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64U - 발효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64U
KR20180000564U KR2020180000712U KR20180000712U KR20180000564U KR 20180000564 U KR20180000564 U KR 20180000564U KR 2020180000712 U KR2020180000712 U KR 2020180000712U KR 20180000712 U KR20180000712 U KR 20180000712U KR 20180000564 U KR20180000564 U KR 201800005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ermented food
gas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602Y1 (ko
Inventor
이병국
남윤승
박광수
이해선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80000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0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65D2205/025Venting holes having a removable label, sticker or adhesive foil covering the hole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로 인한 본체의 손상 및 발효식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공간을 통해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유동홈; 상기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지는 상기 본체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통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효식품 보관 용기{container for keeping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에 수용되는 발효식품의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외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로 인한 본체의 손상 및 발효식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 공기와 접촉할 경우,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 따를 뿐만 아니라 산패 등으로 인한 변질이 따를 수 있다.
이에 가정, 업소, 제조업체 등지에서는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보관한다.
즉, 본체 내에 식품을 넣은 후 덮개를 덮어 식품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한편, 김치 등의 발효식품은 발효과정에서 가스, 즉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본체 내에 발효식품을 넣고 덮개를 덮어 밀폐 보관하는 경우 자칫 가스로 인해 본체가 부풀어 올라 갈라지는 등의 손상이 따를 수 있다.
이때, 본체에 덮개를 불완전 밀폐시키게 되면 발효식품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본체와 덮개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로 인한 본체의 손상이 간단히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에 덮개를 불완전 밀폐시키는 경우, 본체와 덮개 사이의 틈으로 발효식품이 누출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오염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고, 본체와 덮개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외기, 즉 산소가 유입되어 발효식품에 효모가 발생하거나 부패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1993-0023746호(공개일 : 1993. 12. 16.)는 김치 등의 발효식품을 보관하는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 가스흡수제를 적용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 가스흡수제를 적용하는 경우, 가스흡수제가 발효식품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흡수하게 되므로 가스로 인한 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흡수제는, 가스 흡수에 한계가 있어 가스 흡수량이 한계치를 넘어서는 경우나, 발효식품에 빠지는 경우 가스 흡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가스로 인해 본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발효식품의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외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외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보관 용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용기를 통한 발효식품 보관시 발효식품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하여 본체가 손상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용기를 통한 발효식품 보관시 본체와 덮개 사이의 틈으로 산소가 유입되어 발효식품에 효모가 발생하거나 부패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용기를 통한 발효식품 보관시 본체와 덮개 사이의 틈으로 발효식품이 누출됨으로 인하여 오염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는,
내부의 공간을 통해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유동홈; 상기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지는 상기 본체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유동홈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스배출홈은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지는 어느 일면에 상기 통공과 밀접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소수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통공은 상부 또는 하부 입구측에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허용 압력은 0.3-2.0mbar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그 직경이 0.2-2.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지는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 상단에 고주파 융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는, 실링지가 통공을 포함하고, 덮개가 가스유동홈 및 가스배출홈을 포함하는바, 발효식품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통공을 통해 덮개측으로 유동한 후 가스유동홈 및 가스배출홈을 거쳐 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발효식품으로부터의 가스 발생으로 인한 본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는, 실링지가 통공과 밀접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바, 필터에 의해 본체 내 발효식품 국물 등의 누출이 차단되므로 발효식품 누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는, 통공이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바, 밸브에 의해 본체 내의 가스가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뿐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외기 유입은 차단되므로 발효식품에서의 효모 발생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서 통공을 통한 가스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서 가스유동홈을 통한 가스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에서 가스배출홈을 통한 가스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A)는, 본체(10)와, 덮개(20)와, 실링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의 공간을 통해 발효식품(100)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됨으로써 재질 특성상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그 내구성이 비교적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인젝션 블로우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가 인젝션 블로우 공법으로 성형됨으로써 공법 특성상 상기 본체(10)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네크부위(11) 외주면에 나선(1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나선(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선(12)과 상기 덮개(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23)이 물림에 따라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의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개방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덮개(20)는 복수의 가스유동홈(21) 및 복수의 가스배출홈(22)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유동홈(21)은 상기 덮개(20)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홈(22)은 상기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진다.
