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304A -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304A
KR20170138304A KR1020160070535A KR20160070535A KR20170138304A KR 20170138304 A KR20170138304 A KR 20170138304A KR 1020160070535 A KR1020160070535 A KR 1020160070535A KR 20160070535 A KR20160070535 A KR 20160070535A KR 20170138304 A KR20170138304 A KR 20170138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duction heating
heating apparatus
induction
rot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562B1 (ko
Inventor
오두용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62B1/ko
Priority to US16/308,170 priority patent/US11166347B2/en
Priority to EP17810499.8A priority patent/EP3468301A4/en
Priority to PCT/KR2017/005709 priority patent/WO2017213376A1/ko
Publication of KR2017013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 및 외부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 장치가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결정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 가열 장치, 예컨대 인덕션 레인지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압이 코일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코일 주변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 자계의 자력선이 유도 가열 장치 상부에 놓인 금속 성분을 포함한 피가열 물체의 바닥을 통과하면, 피가열 물체 바닥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와전류가 피가열 물체 바닥에 흐르면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된다.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는 가열되지 않고 피가열 물체 자체만 가열된다. 따라서 피가열 물체를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에서 들어올리면 코일 주변의 유도 자계가 소멸되면서 피가열 물체의 발열도 즉시 중단된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는 코일이 발열되지 않기 때문에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상판부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는 유도 가열에 의해 피가열 물체 자체를 가열시키므로 가스 레인지나 저항 가열 방식 장치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의 또 하나의 장점은 다른 방식의 가열 장치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의 출력이 높을수록 보다 빠르게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3000W 내지 5500W의 범위 내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빠르게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 범위를 상회하는 최대 출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 범위를 상회하는 최대 출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보다 높은 최대 출력을 가짐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가 갖는 한계인 낮은 출력, 즉 3000W 내지 5500W를 상회하는 6000W 이상의 최대 출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및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을 포함하는데, 전술한 6000W 이상의 최대 출력을 갖기 위해서는 제1 회전 수와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 및 외부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 장치가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 어셈블리, 상기 인덕션 어셈블리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덕션 어셈블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 장치가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회전 수의 비율, 즉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일 때, 유도 가열 장치는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다. 특히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일 때, 유도 가열 장치는 70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종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 범위인 3000W 내지 5500W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 보다 큰 출력으로 인해 종래 유도 가열 장치에 비해 피가열 물체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한 유도 가열 장치는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 범위를 상회하는 최대 출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한 유도 가열 장치는 종래에 비해 보다 높은 최대 출력을 가짐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인덕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회전 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2) 및 케이스(102)와 결합되어 케이스(102)를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51)는 케이스(102)의 상면과 결합하여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커버 플레이트(51)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 물체가 놓일 수 있는 상판부(1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판부(104)는 세라믹 글래스와 같은 강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가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02) 내부에는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4) 및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와 인터페이스부(1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2)가 배치된다. 참고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2) 내부에 두 개의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02) 내부에는 두 개 이상의 인덕션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는 전원부(112)에 의해 공급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유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 그리고 피가열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부터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단열 시트(116)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는 피가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에 포함되는 코일은 전원부(112)와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112)로부터 전력을 직접 공급받는다. 또한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는 도선을 통해 통해 인터페이스부(11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14)의 조작을 통해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의 출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어셈블리(108, 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인덕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는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 그리고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베이스(2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인덕션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D)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코일(202, 20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덕션 어셈블리가 두 개의 서로 다른 코일로 구성되는 것은 용도에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의 출력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을 원하는 경우, 인덕션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1 코일(202) 또는 제2 코일(204) 중 어느 하나에만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또는 최대 출력을 원하는 경우, 인덕션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 모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는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202), 