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145A - 누진 안과용 렌즈 - Google Patents

누진 안과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145A
KR20150036145A KR1020157001591A KR20157001591A KR20150036145A KR 20150036145 A KR20150036145 A KR 20150036145A KR 1020157001591 A KR1020157001591 A KR 1020157001591A KR 20157001591 A KR20157001591 A KR 20157001591A KR 20150036145 A KR20150036145 A KR 2015003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on
point
lens
ophthalmic len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요른 드로베
셀린 카리말로
Original Assignee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filed Critical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ublication of KR2015003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5Properties on the principal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 도수 처방치 Add 및 복합 표면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며, 복합 표면은 Add/3보다 작은 결과적인 근시를 갖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 및 Add/3보다 큰 결과적인 근시를 갖는 중간 시력 구역을 갖는다.

Description

누진 안과용 렌즈{PROGRESSIVE OPHTHALMIC LENS}
본 발명은 가입 도수 처방치(power addition prescription) 및 복합 표면(complex surface)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적어도 하나의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구비하는 시각 장치(visual apparatus), 착용자의 진행성 근시(myopia)의 진행을 둔화시키기 위한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용도, 및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표면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논의가 본 발명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인용된 임의의 자료가 임의의 청구항의 우선일에 공개, 공지된 것이거나 또는 일반 상식의 일부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를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일부 어린이가 조금 떨어져 위치된 물체를 보는 경우에, 즉 근거리 시력(near vision) 상태에서 부정확하게 포커싱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원거리 시력(far vision)에 대해 교정된 근시 어린이의 일부에서의 이러한 포커싱 결함(focusing defect) 때문에, 가까이 있는 물체의 이미지는 망막(retina) 뒤에, 심지어 중심와 영역(foveal area)에 형성된다.
이러한 포커싱 결함으로 인한 근시 진행을 회피하기 위해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타입을 갖는 근시-교정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일례가 특허문헌 US 6,343,86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물체를 보는 경우에 렌즈의 광학 도수(optical power)가 착용자의 근시를 교정하도록 조정되는 원거리 시력 영역, 근시 교정이 감소되는 근거리 시력 영역, 및 원거리 시력 영역과 근거리 시력 영역 사이에 위치되고 렌즈의 광학 도수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중간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착용자의 중심와 시력에 대해 적합하도록 맞추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는 경우 착용자의 비정시(ametropia)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실제로, 어린이는 노안이 아니므로, 근거리 물체를 선명하게 보는 도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이용하여 읽거나 쓸 수 있다.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을 사용하는 것은 양호한 광학적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한편, 중간 시력을 사용하는 것은 좁은 시야(visual field) 때문에, 보다 낮은 광학적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어린이가 눈을 자오선(meridian line)으로부터 멀리 돌리자마자 수차(aberration)의 레벨의 급속한 증대를 초래한다.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통해 보다 낮은 광학적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은 근시의 진행을 증가시킨다.
또한, 안경 착용자의 근시 교정이 장기적으로 근시의 정도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근시의 악화는 특히 어린이에게서 나타난다.
이러한 근시의 정도의 증가는, 망막의 중심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원거리 물체의 주시에 적합하도록 맞추어지지만, 그 이미지가 망막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이러한 물체의 측방향 부분에 대해 지나친 안과 교정으로 여겨진다.
중심와 시력 또는 중심 시력은 중심와 영역으로 불리는 각 망막의 중심 부분에 의한 물체의 주시에 대응한다.
눈 내로 비스듬하게 들어가는 광선에 의해 상이 맺히는 주시된 물체의 측방향 부분은 착용자의 주변 시력에 대응한다. 그리고, 당업자는 이러한 주변 시력 상태에서 근시의 과잉 교정에 대해 말한다. 실제로, 광학 도수가 원거리 시력 및 중심와 시력에 적합하도록 맞추어진 안과용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원거리 시력에 있어서의 이미지는 중심와 영역에서 망막 상에 형성되지만, 주변 시력에 대해 망막 뒤에 형성된다.
