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168A -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 Google Patents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168A
KR20170139168A KR1020177035128A KR20177035128A KR20170139168A KR 20170139168 A KR20170139168 A KR 20170139168A KR 1020177035128 A KR1020177035128 A KR 1020177035128A KR 20177035128 A KR20177035128 A KR 20177035128A KR 20170139168 A KR20170139168 A KR 2017013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ic olefin
nonwoven fabric
resin
glass transitio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978B1 (ko
Inventor
히데토시 오카와
Original Assignee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53Mixed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12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5/00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 D21H15/02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characterised by configuration
    • D21H15/10Composit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aper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가 적은 부직포로서, 인체 피부에 사용되는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감촉이 양호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유리 전이점 TgA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B), 를 적어도 포함하고, 섬유(A)와 섬유(B)가 열융착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로서, TgA1>TgB1, 또는 TgA1>MpB2이고, 유리 전이점 TgA1℃와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유리 전이점 TgA1℃와 융점 MpB2℃의 차가 20℃를 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이다.

Description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첩부제(貼付劑) 등에 이용할 수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마스크, 첩부제 등의 위생 재료 용도나, 천정재(天井材), 시트 등의 자동차 내장재, 농업용 자재, 건축용 자재, 토목용 자재 외에, 전지 세퍼레이터, 음료수용 필터, 공업용 필터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는, 먼저 웹이라 불리는 장섬유 또는 단섬유의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어서 섬유간을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섬유간을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섬유의 일부를 열에 의해 용융시켜 섬유간을 결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열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써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스판본드법 등이 알려져 있다.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의 웹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융점이나 유리 전이점이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를 섬유의 웹으로 한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일본공개특허 특개 2013-04994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 2014-148774호 공보
그런데, 부직포에 요구되는 물성은 용도에 따라서 다르다. 예를 들면, 첩부재(貼付材)용의 복합섬유 부직포인 경우에는, 주로 인체 피부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착감의 위화감이 없을 것(감촉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약제의 흡수성이 극히 낮은 부직포일 것이 요구된다. 또한 첩부제는, 장시간 약제를 피부에 침투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약제가 첩부제의 부직포에 흡수된 만큼 그 효과는 발휘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첩부제의 부직포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약제 등의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가 적은 것을 이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한편,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건식법, 습식법, 스판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 레이드법 등의 웹 형성법, 케미컬 본드(침지)법, 케미컬 본드(스프레이)법, 니들펀치법, 스펀레이스법, 써멀본드법 등의 웹의 섬유 결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써멀본드법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내열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내열성이 높은 일방의 섬유간이, 내열성이 낮은 타방의 섬유의 열융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열성이 낮은 열가소성 섬유가 용해되나 내열성이 높은 일방의 섬유는 용해되지 않는 온도에서 써멀본드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내열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로 제조되는 부직포는, 열가소성 섬유의 종류나 열융착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써멀본드법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열가소성 섬유(이후, 써멀본드 섬유라고도 표기한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심(芯)으로 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초(
Figure pct00001
)로 한 심초형(
Figure pct00002
) 복합방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심초형 복합방사는, 특히 세니터리 용도 등의 범용 부직포 제품용의 써멀본드 섬유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폴리프로필렌/고밀도 폴리에틸렌 심초형 복합방사 이외에 사용 가능한 써멀본드 섬유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의 써멀본드 섬유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써멀본드 섬유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습식 부직포의 경우에는,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내열성이 낮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써멀본드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써멀본드 부직포는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량은 많고, 또한 감촉이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가 적은 부직포로서, 인체 피부에 사용하는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감촉이 양호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부직포에 이용되는 섬유로서 소정량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함유하는 섬유(A)와,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포함하는 섬유(B), 를 열융착시킨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유리 전이점 TgA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B),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섬유(A)와 섬유(B)가 열융착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로서, TgA1>TgB1, 또는, TgA1>MpB2이고, 상기 유리 전이점 TgA1℃와 상기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상기 유리 전이점 TgA1℃와 상기 융점 MpB2℃의 차가 20℃를 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2) 상기 섬유(B)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1)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3) 상기 섬유(A)와 상기 섬유(B)가, 길이 0.2mm 이상 10mm 이하의 단(短)섬유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4)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5)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가 첩부제용의 기재(基材)인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는,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가 적은 부직포로서, 인체 피부에 사용하는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감촉이 양호한 부직포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는, 유리 전이점 TgA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B), 를 적어도 포함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이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를 이용함으로써,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에 대한 흡수량이 적은 부직포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부직포의 인체 피부에 대한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인체 피부에 붙이는 한편,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에 대한 저흡착성이 요구되는 첩부제용의 부직포로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섬유(A)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의 유리 전이점 TgA1℃, 섬유(B)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B1)의 유리 전이점 Tg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융점 MpB2℃는, 이하의 관계에 있다.