그리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20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204)은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D) 만큼 이격되며, 제1 코일(202)의 바깥 쪽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코일(202)의 양단(21, 22), 제2 코일(204)의 양단(23, 24)은 각각 전원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코일(202)의 양단(21, 22), 제2 코일(204)의 양단(23, 24)은 전원부(112)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도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코일의 '회전 수'는 코일이 원주 방향으로 감긴 횟수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회전 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일의 회전 수는 반지름 방향으로 동일 직선 상에 놓인 점(41, 42, 43, 44)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코일의 지점(41)에서 지점(42)까지 코일이 감겨 있다면, 이는 코일의 회전 수가 1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코일이 지점(41)에서 지점(42)까지 감겨 있다면 코일의 회전 수는 2이고, 코일이 지점(41)에서 지점(43)까지 감겨 있다면 코일의 회전 수는 3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일(202)의 제1 회전 수 및 제2 코일(204)의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인덕션 어셈블리 또는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최소 6000W 인 것이 바람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장치는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장치는 70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에 공급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출력 주파수는 25kHz 내지 35kHZ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는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베이스(206)를 포함한다. 코일 베이스(206)는 제1 코일(202)이 배치되는 제1 베이스(208) 및 제2 코일(204)이 배치되는 제2 베이스(21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208) 및 제2 베이스(210)는 미리 정해진 간격(D)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206)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차폐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차폐 시트 수용부(2a 내지 2h),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차폐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차폐 시트 수용부(3a 내지 3p)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코일 베이스(206)에 포함되는 제1 베이스(208)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차폐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차폐 시트 수용부(2a 내지 2h)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차폐 시트 수용부(2a 내지 2h)에는 각각 제1 차폐 시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베이스(208)의 상부에는 제1 코일(202)이, 제1 베이스(208)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차폐 시트가 각각 배치된다. 도 3에는 총 8개의 제1 차폐 시트 수용부(2a 내지 2h)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베이스(208)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차폐 시트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베이스(206)에 포함되는 제2 베이스(2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차폐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차폐 시트 수용부(3a 내지 3p)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차폐 시트 수용부(3a 내지 3p)에는 각각 제2 차폐 시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베이스(210)의 상부에는 제1 코일(202)이, 제2 베이스(2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차폐 시트가 각각 배치된다. 도 3에는 총 16개의 제2 차폐 시트 수용부(3a 내지 3p)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차폐 시트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일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차폐 시트 및 제2 차폐 시트는 각각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자계가 제1 코일(202) 및 제2 코일(20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덕션 어셈블리의 출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차폐 시트 및 제2 차폐 시트는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와 같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갖는 최대 출력 및 그에 따른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회전 수 비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3000W 내지 5500W의 범위 내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짧은 시간 내에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종래에 비해 보다 빠르게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6000W 이상의 최대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가로 축은 제1 회전 수, 즉 제1 코일이 감긴 횟수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제2 회전 수, 즉 제2 코일이 감긴 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 라인(502)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25kHz를 유지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라인(504)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35kHz를 유지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 라인 (50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6500W인 영역을 나타내고, 라인(50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7400W인 영역을 나타낸다.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실험한 결과 측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제1 회전 수 제2 회전 수 최대 출력[W]
16 9 5588
16 11 7590
17 8 4195
17 8.5 4481
17 9 4866
17 10 6559
17 11 7488
18 9 4530
18 10 4885
18 11 7283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25kHz 내지 35kHz 인 동작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6500W 내지 7400W를 나타내는 영역(510)에 포함되는 지점(51, 52, 53, 54)이 나타난다.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 결과 및 [표 1]을 참조하면, 제1 회전 수:제2 회전 수가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의 비율을 가질 때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6500W 내지 7400W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가로 축은 제1 회전 수, 즉 제1 코일이 감긴 횟수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제2 회전 수, 즉 제2 코일이 감긴 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 라인(602)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25kHz를 유지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라인(604)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35kHz를 유지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 라인 (60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7000W인 영역을 나타내고, 라인(50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7400W인 영역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25kHz 내지 35kHz 인 동작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7000W 내지 7400W를 나타내는 영역(610)에 포함되는 지점(61, 62, 63)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제1 회전 수:제2 회전 수가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의 비율을 가질 때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이 6500W 내지 7400W을 나타낸다.
