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524A -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 Google Patents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524A
KR20170138524A KR1020177033383A KR20177033383A KR20170138524A KR 20170138524 A KR20170138524 A KR 20170138524A KR 1020177033383 A KR1020177033383 A KR 1020177033383A KR 20177033383 A KR20177033383 A KR 20177033383A KR 20170138524 A KR20170138524 A KR 20170138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oler
bulk material
zone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462B1 (ko
Inventor
미카엘라 보에벨.
슈테판 하팅거
슈테판 회칭거
슈테판 리스트
Original Assignee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1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6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on an endless b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7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on a rotary hear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40Gas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to be recirculated or used in other metallurgical processes
    • C21B2100/44Removing particles, e.g. by scrubbing, ded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1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 F27D15/022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grate plates
    • F27D2015/023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grate plates with gas, e.g. air, supply to the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ke Indu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벌크 물품들(17)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1)에 관한 것이며, 이 냉각기는 처리될 고온 벌크 물품들(17), 바람직하게는 철광석 소결물을 유지시키기 위한 격자 표면(16)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그리고 동시에 또한 냉각기(1) 상에 유지보수 방안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문제는, 피드 지점(2) 및 제거 지점(3)의 구역에 위치되는 이미 존재하는 커버들뿐만아니라,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되며, 그리고 150 ㎛초과의 분진 입자들의 제거를 방지하는 추가의 경계부를 제공한다. 경계부는 정적 상태의 제1 벽(12) 및 정적 상태의 제2 벽(11)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부분 세그먼트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커버되지 않은 격자 표면(16)의 전체 구역에 걸쳐 연장한다. 게다가, 지지 구조물(18)이 제공되며, 제1 벽(11) 및 제2 벽(12)이 이 지지 구조물에 체결된다.

Description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본 발명은 고온 벌크 재료의 냉각을 위한 야금 공장들, 특히 철 산업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에 관한 것이며, 이 냉각기는:
처리를 위해 고온 벌크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격자(grate) 표면,
우측 및 좌측에 대해 격자 표면의 범위를 정하는 제1 냉각기 벽 및 제2 냉각기 벽,
고온 벌크 재료를 위한 피딩-인 지점(feeding-in point),
격자 표면의 20% 내지 30%를 차지하는 제1 구역(제1 구역은 상기 피딩-인 지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구역은 위치 고정된(positionally fixed) 제1 커버(cover)를 가짐),
상방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제1 구역과 제3 구역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구역,
냉각된 벌크 재료를 위한 추출 지점,
격자 표면의 적어도 10% 내지 20%에 걸쳐 연장하는 제3 구역을 포함하며, 제3 구역은 추출 지점을 포함하고 그리고 위치 고정된 제3 커버를 가진다.
벌크 재료의 냉각이 연속적 유형으로 벌크 재료를 이송하는 냉각기들 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연속적 이송은 직선 라인에서 또는 회로(circuit)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기계(이러한 경우는 링 형상 기계)는 EP0127215B1에서 나타난다. 상기 기계들은 링 형상 격자 표면을 가지며; 고온 벌크 재료는 피딩-인 지점에서 격자 표면 상으로 로딩되며, 그리고 회전 동안, 냉각 기체, 특히 냉각 공기는 격자 아래에 배열되는 블로워 박스들(blower boxes)에 의해 송풍된다. 냉각된 벌크 재료는 피딩-인 지점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추출 지점에서 다시 배출된다. 상기 유형의 기계의 조작 동안, 매우 높은 분진 방출들이 발생된다. 따라서, 커버들 및 분진-제거 디바이스들이 피딩-인 및 추출 지점들의 구역에 제공된다. 가장 큰 분진 방출들이 상기 구역에서 발생하지만, 관통하여 송풍되는 냉각 공기로 인해, 공기에 분진 함량을 증가시키는 분진 방출이 일어나는 것이 링 형상 기계들의 나머지 구역에서도 또한 사실이다. 