상기 덮개(20)가 상기 가스유동홈(21) 및 상기 가스배출홈(22)을 포함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실링지(30)에 포함되는 통공(31)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가스배출홈(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스유동홈(21)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유동홈(21)이 곡선형으로 됨으로써 그 형태적 특성상 외기 이상의 압력을 갖는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가스는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유동하나, 상기 가스에 비해 압력이 미미한 외기는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유동할 수 없어 상기 본체(10)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외기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유동홈(21)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유동홈(21)이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통공(3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스가 상기 가스유동홈(21) 각각을 따라 균등하게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가스유동홈(21)을 통한 상기 가스의 유동이 원활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홈(22)은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23)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배출홈(22)이 상기 나선(23)을 종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홈(22)을 따라 유동할 때 상기 나선(23)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실링지(30)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링지(30)는 상기 본체(10)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통공(31)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지(30)가 상기 통공(31)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의 발효식품(100)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통공(21)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통공(31)은 그 직경이 0.2-2.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31)의 직경이 0.2m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공(31)을 통한 상기 가스의 배출이 미흡할 수 있고, 상기 통공(31)의 직경이 2.0mm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통공(31)을 통한 상기 가스의 배출이 과도하여 상기 가스유동홈(21)에서 상기 가스의 유동이 정체될 수 있는바, 상기 통공(31)은 그 직경이 0.2-2.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공(31)은 상부 또는 하부 입구측에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밸브(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31)이 상기 밸브(3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의 가스 압력이 상승할 때 상기 밸브(32)가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가스가 상기 통공(31)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32)의 허용 압력은 0.3-2.0mbar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용 압력이 0.3mbar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밸브(32)가 줄곧 개방되므로 상기 통공(31)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허용 압력이 2.0mbar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본체(10) 내에서의 가스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실링지(30)가 부풀어 오르는 등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상기 허용 압력은 0.3-2.0mbar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32)는,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 고정된 양측 단부 사이가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가스 압력 상승에 의해 들뜸으로써 개방된다.
한편, 상기 밸브(32)는,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한 박막 형태 외에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상기 밸브(3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지(30)는 어느 일면에 상기 통공(31)과 밀접하는 필터(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지(30)가 상기 필터(33)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에 수용된 상기 발효식품(100)의 국물 등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33)는 소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3)가 소수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효식품(100)의 국물 등과 접촉하더라도 물기를 흡수하지 않아 그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외부로 국물과 같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실링지(30)는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10) 상단에 고주파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지(3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10) 상단에 고주파 융착됨으로써 상기 실링지(30)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기밀 유지가 안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A)에서의 상기 가스 배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지(30)는 상기 통공(31)을 포함하는바,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31)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통공(3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스는 곧바로 상기 덮개(20) 저면에 이르게 되므로 상기 덮개(20) 저면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가스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20)는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으로 이어지는 상기 가스유동홈(21)을 포함하는바, 상기 통공(3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유동홈(21) 각각을 따라 상기 덮개(20)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덮개(20)의 상기 내주면측으로 향하는 상기 가스는 상기 내주면 및 나선(23)의 간섭으로 인하여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20)는, 상기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나선(23)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가스배출홈(22)을 포함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주면 측으로 유동하는 상기 가스는 상기 가스배출홈(22)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실링지(30)에 상기 통공(3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10)에 충격 등이 가해질 때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발효식품(100)의 국물 등이 상기 통공(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지(30)는 상기 본체(10) 내부측의 일면에 상기 통공(31)과 밀접하는 상기 필터(33)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발효식품(100)의 국물 등은 상기 필터(33)에 막혀 상기 통공(31)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통공(31)을 통한 상기 발효식품(100)의 국물 등 배출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덮개(20)에 상기 가스배출홈(22) 및 상기 가스유동홈(2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홈(22)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유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유동홈(21)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바, 