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752A -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752A
KR20170137752A KR1020177029409A KR20177029409A KR20170137752A KR 20170137752 A KR20170137752 A KR 20170137752A KR 1020177029409 A KR1020177029409 A KR 1020177029409A KR 20177029409 A KR20177029409 A KR 20177029409A KR 20170137752 A KR20170137752 A KR 20170137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creen
determining
ophthalmic len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803B1 (ko
Inventor
마리에 자루쎄
셀린느 브노와
데미앙 빠이으
브루노 데크레통
에바 라주카니클라우드
클레르-엘린느 브레스
Original Assignee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filed Critical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ublication of KR2017013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5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parameters of the viewed objec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눈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 장애를 교정하기에 적합한 안과용 렌즈의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 상기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자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상기 시력 구역과 연관된 디옵터 굴절력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에 대한 착용자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해 필터링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도록, 디옵터 굴절력 값, 착용자의 자세의 특성 및 필터링 수단의 특성에 기초하여 시력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1}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각적 편안함(vision comfort)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안경의 준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특별하게는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의 결정 방법에 적용된다.
안경 착용자는 광학 굴절력(optical power) 교정을 처방받을 수 있다.
노안 착용자의 경우, 굴절력 교정 값은 근거리 시력(near-vision)의 조절의 어려움 때문에 원거리 시력(far-vision)과 근거리 시력에 대해 상이하다. 따라서, 노안 착용자에게 적합한 안과용 렌즈는 다초점 렌즈이며, 누진 다초점 렌즈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착용자의 경우, 굴절력 교정 값은 일반적으로 렌즈의 전체 표면에서 동일하다.
요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TV와 같은 디지털 장치가 점점 더 필수적이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장치의 사용은 이와 같은 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된 것을 읽을 때의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있다.
스크린의 사용에 대한 문헌 데이터는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에서 큰 가변성을 보여준다(Jaschinski 2002 "The proximity-Fixation-Disparity curve and the preferred viewing distance at a visual display as an indicator of near vision fatigue".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79, No. 3, pp 158-169). 이 논문에서, 저자는 자유롭게 자신의 스크린을 가급적 편안하게 배치한 40명의 개인에 대해 스크린에 대한 거리를 측정했다. 그 결과, 착용자의 눈과 스크린 사이에서 측정된 거리가 스크린의 크기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크린 사용시에, 주로 새로운 디지털 스크린에 대한 개인 가변성에 적합화된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텍스트를 읽거나 새로운 디지털 스크린으로 작업할 때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을 주시할 때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하고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시력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으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자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상기 시력 구역과 연관된 디옵터 굴절력 값(dioptric power value)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에 대한 착용자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해 필터링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 및 상기 착용자의 자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시력 구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이 문서를 읽기 위한 광학적 요구와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을 읽기 위한 광학적 요구는 동일하지 않다.
실제로, 읽기 작업은 하기와 같은 시선 방향의 평균 하향 각도 및 평균 거리로 수행된다:
- 종이 문서에 대해서는 18° - 40 cm 초과;
- 태블릿 스크린에 대해서는 20° - 39 cm;
- 스마트폰 스크린에 대해서는 25° - 33 cm.
또한, 디지털 장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조도 및 스펙트럼은 통상의 자연 또는 인공 조명과 상이하다.
실제로, 작은 스크린에 표시되는 픽셀화된 문자를 읽기 위해, 매우 짧은 거리에서 보기 위해, 그리고 소정 거리로부터 다른 거리에 신속하게 초점을 맞추기 위해, 눈은 보다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더욱이, 스크린이 눈과 짧은 거리에 유지되는 경우, 눈은 보다 많은 스크린 눈부심을 견뎌야 하고 보다 해로운 청색-보라색 광에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불편함 및/또는 눈 피로("시각적 피로")를 증대시키고 망막을 약화시킬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는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을 읽는데 전용인,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시력 구역("초근거리 시력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것이다. 다초점 렌즈에서, 이와 같은 초근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의 코측 에지를 향한 측방향 시프트를 갖고서, 근거리 시력 구역 아래나, 이와 같은 근거리 시력 구역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 디옵터 굴절력("추가 굴절력(extra power)") 및 특정 필터링 수단("필터")을 갖는 시력 구역("초근거리 시력 구역")을 제공함으로써,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향상된다.
보다 특별하게는, 시각적 편안함은 하기의 점 때문에 증대된다:
- 시력 구역과 연관된 추가 굴절력은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을 읽을 때 시각적 피로를 감소시킨다는 점,
- 추가 굴절력은 작은 문자의 가독성(readability)을 촉진하는 확대 작용을 갖는다는 점,
- 필터링 수단은 착용자가 스크린으로부터 너무 많은 광을 수용하는 것을 회피시켜서, 블러(blur) 및 눈부심을 회피하고 망막을 해로운 광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점, 및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자세가 보다 편안해진다는 점.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안과용 렌즈를 착용한 착용자가 디지털 장치를 사용할 때 두통, 눈 피로, 목 및 어깨 통증을 덜 겪는다는 것을 관찰했다.
