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914A - 유체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유체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914A
KR20170137914A KR1020177033353A KR20177033353A KR20170137914A KR 20170137914 A KR20170137914 A KR 20170137914A KR 1020177033353 A KR1020177033353 A KR 1020177033353A KR 20177033353 A KR20177033353 A KR 20177033353A KR 20170137914 A KR20170137914 A KR 2017013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luid pressure
cylinder tube
pressure cylind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344B1 (ko
Inventor
유스케 코지마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0197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166964A1/en
Publication of KR2017013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8Cylinder to end ca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28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3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6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elastic elements, e.g. springs, rubber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유체압 실린더(10)에 있어서, 원통형 바디(24a, 24b)는 실린더 튜브(12)의 양단에 연결되고, 그리고 래칭 링(50)은 원통형 바디(24a, 24b)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다. 실린더 튜브(12)에 수용되는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는 래칭 링(50)에 의해서 고정된다.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리세스(36, 58)가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 각각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제공된다. 제1 및 제2 유체 포트(38, 60)는 리세스(36, 58)에서 각각 개방되고, 그리고 압력 유체는 제1 및 제2 유체 포트(38, 60)를 통해서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된다.

Description

유체압 실린더
본 발명은 압력 유체의 공급 하에서 피스톤이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는 유체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워크피스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압력 유체의 공급 하에서 변위되는 피스톤을 갖는 유체압 실린더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4-129853(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배치되고, 피스톤이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 변위가능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피스톤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가 로드 커버를 통해서 변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압력 유체를 공급하고 그리고 배출하기 위한 포트가 각각 형성되고, 그리고 포트는 실린더 튜브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337312(특허 문헌 2)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에 의하면,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는 각각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된다.
비록 최근 이러한 유체압 실린더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자 하였으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에 의하면, 각각의 포트가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의 직경방향 치수는 사이즈가 증가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에 의하면, 암나사선 부분이 실린더 튜브이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고, 수나사선 부분이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각각 미리결정된 길이에 대해서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의 길이방향 치수는 암나사선 부분 및 수나사선 부분의 길이만큼 사이즈가 더 커진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목적은, 축선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유체압 실린더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커버 부재가 용이하게 부착/탈착될 수 있는 유체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면이 원형인 내부에 실린더 챔버를 포함하는 원통형 실린더 튜브, 단면이 상기 실린더 챔버에 대응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 튜브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실린더 챔버를 따라서 변위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되는 한 쌍의 포트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보다 더 직경방향으로 내측에 제공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상기 커버 부재를 래치(latch)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부재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결합되고 그리고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링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한 상기 링의 부착 및 탈착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부착가능하고 그리고 탈착가능한,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되는 한 쌍의 포트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 원주방향 측보다 더 직경방향으로 내측에 제공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상기 커버 부재를 래치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부재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결합되고 그리고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링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상기 링의 부착 및 탈착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부착가능하고 그리고 탈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피팅 등이 실린더 튜브의 직경방향으로 내측 상에 배열되는 포트에 연결될 때 이러한 피팅 등이 직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이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에 비하여 억제될 수 있어, 유체압 실린더는 직경방향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래칭 부재에 의해서 실린더 튜브의 단부 상에 고정되도록 커버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커버 부재가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와 비교하여, 이러한 나사-결합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나사 부재 등에 대한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는 이러한 나사 부재의 부재로 인해 축선 방향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가 래칭 부재에 의해서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고정되고, 그리고 이의 고정된 상태가 래칭 부재로서 기능하는 링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가 실린더에 대해서 나사-결합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와 비교하여, 실린더 튜브에 대한 커버 부재의 부착 및 탈착 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해적 예시의 방법으로 도시되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질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실린더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유체압 실린더에서 헤드 커버의 인접부를 도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2b는, 헤드 커버가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유체압 실린더에서 로드 커버의 인접부를 도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3b는, 로드 커버가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실린더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의 유체압 실린더에서 헤드 커버의 인접부를 도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5b는, 헤드 커버가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6a는 도 4의 유체압 실린더에서 로드 커버의 인접부를 도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6b는, 로드 커버가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유체압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체압 실린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유체압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선 XI-XI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의 유체압 실린더를 다른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어태치먼트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분해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유체압 실린더가 어태치먼트 측으로부터 보여지는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유체압 실린더가 유체압 실린더 아래에 배열되는 다른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 조립전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유체압 실린더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4의 유체압 실린더가 유체압 실린더의 일측에 배열되는 다른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 조립전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유체압 실린더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10)는 원통형의 실린더 튜브(12), 실린더 튜브(12)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 커버(커버 부재)(14), 실린더 튜브(12)의 타단에 장착되는 로드 커버(커버 부재)(16), 실린더 튜브(12)의 내부에 변위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18), 및 피스톤(18)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20)를 포함한다.
실린더 튜브(1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으며 연장되는 튜브 바디로 구성되고, 그리고 그 내부에,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0)가 수용되는 실린더 챔버(22)가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튜브(12)보다 직경이 더 큰 원통형 바디(24a, 24b)는 실린더 튜브(1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도 1,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바디(24a, 24b)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단면이 원형 형상이고, 그리고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리결정된 폭을 갖는다. 또한, 원통형 바디(24a, 24b)에서, 이들의 단부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은 실린더 튜브(1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해서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됨으로써 각각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원통형 바디(24a, 24b)의 부분은 실린더 튜브(12)의 양단에 대해서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2)의 양단은,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 상에 배치되며 직경이 확대된 원통형 바디(24a, 24b)에 의해서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오목한 환형 결합 홈(26)은 원통형 바디(24a, 24b)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후술되는 래칭 링(50)이 각각 여기에 결합된다.
또한, 실린더 튜브(12)가 연결되는 연결 부위와 결합 홈(26) 사이에서 직경방향으로 관통되는 홀(28)이 원통형 바디(24a, 24b)에 형성된다. 회전 방지 나사(핀 부재)(30)는 홀(28)에 외측 원주 측으로부터 나사 결합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 홀(32)에 각각 결합된다. 이 때문에,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에 대한 원통형 바디(24a, 24b) 각각의 회전 변위가 제한된다.
달리 말해서, 회전 방지 나사(30)는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에 대한 원통형 바디(24a, 24b)의 회전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 커버(14)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2) 및 원통형 바디(24a)의 내부 안으로 삽입된다.
