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148A -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148A
KR20170143148A KR1020160076945A KR20160076945A KR20170143148A KR 20170143148 A KR20170143148 A KR 20170143148A KR 1020160076945 A KR1020160076945 A KR 1020160076945A KR 20160076945 A KR20160076945 A KR 20160076945A KR 20170143148 A KR20170143148 A KR 20170143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ing
plate
communication hole
plate membe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030B1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디마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디마, 김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디마
Priority to KR102016007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21K23/04Making other articles flang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치수정밀도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따르면, 판부재(2)에 사이즈가 작은 연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장부(7)를 형성한 후,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플랜지부(4)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한다.
따라서, 전면에 상기 연통공(3)과 플랜지부(4)가 형성된 전면판(5)과, 상기 연통공(3)이 형성된 후면판(6)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전면판(5)과 후면판(6)을 상호 용접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하나의 판부재(2)를 가공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함으로, 제조공정을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일한 품질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ssembled burring plate of EGR}
본 발명은 균일한 치수정밀도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엔진의 흡기관으로 순환시켜 엔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배기가스 순환장치에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닛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바디(A)와, 상기 바디(A)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스튜브(B)와, 상기 바디(A)의 단부에 결합된 버링플레이트(C)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A)와 버링플레이트(C)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버링플레이트(C)는 상기 가스튜브(B)와 연결되는 연통공(3)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판부재(2)와, 상기 판부재(2)의 전면에 상기 연통공(3)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원형태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는 상기 판부재(2)의 전후방향 두께(T1)에 비해 얇게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버링플레이트(C)는 상기 플랜지부(4)가 형성된 전면판(5)과, 후면판(6)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전면판(5)의 후측면에 후면판(6)을 스폿용접하는 분할형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즉, 이러한 버링플레이트(C)를 제조할 때는 판재성형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데, 일반적인 판재성형가공방법의 경우,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가 판부재(2)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조금 얇도록 성형하는 것만 가능하다.
그러나, 버링플레이트(C)는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가 상기 판부재(2)의 전후방향 두께(T1)에 비해 매우 얇아서, 일반적인 판재성형가공방법으로 이러한 형태의 버링플레이트(C)를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버링플레이트(C)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4)가 형성된 얇은 전면판(5)과, 두꺼운 후면판(6)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전면판(5)의 후측면에 후면판(6)을 스폿용접하는 분할형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면,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를 상기 전면판(5)의 두께(T3)와 같이 얇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분리형 제조방법으로 상기 버링플레이트(C)를 제조할 경우, 제조된 전면판(5)과 후면판(6)은 치수정밀도가 높지 못하고, 이와 같이 치수정밀도가 낮은 전면판(5)과 후면판(6)을 상호 스폿용접할 경우, 용접강도가 낮을 뿐 아니라, 완성된 버링플레이트(C)의 치수정밀도와 강도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전면판(5)과 후면판(6)을 각각 별도로 제조함에 따라, 가공시간과 비용이 증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기 버링플레이트(C)를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256515호, 등록특허 10-068693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균일한 치수정밀도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통공(3)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판부재(2)와, 상기 판부재(2)의 전면에 상기 연통공(3)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4)로 구성된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판부재(2)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연통공(3)을 형성하는 연통공성형단계와,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통공(3)의 내부하측에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7)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조단계와,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는 버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공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연통공(3)은 목적하는 연통공(3)의 사이즈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단조단계와 버링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연통공(3)의 사이즈가 목적하는 사이즈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링단계에서 형성된 플랜지부(4)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디버링펀치(43)를 삽입하여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디버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조단계에서 상기 연장부(7)를 형성하는 단조성형장치(2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다이(2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22)와, 상기 개구부(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통공(3)을 확경하는 단조펀치(23)를 포함하며, 상기 단조펀치(23)는 하강시 단조펀치(23)의 하단과 상기 하부다이(21) 사이의 간격(G1)이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연장부(7)의 두께(T4)가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링단계에서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는 버링장치(3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대응되는 성형공(31a)이 형성된 하부다이(3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32a)가 형성된 상부다이(32)와, 상기 개구부(3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밀어 벤딩하는 버링펀치(33)를 포함하며, 상기 버링펀치(33)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성형공(31a)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G2)은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1)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버링단계에서 상기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디버링장치(4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비해 사이즈가 큰 관통공(41a)이 형성된 하부다이(4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42)와, 상기 관통공(41a)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승시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에 삽입되는 디버링펀치(43)를 포함하며, 상기 디버링핀(43)의 둘레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경부(43a)가 형성되어, 상기 디버링핀(43)을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확경부(43a)에 의해 플랜지부(4)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따르면, 판부재(2)에 사이즈가 작은 연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장부(7)를 형성한 후,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플랜지부(4)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한다.