하기에서는, 텍스트 또는 스크린을 "읽는"이라는 용어는 눈이 디지털 스크린에 초점이 맞춰진 것을 수반하는 읽기, 이미지 보기, 기록하기/문자 보내기와 같은 몇 개의 활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노안 착용자가 작은 문자를 읽으려고 시도하기 위해 문서를 눈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인 종이 문서에 대한 습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추가 굴절력의 확대 작용 때문에, 착용자는 스크린을 눈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작은 문자를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스크린을 읽기에 적합한 안과용 렌즈의 구역의 위치는 착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상이한 스크린(텔레비전 모니터,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랩톱 스크린(laptop screen), 패블릿 스크린(phablet screen), 태블릿 스크린, 스마트폰 스크린, 시계 스크린)에 따라서 상이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비노안(non presbyopic), 노안전(pre-presbyopia), 노안 진행중 및 노안으로부터 선택된 착용자의 노안의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굴절력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노안의 정도의 함수로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노안의 정도는, 「"Minus lens stimulated accommodative amplitude decreases sigmoidally with age: a study of objectively measured accommodative amplitude from age 3".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 49, N°7,pp2919-2926)」 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객관적인 조절력 검사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 상기 방법은 착용자가 느끼는 눈 피로의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굴절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눈 피로의 정도의 함수로서 동작되고;
- 상기 방법은 착용자의 나이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굴절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이의 함수로서 동작되고;
-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린의 사용 빈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굴절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빈도의 함수로서 동작되고;
- 스크린은 다양한 유형: 텔레비전 모니터,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랩톱 스크린, 패블릿 스크린, 태블릿 스크린, 스마트폰 스크린 및/또는 시계 스크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추가 굴절력은 상기 안과용 렌즈 상에 있어서 선택된 유형의 함수로서 결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 상기 자세의 특성은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 몸통 각도(trunk angle), 머리 각도, 몸통 내 머리 각도(head in trunk angle), 및 하향 시선 각도로부터 선택되고;
- 추가 굴절력은 안과용 렌즈의 하부 부분, 바람직하게는 21°보다 큰 하향 시선 각도에 대응하는 구역에 위치되고;
- 추가 굴절력은 자세의 특성의 함수로서 결정된 구역에 위치되고;
- 상기 추가 굴절력은 0.125 내지 1 디옵터인 값을 갖고;
- 상기 필터는 안과용 렌즈를 통한, 10 nm보다 큰 폭을 갖는 파장 범위의 가시광의 투과를 적어도 5%만큼 감소시키고;
- 상기 자세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 굴절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주시할 때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안과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 상기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디옵터 굴절력 값,
- 상기 스크린에 대한 착용자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의 특성
에 기반한, 필터링 수단을 구비한 시력 구역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시력 구역이 초근거리 시력 구역이고, 상기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상기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는,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초근거리 시력 구역은 상기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자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고;
- 초근거리 시력 구역은 상기 스크린을 주시하는 착용자의 21°보다 큰 하향 시선 각도(β)에 대응하고;
-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초근거리 시력 구역은 안정화된 시력 구역(stabilized vision zone)이고;
- 안과용 렌즈는 초근거리 시력 구역과 상이하고, 원거리 시력 구역, 중간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포함하고;
- 초근거리 시력 구역은 0.125보다 큰 디옵터 굴절력 값을 갖고;
- 안과용 렌즈는 메인 전면 및 메인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메인 전면 및/또는 상기 메인 후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 상기 필터는 10 nm보다 큰 폭을 갖고, 420 nm 내지 450 nm, 또는 460 nm 내지 490 nm, 또는 485 nm 내지 515 nm, 또는 560 nm 내지 620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장 범위에 걸쳐서 가시광의 투과를 적어도 5%만큼 억제하고;
- 상기 필터는 420 nm 내지 450 nm, 또는 460 nm 내지 490 nm, 또는 485 nm 내지 515 nm, 또는 560 nm 내지 600 nm, 또는 580 nm 내지 620 nm인 파장 범위에 걸쳐서 적어도 5%의 평균 반사율을 갖고;
- 안과용 렌즈는 상기 메인 전면 및/또는 상기 메인 후면의 상기 일부 상에 1%보다 작은 평균 광 반사율을 나타내고;
- 상기 필터는 흡수 필터, 반사 필터 및 간섭 필터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의 착용자에게 상기 안과용 렌즈의 등급(rating)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 착용자가 스크린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추가 굴절력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에 대한 착용자의 노출을 조정하는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추가 굴절력 및 상기 필터의 함수로서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착용자에게 상기 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한다.
- 도 1은 종이 문서를 읽는 착용자의 개략도이고;
- 도 2는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상의 문서를 읽는 착용자의 개략도이고;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 도 4는 도 3의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 도 5는 렌즈의 수직축을 따른 "단초점" 렌즈의 광학 구면 굴절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은 렌즈의 수직축을 따른 다초점 렌즈의 광학 구면 굴절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나머지 설명에 있어서,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상단(up)", "하단(bottom)", "수평", "수직", "위(above)", "아래(below)" 또는 다른 단어와 같은 용어가 사용 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렌즈의 착용 상태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렌즈의 "하부" 부분은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코의 상단을 향하고 있을 때(시선 방향 각도 β>0° 의 경우) 착용자가 바라보는 렌즈의 구역에 대응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하기의 정의가 제공된다.