헤드 커버(14)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은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의 타단측(화살표(B)의 방향으로)은 약간 직경이 확대되고, 그리고 계단형 부분(34)에 대한 실린더 튜브(12)의 일단의 접촉에 의해서, 헤드 커버(14)에 대한 축선 방향(화살표(B)의 방향)으로 실린더 튜브(12)의 위치결정이 실행되며, 이와 함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타단측(화살표(B)의 방향으로)이 원통형 바디(24a)에 의해서 덮힌다.
실린더 튜브(12)가 헤드 커버(14)에 대해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원통형 바디(24a) 및 헤드 커버(14)의 다른 단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이다(도 2a 참조).
또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상지워지고 직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리세스(36)이 헤드 커버(14)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작은 직경 위치에 형성된다. 리세스(36)에, 제1 유체 포트(38)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된다. 제1 유체 포트(38)는 헤드 커버(14)의 축선 방향에 수직하게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4)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연통 홀(40)과 연통된다. 리세스(36)은 포트 홀(42a)을 통해서 외측 원주방향 측에 노출되며, 이 포트 홀은 헤드 커버(14)의 외측 원주방향 측을 덮는 실린더 튜브(12)에 형성된다. 또한, 피팅(44)(2점 쇄선 형상)은 포트 홀(42a)을 통해서 제1 유체 포트(38)에 연결되고, 그리고 이 포트로 또는 이 포트로부터 배관을 통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배출된다.
제1 연통 홀(40)은 헤드 커버(14)의 일단의 중심에서 실린더 튜브(12)의 측에 대해 대향하여(화살표(A)의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와 함께, 실린더 챔버(22)의 측 상의(화살표(A)의 방향의) 제1 연통 홀(40)의 단부는 직경이 확대되고, 그리고 제1 댐퍼(46)는 이의 내부에 장착된다. 제1 댐퍼(46)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4)의 단부에 대해서 약간 실린더 튜브(12)의 측을 향해서(화살표(A)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반면, 환형 리세스(48a)가 헤드 커버(14)의 타단에 형성되며, 이 리세스의 직경방향 외측이 축선 방향으로(화살표(A)의 방향으로) 오목하다. 환형 리세스(48a)의 외측 원주방향 측은 원통형 바디(24a)에 의해서 덮히며, 이와 함께 래칭 링(50)이 환형 리세스(48a)에 유지된다. 또한, 환형 리세스(48a)보다 더 내측 원주방향 측 상의 위치에서 축선 방향으로(화살표(A)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제1 어태치먼트 홀(52)이 헤드 커버(14)의 타단에 형성된다. 유체압 실린더(10)는 어태치먼트 볼트(미도시)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볼트는 제1 어태치먼트 홀(52)에 대해서 다른 장치 등을 통해서 삽입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어태치먼트 홀(52)은 헤드 커버(14)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경 상에서 서로 동일한 분리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원통형 바디(24a)를 통해서 삽입되는 회전 방지 나사(30)는 헤드 커버(14)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 홀(32) 안으로 나사 결합되어, 헤드 커버(14)와 원통형 바디(24a)와 실린더 튜브(1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제한되는 상태가 초래된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드 커버(16)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2) 및 원통형 바디(24b)의 내부 안으로 삽입된다.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은, 헤드 커버(14)와 같은 방식으로,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의 타단측(화살표(A)의 방향으로)은 약간 직경이 확대되고, 그리고 계단형 부분(56)에 대한 실린더 튜브(12)의 타단의 접촉에 의해서, 로드 커버(16)에 대한 축선 방향(화살표(A)의 방향)으로 실린더 튜브(12)의 위치결정이 실행되며, 이와 함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타단측(화살표(A)의 방향으로)이 원통형 바디(24b)에 의해서 덮힌다.
실린더 튜브(12)가 로드 커버(16)에 대해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원통형 바디(24b)의 일단 및 로드 커버(16)의 다른 단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이다(도 3a 참조).
또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상지워지고 그리고 작은 직경 위치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리세스(58)가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형성된다. 리세스(58)에, 제2 유체 포트(60)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된다. 제2 유체 포트(60)는 로드 커버(16)의 축선 방향에 수직하게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로드 커버(16)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 연통 홀(64) 및 로드 홀(62)과 연통된다.
리세스(58)는 포트 홀(42b)을 통해서 외측 원주방향 측에 노출되며, 이 포트 홀은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측을 덮는 실린더 튜브(12)에 형성된다. 또한, 피팅(44)(2점 쇄선 형상)은 포트 홀(42b)을 통해서 제2 유체 포트(60)에 연결되고, 그리고 이 포트로 또는 이 포트로부터 배관을 통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배출된다.
제2 연통 홀(64)은 로드 커버(16)의 일단의 중심에서 실린더 튜브(12)의 측에 대해 대향하여(화살표(B)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한편, 추가적으로,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 홀(62)이 제2 연통 홀(64)의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챔버(22)의 측 상의 제2 연통 홀(64)의 단부는 직경이 확대되고, 그리고 제2 댐퍼(66)는 이의 내부에 장착된다. 제2 댐퍼(66)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로드 커버(16)의 단부에 대해서 약간 실린더 튜브(12)의 측을 향해서(화살표(B)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로드 패킹(68) 및 부시(70)는 로드 홀(62)의 환형 홈을 통해서 배치되고, 그리고 피스톤 로드(20)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서 각각 슬라이딩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0)와 로드 커버(16) 사이로부터 압력 유체의 누출이 방지되는 한편, 또한, 피스톤 로드(20)가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된다.
반면, 환형 리세스(48b)가 로드 커버(16)의 타단에 형성되며, 이 리세스의 직경방향 외측이 축선 방향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오목하다. 환형 리세스(48b)의 외측 원주방향 측은 원통형 바디(24b)에 의해서 덮히며, 이와 함께 래칭 링(50)이 환형 리세스(48b)에 유지된다.
또한, 환형 리세스(48b)보다 더 내측 원주방향 측 상의 위치에서 축선 방향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제2 어태치먼트 홀(72)이 로드 커버(16)의 타단에 형성된다. 유체압 실린더(10)는 어태치먼트 볼트(미도시)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볼트는 제2 어태치먼트 홀(72)에 대해서 다른 장치 등을 통해서 삽입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어태치먼트 홀(72)은 로드 커버(16)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경 상에서 서로 동일한 분리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원통형 바디(24b)를 통해서 삽입되는 회전 방지 나사(30)는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 홀(32) 안으로 나사 결합되어, 로드 커버(16)와 원통형 바디(24b)와 실린더 튜브(1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제한되는 상태가 초래된다.