즉, TgA1>TgB1, 또는 TgA1℃>MpB2이고, 유리 전이점 TgA1℃와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유리 전이점 TgA1℃와 융점 MpB2℃의 차가 20℃를 넘는다. TgA1, TgB1, MpB2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열융착에 의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섬유(A) 섬유(B)에 포함될 수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본 발명에서의 섬유(A)에 함유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섬유(B)에 함유될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환상 올레핀 성분을 중합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이다. 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에 대한 흡착성이 극히 낮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휘발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내용물로 이루어진 첩부제용 기재로서 특히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이란, 분자량이 8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의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dl-캄퍼, 1-멘톨, 살리실산메틸, 툴로부테롤, 니코틴, 염산브롬헥신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단위를 주쇄에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 또는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 극성기를 더 가지는 불포화 화합물이 그라프트 및/또는 공중합된 것도 들 수 있다.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산무수물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히드록실기 등을 들 수 있고, 극성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알킬(탄소수 1~10)에스테르, 말레산알킬(탄소수 1~10)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 이용되는 공중합체로서는, 시판되는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고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TOPAS(등록상표)(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아펠(등록상표)(미쯔이화학사 제조), 제오넥스(등록상표)(일본제온사 제조), 제오노아(등록상표)(일본제온사 제조), 아톤(등록상표)(JSR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로서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1〕탄소수 2~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단위와, 〔2〕다음 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단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에서, R1~R1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R9와 R10, R11과 R12는, 일체화되어 2가의 탄화수소기를 형성할 수 있고,
R9 또는 R10과, R11 또는 R12와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n은, 0 또는 양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이 2이상인 경우에는, R5~R8는, 각각의 반복단위 중에서 각각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다.)
〔〔1〕탄소수 2~20의 α-올레핀〕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7-30272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α-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의 단독 사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2〕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
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식 (b)에 있어서의 R1~R12는, 각각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및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는,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7-30272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환상 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도,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비시클로[2.2.1]헵타-2-엔(관용명: 노보넨)을 단독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탄소수 2~20의 α-올레핀과 〔2〕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과의 중합방법 및 얻은 중합체의 수소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용되는 중합 촉매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치글러·나타계, 메타세시스계,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종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하여 주지의 방법에 따라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수소 첨가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상기의 〔1〕탄소수 2~20의 α-올레핀 성분과, 〔2〕일반식 (b)로 표시되는 환상 올레핀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 공중합되어 있을 수 있는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7-30272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중, 에틸렌과 노보넨의 부가 공중합체가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저흡착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호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에틸렌과 노보넨의 부가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은, 50℃ 이상 19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상 1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이상 19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50℃ 이상이 됨으로써, 바람직한 내열성의 부직포를 만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190℃ 이하가 됨으로써, 용융 방사공정에 필요한 양호한 예사성(曳絲性)을 확보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Tg)은, DSC법(JIS K712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채용한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ISO 1133에 준거한 방법으로, 260℃, 하중 2.16kg의 조건에서 측정된 MVR이 1ml/10min 이상 100ml/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MVR이 1ml/10min 미만이면, 유동성이 손상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MVR이 100ml/10min보다 높아지면, 환상 올레핀계 수지 자체의 기계 강도가 저하되어, 부직포 용도로는 부적합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에서의 섬유(A)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섬유(B)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기타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나, 안정제, 강화제, 가소제, 안료 등의 첨가제가 예시된다.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는, 종래 공지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B), 가 열융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섬유(B2)에 있어서 수지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란,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일 수 있고, 복수의 수지 성분을 혼합한 혼합 수지일 수도 있다. 또한, 섬유를 심초형(
Figure pct00004
) 복합방사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하여, 당해 심초형 복합방사의 초부(
Figure pct00005
)의 수지를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 성분으로 하고, 심초형 복합방사 섬유 전체 중 (B1) 또는 (B2) 성분이 10질량% 이상 함유되는 수지로 만든 심초형 복합방사일 수도 있다.