프랑크포트 평면(Frankfort plane)은 귀의 이주점(tragion)에 대응하는 이도(acoustic meatus)의 두개골에서의 최상점인 착용자의 부분 및 눈확(orbit) 하단점을 포함하는 평면인 것으로 정의된다.
착용자가 종이 문서(도 1) 또는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도 2)을 바라보는 경우, 착용자의 자세는 하기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
- 몸통 각도(trunk angle),
- 머리 각도(α),
- 몸통 내 머리 각도(head in trunk angle), 및
- 하향 시선 각도(β).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는 착용자의 눈과 스크린(20)의 중심 사이의 거리이다.
몸통 각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수직축과 착용자 몸통의 평균축(mean axis) 사이의 각도이다.
머리 각도(α)는 수평면과 프랑크포트 평면 사이의 각도이다.
몸통 내 머리 각도는 몸통 각도와 머리 각도의 합이다.
하향 시선 각도(β)는 착용자 눈의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프랑크포트 평면 사이의 각도이다.
여기서는, 착용자(100)의 머리의 롤 각도(roll angle)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한다.
처방 데이터가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처방 데이터는, 착용자에게서 얻어지고, 처방된 원거리 시력 평균 굴절력, 및/또는 각 눈의 비정시(ametropia) 및/또는 노안(presbyopia)을 교정하기에 적합한 처방된 난시 값 및/또는 처방된 난시 축 및/또는 처방된 가입도수(addition)를 각 눈에 대해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지칭한다. 또한, 처방 데이터는, 착용자에게서 얻어지고, 처방된 근거리 시력 평균 굴절력, 및/또는 각 눈의 비정시 및/또는 노안을 교정하기에 적합한 처방된 난시 값 및/또는 처방된 난시 축 및/또는 처방된 누감도수(degression)를 각 눈에 대해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과용 렌즈는 비교정(무도수(piano)로도 불림) 또는 교정 렌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교정 렌즈는 누진 및 누감(degressive) 렌즈; 단초점, 이중 초점,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다초점 렌즈일 수 있다. 렌즈는 안경테에 끼워져서 눈을 보호하고 및/또는 시력을 교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10)는 메인 전면(14), 메인 후면(15) 및 에지(17)를 갖는 코어(16)(도 4 참조)를 포함한다.
렌즈의 코어(16)는 착용자의 처방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특성을 안과용 렌즈(10)에 부여하도록 성형된다.
안과용 렌즈(10)의 광학 교정 굴절력은 구면, 원주 및 프리즘 굴절력 특성에 의해 정의된다. 이와 같은 광학 정의는 렌즈의 전면 및 후면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굴절력의 대수합으로부터 나오는 입사 광선에 대한 렌즈의 굴절력의 전체 효과를 정의하는 순전히 면적의 관점에서의 정의보다 일반적인 범위를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단초점 렌즈는 통상적으로 렌즈의 전체 표면에서 일정한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및 프리즘 굴절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초점 렌즈는 렌즈의 특성점(예를 들면, 광학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십자표시(cross), 및 수평선이 메인 면들 중 하나 상에 마킹된다.
다초점 렌즈는 통상적으로 렌즈의 상부 부분(원거리 시력 구역)에서 일정한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및 프리즘 굴절력과, 렌즈의 하부 부분(특히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 변하는 구면 굴절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다초점 렌즈는 특히 하기와 같은 3개의 주요 광학 크기에 의해 규정된다:
- 원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FV)과 근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NV)(도 3 참조) 사이의 구면 굴절력의 변화량인 "구면 굴절력 가입도수(spherical power addition)";
-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FV)에서의 굴절력인 "공칭 굴절력"; 및
-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FV)에서의 원주 굴절력인 공칭 비점수차.
이와 같은 다초점 렌즈는 통상적으로 기준점(FV, NV)의 위치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시가 면들 중 하나 상에 마킹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는, 또한 (단초점 또는 다초점) 안과용 렌즈(10)가 디지털 스크린을 읽는 데 사용되는 하향 시선 각도에 대응하는 구역에서 안과용 렌즈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초근거리 시력 구역(ultra near vision zone)(11)"에 "추가 굴절력(extra power)(P1)"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한다.
기준점(FV) 주위에 위치된 렌즈의 원거리 시력 구역은 착용자가 1 m보다 긴 거리에 위치된 물체(예를 들면, TV 스크린 등)를 바라보는 구역이다.
기준점(NV) 주위에 위치된 렌즈의 근거리 시력 구역은 착용자가 40 cm 내지 1 m인 거리에 위치된 물체(예를 들면, 종이 문서, 랩톱의 스크린 등)를 바라보는 구역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에서 기준점(UNV) 아래에 제공된 초근거리 시력 구역(11)은 착용자가 40 cm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된 물체, 예를 들면 패블릿(phablet),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시계의 스크린을 바라보는 구역이다. 이와 같은 구역은 21°보다 큰 하향 시선 각도(β)에 대응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렌즈에 제공된 초근거리 시력 구역(11)은 착용자가 35 cm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된 물체,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구역이다.