이러한 주변 디포커싱(defocusing)은 눈의 신장, 및 그 결과 착용자의 근시의 명백한 악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허문헌 US 7,992,997 B2는 근시의 진행을 둔화시키는 안과용 렌즈 요소를 개시하며, 주변 영역은 착용자의 거리 굴절력에 비하여 보다 큰 양(positive)의 도수에 기초하여 근시를 저지하기 위한 광학적 교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안과용 렌즈 요소는 낮은 표면 비점수차(astigmatism)의 근거리, 원거리 및 중간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허문헌의 도 6은 이들 3개의 구역에서의 비점수차가 제로에 가깝거나, 이 특허문헌의 도 2에 등치선(iso line)(202)에 의해 나타낸 비점수차와 적어도 동등한예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안과용 렌즈 요소는 동등한 낮은 비점수차의 원거리, 중간 및 근거리 시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특허문헌 US 7,862,171 B2는 근시를 교정하기 위한 렌즈를 개시하며, 원거리 시력 구역을 둘러싸는 상대적으로 큰 양(positive)의 도수의 주변 구역이 착용자의 주변 시력을 교정한다. 개시된 렌즈는 구체적으로는 누진 렌즈가 아니다. 개시된 예는 중간 시력에서 높은 비점수차(이 특허문헌의 도 2B)를 갖지만 중간 시력에서보다 낮은 근거리 시력에 대응하는 도수(이 특허문헌의 도 2A)를 갖는 회전 대칭 렌즈, 또는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 사이에서 증가하는 도수(이 특허문헌의 도 6A)를 갖지만 근거리 시력에서, 즉 중간 시력 구역과 동등한 높은 비점수차(이 특허문헌의 도 6B)를 갖는 회전 대칭 렌즈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시 착용자에게 적합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으며, 또한 장기적으로 근시의 정도를 증가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타입의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가입 도수 및 난시 처방치를 갖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제안하며,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 원거리 시력점;
- 근거리 시력점(NV); 및
- 중간 시력점(IV)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 원거리 시력점 주위의 원거리 시력 구역으로서, 이러한 원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원거리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이 원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원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원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며, 원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이며, 여기서 PL은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각도 누진 길이인,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
- 근거리 시력점(NV) 주위의 근거리 시력 구역으로서, 이러한 근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근거리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이 근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근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며, 근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인, 상기 근거리 시력 구역, 및
- 중간 시력점(IV) 주위의 중간 시력 구역으로서, 이러한 중간 시력 구역은 렌즈와 중간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이 중간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중간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중간 시력점을 통과하며, 중간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인, 상기 중간 시력 구역을 구비하며,
-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01
, 및
Figure pct00002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αF, βF와 αN, βN과 αI, βI는 각각 픽 시스템에 있어서의 원거리 시력점, 근거리 시력점 및 중간 시력점의 각도 좌표이며,
-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하이고, 여기서 Add는 가입 도수 처방의 값이고,
-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상이며,
결과적인 난시는 각 시선 방향에 대해,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에서의 작동 렌즈에 의해 발생한 난시와 처방된 난시 사이의 차이이고,
각도 누진 길이는 착용자의 광학 도수가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가입 도수 처방치의 100%에 도달하는 자오선의 점까지 피팅 크로스로부터의 하강 주시의 각도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 양호한 광학적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착용자가 중간 시력 구역보다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즉,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이미지의 광학적 품질이 양호한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을 착용자가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그에 따라 장기적으로 착용자의 근시의 정도를 증가시킬 위험을 감소시킨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 원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도수에 대해 양의 도수의 주변 구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주변 구역은 원거리 시력점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진 구역을 포함하고; 및/또는
-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03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04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 중간 시력점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보다 크고; 및/또는
- 중간 시력점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0.4×Add 이상 2×Add 이하이고; 및/또는
- 각도 누진 길이는 20°이상 32°이하이고; 및/또는
- 가입 도수 처방치는 1.5 디옵터 이상 2.5 디옵터 이하이고; 및/또는
-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0.25 디옵터 이하이고; 및/또는
- 중간 시력 구역의 표면은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의 표면보다 작고; 및/또는
