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40U -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40U
KR20180000240U KR2020170001174U KR20170001174U KR20180000240U KR 20180000240 U KR20180000240 U KR 20180000240U KR 2020170001174 U KR2020170001174 U KR 2020170001174U KR 20170001174 U KR20170001174 U KR 20170001174U KR 20180000240 U KR20180000240 U KR 20180000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holder
bas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229Y1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하이텍파츠
Priority to US16/316,9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54799B2/en
Priority to PCT/KR2017/007478 priority patent/WO2018012884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용 제품을 파지할 수 있는 홀더 및 그 홀더를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는, 휴대용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락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에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HOLDER FOR PORTABLE DEVICE AND SUPPORTER}
본 고안은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용 제품을 파지할 수 있는 홀더 및 그 홀더를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할 경우, 한 손으로 휴대용 장치를 잡고서 사용한다. 한 손으로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 중에,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놓칠 경우 전자장치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서 사용할 때,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떨어뜨려서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홀더가 고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57968호(발명의 명칭,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는 휴대폰이나 휴대폰의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는 홀더(행거 그립)와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폰(80)이 부착되기 위한 베이스(20)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고리(40)를 구비한다. 베이스(20)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에는 베이스(20) 영구자석에 부착되기 위한 얇은 철판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홀더를 착탈하도록 한다. 고리(4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고 사용하여, 사용 중에 휴대폰이 손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리(40)는 회동부(30)에 연결되고, 회동부(30)는 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도 2에는 홀더를 거치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휴대폰 거치대와 홀더(행거 그립)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홀더에는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거치대에는 영구자석이 부착되기 위한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홀더를 휴대폰과 같은 전자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을 하기 위하여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영구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은 견고하지 못하여, 홀더에 부착된 전자장치가 탈락 될 위험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의 자기장이 휴대용 전자장치의 성능을 저해할 염려도 있다. 또한, 영구자석은 고가여서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전자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탈락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홀더 수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더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부착홀더 수용 지지체와 쌍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착홀더 수용 지지체는, 휴대폰 거치대와 같은 장치의 관절 단말에 설치되어 홀더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경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라서 휴대용 장치의 홀더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장치 홀더는, 휴대용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락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에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장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원통형이고, 말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결합 수단은 상기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과, 상기 구멍의 바닥에 상기 회전 제어 돌기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각도 조절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핸들이 정지한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상기 회전 제어 돌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핸들을 정해진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형성하여, 홀더를 홀더 수용 지지체에 용이하게 장착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이 베이스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홀더의 하우징이 락킹이 되면서 간헐적으로 회전되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슬라이딩 가이드를 돌출 형성하고,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를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다. 회전각 분할체의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스프링을 끼워서 회전각 분할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베이스는,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베이스의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각 분할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각 분할체의 요철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하우징이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휴대용 장치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홀더 수용 지지체가 제공된다. 홀더 수용 지지체는 홀더의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함몰부의 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하우징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어 핸들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이 걸리도록 구성된, 탄성 걸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걸이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탄성 아암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아암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핸들은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고 동시에 하우징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에 손가락을 끼우고 휴대용 전자장치를 파지하여 사용할 때, 자유롭게 사용위치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은 회전 또는 회동된 위치에서 탄성에 의한 락킹되어 있어서 사용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는 홀더와 함께 사용된다. 홀더 수용지지체는 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거치대와 같은 관절의 말단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 거치대에 홀더와 홀더 수용 지지체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홀더(행거 그립)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홀더(행거 그립)을 거치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일실시예와 휴대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홀더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도 홀더 핸들의 하우징 결합 수단의 설명도
도 7은 도 4의 홀더의 단면도
도 8은 회전각 분할체의 사시도
도 9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10은 하우징의 사시도
도 11은 홀더와 홀더수용지지체가 거치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홀더의 분해 사시도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3에는 휴대폰(80)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홀더(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홀더(100)는 고정회전유닛(110)과 고정회전유닛의 하우징(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20)을 포함한다. 고정회전유닛(110)은 하우징(111)을 구비하고, 원형의 하우징(111) 양측에 핸들(12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1)과 핸들(120)은 회동접속수단(112, 113, 122, 123)에 의해서 접속된다. 회동접속수단(112, 113, 122, 123)은 하우징(111)의 양측에 형성된 핸들 말단 접속수단(112, 113)과 핸들(120)의 말단에 형성된 하우징 결합수단(122, 123)으로 구성된다. 핸들 말단 접속 수단(112, 113)은 하우징(111)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1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112)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112)의 말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로 구성된다. 하우징 결합수단(122, 123)은 원통형 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 돌기(1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122)과, 수용 구멍(122)의 바닥에 회전 제어 돌기(113)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123)을 포함한다.