현재는, 링 형상 격자 표면의 단지 대략 30 내지 50%가 커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EP0127215B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체 격자 표면의 기밀식 커버리지는 보통 구현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기체량이 추출될 것이고 분진 제거 처리를 받기 때문이다. 상기 기체량은 프로세스 기체량의 1.5 내지 2 배일 수 있다. 이는 분진 제거를 위한 (큰 블로워 및 필터 크기들로 인해) 높은 연구 비용들로 이어질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추가의 단점은 링 형상 기계의 유지보수가 매우 복잡하다는 점이다. 기밀식 커버로 인해, 유지보수 조작들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 상기 기밀식 커버의 장착해제 및 이후의 장착이 매우 복잡하다. 커버의 밀봉 작용은, 외부로부터 원치 않는 기체들 또는 고체 입자들이 들어오지 않기 위해 매번 복원되어야 하며, 이는 또한 분진 제거 처리를 받는 기체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번째로 분진 방출을 제거하고 그리고 두번째로 용이하게 그리고 단시간에 수행될 냉각기 상의 유지보수 조작들을 허용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2 구역이 위치 고정된 제1 벽 및 위치 고정된 제2 벽으로 구성된 한계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계부가 제2 구역의 적어도 부분 섹션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2 구역에 걸쳐 연장함으로, 도입부에서 언급된 냉각기를 통해 달성되며, 여기서 제1 벽 및 제2 벽은 지지 구조물 상에 현수되며, 그리고 제1 벽은 제1 냉각기 벽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상기 제1 냉각기 벽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제2 벽은 제2 냉각기 벽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제2 냉각기 벽으로부터 분리되며, 여기서 한계부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제1 냉각기 벽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제1 냉각기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 벽, 및 제2 냉각기 벽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제2 냉각기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벽은, 격자 표면 상에 위치되는 분진이 냉각 기체에 의해 또는 외부 바람 영향에 의해 비말동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내용에서, “상에 놓인다” 또는 “갭에 의해 분리된다”는 냉각기의 이동이 벽들 사이의 과도한 마찰에 의해 지연되지 않으며, 그리고 가능한 갭이 가능한 한 작도록 설계되어야 해서, 분진 입자들의 빠져나옴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격자 표면 상에 위치되는 벌크 재료로부터 냉각 기체의 유출구 속도로 인해, 입자들은 냉각 기체에 의해 운반된다. 피딩-인 지점에서의 분진 제거는, 150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분진 입자들의 대부분을 이미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통해, 놀랍게도, 150 ㎛보다 크고 그리고 냉각 공기로 인해 상승하는 분진 입자들이 격자 표면 상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벌크 재료 상에 다시 대개 증착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제1 벽 및 제2 벽은 비말동반된 입자들이 외부 바람 영향에 의해 또는 냉각 기체에 의해 운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바람 영향”은 예를 들어 이동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냉각기 상에 작용하는 측면 바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상기 측면 바람은 또한, 부분적으로, 이동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냉각기의 원 형태로 인해, 격자 표면을 넘어 입자들을 운반시킨다. 측면 벽들의 높이는 벌크 재료 밖으로의 냉각 기체의 유출구 속도로 조정된다.
2 m/s의 벌크 재료로부터의 냉각 기체의 유출구 속도는 1.8 m의 한계부의 높이를 야기한다. 한계부의 높이는 벌크 재료의 상부 에지로부터 제1 벽 또는 제2 벽(제1 및 제2 벽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를 가짐)의 상부 에지로 측정되는 높이로 지칭한다.
제1 벽 및 제2 벽은 위치 고정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냉각기는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동가능한”은 순환로(circuit)에 있거나 직선형 라인에 있을 수 있는 연속적 이송 작용이 수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첫번째로 제1 냉각기 벽과 제2 냉각기 벽 그리고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가장 가능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두번째로 이동성이 높은 마찰력들에 의해 지나치게 지연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 구조물이 제공되며, 이 지지 구조물 상에, 제1 벽 및 제2 벽이 현수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은, 한계부의 빠른 장착해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원될 기체 밀봉 작용이 필요하지 않다.
한계부를 통해, 분산되어(diffusely) 방출되는 분진의 양은 매우 감소된다.
한계부는 제2 구역의 부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2 구역에 걸쳐 연장되어야 한다. 한계부를 장착해제할 필요 없이 냉각기 상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허용하기 위해, 총합에서, 제1 커버, 제3 커버 및 한계부는 격자 표면의 80% 내지 95%를 둘러싸는 것이 사실이다. 분진 방출들의 감소를 위한 가장 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1 커버, 제3 커버 및 한계부는 전체 격자 표면을 둘러싼다.