- 상기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2×BPT×k 이상이고, 여기서 BPP는 구면 블러에 대해 얻어진 착용자의 블러 지각 임계값이고, k는 엄밀히 1보다 큰 상수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구비하는 시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착용자의 진행성 근시의 진행을 둔화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표면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예를 들어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적어도 착용자의 처방치를 포함하는 착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착용자 데이터 제공 단계,
-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피팅 크로스, 근거리 시력점, 및 상기 피팅 크로스와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는 메인 누진 자오선을 갖는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 제공 단계, 및
-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를 얻기 위해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세서에 액세스 가능한 명령의 하나 이상의 저장된 시퀀스를 포함하고,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컴퓨팅(computing)", "계산(calculating)", "생성(generating)" 등과 같은 용어를 이용한 설명은 컴퓨팅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내의 전자량과 같은 물리량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다른 이러한 정보 저장, 전송 또는 표시 장치 내의 물리량으로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데이터로 처리 및/또는 변환하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장치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원하는 목적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거나, 컴퓨터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재설정되는 범용 컴퓨터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CD-ROM, 자기광학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또는 광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또는 전자적 명령을 저장하는데 적합하고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프로세스 및 디스플레이는 본질적으로 임의의 특정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이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른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원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보다 특화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이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별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하여 기술되지 않았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교시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 도 1은 렌즈/눈 광학 시스템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 도 2 및 도 3은 렌즈/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착용자 광학 도수 맵이다.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결과적인 난시 크기 맵이다.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눈 광학 시스템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자오선을 따르는 착용자 광학 도수 그래프이다.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상이한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들은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치수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가입 도수 처방치(power addition prescription)"는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착용자가 원거리에서 선명하게 보는데 요구되는 광학 도수와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착용자가 근거리에서 선명하게 보는데 요구되는 광학 도수 사이의 차이이다. 일반적으로, 가입 도수 처방치는 눈 관리 전문가에 의해 결정되고, 착용자 처방의 명시적 또는 암시적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광학적 양, 즉 도수 및 난시값은 착용될 상태하에서 소정 렌즈에 대해 정의된다. 도 1은 렌즈/눈 광학 시스템을 측면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며, 복합 전면을 갖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일례에 기초하여 본원의 설명에 사용되는 정의를 나타낸다.
눈의 회전 중심은 Q'라고 불린다. 도면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축(Q'F')은 눈의 회전 중심(Q')을 통과하고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축이며; 즉 축(Q'F')은 주 주시 방향(primary viewing direction)에 대응한다. 이러한 축은 피팅 크로스(fitting cross)(CM)라고 불리는 점에서 렌즈의 전면과 교차한다. 안경사가 렌즈를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피팅 크로스가 렌즈 상에 마킹된다. 피팅 크로스는 일반적으로 렌즈의 전면의 기하학적 중심보다 4㎜ 위에 위치된다.
중심(Q') 및 반경(q')을 갖고, 정점 구면(vertex sphere)으로도 불리는 아펙스 구면(apex sphere)은 렌즈의 후면의 축(Q'F')에 의한 교점에 대응하는 점(O)에서 렌즈의 후면을 절단하는 구면으로서 정의된다.
일례로서, 25.5㎜의 반경의 값은 표준값에 대응하고, 렌즈 착용시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소정의 주시 방향은 Q'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눈의 위치 및 아펙스 구면 상의 점(J)에 대응한다.
또한, 주시 방향은 구면 좌표에서, 소위 픽 시스템(Fick system)에서 2개의 각도(α 및 β)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각도(α)는 Q'F' 축과, 이 Q'F' 축을 포함하는 수직면 상에의 직선(Q'J)의 투영부 사이의 각도이고, 이러한 각도는 도 1의 도면에 나타나 있다.
각도(β)는 Q'F' 축과, 이 Q'F' 축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에의 직선(Q'J)의 투영부 사이의 각도이다. 그러므로, 소정의 주시 방향은 아펙스 구면 상의 점(J) 또는 좌표 쌍 (α,β)에 대응한다.
