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72U -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72U
KR20180000572U KR2020160004790U KR20160004790U KR20180000572U KR 20180000572 U KR20180000572 U KR 20180000572U KR 2020160004790 U KR2020160004790 U KR 2020160004790U KR 20160004790 U KR20160004790 U KR 20160004790U KR 20180000572 U KR20180000572 U KR 20180000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frame
wire
reinforcing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나건주
Original Assignee
이종성
나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나건주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2020160004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572U/ko
Publication of KR20180000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8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hree-dimensional form by connecting wire networks, e.g. by projecting wires through an insulat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비온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 면의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에 가로 세로로 보강 와이어(3)들이 격자 구조로 엮여져 이루어지며, 내부에 돌이 채워지는 개비온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은 프레임 와이어(2)에 보강와이어(3)가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육각 기둥형태로 조립된 개비온으로서, 상기 개비온의 내부에 돌이 채워졌을 때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와이어(2)들에 보강선(5)들이 프레임 와이어(2)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보강되고 맞물림방식으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육각기둥 형태 개비온의 각 변을 이루는 와이어들을 나선형의 보강선으로 감아 엮어서 개비온의 지지강성이 증대되어 배부름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육각기둥 형태의 개비온이 적층되어 축조되어 배면측에서 전면으로 작용하는 토압이 개비온들에 의해 분산지지됨으로써, 옹벽 또는 사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IMPROVED GABION STRUCTURE}
본 고안은 개비온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비온으로 축조되는 옹벽 또는 사면의 전면에서 배부름과 같은 변형이 방지되도록 개비온을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하여, 축조시 토압이 분산되도록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이나 해안 또는 절개지등의 사면은 비가 오면 흙이 쓸려 내려가므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또는 와이어로 형성된 육면체의 그물망 구조에 돌을 넣은 개비온(Gabion)들을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여 왔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개비온 중 가장 일반적인 개비온은 통상적으로 와이어를 꼬아서 형성한 금속망 구조를 이용하였으나, 그러한 금속망에 채워지는 돌에 의해 전면과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축조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와 같이 변형된 개비온으로 축조된 옹벽이 질서정연하지 못하고, 축조후 배면측의 토압에 의해 붕괴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개비온의 변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471922호(2005년02월03일 등록)에는 전체가 육각형태로 꼬인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경사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직립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외부와 접하는 면에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측면부와, 석재를 담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측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격벽과, 상기 측면부의 상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어 개방된 부분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육각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육각형태의 그물망을 이루도록 수회로 꼬인 각 꼬임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보강 와이어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꼬임부와 보강 와이어는 별도의 결속구로 결속되는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육각 개비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특허의 육각 개비온에 보강 와이어 결속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육각 개비온들을 단순히 적층하여 배면측의 토압에 의해 개별 개비온들이 유동되어 결국 개비온 옹벽의 붕괴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471922호(2005년02월03일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개비온들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비온들을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하고 각 변을 구성하는 와이어들을 나선형의 보강선들로 엮어서 강성을 보강하여 축조시 토압을 분산 지지하도록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는, 각 면의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들에 가로 세로로 보강 와이어들이 격자 구조로 엮여져 이루어지며, 내부에 돌이 채워지는 개비온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상기 프레임 와이어에 격자구조로 결합된 보강와이어가 육각 기둥형태로 조립되어 축조시 토압을 분산지지하도록 되며, 상기 개비온의 내부에 돌이 채워졌을 때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와이어들에 보강선들이 프레임 와이어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선은 나선형으로 성형된 와이어로서, 육각기둥의 각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들에 나선형으로 돌려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개비온들에서 전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면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들은 다른 면의 프레임 와이어들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굵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다각형 개비온의 각 변을 이루는 와이어들을 나선형의 보강선으로 감아 엮어서 개비온의 지지강성이 증대되어 배부름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강성이 증대된 개별 개비온들을 나선형의 연결선으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축조되는 옹벽의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비온을 육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노출되는 전면은 육각기둥의 측면으로 형성하여 개비온이 적층될 때 배면측에서 전면으로 작용하는 토압을 분산지지토록 구성됨으로써, 옹벽 또는 사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나선형의 보강선을 육각기둥 형상의 개비온의 각 변의 와이어에 감아 개선된 구조의 개비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비온에서 상면부와 정면부가 분해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개비온을 사면에 가로방향으로, 즉 육각기둥의 사각형의 측면이 정면에서 보이게 적층한 상태의 개략적인 시공단면도.
도 5은 도 5와 같이 시공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육각기둥의 육각형 면이 정면에서 보이게 시공한 상태의 개략적인 시공단면도.
도 7은 도 1의 개비온에서 정면측의 프레임 와이어를 다른 면의 프레임 와이어 보다 직경을 더 굵게 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도록 된 변형에의 개비온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개비온(1)은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육각기둥의 각 면의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에 가로 세로로 보강 와이어(3)들이 격자 구조로 엮여져 이루어지는 8면으로 구성되며, 상면은 돌을 넣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강와이어(3)들이 사각형의 격자 형태로 역여져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삼각형이나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개비온(1)은 먼저 프레임 와이어(2)로 각 변을 이루도록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육각기둥 형태의 개비온을 적층할 때, 인접한 개비온들과 단면이 벌집구조로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되어 축조되어 후방에서의 토압이 개비온들에 의해 분산되어 지지된다.
또한, 개비온(1) 자체의 강성 증대를 위해 상기 육각기둥의 각 변의 프레임 와이어(2)에 보강 와이어(3)를 격자구조로 결합하여 육각기둥의 각 면을 형성한다. 상기 개비온(1)은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육각기둥 형태, 즉 육각 통 형태의 내부 공간에 돌을 채운 다음 별도로 만들어진 상면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종래 단순히 육면체 형상의 개비온 속에 돌을 채우면 개비온이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육면체의 개비온의 경우 후방측의 토압이 개비온의 배면에 작용하여 축조되는 경사면의 지지강성이 약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보강선(5)은 나선형으로 미리 성형되어 형성되며, 육면체의 각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를 중심으로 나선형의 보강선(5)을 나사를 돌리듯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 와이어(2)에 보강선(5)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가 보강선(5)을 프레임 와이어(2) 둘레로 감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수행되므로 개비온의 강성 보강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보강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선형의 보강선(5)은 육각기둥의 높이방향의 각 변의 프레임 와이어(2)들에 각각 나선형의 보강선(5)을 회전시켜 결합하고, 그런 다음 저면의 육각형을 이루는 변의 프레임 와이어(2)들에도 보강선(5)을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사각형의 변들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별도로 만들어지는 상면의 육각형 변에 해당하는 프레임 와이어(2)에도 나선형의 보강선(5)을 감아 보강하여 구성되는 상면을 결합함으로써 육면체의 개비온(1)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개비온(1)은 육각기둥 형태의 각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에 나선형 보강선(5)을 회전시켜 감겨지게 함으로써 프레임 와이어(2)의 보강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이렇게 각 변이 보강선(5)으로 보강된 육각기둥 형태의 개비온(1)은 지지강성이 증대되어 개비온 속에 돌을 채울 때 볼록하게 변형되는 배부름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나선형의 보강선으로 보강된 육각기둥 형상의 개비온(1)은 도 4와 5에 도시된 같이 육각기둥의 사각형 측면이 전면으로 배치되게 하여 인접한 개비온(1)들과 서로 맞물림 방식으로 벌집형태로 축조함으로써 토압을 분산지지하게 되어 가장 안정된 구조로 옹벽이나 경사면을 축조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도 6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기둥의 육각면이 정면으로 배치되게 개비온(1)들이 배치되게 경사면 또는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각기둥 형태의 개비온(1)들로 축조된 경사면 또는 옹벽은 후방측에서 전방으로의 토압이 개비온(1)들에 의해 분산되어 개비온로 축조된 사면 또는 옹벽의 지지강성이 증대되어 토압에 의한 배부름 현상 및 손상이 방지되고, 따라서, 토압에 대한 옹벽 또는 사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7에 도시된 개비온(1)은 전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면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은 노출면의 강성증대를 위해 다른 면의 프레임 와이어들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굵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와이어로 형성되는 개비온에 적용하여 옹벽 또는 사면 구축에 이용될 수 있다.
1 : 개비온 2 : 프레임 와이어
3 : 보강 와이어 5 : 보강선