이와 같은 초근거리 시력 구역에서, 추가 굴절력(P1)은,
- 단초점 렌즈의 경우에, 광학 중심과 초근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UNV) 사이, 또는
- 다초점 렌즈의 경우에, 근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NV)과 초근거리 시력 구역의 기준점(UNV) 사이
의 구면 굴절력의 변화량인 디옵터 굴절력 값(dioptric power value)으로 정의된다.
단초점 렌즈의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굴절력(P1)은 렌즈의 나머지 표면에서의 렌즈의 메인 구면 굴절력(P0)의 값에 더해진 구면 굴절력의 값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면 굴절력(P0)은 착용자가 광학적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영(zero)이다. 따라서, 단초점이라는 용어는 실제로는 적절하지 않으며, 본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도면상에서는, 메인 구면 굴절력(P0)이 렌즈의 상단으로부터 렌즈의 마킹된 십자표시 아래로 4 mm까지 일정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 후에, 구면 굴절력은 렌즈의 마킹된 십자표시 아래로 15 mm에 위치된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지점(기준점(UNV)임)에서, 렌즈의 구면 굴절력은 메인 구면 굴절력(P0)과 추가 굴절력(P1)의 합과 같다. 그 후에, 구면 굴절력은 렌즈의 하단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어, "초근거리 시력" 구역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초근거리 시력" 구역이 일정한 굴절력을 갖는 경우, 이와 같은 구역은 안정화된 시력 구역(stabilized vision zone)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는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포함한다.
다초점 렌즈의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굴절력(P1)은 기준점(NV)에서의 렌즈의 구면 굴절력의 값에 더해진 구면 굴절력의 값과 같다.
이와 같은 도면상에서는, 렌즈의 구면 굴절력이 렌즈의 상단으로부터 렌즈의 기준점(FV)(마킹된 십자표시)까지 일정하여, 제1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규정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 후에, 구면 굴절력은 기준점(FV) 아래로 12 mm에 위치된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지점(실제로는 기준점(NV) 근처임)에서, 렌즈의 구면 굴절력은 공칭 굴절력(P3)과 구면 굴절력 가입도수(P2)의 합과 같다. 구면 굴절력은 2 mm 높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2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규정하고, 그 후에 기준점(NV) 아래로 12 mm에 위치된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지점(기준점(UNV)임)에서, 렌즈의 구면 굴절력은 공칭 굴절력(P3)과 구면 굴절력 가입도수(P2)와 추가 굴절력(P1)의 합과 같다. 그 후에, 구면 굴절력은 렌즈의 하단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3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시력 구역, 중간거리 시력 구역, 근거리 시력 구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이와 같은 2개의 경우에, 추가 굴절력(P1)은 0.125 내지 1 디옵터인 값을 갖는다.
실제로, 본 발명은 스크린(20)을 주시할 때 착용자(100)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하고 필터링 수단(12)을 구비하는 시력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10)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스크린(20)을 주시하는 착용자(100)의 자세(α, β, D)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100)가 상기 스크린(20)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상기 시력 구역과 연관된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20)에 대한 착용자(100)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해 필터링 수단(12)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 상기 착용자의 자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 상기 필터링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시력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하기와 같이 동작된다.
제1 단계에서, 안경사는 하기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 예를 들어 하기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착용자의 노안의 정도: 비노안, 노안전, 노안 진행중 및 노안,
- 예를 들어 하기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착용자가 느끼는 눈 피로(eyestrain)의 정도: 낮음, 중간, 높음,
- 착용자의 나이, 및
- 예를 들어 하기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지털 장치의 사용 빈도: 텔레비전 모니터,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랩톱 스크린, 패블릿 스크린, 태블릿 스크린, 스마트폰 스크린 및/또는 시계 스크린.
여기서, 안경사는 착용자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이와 같은 모든 특성을 획득하고, 그 후에 컴퓨터에 이와 같은 특성을 입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착용자가 스스로 컴퓨터에 이와 같은 특성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2 단계에서, 안경사는 착용자의 처방전을 획득한다.
노안 착용자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안경사는 "구면 굴절력 가입도수", "공칭 굴절력" 및 공칭 비점수차를 획득한다.
안경사는 또한 (예를 들면,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 및 계산함으로써) 기준점(FV, NV)의 위치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개시되지 않을 것이다.
제3 단계에서, 안경사는, 카메라, 또는 사진을 찍기에 적합한 임의의 장치 덕분에, 디지털 장치(여기서는 스마트폰)의 스크린(20)을 바라보는 착용자의 측면 이미지를 획득한다. 획득된 이미지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그 후에, 안경사는 이와 같은 이미지에서 다양한 자세 특성을 측정하고 이와 같은 특성을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 머리 각도(α) 및 하향 시선 각도(β)를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다.