상기 가스유동홈(21)의 형태적 특성상 상기 가스에 비해 압력이 미미한 외기는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유동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0) 내부로의 외기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31)은 상부 입구측에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상기 밸브(32)를 포함하는바, 상기 가스 배출시 이외에 상기 밸브(32)는 폐쇄된 상태에 있어 상기 가스유동홈(21)을 따라 외기가 유입되더라도 이는 상기 밸브(32)에 막혀 더 이상의 진행이 불가하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0) 내부로의 외기 유입이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보관 용기(A)는, 상기 실링지(30)가 상기 통공(31)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20)가 상기 가스유동홈(21) 및 상기 가스배출홈(22)을 포함하는바, 상기 발효식품(100)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가스가 상기 통공(31)을 통해 상기 덮개(20)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가스유동홈(21) 및 상기 가스배출홈(22)을 거쳐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발효식품으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으로 인한 상기 본체(10)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실링지(30)가 상기 통공(31)과 밀접하는 상기 필터(33)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필터(33)에 의해 상기 통공(31)을 통한 상기 본체(10) 내 상기 발효식품(100) 국물 등의 누출이 차단되므로 상기 발효식품(100) 누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31)이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상기 밸브(32)를 포함하는바, 상기 밸브(32)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가스가 상기 통공(31)을 통해 배출될 뿐 상기 본체(10)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외기 유입은 차단되므로 상기 발효식품(100)에서의 효모 발생 또는 상기 발효식품(100)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네크부위
12 : 나선 20 : 덮개
21 : 가스유동홈 22 : 가스배출홈
23 : 나선 30 : 실링지
31 : 통공 32 : 밸브
33 : 필터 100 : 발효식품
A : 발효식품 보관 용기

Claims (3)

  1. 발효식품 보관 용기로서,
    내부의 공간을 통해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 상단에 고주파 융착되는 실링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유동홈; 상기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가스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지는 상기 본체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통공과 그것의 어느 일면에 상기 통공과 밀접하는 소수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공은 그 직경이 0.2-2.0mm로 형성되고, 그것의 상부 또는 하부 입구에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0.3-2.0mbar의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것인, 발효식품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동홈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발효식품 보관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홈은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2020180000712U 2018-02-13 2018-02-13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200491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12U KR200491602Y1 (ko) 2018-02-13 2018-02-13 발효식품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12U KR200491602Y1 (ko) 2018-02-13 2018-02-13 발효식품 보관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91A Division KR20180018640A (ko) 2018-02-08 2018-02-08 발효식품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64U true KR20180000564U (ko) 2018-02-27
KR200491602Y1 KR200491602Y1 (ko) 2020-05-07

Family

ID=6138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12U KR200491602Y1 (ko) 2018-02-13 2018-02-13 발효식품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398A (ko) * 2018-06-14 2019-12-24 이용재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26U (ko) * 1997-08-04 1999-03-05 임정남 탁주병 마개
KR200233048Y1 (ko) * 2001-02-20 2001-09-29 박종욱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20110113352A (ko) * 2010-04-09 2011-10-17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JP2013517999A (ja) * 2010-01-29 2013-05-20 ゴッリョ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ーニ 気密容器のための生分解性一方向ガス抜き弁
KR101414183B1 (ko) * 2013-01-28 2014-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배출수단이 구비된 탁주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26U (ko) * 1997-08-04 1999-03-05 임정남 탁주병 마개
KR200233048Y1 (ko) * 2001-02-20 2001-09-29 박종욱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JP2013517999A (ja) * 2010-01-29 2013-05-20 ゴッリョ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ーニ 気密容器のための生分解性一方向ガス抜き弁
KR20110113352A (ko) * 2010-04-09 2011-10-17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101414183B1 (ko) * 2013-01-28 2014-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배출수단이 구비된 탁주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398A (ko) * 2018-06-14 2019-12-24 이용재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02Y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499A (en) Filter cap
US8070011B2 (en) Glass packaging cover
KR20000012681A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180000564U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20180018640A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20170039864A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100390339B1 (ko)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 배출기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KR100382853B1 (ko) 김치숙성용 포장용기
JP2018531182A6 (ja) 発酵食品保管容器
KR100405964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0228508Y1 (ko) 김치숙성용 포장용기
JP2001120254A (ja) 発酵食品容器用ガス排出器
KR200325853Y1 (ko)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 가스 배기 포장재
KR20120046921A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20030080424A (ko) 발효식품 보관용기
KR200162647Y1 (ko)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저장통
CN209009218U (zh) 盖子及液体容器
KR200342906Y1 (ko) 가스 누출 방지용 마개
KR20170055164A (ko) 탈산제 포장대를 내장할 수 있는 발효식품용기
US20200361687A1 (en) Fermented food packing pouch, fermented food packing method using same, and packing pouch
KR20090007028U (ko) 밀폐용기용 패킹의 구조
KR100475629B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