한계부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냉각기는 규칙적인 간격들로 유지보수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 냉각기의 개별적인 컴포넌트들이 교환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용이하게 그리고 단시간에 운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계부는 용이하게 해제가능한 연결, 예를 들어 스크류(screw) 연결 또는 볼팅식(bolted) 연결을 통해 조립되는 다중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개별적인 세그먼트들은 세그먼트 크기에 대응하는 제1 벽 및 제2 벽으로 각각 구성된다. 세그먼트는 다공성 플레이트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와 지지 구조물 사이의 연결의 해제 후에, 한계부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이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것이 가능하거나, 세그먼트의 다공성 플레이트 및/또는 제1 벽 및/또는 제2 벽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변형예는, 한계부가 단지 2 개의 세그먼트들(예외적인 환경들에서만 오직 제거되는 큰 세그먼트, 및 유지보수 목적들을 위해 제거되는 비교적으로 작은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조 경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한 해결책은, 모든 세그먼트들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다.
링 형상 냉각기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한계부는 벌크 재료의 최상부 에지와 제1 벽 또는 제2 벽의 최상부 에지 사이에서 측정되는 적어도 1 m, 바람직하게는 1.5 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m의 높이를 가진다. 벌크 재료의 최상부 에지와 제1 벽 또는 제2 벽의 최상부 에지 사이의 높이는 분진 방출들의 감소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 제1 벽 또는 제2 벽의 최상부 에지가 벌크 재료 위로 단지 수십 센치미터 만큼 위치되었다면, 분진 방출들의 감소를 위한 효과는 단지 아주 사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한계부는 1 m의 최소 높이를 가져야 한다. 이는 바람직한 효과를 일으키며, 이에 의해 분진 입자들이 격자 표면 상에 다시 증착된다. 분진 방출들에서의 상당한 추가의 감소가 2.5 m 초과의 간격(spacing)의 경우에 인식불가능하다.
하나의 설계 변형예는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위치되는 다공성 플레이트를 또한 가지는 한계부를 제공한다.
다공성 플레이트는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배열되어서, 격자 표면 반대편에, 바람직하게는 격자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평행하게”는 ±10°까지의 각도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공성 플레이트는 분진 방출들의 감소를 또한 개선시킨다. 다공성 플레이트를 통해, 첫번째로, 한계부를 넘어 운반될 수 있는 분진 입자들이 리테이닝되는(retained) 것을, 그리고 두번째로, 제공되는 냉각 기체가 전체 격자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다공성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시이트 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홀들, 냉각 기체가 관통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천공된(punched-out) 부분들 또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공성 플레이트의 추가의 예는 살창형 격자(lattice grate)이다.
다공성 플레이트는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위치된다.
하나의 설계 변형예는 제1 냉각기 벽으로부터 제1 벽으로의 전환부에서 그리고 제2 냉각기 벽으로부터 제2 벽으로의 전환부에서 끼워맞춤되는 온도-저항 밀봉부를 제공한다.
상기 유형의 온도-저항 밀봉부, 예를 들어, 직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한 브러쉬 밀봉부(brush seal)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서, “온도 저항”은 600℃까지의 온도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들은 제1 벽 및 제2 벽의 외부 측면(다시 말해, 고온 벌크 재료 쪽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서가 아님) 및/또는 내부 측면(벌크 재료쪽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다공성 플레이트는 다공성 플레이트의 총 면적의 70%까지, 바람직하게는 60%까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까지 점유하는 천공부들을 가진다. 50% 내지 70%의 범위에서의 천공부들은, 냉각 기체의 유출 및 분진 방출들의 감소에 관한 가장 좋은 결과들을 야기한다.