그 후에, 컴퓨터는 추가 굴절력(P1)의 값, 기준점(UNV)의 위치(추가 굴절력의 위치로도 불림) 및 착용자가 요구한 필터(12)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계산한다.
우선, 기준점(UNV)의 위치 결정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기준점(UNV)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기준점(UNV)의 위치는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 및 하향 시선 각도(β)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가 33cm보다 짧고, 하향 시선 각도(β)가 25°보다 큰 경우, 기준점(UNV)의 위치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위치 아래로 1 mm에 위치될 수 있다.
기준점(UNV)의 위치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의 종류 및 디지털 장치의 사용 빈도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스마트폰에 자주 기록하는 경우, 기준점(UNV)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위치 위로 1 mm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비노안 착용자에 대한 추가 굴절력(P1)의 값의 결정을 고려할 수 있다.
렌즈가 단초점인 이와 같은 경우에, 추가 굴절력(P1)은,
- 착용자의 나이가 20세 내지 34세이면, 0.4 디옵터와 같을 수 있고,
- 착용자의 나이가 35세 내지 44세이면, 0.6 디옵터와 같을 수 있고,
- 착용자의 나이가 45세 내지 50세이면, 0.85 디옵터와 같을 수 있다.
추가 굴절력(P1)의 값은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 및 하향 시선 각도(β)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가 33 cm보다 짧고, 하향 시선 각도(β)가 25°보다 큰 경우, 추가 굴절력(P1)의 값은 0.1 디옵터만큼 증가될 수 있다.
추가 굴절력(P1)의 값은 또한 착용자가 느끼는 눈 피로의 정도 및 디지털 장치의 사용 빈도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추가 굴절력(P1)의 값은 착용자가 중간의 눈 피로를 느끼는 경우에 0.05 디옵터만큼 증가할 수 있거나, 착용자가 높은 눈 피로를 느끼는 경우에 0.1 디옵터만큼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값은 또한 디지털 장치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에 0.1 디옵터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또한, 노안 착용자에 대한 추가 굴절력(P1)의 값의 결정을 고려할 수도 있다.
렌즈가 다초점인 이와 같은 경우에, 추가 굴절력(P1)은 0.125 내지 0.5 디옵터일 수 있고, 착용자가 요구한 시야의 함수로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 굴절력(P1)은,
- 착용자가 높은 배율 및 좁은 시야를 요구하면(디지털 스크린의 집중 사용), 0.5 디옵터와 같을 수 있고,
- 착용자가 양호한 시야를 가지면서 양호한 배율을 요구하면(상이한 거리에서의 디지털 스크린의 동시 사용), 0.25 디옵터와 같을 수 있고,
- 착용자가 넓은 시야를 유지하면서 소정 배율을 요구하면(TV를 바라보면서 단거리에서의 디지털 스크린의 사용), 0.125 디옵터와 같을 수 있다.
모든 노안 또는 비노안 착용자에 대해서, 기준점(UNV)의 위치는 추가 굴절력(P1)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 있다. 실제로, 추가 굴절력(P1)이 크면(예를 들면, 0.5 디옵터 이상이면), 기준점(UNV)은 초기에 결정된 위치 아래로 시프팅될 수 있다(예를 들면, 1 mm). 그렇지 않으면, 기준점(UNV)은 시프팅되지 않는다.
추가 굴절력(P1)의 값 및 기준점(UNV)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느끼는 눈 피로의 정도 및 디지털 장치의 사용 빈도의 함수로서 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10)는 또한 상기 메인 전면(14) 및/또는 상기 메인 후면(15)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필터(12, 13)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와 같은 필터(12, 13)는 렌즈(10)의 하나의 면(여기서는 메인 전면(14))의 전체 표면을 덮는다.
필터는 흡수 또는 반사에 기초하고 있다.
흡수 필터는 광의 부분 또는 전체 흡수에 의해 투과를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필터는 염료 및/또는 안료로 얻어진 컬러 필터, 광변색 필터(photochromic filter), 편광 필터를 포함한다. 이들 필터는 또한 전기변색 필터(electrochromic filter)와 같이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흡수 필터에 대한 재료의 선택은 광의 특정 흡수 스펙트럼을 규정한다. 염료 또는 안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안과용 렌즈 기재, 또는 프라이머(primer), 접착층, 침염층(imbibition layer) 또는 하드 코트(hard coat)와 같은 안과용 렌즈 기재에 부착된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반사 필터는 광의 부분 또는 전체 반사에 의해 투과를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필터는 저굴절률 재료의 층이 고굴절률 재료의 층과 교대로 있는 다층 필터를 포함한다. 이들 층은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다. 층의 수(4개 내지 수백 개, 각 층의 굴절률(미네랄 재료에서는 1.3 내지 2.5, 유기 재료에서는 1.4 내지 1.8) 및 각 층의 두께에 따라서, 반사 필터는 특정 반사 스펙트럼을 갖는다. 다층 필터는 흔히 간섭 필터로 명명된다.