따라서, 전면에 상기 연통공(3)과 플랜지부(4)가 형성된 전면판(5)과, 상기 연통공(3)이 형성된 후면판(6)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전면판(5)과 후면판(6)을 상호 용접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하나의 판부재(2)를 가공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제조공정을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일한 품질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의 냉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버링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버링플레이트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버링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링플레이트는 연통공(3)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판부재(2)와, 상기 판부재(2)의 전면에 상기 연통공(3)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4)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버링플레이트는, 판부재(2)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연통공(3)을 형성하는 연통공성형단계와,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통공(3)의 내부하측에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7)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조단계와,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는 버링단계와, 상기 버링단계에서 형성된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디버링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통공성형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에 구비된 펀치(10)를 이용하여 상기 판부재(2)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연통공(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2)의 넓이는 목적하는 버링플레이트의 판부재(2)에 비해 조금 넓게 구성되며, 상기 판부재(2)의 두께(T1)는 목적하는 버링플레이트의 판부재(2)의 두께(T1), 즉, 종래의 판부재(2)를 구성하는 전면판(5)과 후면판(6)의 두께를 합친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성형단계에서 형성되는 연통공(3)은 목적하는 사이즈, 즉, 최종적으로 완성된 버링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공(3)에 비해 작은 사이즈로 구성된다.
상기 단조단계는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조성형장치(20)를 이용하여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부재(2)에 형성된 연통공(3)의 내경을 확대함과 동시에, 상기 연통공(3)의 내부 하측에 상기 연장부(7)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조성형장치(2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다이(2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22)와, 상기 개구부(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통공(3)을 확경하는 단조펀치(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다이(21)와 상부다이(22) 및 단조펀치(23)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프레스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다이(22)와 단조펀치(2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조펀치(23)는 하측면의 형상이 목적하는 연통공(3)의 형상, 즉, 완성된 버링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공(3)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조펀치(23)의 하측면은 상기 연통공성형단계에서 판부재(2)에 형성된 연통공(3)에 비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21)에 판부재(2)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다이(21)를 하강시켜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조펀치(23)를 하강시키면, 상기 단조펀치(23)가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이 하측으로 가압변형되면서 상기 연통공(3)의 내경이 확대됨과 동시에, 단조펀치(23)에 의해 가압된 부분이 변형되어 내측으로 밀려나오면서 상기 연장부(7)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조펀치(23)는 하강시 단조펀치(23)의 하단과 상기 하부다이(21) 사이의 간격(G1)이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강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7)의 두께(T3)가 목적하는 플랜지부(4)의 두께(T2)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한다.
상기 버링단계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장부(7)가 상기 판부재(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버링장치(3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대응되는 성형공(31a)이 형성된 하부다이(3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32a)가 형성된 상부다이(32)와, 상기 개구부(3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밀어 벤딩하는 버링펀치(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다이(31)와 상부다이(32) 및 버링펀치(33)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프레스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다이(32)와 버링펀치(3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링펀치(33)는 하측면의 형상이 목적하는 연통공(3)의 형상, 즉, 완성된 버링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공(3)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링펀치(33)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성형공(31a)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G2)은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31)에 판부재(2)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다이(32)를 하강시켜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버링펀치(33)를 하강시키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링펀치(33)가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장부(7)가 하측으로 벤딩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하측으로 벤딩된 연장부(7)는 상기 버링펀치(33)의 외측면과 상기 성형공(31a)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링펀치(33)가 상기 연통공(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통공(3)의 사이즈 및 형태가 목적하는 연통공(3)의 사이즈와 형태로 확대되도록 한다.