유리한 실시예는, 다공성 플레이트가 익스펜디드메탈(expanded metal)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명되어 있다. 익스펜디드메탈은 개구들, 강도 및 중량에 대한 이의 성질에 대한 우수한 특성들을 가진다. 첫번째로, 분진 방출들은 최소로 감소되며, 그리고 두번째로 냉각 기체가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밖으로 유동할 수 있다. 비교적으로 낮은 중량은 지지 구조물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데, 왜냐하면 지지 구조물이 보다 낮은 하중들을 위해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냉각기는 링 형상 냉각기의 형태이다. 링 형상 냉각기는 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벌크 재료의 동일한 양을 수용한다. 추가의 주요한 이점은,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사실상 전체의 격자 표면이 따라서 냉각될 수 있는 벌크 재료에 의해 로딩된다는 점이다. 직선형 냉각기의 경우에, 추출 지점으로부터 피딩-인 지점으로 이동하는 격자 표면이 로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격자 표면의 대략적으로 절반이 활용될 수 있는 것만이 항상 가능하다.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직선형 냉각기와 대조적으로, 동일한 양의 냉각될 벌크 재료에 대해 격자 표면의 절반부만이 요구된다.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한계부가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입자들이 모든 방향들로부터 바람 영향에 의해 운반되는 것이 항상 가능하기 때문이다. 원형 실시예로 인해, 바람 영향에 의한 비말동반의 문제는 항상 존재한다. 특히 중요하거나 특히 중요하지 않는 단일 바람 방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링 형상 냉각기의 추가의 설계 변형예는, 적어도 10° 및 최대 20°의 각도를 가지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들을 제공한다. 크기는, 유지보수가 링 형상 냉각기 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되며, 그리고 한계부는 관리가능한 경비로 그리고 단시간에 제거될 수 있다.
냉각기의 하나의 가능한 용도에서, 고온 벌크 재료는 철광석 소결물 또는 망간광석 소결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들은 냉각 철광석 소결물 및 망간광석 소결물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들에 기초하여 이하의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링 형상 냉각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선형 냉각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의 유리한 설계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 형상 냉각기의 유리한 설계 변형예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냉각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링 형상 냉각기(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는 제1 구역(4)에 위치되는 피딩-인(feeding-in) 지점(2) 및 제1 구역(4)에 걸쳐 위치되는 커버(7)를 도시한다. 제1 구역(4)은 각도(α1)로 표시되는 구역을 둘러싼다. 제1 구역(4)은 제2 구역(5)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낸 회전 방향으로 후속된다. 제2 구역(5)은 커버를 가지지 않는다. 링 형상 냉각기(1)는 제1 냉각기 벽(10)에 의해 그리고 제2 냉각기 벽(9)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격자(grate) 표면(16)을 가지고, 그리고 이 격자 표면은 고온 벌크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구역(5)의 크기는 각도(α2)로 표시된다.
제3 구역(6)은 다른 2 개의 구역들(4 및 5) 사이에 위치되며, 그리고 배출 지점(3) 및 제3 커버(8)는 또한 상기 제3 구역(6)에 위치된다. 제3 구역(6)의 크기는 각도(α3)로 표시된다.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제1 냉각기 벽(10)은 냉각기 내부 벽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2 냉각기 벽(9)은 냉각기 외부 벽에 대응한다.
도 2는 직선형 냉각기(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는 제1 구역(4)에 위치되는 피딩-인(feeding-in) 지점(2) 및 제1 구역(4)에 걸쳐 위치되는 커버(7)를 도시한다. 제1 구역(4)은 제2 구역(5)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낸 이동 방향으로 후속된다. 제2 구역(5)은 커버를 가지지 않는다. 직선형 냉각기(1)는 제1 냉각기 벽(10)에 의해 그리고 제2 냉각기 벽(9)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격자(grate) 표면(16)을 가지고, 그리고 이 격자 표면은 고온 벌크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제3 구역(6)은 접하는 방식으로 제2 구역(5)을 후속하며, 그리고 배출 지점(3) 및 제3 커버(8)는 또한 상기 제3 구역(6)에 위치된다.