도 13에는 하우징(111)과 핸들(120)을 접속시키기 위한 회동접속수단(112, 114, 122, 124)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 말단 접속 수단(112, 114)은 하우징(111)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1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112)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112)의 말단부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홈(114)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결합수단(122, 124)은 원통형 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 돌기(1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122)과, 수용 구멍(122)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회전 제어 돌기(124)를 포함한다. 핸들 회전제어 돌기(124)는 각도 조절홈(124)에 삽입되어 핸들(120)을 회돌시킬 때, 일정한 각도 회전하고 정지하도록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핸들(120)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핸들(120)은 탄성을 구비하여, 어느 정도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120)과 고정회전유닛(110)을 결합하기 위하여, 핸들(120)을 벌리고, 핸들(120)의 수용구멍(122)에 하우징의 원통형 돌기(112)를 삽입하다. 원통형 돌기(112)의 단부에 형성된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에 삽입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핸들(120)의 회동을 락킹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a)에 삽입되어 있을 때 핸들(120)을 고정회전유닛(11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핸들(120)이 벌어지면서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a)에서 이탈하여 이웃한 각도 조절 홈(123b)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120)은 탄성에 의해서 각도 조절 홈(123b)이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해하여 락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120)이 락킹된 위치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120)이 락킹된 특정한 위치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도 조절 홈들(123a, 123b, 123c)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 홈(123b)의 크기가 각도 조절 홈들(123a, 123c)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도 조절 홈(123b)은 회전 제어 돌기(11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20)이 각도 조절 홈(123b)에서 락킹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락킹된 핸들(120)이 유동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00)를 거치대에 장착할 때, 핸들(120)에 유동각을 주어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핸들(120)에 유동각이 없는 경우에, 홀더(100)를 장착할 때, 핸들(120)과 홀더 수용지지체(200) 사이에 간섭이 있을 경우, 핸들(120)이 락킹된 위치를 유지하여 핸들(120)의 반발력에 의해서 장착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핸들(120)에 유동각이 있는 경우에는, 핸들(120)이 간섭되더라도 반반력이 크지 않아서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회전유닛(110)은, 휴대용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114)과, 베이스(1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베이스(114)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1)을 베이스(114)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11)의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1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는 중심에 관통구멍(115e)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115)가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회전각 분할체(115)의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115a, 1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스프링(116)을 끼워져 있고, 스프링(116)은 회전각 분할체(115)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스프링(116)이 분리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나사(117)가 체결되어 있다.
