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879A -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879A
KR20170141879A KR1020160074850A KR20160074850A KR20170141879A KR 20170141879 A KR20170141879 A KR 20170141879A KR 1020160074850 A KR1020160074850 A KR 1020160074850A KR 20160074850 A KR20160074850 A KR 20160074850A KR 20170141879 A KR20170141879 A KR 20170141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liper housing
disc brake
bleed screw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654B1 (ko
Inventor
유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7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6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879A/ko
Priority to KR1020230172252A priority patent/KR2023016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16Devices for bleeding 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된 블리드 스크류의 머리부를 감싸는 캡부재; 및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의 마모정도를 감지하는 전자식 마모감지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와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Surpport device for disc brake}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블리드 스크류 캡과 마모감지센서용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서포트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와, 차체에 결합되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로 압박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하우징을 구비한다.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되고, 전방부에는 하측으로 굽어져 성형된 핑거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를 통해 제동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에 마련된 피스톤이 일측의 패드플레이트를 밀게 되며, 그 반력에 의해 캘리퍼 하우징이 이동하며 캘리퍼 하우징의 전방부에 마련된 핑거부가 타측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디스크를 양쪽에서 압박하여 제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캘리퍼 하우징에는 실린더로 공급된 브레이크 오일 내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환경상황에 따라 기포의 발생으로 브레이크 오일에 공기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블리드 스크류가 설치된다. 이 블리드 스크류는 일부가 캘리퍼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실린더 및 외부와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내에 공기가 발생되면 블리드 스크류를 조작하여 실린더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또한, 블리드 스크류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블리드 스크류에 형성된 포트(유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블리드 스크류 캡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기간 사용시 마찰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마찰패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전자식 마모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전자식 마모감지센서는 패드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단에 전자제어유닛(ECU)과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된다. 이때,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연결부재가 블리드 스크류가 설치된 위치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결부재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터널식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에 와이어를 삽입시켜 와이어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블리드 스크류에 설치된 블리드 스크류 캡이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체결수단이 없어 차량운행 시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수리 및 교체 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마모감지센서의 와이어를 터널식 유로에 삽입시켜야 함으로 설치의 불편함이 있으며,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가 블리드 스크류 캡과 함께 블리드 스크류에 설치됨에 따라 와이어의 텐션작용으로 블리드 스크류 캡이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는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블리드 스크류 캡과 마모감지센서용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블리드 스크류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는 마모감지센서용 와이어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된 블리드 스크류의 머리부를 감싸는 캡부재; 및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의 마모정도를 감지하는 전자식 마모감지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와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상기 내부에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입구는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추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마련되고, 상기 통로부에는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외측의 적어도 어느 한면이 상기 캘리퍼 하우징과 평행한 접촉면을 갖도록 회전방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 및 연결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는 종래에 각각 구비된 블리드 스크류 캡과 마모감지센서용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블리드 스크류 캡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와이어의 텐션작용으로 인한 블리드 스크류 캡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리드 스크류 캡의 분실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에 슬릿부를 형성하여 와이어가 유로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블리드 스크류 캡과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재가 디스크 브레이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가 블리드 스크류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재가 디스크 브레이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가 블리드 스크류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포트부재(100)가 설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미도시)의 양측면을 각각 압착하는 마찰패드가 각각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미도시)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스크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미도시)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로 압박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측에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8) 및 전방측에 핑거부(2)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1)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포트부재(100)는 캘리퍼 하우징(1)에 설치된 블리드 스크류(10)의 머리부(11)를 감싸는 캡부재(110) 및 패드플레이트에 부착된 마찰패드의 마모정도를 감지하는 전자식 마모감지센서(20)와 연결된 와이어(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연결부재(120)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블리드 스크류(10)는 실린더(8)와 연통하는 포트(9)에 설치되어 실린더(8) 내의 브레이크 오일에 공기가 발생하는 경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 블리드 스크류(10)는 일단이 캘리퍼 하우징(1)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실린더(8)와 연통하는 유로가 타단 즉, 머리부(11)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리드 스크류(10)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식 마모감지센서(20)는 패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마찰패드의 마모정도를 감지하여 마찰패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이다. 이 전자식 마모감지센서(20)는 전자제어유닛(ECU : 미도시)과 와이어(22)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블리드 스크류(10)를 감싸는 캡부재(110)와 와이어(22)를 지지하는 연결부재(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즉, 서포트부재(1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블리드 스크류(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와이어(22)를 용이하게 장착시켜 캘리퍼 하우징(1)에 설치된다. 이러한 서포트부재(100)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부재(110)는 캘리퍼 하우징(1)으로부터 노출된 블리드 스크류(10)의 머리부(11)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에 캡부재(110)는 내부에 머리부(11)가 삽입되는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머리부(11)가 삽입되는 수용부(111)의 입구는 머리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가 마련된다. 이에, 머리부(11)가 수용부(111)에 삽입시 돌출부(112)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고, 머리부(11)가 수용부(111)에 배치되면 돌출부(112)에 의해 서포트부재(100)가 머리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결부재(120)는 전자식 마모감지센서(20)의 와이어(22)가 통과하는 통로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통로부(122)에는 통로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부(123)가 마련된다. 통로부(122)는 와이어(22)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통로부(122)에 와이어(22)를 삽입 시 통로부(122)에 절개된 슬릿부(123)를 통해 와이어(22)를 설치한다. 즉, 탄성변형 가능한 슬릿부(123)를 벌려 와이어(22)를 끼움으로써 와이어(22)를 연결부재(12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20)는 와이어(22)의 움직임을 제한함은 물론,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22)로부터 발생된 텐션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연결부재(120)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외측의 적어도 어느 한면이 캘리퍼 하우징(1)과 평행한 접촉면을 갖도록 회전방지면(121)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재(120)와 접촉되는 캘리퍼 하우징(1)의 평행한 접촉면은 캘리퍼 하우징(1)의 가공 시 형성된 형상으로서 연결부재(120)와의 평행한 접촉면을 만들기 위해 별도로 가공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캡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120)에 와이어(22)를 설치한 후 캡부재(110)에 블리드 스크류(10)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서포트부재(1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차량 운행 시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블리드 스크류 11 : 머리부
20 : 전자식 마모감지센서 22 : 와이어
100 : 서포트부재 110 : 캡부재
111 : 수용부 112 : 돌출부
120 : 연결부재 121 : 회전방지면
122 : 통로부 123 : 슬릿부