또한, 섬유(A)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의 유리 전이점 TgA1℃, 섬유(B)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B1)의 유리 전이점 Tg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융점 MpB2℃는, 이하의 관계에 있다.
TgA1>TgB1, 또는 TgA1℃>MpB2이고, 유리 전이점 TgA1℃와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유리 전이점 TgA1℃와 융점 MpB2℃의 차가 20℃를 넘는다. 내열성이 다른 2종의 섬유를 혼합하고, 열에 의해 내열성이 낮은 섬유가 용융됨으로써 섬유끼리 열융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gA1, TgB1, MpB2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열융착에 의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섬유(B)에 환상 올레핀계 수지(B1)가 10질량% 이상 함유되는 경우에는, 섬유(A)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의 유리 전이점 TgA1과, 섬유(B)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B1)의 유리 전이점 TgB1과의 차가 20℃를 넘는다. 섬유(B)에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가 10질량% 이상 함유되는 경우에는, 섬유(A)에 함유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의 유리 전이점 TgA1과, 섬유(B)에 함유되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융점 MpB2와의 차가 20℃를 넘는다. 유리 전이점 TgA1℃와,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유리 전이점 TgA1℃와 융점 MpB2℃의 차가 20℃ 이하인 경우, 부직포화 공정에서 부직포를 시트화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섬유(A)와 섬유(B)를 함유함으로써, 열에 의해 섬유끼리 결합시키는 써멀본드법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 경우, 습식법일 수 있고 건식법일 수도 있다. 섬유(A)의 수지를 심(芯), 섬유(B)의 수지를 초(
Figure pct00006
)로 한 심초형 복합방사로 이루어진 써멀본드 섬유인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써멀본드법을 이용하여, 유리 전이점이나 융점 등의 내열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내열성이 높은 일방의 섬유간이, 내열성이 낮은 타방의 섬유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내열성이 낮은 열가소성 섬유가 용융되나, 내열성이 높은 일방의 섬유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에서 써멀본드시킴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내열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로 제조되는 부직포는, 열가소성 섬유의 종류나 열융착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열융착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B)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어느 쪽인가가 10질량% 이상 함유되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가 10질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약제로부터의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에 대한 흡수량이 극히 작은 부직포를 만들 수 있다.
섬유의 웹은, 15mm 이상 100mm 이하 정도의 비교적 짧은 섬유를 기계적으로 빗어가면서, 또는 공기류(空氣流)를 이용하여 랜덤하게 얇은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건식법, 6mm 이하 정도의 극히 짧은 섬유를 물과 혼합하여 종이와 같이 떠서 형성하는 습식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품질이 양호하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습식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섬유로 이루어진 웹에 한정되지 않고, 100mm 이상 정도의 장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의 웹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A)와 섬유(B)의 길이는 0.2mm 이상 10mm 이하의 단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라는 점에서, 보다 평활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부직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직포를 첩부제용 부직포로 이용하여 첩부제용 기재나 첩부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첩부제용 기재>
본 발명의 부직포와 필름을 적층하여, 첩부제용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필름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첩부제용 기재의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에 대한 흡수량을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첩부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첩부제용 기재를 이용한 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첩부제용 기재상에 분자량 800 이하의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 함유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약제 함유층은, 종래부터 의료용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플라스터제(테이프제) 또는 파프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재료>
환상 올레핀계 수지 1: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9506F-04」, 유리 전이점 64℃
환상 올레핀계 수지 2: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8007F-04」, 유리 전이점 78℃
환상 올레핀계 수지 3: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5013L-10」, 유리 전이점 134℃
환상 올레핀계 수지 4: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F-04」, 유리 전이점 138℃
환상 올레핀계 수지 5: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5S-04」, 유리 전이점 158℃
환상 올레핀계 수지 6: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7S-04」, 유리 전이점 178℃
환상 올레핀계 수지 7: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M-07」, 유리 전이점 142℃
