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50Y1 -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50Y1
KR200226250Y1 KR2020000028785U KR20000028785U KR200226250Y1 KR 200226250 Y1 KR200226250 Y1 KR 200226250Y1 KR 2020000028785 U KR2020000028785 U KR 2020000028785U KR 20000028785 U KR20000028785 U KR 20000028785U KR 200226250 Y1 KR200226250 Y1 KR 200226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obile device
support member
presen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정
Original Assignee
김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정 filed Critical 김상정
Priority to KR2020000028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5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돌기와 후크편에 의해 협지된 휴대기기에서 상기 후크편을 구동시켜 협지 상태를 제거하여 휴대기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장착과 회전시에 지지부재가 탄성변형 하는 것으로 휴대기기에 안전한 장착 상태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고정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회전을 반복하면 걸림돌기가 마모되어 장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는데 본 고안은 휴대기기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걸이구를 회전시켰을 때 걸이구와 걸림돌기의 마찰력이 작게 발생하도록 상기 걸림돌기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또는 복원될 수 있어 마모를 현저하게 적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기의 주변기기인 이어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가져 휴대폰과 주변기기의 휴대가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고정장치{the holder for portable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기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기기의 착탈을 위한 지지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라 함은 핸드폰이나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장비를 말하며 이하 휴대기기라 한다.
최근에 각종 휴대기기의 사용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었는데, 휴대기기는 고가의 장비로 그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 휴대에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그런데 휴대기기의 휴대가 마땅치 않아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기기를 주머니나 손에 휴대하다 부주의로 휴대기기를 분실하거나, 휴대기기가 충격을 받아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휴대기기 사용자들에게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에 게시된 도면은 휴대기기의 휴대를 위한 장치로 국내 공개공보에 공개된 것(실1999-002566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출원은 휴대기기의 벨트 걸이구로 휴대기기의 착용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기기 걸이구는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걸림부재(8)와 상기 걸림부재(8)에 형성된 걸이구(5)가 제 1몸체부(1)와 제 2몸체부로(2) 구성되어진 몸체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걸이구(5)는 기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몸체부(2)는 구동부재(7)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7)는 걸림돌기(3)와 후크편(4)을 제어하여 휴대기기에 부착된 상기 걸이구(5)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 2몸체부(2)에는 가이드부의 장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걸이구(5)가 상기 걸림돌기(3)와 후크편(4)에 의해 협지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벨트 걸이구에서는 걸림돌기(3)와 후크편(4)에 의해 걸이구(5)가 협지되는데, 상기 휴대기기를 고정장치에 장착하거나 회전시킬 때, 상기 후크편(4)을 구동시켜 협지 상태를 제거하고 휴대기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부재(7)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7)가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벨트 걸이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걸이구(5)와 걸림돌기(3)와 후크편(4)에 의해 휴대기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기기를 회전시겨 고정할 때 걸이구(5)와 걸림돌기(3)가 상대회전 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에 의해 걸림돌기(3)가 마모되는데, 마모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걸림돌기(3)가 걸이구(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해 상기 휴대기기의 고정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기기를 수납하는 장치는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휴대기기의 주변장치를 보관하는 장치는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행중이나 운전중에 주변기기의 하나인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한 후 상기 이어폰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가 없으므로 주변기기를 보관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걸이구가 형성된 걸림부재가 부착된 휴대기기를 휴대기기용 고정장치에 장착하거나, 장착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지지부재가 탄성변형 하여 걸림구의 장착상태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회전 및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 소기의 작동이 완료되면 지지부재가 복원하여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마모가 적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걸이구를 회전시켰을 때 걸이구와 걸림돌기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작게 발생하도록 상기 걸림돌기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또는 복원될 수 있어 마모가 현저하게 적은 휴대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의 주변기기의 수납이 가능한 주변기기 수납부를 가지도록 하여 휴대기기와 주변기기를 동시에 휴대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에 걸림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걸이구와 걸이구 지지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걸이구 및 주변기기와 지지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몸체부 2 : 제 2몸체부
4 : 후크편 7 : 구동부재
11 : 몸체부 13 : 걸이구 안내부
15 : 주변기기 수납부 17 : 장착공
19 : 걸이구용 지지부재 21 : 수용부
3,23 : 걸림돌기 5,25 : 걸이구
27 : 가이드부
31 : 주변기기용 지지부재 33 : 휴대기기
8,35 : 걸림부재
본 고안은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걸이구, 상기 걸이구를 고정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걸이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탄성체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지부재는 탄성체로 되어 있으므로 걸이구의 착탈과 회전시에 지지부재가 탄성변형 하여 휴대기기 걸이구의 착탈이 용이하고 회전이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휴대기기(33)에 걸이구(25)가 형성된 걸림부재(35)가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고정장치 몸체부(11) 일측에 걸이구 안내부(13)와 주변기기 수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구 안내부(13)와 주변기기 수납부(15)에는 지지부재(19, 31)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19,31)는 둥글게 만곡된 수용부(2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21) 상단의 일측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1)의 절개부의 양단에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연장되게 형성되어진 가이드부(27)가 있으며, 상기 수용부(21)의 양단에 연장되는 가이드부(27)에 의해 걸이구(25)를 수용부(21)내로 인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13)에 각각 접촉하는 가이드부(27)의 각 타단의 거리(l)는 안내부에 삽입하기 전에는 상기 걸이구 안내부(13) 내경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19)가 상기 걸이구 안내부 내부로 삽입되면 가이드부(27)의 타단이 걸이구 안내부(13)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걸이구(25)의 착탈시에도 상기 걸이구 지지부재(19)는 걸이구 안내부(13)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지지부재(19)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걸이구 안내부(13) 내면에 가이드부(27)의 타단에 대응하는 안착홈이나 안착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9, 