상기 디버링단계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버링장치(40)를 이용하여 상기 버링단계를 통해 형성된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디버링장치(4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비해 사이즈가 큰 관통공(41a)이 형성된 하부다이(4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42)와, 상기 관통공(41a)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승시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에 삽입되는 디버링펀치(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다이(41)와 상부다이(42)는 프레스장치에 결합되며, 상기 디버링펀치(43)는 상기 프레스장치에 구비된 별도의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다이(41)와 별도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링핀(43)은 상단은 상기 플랜지부(4)의 하측단에 비해 사이즈가 작게 구성되며, 디버링핀(43)의 하단 둘레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경부(43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41)에 상기 판부재(2)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다이(42)를 하강시켜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고정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디버링핀(43)을 상승시키면 디버링핀(43)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로 삽입되며,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버링핀(43)을 더욱 상승시키면, 상기 확경부(43a)가 상기 플랜지부(4)의 하단에 삽입되어 플랜지부(4)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플랜지부(4)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태를 조절한다.
즉, 상기 플랜지부(4)는 탄성이 있는 판부재(2)를 변형시켜 형성됨으로, 상기 버링단계에서 버링펀치(33)를 이용하여 플랜지부(4)를 형성한 후, 버링펀치(33)를 상승시켜 분리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4)가 자체 탄성에 의해 하단부가 인접방향으로 좁아지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버링단계에서 플랜지부(4)를 형성한 후,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4)의 하단으로 상기 디버링핀(43)을 삽입하면, 디버링핀(43)에 형성된 확경부(43a)에 의해 플랜지부(4)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확대되고, 디버링핀(43)을 제거하면, 상기 플랜지부(4)의 하단이 탄성에 의해 좁아지도록 변형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4)가 하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태가 조절된다.
이러한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따르면, 판부재(2)에 사이즈가 작은 연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장부(7)를 형성한 후,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플랜지부(4)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한다.
따라서, 전면에 상기 연통공(3)과 플랜지부(4)가 형성된 전면판(5)과, 상기 연통공(3)이 형성된 후면판(6)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전면판(5)과 후면판(6)을 상호 용접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하나의 판부재(2)를 가공하여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제조공정을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일한 품질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버링단계를 끝으로 일체형 버링플레이트의 제조가 완료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버링단계를 통과한 버링플레이트의 판부재(2)의 둘레부를 트리밍다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잘라내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B. 버링플레이트 2. 판부재
3. 연통공 4. 플랜지부
7. 연장부 10. 펀치
20. 단조성형장치 21. 하부다이
22. 상부다이 23. 단조펀치
30. 버링장치 31. 하부다이
32. 상부다이 33. 버링펀치
40. 디버링장치 41. 하부다이
42. 상부다이 43. 디버링펀치

Claims (5)

  1. 연통공(3)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판부재(2)와,
    상기 판부재(2)의 전면에 상기 연통공(3)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4)로 구성된 버링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판부재(2)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연통공(3)을 형성하는 연통공성형단계와,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통공(3)의 내부하측에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7)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조단계와,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는 버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공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연통공(3)은 목적하는 연통공(3)의 사이즈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단조단계와 버링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연통공(3)의 사이즈가 목적하는 사이즈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단계에서 형성된 플랜지부(4)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디버링펀치(43)를 삽입하여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디버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단계에서 상기 연장부(7)를 형성하는 단조성형장치(2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다이(2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22)와,
    상기 개구부(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통공(3)의 상측 둘레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통공(3)을 확경하는 단조펀치(23)를 포함하며,