폴리프로필렌: 일본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SA3A」 융점 165℃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일본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HD HJ580N」, 융점 134℃
<부직포의 제조>
(실시예 1~6)
부직포용의 섬유(써멀본드 섬유)로서, 표 1에 나타낸 재료를 이용하고, 압출기, 방사 노즐, 권취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용융방사장치, 가열장치와 와인딩 롤을 구비한 연신 장치, 섬유 커팅기를 이용하여 섬유를 작성하여, 2dtex, 커트길이 5mm의 쇼트커트 섬유(단섬유)를 얻었다. 질량비율이 80:20이 되도록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제의 단섬유(A)와 환상 올레핀계 수지(B1)제의 단섬유(B)를 혼합하고, 혼합한 단섬유를 물과 혼합하여 종이와 같이 떠서 형성한 시트를 양키 드라이어로 150℃에서 열처리하여, 수지(B1)제 단섬유로 섬유끼리 융착시켜, 중량 약 50g/m2의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낸 수지(A1)제의 단섬유(A)와, 단섬유(B)로서 폴리프로필렌(PP)계 심초형 복합섬유(심부:폴리프로필렌(PP)/초부: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심부와 초부의 질량비율이 50:50이므로, 섬유(B) 중에 결정성 섬유 열가소성 수지(B2)로서 HDPE가 50질량% 포함된다.), 2dtex, 섬유길이 5mm)를 비율(A):(B)=80:20으로 혼합하여, 초(
Figure pct00007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융점 130℃)을 용융시킴으로써 섬유를 융착시켜 실시예 1~6과 동일한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2)
표에 나타낸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제의 섬유(A)와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B2)제의 섬유(B)를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섬유 비율(A):(B)=80:20으로 혼합하고, 양키 드라이어로 150℃에서 열처리 하였다. 수지(A1)제의 단섬유(A)와 수지(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포함하는 섬유(B)의 유리 전이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섬유(B)는 충분히 연화되지 못하고, 섬유의 결합이 약해, 실용성 있는 부직포를 얻을 수 없었다.
여기서, 실시예 1~7, 비교예 1, 2의 각각의 환상 올레핀 수지의 용융 방사 온도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1: 200℃
환상 올레핀계 수지 2: 220℃
환상 올레핀계 수지 3: 280℃
환상 올레핀계 수지 4: 290℃
환상 올레핀계 수지 5: 300℃
환상 올레핀계 수지 6: 320℃
환상 올레핀계 수지 7: 290℃
Figure pct00008
(표에서, 「Tg 또는 Mp」란, 수지가 환상 올레핀계 수지인 경우에는 유리 전이점을 나타내고, 실시예 7의 섬유(B)(올레핀계 심초복합섬유)인 경우에는, 초부(
Figure pct00009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융점을 나타낸다. 표에서, 내열성 차는, 섬유(A)에 포함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A1)의 「Tg」와 섬유(B)에 포함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의 「Tg 또는 Mp」의 차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부직포에 대하여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데시케이커 내에 휘발성 물질 30g(휘발성 물질로서 dl-캄퍼(분자량:152), 1-멘톨(분자량:156)을 사용) 및 표 1에 기재된 각 부직포(0.1g)를 넣고 실온에서 2주간 방치한 후, 수지에 흡수된 휘발성 물질(dl-캄퍼, 1-멘톨)의 양을 헤드스페이스 GC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부직포와 비교하여 툴로부테롤의 흡수량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시험 결과로부터,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는, 휘발성 저분자화합물의 흡수량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촉감 시험]
본 발명의 부직포의 첩부감에 관련된 촉감을 확인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2에 기재된 부직포의 촉감을 확인하는 시험(관능 검사)을 실시하였다.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부직포(중량 50g/m2)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
○: 부드럽고 유연한 촉감
△: 약간 유연함이 없는 촉감
×: 딱딱하고 뻣뻣한 감촉의 촉감
Figure pct00011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된 첩부제는, 비교예 3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부직포와 비교하여 촉감도 우수한 첩부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유리 전이점 TgA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A1)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A)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 또는 융점 MpB2℃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B2)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B),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섬유(A)와 섬유(B)가 열융착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로서,
    TgA1>TgB1, 또는 TgA1>MpB2이고,
    상기 유리 전이점 TgA1℃와 상기 유리 전이점 TgB1℃의 차, 또는 상기 유리 전이점 TgA1℃와 상기 융점 MpB2℃의 차가 20℃를 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B)가, 유리 전이점 TgB1℃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B1)를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A)와 상기 섬유(B)가 길이 0.2mm 이상 10mm 이하의 단(短)섬유인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식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가 첩부제용 기재인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KR1020177035128A 2015-06-03 2016-05-10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KR101832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3261 2015-06-03
JP2015113261A JP6082055B2 (ja) 2015-06-03 2015-06-03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含有サーマルボンド不織布