반사 방지 필터(또는 "코팅")는 착용자의 편안함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렌즈로부터의 반사를 최소화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반사 방지 디자인의 주요 목적은 상이한 제한, 예컨대 제조 프로세스, 컬러 강인성(color robustness), 층의 수 등을 고려하면서 가급적 낮은 "반사율"에 이르는 것이다. 투명 기재상에 부착된 경우, 이와 같은 코팅의 기능은 광 반사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광 투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와 같이 코팅된 기재는 투과광/반사광의 비가 증가하여, 그 뒤에 배치된 물체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최대 반사 방지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재의 양쪽 면(전면 및 후면)에 이와 같은 유형의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사 방지 코팅은 통상적으로 안과 분야에 사용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반사 방지 코팅은, 전형적으로 380 nm 내지 780 nm의 스펙트럼 범위 내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 렌즈 표면에서의 반사를 감소시키도록 설계 및 최적화된다.
반사율이 파장의 함수이므로, 그리고 인간 눈이 다양한 파장에 대해 상이한 감도를 갖기 때문에, 반사 방지 디자인의 평균 광 반사(Rv)는 하기의 식으로 기술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λ)는 λ의 파장에서의 반사율이고, V(λ)는 표준 CIE 1931에 정의된 눈의 감도 함수 V(λ)이고, D65(λ)는 표준 CIE S005/E-1998에 정의된 주광(daylight illuminant)이다.
모든 필터는, 흡수에 의해 또는 반사에 의해, 특정 필터링 효과, 컬러 밸런싱(colour balancing), 대비 강화(contrast enhancement) 또는 눈부심 방지를 제공하는 흡수 또는 반사 스펙트럼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안과용 렌즈(10)의 코어 상에 사용되는 필터(12)의 종류의 선택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12)는 가시광 스펙트럼 내의 입사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장 범위의 렌즈를 통한 투과를 적어도 5%의 억제율로 선택적으로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선택적인 광학 필터링 수단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장 범위 외의 가시광 스펙트럼의 입사광의 적어도 8%를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12)의 억제율은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5%, 또는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65%, 또는 적어도 8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된 파장 범위는 10 nm 초과 및 15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nm 미만의 폭으로 좁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12)는 하기의 파장 범위의 적어도 하나에 걸쳐서 적어도 5%만큼 가시광의 투과를 억제한다:
- 청색-보라색 광을 억제하기 위해, 적어도 20 nm의 폭을 갖고, 435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된 제1 파장 범위,
- 적색/녹색 대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20 nm의 폭을 갖고, 475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된 제2 파장 범위,
- 적색/녹색 대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20 nm의 폭을 갖고, 580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된 제3 파장 범위,
- 청색/녹색 대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20 nm의 폭을 갖고, 500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된 제4 파장 범위, 및
-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20 nm의 폭을 갖고, 600 nm인 평균 파장에 센터링된 제5 파장 범위.
필터(12)에 의해 억제된 파장 범위는 착용자가 통상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의 종류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제1 파장 범위는 스마트폰을 흔히 사용하는 착용자에 대해 자동적으로 선택될 것이고, 제5 파장 범위는 어둠 속에서 스크린의 조명 강도를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수단을 갖지 않은 디지털 장치를 사용하는 착용자에 대해 선택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12)는 반사 필터이다. 특히, 필터(12)는 420 nm 내지 450 nm, 또는 460 nm 내지 490 nm, 또는 485 nm 내지 515 nm, 또는 560 nm 내지 600 nm, 또는 580 nm 내지 620 nm인 파장 범위에 걸쳐서 적어도 5%의 평균 반사율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필터(12)는 30°보다 작은 입사각에 대해 1%보다 작은 평균 광 반사율(Rv)을 나타낸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특히 디지털 장치의 스크린을 읽기 위한 렌즈의 성능을 착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등급(rating)(Ra)이 안과용 렌즈(10)에 제공된다.
등급(Ra)은 하기를 정량화하는 비율에 기초하고 있다:
- 이와 같은 스크린에 의해 방출된 청색-보라색 광에 대해 착용자의 안과용 렌즈(10)에 의해 제공된 보호, 및
- 추가 굴절력으로 인한 안과용 렌즈의 배율의 성능.