래칭 링(50)은,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 실질적으로 단면이 C-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원통형 바디(24a, 24b)에 형성되는 결합 홈(26)에 각각 장착된다. 래칭 링(50)은 결합 홈(2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확대되는 탄성 힘을 갖는다. 이와 함께, 지그 홀(74)은 래칭 링의 개방된 단부 상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확대되는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다.
또한, 미도시된 지그가 한 쌍의 지그 홀(74)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그리고 지그 홀(74)을 갖는 확대된 부분이 서로 상호간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래칭 링(50)은 래칭 링(50)의 탄성 력에 반대되는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가 실린더 튜브(12) 및 원통형 바디(24a, 24b)의 내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2)의 일단 및 타단이 계단형 부분(34, 56)과 접촉되게 놓이고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래칭 링(50)은 원통형 바디(24a, 24b)의 결합 홈(26)에 각각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래칭 링(50)은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의 환형 리세스(48a, 48b)의 벽 표면에 대항하여 접촉되고, 원통형 바디(24a, 24b)의 개방된 단부 측으로부터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의 빠짐이 제한된다.
달리 말해서, 래칭 링(50)은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를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한 래칭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스톤(18)은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을 따라서(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실린더 챔버(22)에 수용되고, 이와 함께 피스톤 패킹(76), 마그넷(78) 및 마모 링(80)이 피스톤(18)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의 환형 홈을 통해서 각각 배치된다. 또한, 피스톤(18)의 중앙 부분을 통해서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은 코킹에 의해서 피스톤(18)과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피스톤 패킹(76)이 실린더 튜브(12)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과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피스톤(18)과 실린더 튜브(12) 사이로부터 유체의 유출은 방지되고, 그리고 마모 링(80)의 실린더 튜브(12)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한 접촉에 의해, 피스톤(18)이 축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된다. 또한, 마그넷(78)의 자력은, 실린더 튜브(12)의 외측에 제공되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어, 실린더 튜브(12)의 내부에서 피스톤(18)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는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의 미리결정된 길이를 갖는 샤프트로부터 만들어진다.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은 피스톤(18)의 중앙에 연결되는 한편, 이의 타단은 로드 커버(16)의 로드 홀(62)을 통해서 유체압 실린더(10)의 외부에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는 기본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헤드 커버(14)가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조립되는 경우가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실린더 튜브(12)에 대한 로드 커버(16)의 조립은 헤드 커버(14)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로드 커버(16)의 경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헤드 커버(14)는 일단측으로부터(화살표(B)의 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 튜브(12)의 내부 안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2)의 일단에 대한 헤드 커버의 계단형 부분(34)의 접촉에 의해서, 헤드 커버(14)의 실린더 튜브(12)의 타단을 향한(화살표(A)의 방향으로)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결정 상태가 초래된다.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헤드 커버(14)의 환형 리세스(48a)가 원통형 바디(24a)에 의해서 덮힌다.
다음으로, 한 쌍의 지그 홀(74) 안으로 삽입된 미-도시된 지그에 의해서, 래칭 링(50)이 탄성적으로 직경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는 상태에서, 헤드 커버(14)가 환형 리세스(48a) 안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일부가 결합 홈(26)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지그의 변형된 상태가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래칭 링(50)은 탄성에 의해서 직경이 확대되고, 그리고 결합 홈(26)과 결합되어, 실린더 튜브(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화살표(B)의 방향)으로 헤드 커버(14)의 이동이 원통형 바디(24a)와 결합된 래칭 링(50)에 의해서 제한되는 상태가 초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헤드 커버(14)의 로드 커버(16) 측을 향한(화살표(A)의 방향으로의) 운동이 실린더 튜브(12)에 대한 계단형 부분(34)의 접촉에 의해서 제한되기 때문에, 그리고 로드 커버(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헤드 커버의 운동이 래칭 링(50)에 의해서 제한되기 때문에, 실린더 튜브(12)의 단부에 대한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헤드 커버(14)의 변위가 제한되는 고정된 상태가 성립된다.
마지막으로, 헤드 커버(14)의 나사 홀(32) 및 원통형 바디(24a)의 홀(28)은 매칭 관계에 놓이고, 그리고 외측 원주방향 측으로부터 회전 방지 나사(30)의 삽입 및 나사-회전에 의해서, 원통형 바디(24a) 및 실린더 튜브(12)에 대한 헤드 커버(14)의 회전은 제한된다. 달리 말해서, 회전 방지 나사(30)에 의해서, 헤드 커버(14)는 원통형 바디(24a)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튜브(1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개방된 포트 홀(42a)이 제1 유체 포트(38)에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튜브(12)의 일단에 대한 헤드 커버(14)의 조립은 완료된다.
반면에, 헤드 커버(14)가 실린더 튜브(12)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 먼저 회전 방지 나사(30)가 회전되고, 그리고 회전 방지 나사(30)가 헤드 커버(14) 및 원통형 바디(24a)로부터 외부로 이동된다. 이와 함께, 미-도시된 지그를 사용하여, 래칭 링(50)이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리고 결합 홈(26)으로부터 외부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서, 헤드 커버(14)는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고정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헤드 커버(14)가 실린더 튜브(12)로부터 멀리 분리되는 방향(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체압 실린더(10)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피스톤(18)이 헤드 커버(14)의 측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 1에 도시되는 상태가 초기 상태로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미도시된 압력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압력 유체가 제1 유체 포트(38)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제2 유체 포트(60)는 미도시된 절환 밸브의 절환 작용 하에 미리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압력 유체는 제1 유체 포트(38)로부터 제1 연통 홀(40)에 공급되고, 그리고 제1 연통 홀(40)로부터 실린더 챔버(22) 안으로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서, 피스톤(18)이 로드 커버(16)의 측을 향해서(화살표(A)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피스톤(18)의 변위 작동 하에, 피스톤 로드(20)는 피스톤(18)과 함께 변위되고, 그리고 변위 종단 위치는 제2 댐퍼(66)에 대해서 피스톤(18)이 접촉됨으로써 도달된다.
다음으로, 피스톤(18)이 반대 방향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압력 유체는 제2 유체 포트(60)에 공급되고, 이와 함께 제1 유체 포트(38)는 미-도시된 절환 밸브의 절환 작용 하에 대기에 개방된다. 또한, 압력 유체는 제2 연통 홀(64)을 통해서 제2 유체 포트(60)로부터 실린더 챔버(22) 안으로 공급되며, 이때 피스톤(18)은 실린더 챔버(22) 안으로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서 헤드 커버(14)의 측을 향해서(화살표(B)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18)의 변위 작동 하에서, 피스톤 로드(20)는 피스톤(18)과 함께 변위되고, 그리고 초기 위치는 피스톤(18)이 헤드 커버(14)의 제1 댐퍼(46)에 대해서 접촉됨으로써 복원된다(도 1 참조).
