼의 유해도를 상실시킬 수 있다.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으로 추출한 약재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E의 유도체인 트롤록스와 비타민C인 Ascorbic acid 를 각각 최종농도 10ppm, 20ppm, 50ppm, 100ppm 씩 농도를 조절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를 96-웰에 넣은 후, 에탄올을 넣어주고 100ul의 ABTS 라디칼을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734nm에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소거능을 %로 표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샘플녹인 용매인 에탄올과 ABTS 라디칼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샘플 녹인 용매인 에탄올만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5]에 기재하였다.
ABTS 라디칼소거효과(%)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실험예 4. 약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생약재 추출물 시료 (10mg)을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 20ul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다시 60ul의 증류수를 넣어 80ul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여기에 20ul의 폴린-치오칼텐 시약(Folin-Ciocalten reagent)을 첨가하여 5분동안 반응시킨 후, Na2CO3 100ul를 첨가하였다. 30분 후 73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인 갈릭산 (gallic acid)과 탄닉산 (tannic acid)의 검량곡선에 대입하여 gallic acid equivalent mg/g, tannic acid equivalent mg/g 추출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부위) 총 페놀릭함량 (mg/g)
갈릭산에 상당하는 양 탄닉산에 상당하는 양
꾸찌뽕나무(줄기) 45.54 ? 2.1 68.73 ? 3.0
세신(전초) 37.46 ? 2.9 57.01 ? 4.2
속단(전초) 19.73 ? 2.0 31.30 ? 3.0
마가목(수피) 34.81 ? 0.7 53.17 ? 1.1
실험예 5. 약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생약재 추출물 시료 (10mg)을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 20ul를 96-웰에 넣고 다시 80ul의 증류수를 넣어 100ul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여기에 100ul의 AlCl36H2O를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43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인 quercetin의 검량 선에 대입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고 quercetin equivalent mg/g 추출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부위)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mg/g)
퀘르세틴에 상당하는 양
꾸찌뽕나무(줄기) 2.48 ? 0.3
세신(전초) 5.13 ? 0.9
속단(전초) 0.48 ? 0.2
마가목(수피) 0.69 ? 0.3

Claims (5)

  1. 꾸찌뽕나무추출물, 세신추출물, 속단추출물, 및 마가목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부위로 열매, 잎, 가지, 꽃, 뿌리, 수피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2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79821A 2016-06-27 2016-06-27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KR20180001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21A KR20180001110A (ko) 2016-06-27 2016-06-27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21A KR20180001110A (ko) 2016-06-27 2016-06-27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10A true KR20180001110A (ko) 2018-01-04

Family

ID=6099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21A KR20180001110A (ko) 2016-06-27 2016-06-27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1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35A1 (ko) 2018-01-04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35A1 (ko) 2018-01-04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078A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2510B1 (ko)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1110A (ko) 꾸지뽕나무, 세신, 속단, 마가목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피부항산화 기능성 천연복합 화장품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6470B1 (ko) 캐모마일꽃, 찔레꽃 및 산구절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7510B1 (ko)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 촉진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