상기 방법은 추가 굴절력(P1)및 렌즈의 필터(12)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추가 굴절력(P1)및 상기 필터(12)의 함수로서 등급(Ra)을 결정하는 단계, 그 후에, 착용자(100)에게 렌즈의 등급(Ra)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시력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용도이며, 상기 시력 구역은,
- 상기 스크린(20)을 주시하는 착용자(100)의 자세(α, β, D)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100)가 상기 스크린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디옵터 굴절력 값(P1),
- 상기 스크린(20)에 대한 착용자(100)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12)의 특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안과용 렌즈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 및/또는 눈 피로 및/또는 자세 편안함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용도는, 특히 상이한 크기의 몇 개의 디지털 장치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 디지털 장치의 최근 생겨난 사용, 예를 들면 TV를 보면서 문자를 보내는 것, 컴퓨터로 작업하면서 문자를 보내는 것, 다수의 디지털 스크린으로 작업하거나 비디오게임을 하는 것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용도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서 읽거나 작업하는 것,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것과 같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의 디지털 장치의 사용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용도는 디지털 장치의 집중적 및/또는 장시간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Claims (15)

  1. 스크린(20)을 주시할 때 착용자(100)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하고 필터링 수단(12)을 구비하는 시력 구역(11)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10)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스크린(20)을 주시하는 착용자(100)의 자세(α, β, D)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안과용 렌즈(10)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100)가 상기 스크린(20)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상기 시력 구역(11)과 연관된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20)에 대한 착용자(100)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링 수단(12)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안과용 렌즈(10)를 착용했을 때 스크린(20)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100)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및 상기 자세(α, β, D)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시력 구역(11)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비노안, 노안전, 노안 진행중 및 노안으로부터 선택된 착용자의 노안의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안의 정도의 함수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착용자(100)가 느끼는 눈 피로의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필터(12)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눈 피로의 정도의 함수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착용자의 나이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필터(12)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이의 함수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린(20)의 사용 빈도를 결정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필터(12)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빈도의 함수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스크린(20)은 다양한 유형: 텔레비전 모니터,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랩톱 스크린, 패블릿 스크린, 태블릿 스크린, 스마트폰 스크린 및/또는 시계 스크린으로부터 선택되고,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은 상기 안과용 렌즈(10) 상에 있어서 선택된 스크린 유형의 함수로서 결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의 특성은 착용자 눈-스크린 거리(D), 몸통 각도, 머리 각도(α), 몸통 내 머리 각도, 및 하향 시선 각도(β)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2)는 상기 안과용 렌즈(10)를 통한, 10 nm보다 큰 폭을 갖는 파장 범위의 가시광의 투과를 적어도 5%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α, β, D)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12)를 결정하는 단계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방법.
  10. 스크린(20)을 주시할 때 착용자(100)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안과용 렌즈(10)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10)는
    - 상기 안과용 렌즈(10)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100)가 상기 스크린(20)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디옵터 굴절력 값(P1),
    - 상기 스크린(20)에 대한 착용자(100)의 광 노출을 조정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12)의 특성
    에 기반한, 필터링 수단(12)을 구비한 시력 구역(11)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시력 구역(11)이 초근거리 시력 구역이고, 상기 안과용 렌즈(10)를 착용했을 때 상기 스크린(20)을 주시하는 동안에 착용자(100)의 시각적 편안함이 최적화되는, 안과용 렌즈(10).
  11. 제10항에 있어서,
    필터링 수단(12)을 구비하는 상기 초근거리 시력 구역(11)은 안정화된 시력 구역인, 안과용 렌즈(1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시력 구역, 중간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된 시력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10).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메인 전면(14) 및 메인 후면(1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12)는 상기 메인 전면(14) 및/또는 상기 메인 후면(15)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렌즈(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2)는 420 nm 내지 450 nm인 파장 범위에 걸쳐서 적어도 5%의 평균 반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렌즈(10).
  15. 안과용 렌즈(10)의 착용자(100)에게 상기 안과용 렌즈(10)의 등급(Ra)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 착용자(100)가 스크린(20)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디옵터 굴절력 값(P1)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스크린(20)에 대한 착용자(100)의 노출을 조정하는 필터(12)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디옵터 굴절력 값(P1)및 상기 필터(12)의 함수로서 등급(Ra)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착용자(100)에게 상기 등급(Ra)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렌즈의 등급 제공 방법.
KR1020177029409A 2015-04-10 2016-04-08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KR102588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05542.1A EP3079006B1 (en) 2015-04-10 2015-04-10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ch an ophthalmic lens
EP15305542.1 2015-04-10
PCT/EP2016/057841 WO2016162533A1 (en) 2015-04-10 2016-04-08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ch an ophthalmic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52A true KR20170137752A (ko) 2017-12-13
KR102588803B1 KR102588803B1 (ko) 2023-10-13

Family

ID=5282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409A KR102588803B1 (ko) 2015-04-10 2016-04-08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9236B2 (ko)