상기 방식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압 실린더(10)에서,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리세스(36, 58)가 제공되고, 그리고 제1 및 제2 포트(36, 60)는 리세스(36, 58) 내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체 포트(38, 60)에 연결되는 피팅(44) 및 배관 등이 돌출되는 양이 억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트가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와 비교하여, 유체압 실린더(10)는 직경 방향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유체압 실린더(10)의 외측 원주방향 측 상의 공간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12)의 양 단에 제공되는 원통형 바디(24a, 24b)에 대해서 결합될 수 있는 래칭 링(50)에 의해서 헤드 커버(14) 및 로드 커버(16)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대해서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에 비하여, 실린더 튜브(12)와 헤드 커버(14)와 로드 커버(16) 사이에 상호 나사-결합의 목적을 위해 각각 나사선 부분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10)의 축선 방향으로의 종방향 치수는 사이즈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대해서 나사-결합됨으로써 연결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에 비하여, 실린더 튜브(12)에 대해서 헤드 커버(14)와 로드 커버(16)를 부착하고 탈착하는 동작이 래칭 링(50)의 장착 및 제거에 의해서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0)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되고, 이러한 특징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0)는, 헤드 커버(102) 및 로드 커버(104)가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와 상이하다.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100)는 실린더 튜브(106)의 일단을 폐쇄하는 플레이트-형상의 헤드 커버(102), 및 실린더 튜브(106)의 타단을 폐쇄하는 원통형 형상의 로드 커버(104)를 포함한다.
헤드 커버(102)는 실린더 튜브(106)의 일단의 내부에 배치되고, 포트 홀(42a)은 다른 단부 측의(화살표(A)의 방향으로)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개방되며, 이 홀은 실린더 튜브의 일단으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분리된다. 실린더 튜브(106)의 내부에서, 포트 홀(42a)을 향하여 대향하는 제1 포트 부재(108)가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제1 포트 부재(108)가 내부에 새겨진 나사선을 갖는 제1 유체 포트(110)를 포함하고, 그리고 피팅(44)(2점 쇄선 형상)이 제1 포트 부재(108)에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포트 부재(108)는 실린더 튜브(106)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내부에 로드 커버(104)가 배치되는 실린더 튜브(106)의 타단 상에, 원통형 바디(24b)가 실린더 튜브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용접되고, 이와 함께 포트 홀(142)이 원통형 바디(24b)의 일단에 대해서 실린더 튜브(106)의 일단 측 상의(화살표(B)의 방향의) 위치에서 개방된다.
헤드 커버(10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일정한 두께의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실린더 튜브(106)의 일단 안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용접 등에 의해서 여기에 고정된다. 또한, 헤드 커버(102) 상에, 복수의(예를 들어, 4개의) 제1 보스 부재(112)가 헤드 커버(102)의 중앙에 대해서 미리결정된 직경 상의 위치에 제공된다.
제1 보스 부재(112)는 내부에 나사 홀(114)이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02)에 형성되는 홀(116) 안으로 삽입된다. 제1 보스 부재(112)의 단부는 헤드 커버(102)의 단부 표면과 동일평면 상태로 용접 등이 됨으로써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보스 부재(112)는 헤드 커버(102)에 대해서 실린더 튜브(106)의 측을 향해서(화살표(A)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1 댐퍼(118)는 제1 보스 부재(112)의 타단 상에 각각 배치되고, 그리고 실린더 챔버(22)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배열된다.
또한, 제1 보스 부재(112)의 나사 홀(114)은 어태치먼트 홀로서 기능하며, 이 홀은 유체압 실린더(100)가 다른 장치 등에 고정될 때 사용된다.
로드 커버(104)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U-형상의 단면을 갖는 메인 바디 부분(120), 및 메인 바디 부분(120)의 중앙에 제공되는 원통형 형상 홀더 부분(122)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 부분(120)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분(124)의 중앙에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20)가 삽입되는 로드 홀(126)을 갖는다. 홀더 부분(122)의 일단은 로드 홀(126)과 동축이도록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홀더 부분(122)은, 메인 바디 부분(120)에서 베이스 부분(124)의 가장자리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벽 부분(128)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예를 들어, 4개의) 제2 보스 부재(130)가 메인 바디 부분(120)의 베이스 부분(124) 상의 로드 홀(126)에 대해서 중심적으로 미리결정된 직경 상의 위치에 제공된다.
제2 보스 부재(130)는 내부에 나사 홀(114)이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로드 커버(104)에 형성되는 홀(132) 안으로 삽입된다. 제2 보스 부재(130)의 단부는 로드 커버(104)의 단부 표면과 동일평면 상태로 용접 등이 됨으로써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보스 부재(130)는 로드 커버(104)에 대해서 실린더 튜브(106)의 측을 향해서(화살표(B)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2 댐퍼(134)는 제2 보스 부재(130)의 타단 상에 각각 배치되고, 그리고 실린더 챔버(22)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배열된다.
또한, 제2 보스 부재(130)의 나사 홀(114)은 어태치먼트 홀로서 기능하며, 이 홀은 유체압 실린더(100)가 다른 장치 등에 고정될 때 사용된다.
또한, 메인 바디 부분(120) 상의 원주방향 벽 부분(128)은 원통형 바디(24b)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그리고 원통형 바디(24b)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 제공되는 시일 링(136)에 대해서 접촉됨으로써, 실린더 튜브(106)와 로드 커버(104) 사이를 통과하는 압력 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제2 포트 부재(138)는 원주방향 벽 부분(128) 상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된다. 제2 포트 부재(138)는 원주방향 벽 부분(128)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리고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제2 포트 부재(138)는 내부에 나사 선이 새겨지는 제2 유체 포트(140)를 포함하고, 그리고 로드 커버(104)가 실린더 튜브(106)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2 포트 부재(138)가 원통형 바디(24b)의 포트 홀(142)에 대한 대향하는 관계로 배열되고, 그리고 피팅(44)은 포트 홀(142)을 통해서 여기에 연결된다. 또한, 피팅(44)은 포트 홀(142)을 통해서 제2 포트 부재(138)에 연결됨으로써, 로드 커버(104)와 원통형 바디(24b)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제한된다.