도 3은 링 형상 냉각기의 경우에 분진 방출들을 감소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고온 벌크 재료(17)는 제2 냉각기 벽(9) 및 제1 냉각기 벽(1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격자 표면(16) 상에 위치된다. 제2 벽(11)은 제2 냉각기 벽(9)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제1 벽(12)은 제1 냉각기 벽(10) 상에 위치된다. 냉각 공기(15)는 격자 표면(16)을 통해 그리고 고온 벌크 재료(17)를 통해 블로워 박스(14)를 경유하여 송풍된다. 냉각 공기(15a)는 벌크 재료(17)의 표면에 나오며, 이에 의해 분진 입자들이 함께 운반된다. 제 1 벽(12) 및 제 2 벽(11)은 지지 구조물(18)에 체결된다. 이는, 링 형상 냉각기(1)의 회전 이동이 제1 벽(12) 및 제2 벽(11)의 중량에 의해 지연되지 않도록, 그리고 장착해제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우이다. 제2 벽(11) 및 제1 벽(12)의 장착해제는 링 형상 냉각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 형상 냉각기의 유리한 설계 변형예를 예시한다. 상기 변형예는 다공성 플레이트(19)가 제2 벽(11)과 제1 벽(12) 사이에 설치되는 도 2와 상이하다. 게다가, 온도-저항 밀봉부(13, 13a)는 제1 냉각기 벽(10)과 제1 벽(12) 사이에 그리고 제2 냉각기 벽(9)과 제2 벽(11) 사이의 전환부(transition)에 배열된다. 상기 밀봉부(13, 13a)는, 분진 입자들이 경로를 통해 냉각기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기준 지정들은 도 3에 관하여 이미 설명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 형상 냉각기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상기 도면은 제1 벽(12a) 및 제2 벽(11a)은 개별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개별적인 세그먼트들의 크기들은 각도(β)로 표시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든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제2 벽(11a) 및 제1 벽(12a)의 상기 세그먼트들은 각각 지지 구조물(18) 상에 현수되며, 이러한 도면에서, 지지 구조물은 단지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해 예시된다. 제1 벽(12a), 제2 벽(11a) 그리고 하나가 제공된다면, 다공성 플레이트의 각각의 경우에 세그먼트가 구성된다. 다공성 플레이트는 더 명확한 예시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도면에서 예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기준 지정들은 도 1에 관하여 이미 설명되어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냉각기(1)의 유리한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벽(12a 내지 12c)은 제1 냉각기 벽(10)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제2 냉각기 벽(11a 내지 11c)은 제2 냉각 벽(9) 상에 배열된다. 제1 벽(12a 내지 12c)은 제2 벽(11a 내지 11c)은 지지 구조물(18)을 통해 현수되며, 그리고 다공성 플레이트(19a 내지 19c)는 또한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1 벽(12a, 12b 및 12c), 제2 벽(11a, 11b 및 11c) 및 다공성 플레이트(19a, 19b 및 19c)의 세그먼트들로의 분할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제거되어야 하는 이들의 부품들(3 개의 세그먼트들)을 구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기준 지정들은 도 2에 관하여 이미 설명되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예시 및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서 다른 변경예들이 이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1 냉각기
2 피딩-인 지점
3 추출 지점
4 제1 구역
5 제2 구역
6 제3 구역
7 제1 커버
8 제3 커버
9 제2 냉각기 벽
10 제1 냉각기 벽
11, 11a 내지 11c 제2 벽
12, 12a 내지 12c 제1 벽
13, 13a 밀봉부
14 블로워 박스
15 격자 표면에 진입하는 냉각 기체
15a 벌크 재료에서 빠져나오는 냉각 기체
16 격자 표면
17 벌크 재료
18 지지 구조물
19, 19a 내지 19c 다공성 플레이트
α1 제1 구역 각도
α2 제2 구역 각도
α3 제3 구역 각도
β 세그먼트들의 크기

Claims (9)

  1. 고온 벌크 재료(hot bulk material)(17)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로서,
    처리를 위해 고온 벌크 재료(17)를 수용하기 위한 격자(grate) 표면(16),
    우측 및 좌측에 대해 상기 격자 표면(16)의 범위를 정하는 제1 냉각기 벽(10) 및 제2 냉각기 벽(9),
    상기 고온 벌크 재료(17)를 위한 피딩-인 지점(feeding-in point)(2),
    상기 격자 표면(16)의 20% 내지 30%를 차지하는 제1 구역(4)─상기 제1 구역(4)은 상기 피딩-인 지점(2)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구역(4)은 위치 고정된(positionally fixed) 제1 커버(cover)(7)를 가짐─,
    상방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구역(4)과 제3 구역(6)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구역(5),
    상기 냉각된 벌크 재료(17)를 위한 추출 지점(3),