PCT/JP2016/063851 WO2016194553A1 (ja) 2015-06-03 2016-05-10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含有サーマルボンド不織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168A true KR20170139168A (ko) 2017-12-18
KR101832978B1 KR101832978B1 (ko) 2018-02-28

Family

ID=574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128A KR101832978B1 (ko) 2015-06-03 2016-05-10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4748B2 (ko)
EP (1) EP3305981B1 (ko)
JP (1) JP6082055B2 (ko)
KR (1) KR101832978B1 (ko)
CN (1) CN107614791B (ko)
WO (1) WO2016194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9545B (zh) * 2017-06-13 2022-08-30 株式会社可乐丽 低溶出性纤维及纤维结构体
US20200398201A1 (en) * 2018-02-28 2020-12-24 Zeon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filter
JP2019219605A (ja) * 2018-06-22 2019-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シート処理装置及びシート処理方法
CA3199781A1 (en) * 2020-10-30 2022-05-05 Nike Innovate C.V. Asymmetric faced composite nonwoven texti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165A (ja) * 1994-11-15 1996-06-04 Mitsui Petrochem Ind Ltd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混布ならびにその用途
JP2000265330A (ja) * 1999-03-15 2000-09-26 Mitsui Chemicals Inc 複合繊維および該繊維から形成される織布、編布または不織布
CN1165641C (zh) 1999-04-15 2004-09-08 巴塞尔技术有限公司 包含丙烯无规共聚物的可热粘合聚烯烃纤维
DE19930979A1 (de) * 1999-07-05 2001-01-11 Ticon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faservliesen enthaltend Cycloolefinpolymere
MY139729A (en) * 2002-11-25 2009-10-30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capable of being elongated and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id nonwoven fabric laminated
EP2116367B1 (en) * 2007-03-02 2018-04-04 Mitsui Chemicals, Inc. Layered nonwoven fabric
JP5367249B2 (ja) 2007-10-23 2013-12-1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及び環状オレフィン樹脂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5399046B2 (ja) * 2008-11-10 2014-01-2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繊維の製造方法及び該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繊維からなる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不織布
CN102939412A (zh) * 2010-06-15 2013-02-20 宝理塑料株式会社 芯鞘型复合纤维及无纺布
JP6101012B2 (ja) 2011-08-01 2017-03-22 宇部エクシモ株式会社 分割性凹凸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不織布
JP2014148774A (ja) 2013-02-04 2014-08-21 Ube Exsymo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08868A1 (en) 2013-04-10 2014-10-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cid Resistant Fibers of Polyarylene Sulfide and Norbornene Copolymer
CN105849327B (zh) * 2013-12-27 2019-11-29 日本特殊涂料株式会社 毡、隔音材料以及隔音材料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5964A1 (en) 2018-04-19
US10494748B2 (en) 2019-12-03
EP3305981A4 (en) 2018-04-25
KR101832978B1 (ko) 2018-02-28
EP3305981A1 (en) 2018-04-11
CN107614791B (zh) 2018-12-25
EP3305981B1 (en) 2019-08-28
CN107614791A (zh) 2018-01-19
WO2016194553A1 (ja) 2016-12-08
JP2016223043A (ja) 2016-12-28
JP6082055B2 (ja)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78B1 (ko)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함유 써멀본드 부직포
US6846876B1 (en) Low odor, light color, disposable article construction adhesive
KR101551554B1 (ko) 부직포 적층체
KR102353019B1 (ko)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1606216B1 (ko) 탄성중합체성 물질
TWI602891B (zh) 熱熔黏著劑
US8481635B2 (en) Disposable article hot melt adhesive
KR101720439B1 (ko) 부직포 적층체
JP2017519122A (ja) 中空多孔質繊維
US11345788B2 (en) Porous sheet, and porous composite
KR20190030786A (ko) 스펀본드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의료용 의료, 드레이프, 및 멜트블론 부직포
CN107107431A (zh) 双轴拉伸的多孔膜
KR20170069293A (ko) 다공성 폴리올레핀 물질
CN107002303A (zh) 纤维束
US20060194493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urgical drapes
JP4686253B2 (ja) 積層型多孔性フィルム
JP2016222631A (ja) 貼付剤用基材
KR20170088877A (ko) 부텐 중합체를 함유하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물질
JP3801913B2 (ja) メルトブロー不織布
TW200417641A (en)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minate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JP2009030181A (ja) 弾性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伸縮性不織布
JP2022178136A (ja) 弾性フィラメント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用伸縮シート
MXPA06001102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urgical drapes
KR20190009320A (ko) 탄성 용도에서 크리프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