31)는 휴대기기 걸이구(25)가 장착되는 것과 주변기기가 장착되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는 장착공(17)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이나 벨트에 고정되기 위한 클립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4 및 도5는 걸이구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9)에서 수용부(21)의 절개부의 폭은 수용부(21)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걸이구(25)가 수용부(21)에 삽입되면 상기 걸이구(25)를 수용하기 위해 탄성변형 했던 절개부가 복원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용부(21)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부(27)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가 상기 삽입된 걸이구(2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휴대기기(33)에 부착되는 걸림부재(35)에 형성된 걸이구(25)는 원형으로 제작 될 수도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4는 요철이 형성된 걸이구(25)가 걸림돌기(23)가 형성된 지지부재(19)에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5는 원형 걸이구(25)가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지부재(13,31)에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어폰과 같은 주변기기의 수납은 도5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도5에서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1)의 내경이 걸이구(25)의 외경보다 작게하여, 수용부(21)의 탄성에 의해 걸이구(25)를 고정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 안내부(13)에 의해 상기 걸이구(25)가 걸이구용 지지부재(19)로 안내된다. 상기 걸이구용 지지부재(19)의 개구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걸이구 안내부(13)에 의해 지지부재 수용부(21)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1)의 절개부의 직경(a)은 걸이구(25)의 직경(b)에 비해 작지만 상기 지지부재(19,31)는 탄성체로, 걸이구(25)를 장착시키고자 밀어 넣거나 빼낼때는 상기 수용부(21)의 절개부가 탄성변형 하여 걸이구(25)와 주변기기를 수납하게 된다.
상기 휴대기기 지지부재(19, 31)는 탄성체로 판 스프링 형태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9)의 수용부(21)에 걸림돌기(23)를 형성하여, 상기 걸이구(25)에 형성된 요철의 홈과 상기 걸림돌기가 맞물리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기기(33)는 고정 상태에서 임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특정한 각도로 고정 상태가 유지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3)는 수용부(21)내에서 하나 이상으로 위치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33)의 착용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구(25)에 맞물려 있던 판스프링 형태의 걸이구용 지지부재(19)에 형성된 걸림돌기(23)는 회전하는 걸이구(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게 되는데 이것은 회전간에 발생하는 상호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걸이구(25)와 걸림돌기(23) 모두 마찰에 의한 마모가 적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1)에는 주변기기의 수납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어폰과 같은 주변기기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의 수납부(15)에는 걸이구용 지지부재(31)가 삽입되어 있어서, 이어폰의 출력부가 수납되어 진다. 상기 주변기기 지지부재(31)는 상기 걸이구용 지지부재(19)와 동일한 형상이나 걸림돌기(23)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지지부재를 걸이구 안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을 갖는 가이드부의 일단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걸이구 안내부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의 단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나 안착돌기를 형성하여 지지부재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수용부의 직경은 걸이구 외경 보다 작게 성형되어 있어서, 걸이구가 수용부에 수용될때는 수용부가 탄성변형 하여 상기 걸이구를 수용하게 되고 걸이구가 수용된 후에는 수용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용부 내면과 걸이구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원하지 않게 걸이구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걸이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의 골과 걸림돌기가 맞물리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임의의 각도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걸이구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킴하게 되면 걸림돌기가 마모되어 장착 상태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에 비해 본 고안은 휴대기기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이구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내부의 걸림돌기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탄성적으로 변형 또는 복원될 수 있어 마모가 현저하게 적은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걸림돌기와 후크편에 의해 걸이구를 협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구동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걸이구의 장착과 회전시에 지지부재가 탄성변형 하는 것으로 휴대기기 걸이구의 착탈이 용이하며 안전한 장착 상태와 회전이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기의 주변기기인 이어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가져 사용자가 보행중이나 운전중일 때 휴대기기와 주변기기의 보관이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욱 편리해진 휴대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걸이구, 상기 걸이구를 고정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이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탄성체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주변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KR2020000028785U 2000-10-16 2000-10-16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KR200226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85U KR200226250Y1 (ko) 2000-10-16 2000-10-16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85U KR200226250Y1 (ko) 2000-10-16 2000-10-16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250Y1 true KR200226250Y1 (ko) 2001-06-15

Family

ID=7309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785U KR200226250Y1 (ko) 2000-10-16 2000-10-16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2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15B1 (ko) 2015-11-20 2017-05-22 김정헌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15B1 (ko) 2015-11-20 2017-05-22 김정헌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29Y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11039679B2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JP4927699B2 (ja) スタンドとして使用できる回転式及び軸回転式ベルトクリップ
US8272867B2 (en) Orthodontic device
CA1313514C (en) Housing and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9990022405U (ko) 휴대폰홀더
US8403135B2 (en) Universal ear-bud holder
GB2295641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ssociated earphone
US10976781B2 (en) Apparatus holding structure
KR100625699B1 (ko)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226250Y1 (ko) 휴대기기용 고정장치
TW201418771A (zh) 附有支架之放大鏡
KR20190026196A (ko)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0495448Y1 (ko) 충전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0411628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구조
US5139324A (en) Storage apparatus for use with eyewear
KR200353375Y1 (ko) 휴대폰 거치대의 회동 장치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KR20030086291A (ko) 전자 장치 클립
KR200495673Y1 (ko) 거치대와 도구 홀더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
KR20190052955A (ko) 휴대폰 거치대
CN116636150A (zh) 手机紧凑型多功能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