    상기 격자 표면(16)의 적어도 10% 내지 20%에 걸쳐 연장하는 제3 구역(6)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구역(6)은 상기 추출 지점(3)을 포함하고 그리고 위치 고정된 제3 커버(8)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5)은 위치 고정된 제1 벽(12) 및 위치 고정된 제2 벽(11)으로 구성되는 한계부(delimitation)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계부는 적어도 상기 제2 구역(5)의 부분 섹션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구역(5) 전체에 걸쳐 연장하며, 상기 제1 벽(12) 및 상기 제2 벽(11)은 지지 구조물(18) 상에 현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벽(12)은 상기 제1 냉각기 벽(10)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벽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벽(11)은 제2 냉각기 벽(9) 상에 놓이거나 갭에 의해 상기 제2 냉각기 벽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한계부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들(segments)로 구성되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부는 적어도 1 m, 바람직하게는 1.5 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m의 높이─상기 벌크 재료(17)의 최상부 에지와 상기 제1 벽(12) 또는 상기 제2 벽(11)의 최상부 에지 사이에서 측정됨─를 가지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3.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부는 또한 상기 제1 벽(12)과 상기 제2 벽(11) 사이에 위치되는 다공성 플레이트(perforated plate)(19)를 가지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4. 제1 항에 있어서,
    온도-저항 밀봉부(13)는 상기 제1 냉각기 벽(10)으로부터 상기 제1 벽(12)으로의 전환부에서 그리고 상기 제2 냉각기 벽(9)으로부터 상기 제2 벽(11)으로의 전환부에서 끼워맞춤되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19)는 총 면적의 70%까지, 바람직하게는 60%까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까지 점유하는 천공부들을 가지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19)가 익스펜디드메탈(expanded metal)로 형성되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링 형상 냉각기의 형태인,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냉각기(1)의 상기 개별적인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10° 그리고 최대 20°의 각도를 가지는,
    고온 벌크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9. 철광석 소결물(iron ore sinter) 또는 망간광석(manganese ore) 소결물로 구성되는 고온 벌크 재료(17)를 위한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기의 용도.
KR1020177033383A 2015-04-17 2016-03-24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KR102416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4044.8A EP3081655B1 (de) 2015-04-17 2015-04-17 Begrenzung zur verminderung der staubemissionen für einen kühler zum kühlen von heissem schüttgut
EP15164044.8 2015-04-17
PCT/EP2016/056530 WO2016165926A1 (de) 2015-04-17 2016-03-24 Begrenzung zur verminderung der staubemissionen für einen kühler zum kühlen von heissem schüttg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524A true KR20170138524A (ko) 2017-12-15
KR102416462B1 KR102416462B1 (ko) 2022-07-01

Family

ID=5299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83A KR102416462B1 (ko) 2015-04-17 2016-03-24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563921B2 (ko)
EP (1) EP3081655B1 (ko)
JP (1) JP6591559B2 (ko)
KR (1) KR102416462B1 (ko)
CN (2) CN107429974B (ko)
AR (1) AR104303A1 (ko)
BR (1) BR112017022151B1 (ko)
PL (1) PL3081655T3 (ko)
RU (1) RU2703760C2 (ko)
TW (1) TWI684740B (ko)
UA (1) UA120874C2 (ko)
WO (1) WO2016165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81655T3 (pl) * 2015-04-17 2018-09-28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Ogranicznik dla zredukowania emisji pyłów dla chłodnicy do chłodzenia gorącego materiału sypkiego
WO2019223860A1 (de) * 2018-05-23 2019-11-28 Festo Ag & Co. Kg Betriebsmittel und prozessventilbaueinheit
CN110118489A (zh) * 2019-03-22 2019-08-13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 块料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7215A1 (de) * 1983-05-21 1984-12-05 Metallgesellschaft Ag Ringförmige Maschine zum Kontaktieren von Feststoffen und Gasen
US5148687A (en) * 1990-09-28 1992-09-22 Hitachi Zosen Corporation Cooling apparatus for bulk material
KR100543511B1 (ko) * 2001-06-29 2006-01-2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9662A (en) * 1933-01-10 1935-02-05 Traylor Engineering And Mfg Co Bowl cooler
US3170775A (en) * 1963-04-15 1965-02-23 Hanford Foundry Co Clinker cooler and stationary grate plates therefor
US3374553A (en) * 1965-07-16 1968-03-26 William J. Gillman Clinker cooler grate plates