Claims (5)

  1.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된 블리드 스크류의 머리부를 감싸는 캡부재; 및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의 마모정도를 감지하는 전자식 마모감지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와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내부에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입구는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추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마련되고, 상기 통로부에는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부가 마련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외측의 적어도 어느 한면이 상기 캘리퍼 하우징과 평행한 접촉면을 갖도록 회전방지면이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 및 연결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1020160074850A 2016-06-16 2016-06-16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10261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50A KR102610654B1 (ko) 2016-06-16 2016-06-16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1020230172252A KR20230169898A (ko) 2016-06-16 2023-12-01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50A KR102610654B1 (ko) 2016-06-16 2016-06-16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252A Division KR20230169898A (ko) 2016-06-16 2023-12-01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79A true KR20170141879A (ko) 2017-12-27
KR102610654B1 KR102610654B1 (ko) 2023-12-06

Family

ID=60938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850A KR102610654B1 (ko) 2016-06-16 2016-06-16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1020230172252A KR20230169898A (ko) 2016-06-16 2023-12-01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252A KR20230169898A (ko) 2016-06-16 2023-12-01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06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56U (ko) * 1997-12-17 1999-07-05 배길훈 휠 브레이크의 겸용 블리더 캡
JP2005282756A (ja) * 2004-03-30 2005-10-13 Nissin Kogyo Co Ltd ブリーダキャップ
KR20090087180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US20130162011A1 (en) * 2010-08-26 2013-06-27 Gustav Magenwirth Gmbh & Co Master Mounting and Hydraulic Disk Brake
JP2014099976A (ja) * 2012-11-14 2014-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150069328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드 마모센서 내장형 브레이크 캘리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56U (ko) * 1997-12-17 1999-07-05 배길훈 휠 브레이크의 겸용 블리더 캡
JP2005282756A (ja) * 2004-03-30 2005-10-13 Nissin Kogyo Co Ltd ブリーダキャップ
KR20090087180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US20130162011A1 (en) * 2010-08-26 2013-06-27 Gustav Magenwirth Gmbh & Co Master Mounting and Hydraulic Disk Brake
JP2014099976A (ja) * 2012-11-14 2014-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150069328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드 마모센서 내장형 브레이크 캘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898A (ko) 2023-12-18
KR102610654B1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5430B2 (ja) 車輛の制動を検出するようになった方法及び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の製造方法
CN202883829U (zh) 液压盘式制动器
CN105927684A (zh) 具有冷却通道的浮钳盘式制动器
KR20170141879A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2017003081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283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4372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마모감지장치
KR20170139879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8328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50197B1 (ko) 패드의 마모상태 감지장치
CN114165540B (zh) 一种低拖滞制动装置和车辆
KR20120122757A (ko)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감지장치
KR2002819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70073055A (ko)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감지장치
KR200389985Y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69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5959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427196Y1 (ko) 클러치 부스터
KR100715696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18207Y1 (ko)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감지장치
KR0123822B1 (ko) 마찰패드 마모감지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
KR20010066423A (ko)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마모경고장치
KR20070045840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090043131A (ko) 가이드 로드 체결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36018A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