Claims (3)

  1. 각 면의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에 가로 세로로 보강 와이어(3)들이 격자 구조로 엮여져 이루어지며, 내부에 돌이 채워지는 개비온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은 상기 프레임 와이어(2)에 격자구조로 결합된 보강와이어(3)가 육각 기둥형태로 조립되어 축조시 토압을 분산지지하도록 되며, 상기 개비온의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 와이어(2)들에 보강선(5)들이 프레임 와이어(2)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5)은 나선형으로 성형된 와이어로서, 육각기둥의 각 변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에 나선형으로 돌려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들에서 전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면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들은 다른 면의 프레임 와이어들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KR2020160004790U 2016-08-18 2016-08-18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KR201800005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90U KR20180000572U (ko) 2016-08-18 2016-08-18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90U KR20180000572U (ko) 2016-08-18 2016-08-18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72U true KR20180000572U (ko) 2018-02-28

Family

ID=6138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790U KR20180000572U (ko) 2016-08-18 2016-08-18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572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30A (ja) * 1997-04-01 1998-12-15 K A M:Kk 護岸構造
KR100471922B1 (ko) 2002-03-11 2005-03-09 선비마카페리 (주)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육각 개비온
KR20110125821A (ko) * 2010-05-14 2011-11-22 송치석 개비온 벤치
KR20130083196A (ko) * 2012-01-12 2013-07-22 노정협 배부름 방지 돌망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30A (ja) * 1997-04-01 1998-12-15 K A M:Kk 護岸構造
KR100471922B1 (ko) 2002-03-11 2005-03-09 선비마카페리 (주)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육각 개비온
KR20110125821A (ko) * 2010-05-14 2011-11-22 송치석 개비온 벤치
KR20130083196A (ko) * 2012-01-12 2013-07-22 노정협 배부름 방지 돌망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55B1 (ko) 사각형 돌망태
CN201310092Y (zh) 石笼网
US20090016825A1 (en) Earthen Retaining Wall with Pinless Soil Reinforcing Elements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JP5496121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JP5294439B1 (ja)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KR101460948B1 (ko)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JP2009013652A (ja) 杭頭補強用鉄筋およびその杭頭補強用鉄筋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JP5826335B1 (ja) 蛇篭用連結装置
KR20180000572U (ko) 개선된 형태의 개비온 구조
KR200422860Y1 (ko) 옹벽용 개비온
JP5664989B1 (ja) 既存柱の補強構造
JP4210323B1 (ja) 建築構造体
JP2011219919A (ja)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JP6322488B2 (ja) 構造物
JP5099927B2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耐震補強構造
KR100719355B1 (ko) 옹벽용 개비온
WO2013151020A1 (ja)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JP7356362B2 (ja) 地中壁
JP7230313B2 (ja) 地下階構造及び地下階の構築方法
KR102239894B1 (ko) 컴파운드블록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JP2022019139A (ja) 篭ユニット及び土木構造物
JP2016113757A (ja) 壁状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