GB1297314A (ko) * 1970-09-07 1972-11-22
JPS5861241A (ja) 1981-10-07 1983-04-12 Kawasaki Heavy Ind Ltd 焼結鉱ク−ラ−のシ−ル装置
JPS5874096A (ja) 1981-10-28 1983-05-0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自動取外し装置の熱風ノズルユニツトの構造
JPS5874096U (ja) * 1981-11-12 1983-05-19 日立造船株式会社 冷却機エヤシ−ル装置
JPS60127351A (ja) 1983-11-10 1985-07-08 Mitsubishi Gas Chem Co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0127351U (ja) * 1984-02-02 1985-08-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回収装置付き冷却機
JPH0233249A (ja) 1988-07-22 1990-0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限定発信電話機
JPH0233249U (ko) * 1988-08-24 1990-03-01
JPH07167565A (ja) 1993-12-13 1995-07-04 Nkk Corp 焼結鉱クーラーの除塵方法
CN101504254B (zh) * 2009-03-19 2012-02-2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环冷机
JP5686678B2 (ja) * 2011-06-21 2015-03-18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焼結設備及びその操業方法
CN202372014U (zh) * 2011-11-11 2012-08-08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烟气罩液密封装置及具有该烟气罩液密封装置的环冷机
UA80579U (en) * 2012-10-16 2013-06-10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краматор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Annular cooler
CN203274519U (zh) 2013-05-14 2013-11-06 唐山重型装备集团有限责任公司 鼓风环式冷却机
CN203949515U (zh) * 2014-05-14 2014-11-19 武汉博诚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带余热回收的冷却机
PL3081655T3 (pl) * 2015-04-17 2018-09-28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Ogranicznik dla zredukowania emisji pyłów dla chłodnicy do chłodzenia gorącego materiału sypkieg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7215A1 (de) * 1983-05-21 1984-12-05 Metallgesellschaft Ag Ringförmige Maschine zum Kontaktieren von Feststoffen und Gasen
US5148687A (en) * 1990-09-28 1992-09-22 Hitachi Zosen Corporation Cooling apparatus for bulk material
KR100543511B1 (ko) * 2001-06-29 2006-01-2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081655T3 (pl) 2018-09-28
CN107429974A (zh) 2017-12-01
EP3081655B1 (de) 2018-03-07
WO2016165926A1 (de) 2016-10-20
US20180120030A1 (en) 2018-05-03
TWI684740B (zh) 2020-02-11
RU2017134611A3 (ko) 2019-08-14
RU2017134611A (ru) 2019-04-05
EP3081655A1 (de) 2016-10-19
KR102416462B1 (ko) 2022-07-01
US10563921B2 (en) 2020-02-18
JP6591559B2 (ja) 2019-10-16
UA120874C2 (uk) 2020-02-25
BR112017022151A2 (pt) 2018-07-03
RU2703760C2 (ru) 2019-10-22
AR104303A1 (es) 2017-07-12
TW201700937A (zh) 2017-01-01
CN205980814U (zh) 2017-02-22
JP2018514740A (ja) 2018-06-07
CN107429974B (zh) 2020-01-21
BR112017022151B1 (pt)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8509B (zh) 燒結礦冷卻機
KR20170138524A (ko) 고온 벌크 물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위해 분진 방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계부
WO2012172872A1 (ja) 軸流式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機
JP5686678B2 (ja) 焼結設備及びその操業方法
JP2018146189A (ja) 焼結鉱の冷却機及び粉粒焼結鉱の回収方法
RU2392553C2 (ru) Способ переоборудования
KR20210045915A (ko) 소결광 냉각 장치
EP3894772B1 (en) Method for fitting or retrofitting a sinter cooler
KR20210129704A (ko) 입상물의 냉각 장치 및 스크레이퍼
USRE24211E (en) Zimmermann
JP7280164B2 (ja) 焼結鉱冷却装置
EP2486160B1 (en) Sinter cooler with seal arrangement towards travelling sinter-bearing chamber
KR20040098471A (ko) 소결광 쿨러용 원료장입 가이드
CN210292829U (zh) 用于承载和输送材料床而使其通过烧结炉的传送器以及烧结设备
JP2017075710A (ja) 焼結鉱冷却装置
EP3372935A1 (en) Conveying device for bulk material
JP6303288B2 (ja) 処理品積載用トレー
SU870301A2 (ru) Аэрограви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груз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з складов напольного хранени
CN103657286A (zh) 一种除尘袋及具有该除尘袋的加工装置
JP2018146191A (ja) 焼結鉱の冷却機及び粉粒焼結鉱の回収方法
PL104246B1 (pl) Pierscieniowo-kulowy mly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