다른 한편으로, 홀더 부분(122)의 내부에는, 로드 패킹(68) 및 부시(70)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로드 커버(104)는 원통형 바디(24b)의 내부 안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원주방향 벽 부분(128)의 단부의 실린더 튜브(106)의 타단에 대한 접촉에 의해서 축선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그리고 래칭 링(50)이 원통형 바디(24b)의 결합 홈(26)에 결합됨으로써, 래칭 링(50)은 로드 커버(104)의 베이스 부분(124)에 대해서 접촉되고, 그리고 원통형 바디(24b)의 개방된 단 측으로부터 로드 커버(104)의 빠짐이 제한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0)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다른 유체압 실린더(100)에 의하면, 실린더 튜브(106)의 양단 상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102) 및 로드 커버(104)가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헤드 커버 및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대해서 나사-결합됨으로써 부착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에 비교하여, 실린더 튜브(106)와 헤드 커버(102)와 로드 커버(104) 사이의 상호 나사-결합의 목적을 위한 나사선 부분을 각각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축선 방향으로 유체압 실린더(100)의 종방향 치수는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 부재(108, 138)가 실린더 튜브(106)의 내측 원주방향 측 상에 배치됨으로써, 포트가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와 비교하여, 유체압 실린더(100)의 직경 치수는 사이즈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의 양단에 대해서 나사-결합됨으로써 연결되는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에 비하여, 실린더 튜브(106)에 대해서 로드 커버(104)를 부착하고 탈착하는 동작이 래칭 링(50)의 장착 및 제거에 의해서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00)에 의하면, 단지 로드 커버(104)가 실린더 튜브(106)에 대해서 부착가능하고 그리고 탈착가능한 구성이 제공되나, 헤드 커버(102)의 측 상에 또한 래칭 링(50)을 제공함으로써, 헤드 커버(102)가 또한 실린더 튜브(106)에 대해서 부착가능하고 그리고 탈착가능한 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커버(102) 및 로드 커버(104)는 미리결정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에 비하여, 중량의 상당한 감소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0 및 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되고, 이러한 특징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는,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가 헤드 커버(커버 부재)(158)의 단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0)와 상이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150)에서, 실린더 튜브(152)의 일단은 플레이트-형상 헤드 커버(158)에 의해서 폐쇄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연통 홀(160)이 이의 중앙에 형성되고, 이와 함께, 제1 연통 홀(160)과 연통되는 제1 포트 부재(154)가 제공된다.
제1 포트 부재(154)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이의 일단이 헤드 커버(158)의 단부 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피팅(44)(2점 쇄선 형상)은 제1 유체 부재(154)에 연결되고, 이 포트로 또는 이 포트로부터 배관을 통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배출되고, 그리고 제1 포트 부재(154)는 제1 연통 홀(160)을 통해서 실린더 챔버(22)와 연통된다.
또한, 디스크-형상 헤드 커버(158)의 외측 가장자리의 인접부에는, 제2 포트 부재(156)가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이의 일단이 헤드 커버(158)의 단부 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는 헤드 커버(158) 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5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화살표(B)의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2 포트 부재(156)는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넘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158)에 고정되는 단부의 근처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관통되는 관통 홀(162)이 형성된다(도 8 및 도 10 참조). 관통 홀(162)은,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되는 제2 포트 부재(156)의 포트 홀(164)과 직경방향 내측 상에서 연통된다.
또한, 최대로 직경방향 외측 상에 위치되는 제2 포트 부재(156)의 외측 원주방향 위치에서, 통로 부재(166)가 관통 홀(162)에 대해 덮도록 장착된다.
통로 부재(166)는 플레이트 부재를 프레스 몰딩함으로써 단면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미리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또한, 통로 부재(166)의 일단은 통로 홀(162)에 대해 대향하도록 제2 포트 부재(156)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덮는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함께, 통로 부재(166)의 타단부는, 로드 커버(16) 측 상에(화살표(A)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바디(24b)의 위치에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통로 부재(166)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위치는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해 접촉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된다. 또한,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과 통로 부재(166)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은, 압력 유체가 통해서 유동하는 유동 경로(168)을 구성한다. 유동 경로(168)의 일단은 제2 포트 부재(156)의 관통 홀(162)과 연통되는 한편, 타단은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제2 연통 홀(170)을 통해서 실린더 챔버(22)와 연통된다.
또한, 유동 경로(168)에서, 기밀성은 실린더 튜브(152)와 통로 부재(166)를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용접함으로써 유지되어, 압력 유체는 외부에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로 부재(166)는, 유체압 실린더(150) 상의 외부 직경의 관점에서 최대인 원통형 바디(24b)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넘어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를 헤드 커버(158) 상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제공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사이즈의 증가가 회피되며, 유체압 실린더(150)의 최대 외측 직경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통로 부재(166)는 실린더 튜브(152), 제2 포트 부재(156) 및 원통형 부재(24b)에 대해서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예를 들어 본딩, 융접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피스톤(18)이 헤드 커버(158)의 측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맨 앞으로 이동되는 도 8에 도시되는 상태가 초기 상태로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미도시된 압력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압력 유체가 배관 및 피팅(44)을 통해서 제1 유체 포트 부재(154)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제2 포트 부재(156)는 미도시된 절환 밸브의 절환 작용 하에 미리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압력 유체는 제1 연통 홀(160)을 통과하고, 그리고 제1 포트 부재(154)로부터 실린더 챔버(22)에 공급되고, 이때 로드 커버(16) 측을 향한(화살표(A)의 방향으로) 압력 유체에 의해서 피스톤(18)이 가압된다. 또한, 피스톤(18)의 변위 작동 하에, 피스톤 로드(20)는 피스톤(18)과 함께 변위되고, 그리고 변위 종단 위치는 제2 댐퍼(134)에 대해서 피스톤(18)이 접촉됨으로써 도달된다.
다음으로, 피스톤(18)이 반대 방향으로(화살표(B)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압력 유체는 제2 포트 부재(156)에 공급되고, 이와 함께 제1 포트 부재(154)는 미-도시된 절환 밸브의 절환 작용 하에 대기에 개방된다.
또한, 압력 유체는 관통 홀(162)을 통과하고 그리고 제2 포트 부재(156)의 포트 홀(164)로부터, 통로 부재(166)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 경로(168) 안으로 유동되고, 그리고 다음으로, 로드 커버(16) 측으로(화살표(A)의 방향으로) 유동 경로(168)를 따라서 유동된 후에, 압력 유체가 제2 연통 홀(170)을 통과하고, 그리고 실린더 챔버(22)의 내부에 공급된다. 피스톤(18)은 실린더 챔버(22) 안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서 헤드 커버(158)의 측을 향해서(화살표(B)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18)의 변위 작동 하에서, 피스톤 로드(20)는 피스톤(18)과 함께 변위되고, 그리고 초기 위치는 피스톤(18)이 헤드 커버(158)에 대해서 접촉됨으로써 복원된다(도 8 참조).