    상기 단조펀치(23)는 하강시 단조펀치(23)의 하단과 상기 하부다이(21) 사이의 간격(G1)이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연장부(7)의 두께(T4)가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2)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단계에서 상기 플랜지부(4)를 형성하는 버링장치(3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대응되는 성형공(31a)이 형성된 하부다이(3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32a)가 형성된 상부다이(32)와,
    상기 개구부(3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연장부(7)를 하측으로 밀어 벤딩하는 버링펀치(33)를 포함하며,
    상기 버링펀치(33)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성형공(31a)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G2)은 상기 플랜지부(4)의 두께(T1)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링단계에서 상기 플랜지부(4)의 형태를 조절하는 디버링장치(40)는,
    상기 판부재(2)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랜지부(4)에 비해 사이즈가 큰 관통공(41a)이 형성된 하부다이(41)와,
    상기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면에는 상기 연통공(3)에 대응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상부다이(42)와,
    상기 관통공(41a)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승시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에 삽입되는 디버링펀치(43)를 포함하며,
    상기 디버링핀(43)의 둘레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경부(43a)가 형성되어, 상기 디버링핀(43)을 상기 플랜지부(4)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확경부(43a)에 의해 플랜지부(4)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160076945A 2016-06-21 2016-06-21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0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45A KR102007030B1 (ko) 2016-06-21 2016-06-21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45A KR102007030B1 (ko) 2016-06-21 2016-06-21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148A true KR20170143148A (ko) 2017-12-29
KR102007030B1 KR102007030B1 (ko) 2019-08-02

Family

ID=6093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945A KR102007030B1 (ko) 2016-06-21 2016-06-21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0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515B1 (ko) 1996-11-11 2000-05-15 우스이유따로 Egr 가스 냉각 장치
JP2000317542A (ja) * 1999-05-12 2000-11-21 Nakamura Seisakusho Kk 板材への中空軸形成方法
KR100686934B1 (ko) 2005-03-29 2007-02-26 나라엠앤디(주) 재순환 배기가스 냉각장치
KR100808646B1 (ko) * 2007-07-03 2008-03-03 유림산업 주식회사 인볼류트 스플라인을 가지는 자동변속기용 샤프트 오버드라이브 클러치 냉간단조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515B1 (ko) 1996-11-11 2000-05-15 우스이유따로 Egr 가스 냉각 장치
JP2000317542A (ja) * 1999-05-12 2000-11-21 Nakamura Seisakusho Kk 板材への中空軸形成方法
KR100686934B1 (ko) 2005-03-29 2007-02-26 나라엠앤디(주) 재순환 배기가스 냉각장치
KR100808646B1 (ko) * 2007-07-03 2008-03-03 유림산업 주식회사 인볼류트 스플라인을 가지는 자동변속기용 샤프트 오버드라이브 클러치 냉간단조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030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229B2 (en) Method for producing highly dimensionally accurate half-shell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alf-shell
US8499607B2 (en) Forming of complex shapes in aluminum and magnesium alloy workpieces
EA027227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CA2866719C (en) Flow formed drum with a retention ring and a substantially burr free tooth profile
CN108019474B (zh) 无级变速器用金属元件及其制造方法
CN105903811B (zh) 一种内花键冲压模具
US20170078460A1 (en)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61731A (ko) 상용차용 브레이크 챔버 푸시 로드 냉간 단조 제조 방법 및 단조 장치
TWI681826B (zh) 成形材製造方法及該成形材
CN108930816B (zh) 一种换向阀及其制作方法
KR20170143148A (ko) 자동차 배기가스 순환장치용 일체형 버링플레이트 제조방법
JP2006346703A (ja) プレス加工方法
JP6112546B2 (ja) プレス成形金型
JP2006218494A (ja) 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装置及び方法
JP2007075869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
JP4120119B2 (ja) バーリングの成形方法と金型装置
JP7221531B2 (ja) 成形金型及びそれを用いるプレス成形方法
CN109351863B (zh) 一种汽车驱动后桥制动器防尘罩复合模具及复合工艺
US20200122210A1 (en) Press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liptical-cylindrical member
JP2022521087A (ja) 冷却板の製造方法
JP4594970B2 (ja) 内燃機関用スプリングリテーナの製造方法
JP2007216264A (ja) 溝付き板状部材の製造方法
JP3452757B2 (ja) プレス成形用型
KR101715037B1 (ko) 냉간단조에 의한 차량 엔진 연료레일용 보스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04082796A (ja) 車両用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5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5

Effective date: 201905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