결국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회전 수의 비율, 즉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일 때, 유도 가열 장치는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다. 특히 제1 회전 수 및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일 때, 유도 가열 장치는 70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은 종래 유도 가열 장치의 최대 출력 범위인 3000W 내지 5500W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 보다 큰 출력으로 인해 종래 유도 가열 장치에 비해 피가열 물체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 및
    외부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 장치가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결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인
    유도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장치는
    70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인
    유도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교류 전류의 출력 주파수는 25kHz 내지 35kHz인
    유도 가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차폐 시트;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차폐 시트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7.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코일의 바깥 쪽에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 어셈블리;
    상기 인덕션 어셈블리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덕션 어셈블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 장치가 65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이 결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7:10, 16:10 중 어느 하나인
    유도 가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장치는
    7000W 내지 7400W의 최대 출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 및 상기 제2 회전 수의 비율은
    18:11, 17:11, 16:10 중 어느 하나인
    유도 가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고주파 교류 전류의 출력 주파수는 25kHz 내지 35kHz인
    유도 가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차폐 시트;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차폐 시트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60070535A 2016-06-07 2016-06-07 유도 가열 장치 KR101949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535A KR101949562B1 (ko) 2016-06-07 2016-06-07 유도 가열 장치
US16/308,170 US11166347B2 (en) 2016-06-07 2017-05-31 Induction heating device
EP17810499.8A EP3468301A4 (en) 2016-06-07 2017-05-31 INDUCTION HEATING DEVICE
PCT/KR2017/005709 WO2017213376A1 (ko) 2016-06-07 2017-05-31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535A KR101949562B1 (ko) 2016-06-07 2016-06-07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304A true KR20170138304A (ko) 2017-12-15
KR101949562B1 KR101949562B1 (ko) 2019-02-18

Family

ID=6057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535A KR101949562B1 (ko) 2016-06-07 2016-06-07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6347B2 (ko)
EP (1) EP3468301A4 (ko)
KR (1) KR101949562B1 (ko)
WO (1) WO20172133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697A (ko) * 2018-10-16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히터
US11253100B2 (en) 2018-10-11 2022-02-2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heater and electric heating apparatus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2573S1 (en) * 2017-05-16 2019-07-02 Hatco Corporation Induction warmer
USD978604S1 (en) 2020-06-12 2023-02-21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duction war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103B1 (ko) * 2010-02-02 2011-12-20 정가영 인덕션 히팅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일한 간격을 갖는 인덕션 히팅 코일
JP2012003915A (ja) * 2010-06-16 2012-01-05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8132A1 (fr) 1994-12-09 1996-06-14 Bonnet Sa Dispositif de chauffage par induction de recipient et procede de commande d'un tel dispositif
CN100508671C (zh) 2002-03-12 2009-07-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装置
US20090084777A1 (en) * 2006-10-02 2009-04-02 Oh Doo Yong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JP4909968B2 (ja) 2008-09-29 2012-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
WO2011070785A1 (ja) * 2009-12-11 2011-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誘導加熱調理器
TWI403679B (zh) * 2010-04-15 2013-08-01 Delta Electronics Inc 具複數個感應線圈之加熱裝置
JP5473864B2 (ja) * 2010-11-02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2014086240A (ja) 2012-10-23 2014-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
JP5807161B2 (ja) 2012-11-26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炊飯器
EP2770801B1 (de) * 2013-02-20 2017-04-12 BSH Hausgeräte GmbH Hausgeräteinduktionsheizvorrichtung
CN203827543U (zh) * 2013-06-18 2014-09-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局部对流加热的电磁线盘及电磁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103B1 (ko) * 2010-02-02 2011-12-20 정가영 인덕션 히팅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일한 간격을 갖는 인덕션 히팅 코일
JP2012003915A (ja) * 2010-06-16 2012-01-05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3100B2 (en) 2018-10-11 2022-02-2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heater and electric heating apparatus having same
KR20200042697A (ko) * 2018-10-16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히터
US11602016B2 (en) 2018-10-16 2023-03-07 Lg Electronics Inc. Electric heater and electric heating apparatus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2908A1 (en) 2019-06-13
WO2017213376A1 (ko) 2017-12-14
KR101949562B1 (ko) 2019-02-18
US11166347B2 (en) 2021-11-02
EP3468301A4 (en) 2020-01-29
EP3468301A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1783B2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having improved use convenience
KR101949562B1 (ko) 유도 가열 장치
EP204891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US7049563B2 (en) Induction cooker with heating coil and electrical conductor
US20090084777A1 (en)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TWI287949B (en) Heating cooker
US6288374B1 (en) Coil and core structure for an induction cooktop
JP2012253018A (ja) 誘導加熱用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8311058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7436198B (zh) 锅具温度检测系统、方法和电磁炉
JP5943683B2 (ja) 誘導加熱装置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JP3033321B2 (ja) 中華鍋加熱用電磁誘導加熱装置
KR102306561B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JP200912360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8434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40121867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CN106923643B (zh) 烹饪器具和内锅
EP4373211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KR102040390B1 (ko) 유도 가열 기기의 온도 설정 장치
JP4848792B2 (ja) 誘導加熱装置
US20230422360A1 (en) A cooking assembly
JPH0475634B2 (ko)
AU2016102041A4 (en) Induction Protector
KR20230012920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