상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에 의하면,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는 실린더 튜브(152)의 일단에 제공되는 헤드 커버(158) 상에 배치되며, 이와 함께,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화살표(B)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이유 때문에,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는, 최대 외측 직경을 갖는 원통형 바디(24b)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동시에,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에 연결되는 배관 및 피팅(44)은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배열되는 레이아웃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유체압 실린더(150)의 직경방향 치수는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이와 함께, 축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에 배관이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체압 실린더(150)를 위한 장착 환경에서, 비록 유체압 실린더(150)의 직경방향 외측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의 마진이 없다고 하더라도, 유체압 실린더(150)가 용이하게 배열되고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포트 부재(154, 156)는,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50)에서와 같이, 헤드 커버(158)에 대해서 고정되는 분리된 바디인 점에 대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헤드 커버(158)는 축선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어떤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1 및 제2 포트 부재(포트 홀은)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안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200)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5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되고, 이러한 특징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200)는,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를 갖는 포트 부재(208)가 헤드 커버(202)에 대해서 배치되고, 그리고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가 유체압 실린더(200)의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방향으로 각각 개방되는 점에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와 다르다.
포트 부재(208)는, 예를 들어, 단면이 직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록 바디이고, 그리고 이 블록 바디의 일단이 헤드 커버(202)의 중앙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타단이 헤드 커버(202)의 외측 원주방향 측 상에 배열되도록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또한, 블록 바디의 편평한 어태치먼트 표면(210)이 헤드 커버(202)의 단부 표면에 대해서 접촉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포트 부재(208)는 어태치먼트 표면(2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한 쌍의 편평한 표면(212a, 212b)(도 13 참조)을 포함하며, 세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가 편평한 표면 중 어느 하나(212a)에서 개방된다. 제1 유체 포트(204)는 포트 부재(208)의 일단 측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202)의 제1 연통 홀(160)과 연통되는 제1 연통 통로(214)에 연결된다. 제1 연통 통로(214)는 포트 부재(208)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화살표(A)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제1 연통 홀(160)과 동일한 축선 상에(즉 동축으로) 형성된다.
제2 유체 포트(206)는 제1 유체 포트(204)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에서 포트 부재(208)의 타단 측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통 통로(216)과 연통된다.
또한, 포트 부재(208)의 타단 부분은 단면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단면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로 부재(166)가 타단 부분을 덮도록 위에 장착된다. 이 방식에서, 제2 연통 통로(216)의 단부는 통로 부재(166)에 의해서 덮히고, 그리고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 및 통로 부재(166)에 의해서 둘러싸인 유동 경로(168)와 연통된다.
피팅(44)(2점 쇄선 형상)은 포트 부재(208)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옆 방향으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에 연결되고, 그리고 압력 유체는 배관을 통해서 유체 포트에 공급되고, 이로부터 배출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는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헤드 커버(202)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200)의 동작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50)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200)에 의하면,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되는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및 206)를 갖는 포트 부재(208)는, 실린더 튜브(152)의 일단에 제공되는 헤드 커버(202)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는 실린더 튜브(152)의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포트 부재(208)의 편평한 표면(212a) 상에서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유체압 실린더(200)의 직경 방향으로,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에 연결되는 피팅(44)은 헤드 커버(202)의 중앙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피팅(44)이 유체압 실린더(200) 상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이 억제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150)와 비교하여, 피팅(44) 및 배관이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양이 또한 억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체압 실린더(200)는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내측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 유체 포트(204, 206)가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체압 실린더(200)를 위한 장착 환경에서, 비록 유체압 실린더(200)의 축선 방향 측 및 외측 원주방향 측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의 마진이 없다고 하더라도, 유체압 실린더(200)가 용이하게 배열되고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포트 부재(208)는,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200)에서와 같이, 헤드 커버(202)에 대해서 고정되는 분리된 바디인 점에 대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헤드 커버(202)는 축선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어떤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1 및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포트 섹션이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부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유체압 실린더(10, 100, 150, 200)가,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른 부재(E1, E2)에 대해서 부착되는 경우가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유체압 실린더(220)는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10)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의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220) 상에서, 피스톤 로드(20)가 삽입되는 관통 홀(222)을 갖는 어태치먼트(어태치먼트 부재)(224)가 로드 커버(16)의 단부에 장착된다.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4)는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단면이 직각사각형 형상을 갖는 블록 바디로 구성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 중앙에, 관통 홀(222)이 로드 커버(16)에 대해 접촉되는 일단 표면으로부터 타단 표면까지 관통된다. 로드 커버(1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0)는 관통 홀(222)을 통해서 삽입된다. 또한, 어태치먼트(224)에서, 체결 볼트(226)가 삽입되는 4개의 삽입 홀(228)이 관통 홀(222)을 중심으로 코너 측에 형성된다. 삽입 홀(228)은 타단 표면 측에(화살표(A)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 섹션(232)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 섹션 안에 체결 볼트(226)의 헤드 부분(230)이 수용된다.
또한, 어태치먼트(224)가 로드 커버(16)에 대해서 접촉되며 피스톤 로드(20)가 관통 홀(222)을 통해서 삽입되는 상태에서, 삽입 홀(228)은 로드 커버(16)의 제2 어태치먼트 홀(72)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삽입 홀(228)을 통해서 삽입되는 체결 볼트(226)의 각각의 제2 어태치먼트 홀(72)에 대한 나사-결합에 의해서, 어태치먼트(224)는 유체압 실린더(220)의 단부에 고정된다(도 14 참조).
다른 한편으로, 어태치먼트(224)에서, 일단 표면 및 타단 표면에 수직인 측 표면 상에, 한 쌍의 제1 볼트 홀(234)이 형성된다.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볼트 홀(234)은 폭방향(화살표(C)의 방향)을 따라서 미리결정된 거리로 상호 분리되게 형성되어, 삽입 홀(228)보다 더 외측 상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직선으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또한 높이 방향(화살표(D)의 방향)을 따라서 관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4)는 유체압 실린더(220) 상에 장착된 상태로, 제1 볼트 홀(234)은 제1 및 제2 유체 포트(38, 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볼트 홀(234)이 개방되는 일 측 표면에 수직인 어태치먼트(224)의 다른 표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볼트 홀(236)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볼트 홀(236)은 삽입 홀(228)보다 더 외측 상에 어태치먼트(224)의 높이 방향(화살표(D)의 방향)으로 상호 미리결정된 거리 만큼 분리되고, 그리고 각각 제1 볼트 홀(234)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홀(228)이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 어태치먼트(224)에서, 관통 홀(222) 및 삽입 홀(228)이 제1 및 제2 볼트 홀(234, 236)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형성된다.