EP (2) EP3079006B1 (ko)
JP (1) JP7007194B2 (ko)
KR (1) KR102588803B1 (ko)
CN (1) CN107529340B (ko)
BR (1) BR112017021607B8 (ko)
WO (1) WO2016162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9538B1 (fr) * 2016-12-07 2023-10-27 Essilor Int Procede de mesure de la refraction, procede de conception optique d'une lentille ophtalmique, lentille ophtalmique, procede d'aide a la selection d'une monture et paire de lunettes
EP3547013A1 (en) 2018-03-30 2019-10-0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for determining a single vision ophthalmic lens
EP3980842A1 (en) * 2019-06-05 2022-04-13 Essilor International Active lens adapted for correcting an abnormal refraction of an eye of a wearer
JP2021005080A (ja) * 2019-06-26 2021-01-1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科用レンズ
JP2023144718A (ja) * 2022-03-28 2023-10-1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視覚に関する数値の測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315A (ja) * 1991-03-20 1992-10-15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07531610A (ja) * 2004-04-05 2007-11-08 エイエムオー・フローニンゲ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色収差を低減できる眼科レンズ
US20080094571A1 (en) * 2006-10-19 2008-04-24 Larry Tarrant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lenses adapted for use with computers
KR20100022466A (ko) * 2007-05-08 2010-03-02 군나르 옵틱스, 엘엘씨 컴퓨터 비전 신드롬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경류
US20120307194A1 (en) * 2011-05-31 2012-12-06 Gunnar Optiks, Llc Computer eyewear with spectral filter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907A (ja) * 1991-03-14 1992-10-12 Haruo Bando 流体可変焦点眼鏡
DE10140656A1 (de) * 2001-08-24 2003-03-13 Rodenstock Optik G Verfahren zum Entwerfen und Optimieren eines individuellen Brillenglases
US6860599B2 (en) * 2002-06-17 2005-03-01 Sergio Giacomo Fuschi Multiple bifocal or trifocal lens
JP4475652B2 (ja) * 2005-03-23 2010-06-09 東海光学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FR2908899B1 (fr) * 2006-11-17 2009-02-06 Essilor Int Lentilles ophtalmiques multi-teintes pour la vision nocturne
US20090213325A1 (en) * 2008-02-25 2009-08-27 Dan Katzman Step zone progressive lens
FR2928744B1 (fr) * 2008-03-11 2012-03-16 Essilor Int Serie de lentilles ophtalmiques progressives
FR2928745B1 (fr) * 2008-03-14 2012-03-02 Essilor Int Realisation d'un nouveau verre de lunettes progressif.
FR2946762B1 (fr) * 2009-06-10 2011-07-15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de lunettes progressif personnalise en fonction d'une perception de flou
JP5725646B2 (ja) * 2010-03-10 2015-05-27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累進屈折力レンズ設計システム、および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JP5832765B2 (ja) * 2011-03-18 2015-12-16 イーエイチエス レンズ フィリピン インク 累進屈折力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CN103930821B (zh) * 2011-11-16 2016-08-24 埃西勒国际通用光学公司 用于提供眼镜片的光学系统的方法和用于制造眼镜片的方法
US9638937B2 (en) 2012-03-23 2017-05-02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of the spectacle lens
JP2013226397A (ja) * 2012-03-29 2013-11-07 Hoya Corp 近業目的距離測定装置、並びに近業目的距離測定装置を用いた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DE102012014399A1 (de) * 2012-07-20 2014-05-15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Ermitteln und Ausgeben eines für einen Brillenträger geeigneten Brillenlinsentyp
KR20150036145A (ko) * 2012-07-31 2015-04-07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누진 안과용 렌즈
JP2015049338A (ja) * 2013-08-30 2015-03-16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315A (ja) * 1991-03-20 1992-10-15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07531610A (ja) * 2004-04-05 2007-11-08 エイエムオー・フローニンゲ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色収差を低減できる眼科レンズ
US20080094571A1 (en) * 2006-10-19 2008-04-24 Larry Tarrant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lenses adapted for use with computers
KR20100022466A (ko) * 2007-05-08 2010-03-02 군나르 옵틱스, 엘엘씨 컴퓨터 비전 신드롬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경류
US20120307194A1 (en) * 2011-05-31 2012-12-06 Gunnar Optiks, Llc Computer eyewear with spectral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9340B (zh) 2019-12-03
CN107529340A (zh) 2017-12-29
BR112017021607A2 (pt) 2018-07-03
BR112017021607B8 (pt) 2023-01-17
BR112017021607B1 (pt) 2022-11-16
EP3079006B1 (en) 2019-06-12
EP3079006A1 (en) 2016-10-12
JP2018512621A (ja) 2018-05-17
KR102588803B1 (ko) 2023-10-13
US20180081199A1 (en) 2018-03-22
US10649236B2 (en) 2020-05-12
WO2016162533A1 (en) 2016-10-13
EP3281059A1 (en) 2018-02-14
JP7007194B2 (ja)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803B1 (ko) 안과용 렌즈 및 이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결정 방법
KR101681657B1 (ko) 컴퓨터 시각 증후군의 증상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저배율 아이웨어
KR102483594B1 (ko) 초점 조절 보조 렌즈
US8366269B2 (en) Method of making a spectacle lens
KR102263497B1 (ko) 적어도 하나의 광학 렌즈 및 안경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학 장비를 결정하는 방법
US20160327808A1 (en)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for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and lens supply system
Tilia et al. Short-term comparison between extended depth-of-focus prototype contact lenses and a commercially-available center-near multifocal
CA3095519C (en) A method for determining a single vision ophthalmic lens
EP3200009B1 (en) Progressive power lens group
JP2008089618A (ja) 眼鏡レンズ
AU2020405962B2 (en) Methods for designing an ophthalmic tinted lens and ophthalmic tinted lenses, and corresponding ophthalmic tinted lens
Mukhopadhyay et al. Advance designs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over conventional
EP42526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hift in a refraction value of an eye of a subject induced by an optical filter
Bartz HOYA Vision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