베이스(114)는, 중심부에 관통구멍(114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114a)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14e)를 구비한다. 베이스(114)의 결합부(114e)는 하우징(111)과 회전각 분할체(1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4)의 결합부(114e)에는 회전각 분할체(115)의 요철(115a, 115b)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114b, 11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11)이 베이스(114)에 대하여 회전할 때, 하우징(111)이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하우징(111)의 락킹은 스프링(116)의 탄성에 의해서 유지된다. 회전각 분할체(115)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5d)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115d)는 하우징(111) 내부의 지지벽(111b) 내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111c)와 맞물려 결합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회전각 분할체(115)는 하우징(111)이 회전할 때 하우징(11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각 분할체(115)가 회전할 때, 회전각 분할체(115)의 요철(115a, 115b)과 맞물린 베이스(114)의 요철(114b, 114c)이 교대로 맞물리면서, 간헐적으로 락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100)에는 베이스(114)의 일측면에 겔패드(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00)를 사용할 때, 겔패드(130)를 이용하여 베이스(111)를 휴대용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고정한다. 필요에 따라서, 겔패드(130) 대신에 흡착판을 부착하거나, 베이스(114)를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홀더 수용 지지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 수용 지지체(200)는 거치대(300)의 관절 말단(3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홀더 수용 지지체(200)는 홀더(100)의 하우징(111)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10)가 형성된 바디(260)를 포함한다. 바디(260)에는 홀더(100)의 핸들(120)을 걸어서 홀더(100)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걸이(24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이(240)는 바디(260)의 함몰부(21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210)의 주위에 홀더(100)의 바디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 지지부(230)에는 핸들(120)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 수용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이(240)는, 바디(260)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241)과 탄성 아암(241)에 돌출된 잠금돌기(242)와 잠금돌기 후방에 형성된 잠금홈(243)을 포함한다. 또한, 탄성 걸이(240)는 탄성 아암(241)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바디(260)에서 탄성 아암(241)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 돌기(245)를 더 포함한다. 탄성 걸이(240)는 핸들(120)의 내측과 접촉하여 탄성 변형되어 핸들(120)에 탄성력을 가하여 홀더(100)가 수용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100)의 하우징(111)이 바디(260)의 함몰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핸들(120)을 하방으로 누르면, 핸들(120)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핸들(120)은 탄성 아암(241)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잠금 돌기(242)를 타고 넘어가서 잠금홈(243)에 안착된다. 홀더(100)를 홀더 수용 지지체(20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핸들(1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 아암(241)을 변형시키고 핸들(120)이 잠금 돌기(242)를 타고 넘어와 탄성 걸이(240)로부터 분리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휴대용 장치 홀더
111 하우징
114 베이스
115 회전각 분할체
116 스프링
117 나사
118 커버
120 핸들
200 홀더 수용 지지체
210 함몰부
240 탄성 걸이
260 바디

Claims (7)

  1. 휴대용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락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의 말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 수단은, 상기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과, 상기 수용구멍의 바닥에 상기 회전 제어 돌기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의 말단부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 수단은, 상기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과, 상기 수용 구멍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회전 제어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도 조절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회전 제어 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핸들이 정지한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형성된 휴대용 장치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심부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와,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체결된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각 분할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각 분할체의 요철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장치 홀더.
  6. 일면에 접착 겔 패드가 부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락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의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함몰부의 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하우징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어 핸들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이 걸리도록 구성된, 탄성 걸이를 포함하는 홀더 수용 지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이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탄성 아암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아암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홀더 수용 지지체.