제2 볼트 홀(236)에 있어서, 각각은, 타단 측 표면들에 개방되는 일단들로부터 제1 볼트 홀(234)과 교차되는 영역까지 폭 방향(화살표(C)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부분(238a, 238b), 및 교차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중앙 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나사선 부분(240a, 240b)이 쌍으로써 형성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4)가 로드 커버(16)에 대해서 장착되는 유체압 실린더(220)가 이의 하측 표면 측에 제공되는 다른 부재(E1)에, 어태치먼트(224)의 하측 표면이 다른 부재(E1)에 접촉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에, 위로부터 고정 볼트(242)가 제1 볼트 홀(234) 안으로 그리고 이를 통해서 삽입되고, 그리고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의 체결 부분(244)이 다른 부재(E1)의 나사 홀(246) 안으로 나사-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고정 볼트(242)에 의해서, 어태치먼트(224)는 다른 부재(E1)의 상측 표면에 고정되며, 어태치먼트(224)가 장착되는 유체압 실린더(220)가 다른 부재(E1)의 상측 표면 측에 고정되는 것이 수반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220)의 사용의 환경 및 응용에 대응하여, 유체압 실린더(220)가 다른 부재(E2)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제2 볼트 홀(236)이 개방되는 어태치먼트(224)의 다른 측 표면이 다른 부재(E2)에 대해 접촉되게 놓이는 상태에서,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부재(E2)의 관통 홀(248)을 통해서 삽입된 고정 볼트(242)의 체결 부분(244)이 제2 볼트 홀(236)의 삽입 부분(238a)을 통과하고 그리고 나사선 부분(240a)과 나사-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고정 볼트(242)를 통해서, 유체압 실린더(220)는 다른 부재(E2)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유체압 실린더(220)는 이의 다른 측 표면 상에서 다른 부재(E2)에 고정된다.
상술된 방식에서, 어태치먼트(224)는 제2 어태치먼트 홀(72)을 사용하여 유체압 실린더(220)의 로드 커버(16)에 대해서 장착된다. 또한, 로드 커버(16)의 축선 방향(화살표(A 및 B)의 방향)에 수직한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볼트 홀(234, 236)이 어태치먼트(224)에 제공되고, 고정 볼트(242)가 제1 및 제2 볼트 홀(234, 236)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어태치먼트(224)가 접촉되는 다른 부재(E1, E2)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직경방향 및 축선 방향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유체압 실린더(220)는, 예를 들어 이의 사용 환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상이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224)는 고정 볼트(226)를 통해서 탈착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어태치먼트(224)는 상이하게 형상지워진 볼트 홀을 갖는 다른 어태치먼트와 교환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224)가 로드 커버(16)에 제공되는 제2 어태치먼트 홀(72)을 사용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220)에 대해 어태치먼트(224)를 장착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프로세스 단계 또는 다른 부재에 대한 필요성이 없다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4)는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실린더 튜브(12)의 단부에 제공되는 실린더 바디(24b)의 외측 직경과 동일한 폭방향 치수를 갖기 때문에, 어태치먼트(224)가 다른 부재(E1, E2)에 고정될 때, 실린더 튜브(12)는 다른 부재(E1, E2)와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어태치먼트(224)는 상술된 바와 같이 로드 커버(16)에 대해서 장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어태치먼트 홀(52)을 사용하여, 어태치먼트(224)가 헤드 커버(14)의 일단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추가적인 볼트 홀을 제공함으로써, 어태치먼트(224)는 더 많은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압 실린더는 상술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형태에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단면이 원형인 내부에 실린더 챔버(22)를 포함하는 원통형 실린더 튜브(12, 106, 152), 단면이 상기 실린더 챔버(22)에 대응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14, 16, 102, 104, 158, 202), 및 상기 실린더 챔버(22)를 따라서 변위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18)을 포함하는 유체압 실린더(10, 100, 150, 200)에 있어서,
    압력 유체가 공급되고 그리고 배출되는 한 쌍의 포트(38, 60, 110, 140, 164, 204, 206)가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보다 더 직경방향으로 내측에 제공되고;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상기 커버 부재(14, 16, 102, 104, 158, 202)를 래치(latch)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부재가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결합되고 그리고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링(50)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4, 16, 102, 104, 158, 202)는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한 상기 링의 부착 및 탈착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에 대해서 부착가능하고 그리고 탈착가능한, 유체압 실린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38, 60, 110, 140, 164, 204, 206)는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의 축선 방향으로 또는 외측 원주방향 측 상에 개방되는, 유체압 실린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50)은,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 튜브(12, 106, 152)보다 직경이 더 큰 원통형 바디와 결합되는 , 유체압 실린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38, 60)는 상기 실린더 튜브(12)의 상기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커버 부재(14, 16)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4, 16) 상에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리세스(36, 58) 안으로 개방되는, 유체압 실린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110, 140)는, 상기 실린더 튜브(106)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대해서 고정되는 포트 부재(108, 138)에 배치되는, 유체압 실린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164)는, 상기 커버 부재 중 하나의 커버 부재(158)의 단부 표면에 대해서 고정되는 포트 부재(154, 156)에 배치되는, 유체압 실린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102, 104, 158, 202)는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는, 유체압 실린더.
  8. 청구항 6에 있어서, 통로 부재(166)는 상기 실린더 튜브(152)의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통로 부재(166)는 상기 실린더 튜브(152)의 다른 단부 측 상에 배치되는 실린더 챔버(22) 및 상기 포트 부재 중 하나의 포트 부재(156, 208)와 연통되는, 유체압 실린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로 부재(166)는 단면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 튜브(152)의 상기 외측 원주방향 표면과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내부에 유동 경로를 구성하는, 유체압 실린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적인 회전 변위를 제한하는 회전 방지 부재(30)가 상기 커버 부재(14, 16)와 상기 실린더 튜브(12)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압 실린더.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30)는, 상기 실린더 튜브(12, 24a, 24b)와 상기 커버 부재(14, 16)를 상기 실린더 튜브(12, 24a, 24b)와 상기 커버 부재(14, 16)의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핀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압 실린더.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트(204, 206)는 상기 포트 부재(208)에 대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152)의 상기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02)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체압 실린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트 부재(208)는 상기 커버 부재(202)의 중앙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유체압 실린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부재(224)는 상기 커버 부재(16) 상에 장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부재(224)는 상기 피스톤(18)의 변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 볼트(22)가 삽입되는 볼트 홀(234, 236)을 포함하는, 유체압 실린더.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볼트 홀(234, 236)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게끔 형성되는, 유체압 실린더.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부재(224)는 상기 커버 부재(16)의 일단에 형성되는 어태지먼트 홀(72)에 대해서 고정되는, 유체압 실린더.
KR1020177033353A 2015-04-17 2016-04-11 유체압 실린더 KR10204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4721 2015-04-17
JP2015084721 2015-04-17
JP2015138673 2015-07-10
JPJP-P-2015-138673 2015-07-10
JPJP-P-2016-052553 2016-03-16
JP2016052553A JP6524471B2 (ja) 2015-04-17 2016-03-16 流体圧シリンダ
PCT/JP2016/001975 WO2016166964A1 (en) 2015-04-17 2016-04-11 Fluid pressure c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914A true KR20170137914A (ko) 2017-12-13
KR102045344B1 KR102045344B1 (ko) 2019-11-15

Family

ID=578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53A KR102045344B1 (ko) 2015-04-17 2016-04-11 유체압 실린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47998B2 (ko)
JP (1) JP6524471B2 (ko)
KR (1) KR102045344B1 (ko)
CN (1) CN107532623B (ko)
BR (1) BR112017022113A2 (ko)
DE (1) DE112016001787T5 (ko)
RU (1) RU2687333C9 (ko)
TW (1) TWI6217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14B1 (ko) * 2021-01-27 2021-04-08 윤종수 록킹기능을 갖는 유압실린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3844B2 (ja) * 2018-09-12 2021-07-14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RU193090U1 (ru) * 2019-06-04 2019-10-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моцци Пневматика"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привод поворотного контактора локомотива
RU199117U1 (ru) * 2020-04-03 2020-08-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раль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вагоностроения" Цилиндр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двухстороннего действи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1786A (en) * 1964-10-14 1969-01-14 Pier Luigi Panigati Removable fastening device
JPH09133109A (ja) * 1995-11-08 1997-05-20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
JPH10318213A (ja) * 1997-05-19 1998-12-02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
KR20000062647A (ko) * 1999-03-05 2000-10-25 다까다 요시유끼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KR20100094186A (ko) * 2009-02-18 2010-08-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피스톤 너트의 풀림 방지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8787A (en) * 1946-01-18 1950-08-15 Vickers Inc Cylinder construction
US2673130A (en) * 1950-04-01 1954-03-23 Logansport Machine Company Inc Cylinder head and tube assembly
US2761425A (en) * 1952-06-17 1956-09-04 Gen Motors Corp Reciprocatory fluid actuated device
US4312264A (en) * 1978-06-09 1982-01-26 Galland Henning Nopak Inc. Fluid pressure operated cylinder assembly
US4263841A (en) * 1979-02-05 1981-04-28 Bimba Charles W Fluid power motor with guard cylinder
JPH0741924Y2 (ja) * 1987-06-05 1995-09-2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シリンダ
DE9104747U1 (ko) 1991-04-18 1992-08-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US5680808A (en) * 1996-05-09 1997-10-28 Ingersoll-Rand Company Fluid cylinder and method of assembly
JPH11311210A (ja) 1998-04-24 1999-11-09 Ckd Corp ロッド付アクチュエータ及び外部スクレーパ
DE19826488A1 (de) 1998-06-13 1999-12-23 Dautel Gmbh Kolben-Zylinder-Aggregat
DE19843253C2 (de) 1998-09-10 2002-07-25 Rexroth Mecman Gmbh Druckmittelzylinder mit einem Zylinderrohr
JP3773163B2 (ja) * 1999-06-01 2006-05-10 株式会社東和製作所 シリンダ装置
JP4737453B2 (ja) * 2006-12-06 2011-08-03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RU2347955C1 (ru) * 2007-04-23 2009-0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раль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сборки гидроцилиндра с соединением на полукольцах
DE102007048907A1 (de) 2007-10-11 2009-04-16 Alpha Fluid Hydrauliksysteme Müller GmbH Zylinderbaugruppe
RU2422685C1 (ru) * 2009-12-15 2011-06-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игнал" (ОАО "ВНИИ "Сигнал") Гидроцилиндр
JP5867867B2 (ja) * 2012-12-28 2016-02-24 Eco−A株式会社 シリンダのポート部接続構造
WO2014124519A1 (en) 2013-02-13 2014-08-21 Messier-Dowty Inc. Modular actuator with snubb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1786A (en) * 1964-10-14 1969-01-14 Pier Luigi Panigati Removable fastening device
JPH09133109A (ja) * 1995-11-08 1997-05-20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
JPH10318213A (ja) * 1997-05-19 1998-12-02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
KR20000062647A (ko) * 1999-03-05 2000-10-25 다까다 요시유끼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KR20100094186A (ko) * 2009-02-18 2010-08-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피스톤 너트의 풀림 방지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14B1 (ko) * 2021-01-27 2021-04-08 윤종수 록킹기능을 갖는 유압실린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0483A1 (en) 2018-03-22
TWI621782B (zh) 2018-04-21
RU2017134886A (ru) 2019-04-05
BR112017022113A2 (pt) 2018-07-03
JP2017015245A (ja) 2017-01-19
CN107532623A (zh) 2018-01-02
RU2687333C9 (ru) 2019-12-02
JP6524471B2 (ja) 2019-06-05
RU2687333C2 (ru) 2019-05-13
US10947998B2 (en) 2021-03-16
CN107532623B (zh) 2023-12-29
TW201702490A (zh) 2017-01-16
KR102045344B1 (ko) 2019-11-15
RU2017134886A3 (ko) 2019-04-05
DE112016001787T5 (de)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074B1 (ko) 유체압 실린더
KR20170137914A (ko) 유체압 실린더
US10670053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US9557206B2 (en) Adjustable fluid level verification apparatus
KR20150139613A (ko) 유체압 실린더
TWI547658B (zh) 用於直線運動裝置之損耗環
US10605275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US10677270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WO2016166964A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1846215B1 (ko) 유체압 실린더
US10662981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TWI605200B (zh) 流體壓力缸
KR102047995B1 (ko) 홀 마스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