KR2020170001174U 2016-07-13 2017-03-13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0489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16,907 US10554799B2 (en) 2016-07-13 2017-07-12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PCT/KR2017/007478 WO2018012884A1 (ko) 2016-07-13 2017-07-12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4047 2016-07-13
KR2020160004047 201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40U true KR20180000240U (ko) 2018-01-23
KR200489229Y1 KR200489229Y1 (ko) 2019-05-17

Family

ID=6128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74U KR200489229Y1 (ko) 2016-07-13 2017-03-13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4799B2 (ko)
KR (1) KR2004892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2727S1 (en) * 2018-05-14 2020-01-14 Ispeaker Co., Ltd. Holder for smart device
USD879090S1 (en) * 2018-05-14 2020-03-24 Ispeaker Co., Ltd. Holder for smart device
USD873812S1 (en) * 2018-05-23 2020-01-28 Annex Products Pty. Ltd. Mounting arm
USD958131S1 (en) * 2019-02-19 2022-07-19 Miworld Accessories Llc Smart phone back protector with ring holder
USD927477S1 (en) * 2019-03-11 2021-08-10 Christopher Douglas Jordan Phone holder
US11320724B2 (en) * 2019-05-13 2022-05-03 Peak Design Close-pack, high-aspect-ratio camera tripod
CN114980602A (zh) 2019-07-31 2022-08-30 尖峰设计公司 移动设备安装系统
US11548451B2 (en) 2019-07-31 2023-01-10 Peak Design Mobile device mounting system
KR200490616Y1 (ko) * 2019-09-19 2019-12-06 김진우 스마트 휴대폰 케이스
USD934231S1 (en) * 2020-04-03 2021-10-26 Dongguan Chuang Long Electronics Limited Mobile phone stand
US11722166B2 (en) 2020-10-15 2023-08-08 Peak Design Mobile device case system
US11211963B1 (en) 2020-10-15 2021-12-28 Peak Design Mobile device case system
USD966255S1 (en) * 2020-12-30 2022-10-11 Shenzhen Weiligu Technology Co., Ltd Magnet cell phone ring stand
US11265035B1 (en) * 2021-02-08 2022-03-01 Ping Zhang Mobile device holder
US11719382B2 (en) 2021-05-28 2023-08-08 Peak Design Mobile tripod mounting system
CN216599728U (zh) * 2021-12-06 2022-05-24 汪胜刚 一种多功能支架手机保护壳
USD971204S1 (en) * 2022-01-07 2022-11-29 Jiangfei Wang Mobile phone ring holder
CN217883505U (zh) * 2022-04-06 2022-11-22 厦门广开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支架
USD965582S1 (en) * 2022-07-13 2022-10-04 Chaoqun Ma Mobile phone ring holder
USD965580S1 (en) * 2022-07-13 2022-10-04 Chaoqun Ma Mobile phone ring holder
USD965581S1 (en) * 2022-07-13 2022-10-04 Chaoqun Ma Mobile phone ring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200A (ko) * 2003-04-11 2004-10-21 나은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20130032075A (ko) * 2011-09-22 2013-04-01 장대규 딸각회전기능을 갖는 캐릭터 케이스와 스마트폰 케이스가 결합된 더블형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33835A (ko) * 2013-09-25 2015-04-02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450A (ko) 2011-05-20 2012-11-28 송순영 흡착 거치대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MX352244B (es) 2013-04-12 2017-11-15 Aauxx Korea Co Ltd Accesorio para dispositivo móvil y aparato para montar el mismo en un automóvil.
KR101557968B1 (ko) 2013-10-31 2015-10-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200A (ko) * 2003-04-11 2004-10-21 나은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20130032075A (ko) * 2011-09-22 2013-04-01 장대규 딸각회전기능을 갖는 캐릭터 케이스와 스마트폰 케이스가 결합된 더블형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33835A (ko) * 2013-09-25 2015-04-02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29Y1 (ko) 2019-05-17
US20190230205A1 (en) 2019-07-25
US10554799B2 (en)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29Y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11039679B2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CN106896867B (zh) 用于保持装置的适配器
KR101253763B1 (ko)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US20190185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multi-positional device holder
WO2018012884A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0424288Y1 (ko)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US10976781B2 (en) Apparatus holding structure
JP2023514759A (ja) 脱着手段が備えられた携帯端末機用アクセサリーモジュール
KR200473759Y1 (ko) 집게타입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030010899A (ko) 무선랜 어댑터
US10709273B1 (en) Utensil apparatus
KR101403413B1 (ko) 가변형 거치대
US2011012867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cover
CN218482886U (zh) 电子设备支架保护壳
CN110324472A (zh) 手机固定装置
KR101965565B1 (ko) 스마트폰 링홀더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RU2806399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исоска
KR200226250Y1 (ko)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CN107781588B (zh) 固定支架及固定模块
CN115060036A (zh) 一种门体组件以及冰箱
CN215914101U (zh) 挂架
CN215060658U (zh) 一种夹持装置及云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