소정의 주시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물체 거리에 위치된 물체 공간에서의 점(M)의 이미지는 최소 거리(JS) 및 최대 거리(JT)(회전면 및 무한원점(無限遠點) (M)의 경우에 시상(sagittal) 및 접선(tangential) 초점 거리임)에 대응하는 2개의 점들(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도 1의 예에서는, 물체 공간에서의 무한원점의 이미지는 Q'F' 축 상에서 점(F')에 형성된다. 점들(S 및 T)은 일치하고, 이것은 렌즈가 주 주시 방향에서 국부적으로 구면이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거리(D)는 렌즈의 후방 전두면(frontal plane)이다.
도 2 및 도 3은 렌즈/눈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주 주시 방향으로 불리는 주요 주시 방향(α=β=0)에서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 및 눈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때, 점들(J 및 O)은 일치한다.
도 3은 소정 방향 (α,β)에서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 및 눈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는, 눈의 회전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 {xm,ym,zm} 및 고정 기준 프레임 {x,y,z}가 도시되어 있다. 기준 프레임 {x,y,z}는 원점으로 점(Q')을 갖고, x-축은 Q'F' 축(점(F')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이고 점(O)을 통과한다. 이러한 축은 난시축의 측정 방향에 대응하여 렌즈로부터 눈으로 지향된다. {y,z} 평면은 수직면이다. y-축은 수직이고 상방으로 지향된다. z-축은 수평이고, 기준 프레임은 직교 좌표계이다.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 {xm,ym,zm}은 중심으로서 점(Q')을 갖는다. xm 축은 주시 방향(JQ')에 의해 정의되고, 주 주시 방향의 경우에 기준 프레임 {x,y,z}과 일치한다. 리스팅 법칙(Listing's law)은 각 주시 방향에 대해 {x,y,z} 좌표계와 {xm,ym,zm} 좌표계 사이의 관계를 제시한다(Le Grand, Optique Physiologique, Volume 1, published by Revue d'Optique, Paris 1965 참조).
도 2를 참조하여 정의된 (O,x,y) 평면에 렌즈의 섹션이 그려질 수 있다. 점(O)에서의 이러한 곡면에 대한 접선은 경사각(pantoscopic angle)으로 불리는 각도로 (O,y)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O,x,z) 평면에 렌즈의 섹션을 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점(O)에서의 이러한 곡면에 대한 접선은 안면각(wrap angle)으로 불리는 각도로 (O,z)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러한 요소를 이용하여, 각 주시 방향에 있어서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착용자 광학 도수 및 난시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르고라마(ergorama)에 의해 제시된 물체 거리에서의 물점(M)은 시선 방향(gaze direction) (α,β)에 대해 고려된다.
에르고라마는 물점의 통상 거리를 각 시선 방향에 연관시킨 함수이다. 전형적으로, 주 시선 방향을 따르는 원거리 시력에서는, 물점이 무한히 멀다. 코측(nasal side)을 향해 절대값으로 대략 36.6°각도(α) 및 대략 6°각도(β)에 본질적으로 상응하는 시선 방향을 따르는 근거리 시력에서는, 물체 거리가 30㎝ 내지 50㎝이다. 에르고라마의 가능한 정의에 관한 보다 상세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US-A-6,318,859가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은 에르고라마, 그 정의 및 그 모델링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점이 무한히 멀거나 멀지 않을 수도 있다. 에르고라마는 착용자의 비정시(ametropia)의 함수일 수 있다.
물체 근접도 ProxO는 물체 공간에서의 대응하는 광선 상의 점(M)에 대해 아펙스 구면의 점(M)과 점(J) 사이의 거리(MJ)의 역수로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05
이것은 에르고라마의 결정에 사용되는 아펙스 구면의 모든 점에 대해 얇은 렌즈 근사 내에서 물체 근접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실제 렌즈에 대해서, 물체 근접도는 대응하는 광선 상에서의 렌즈의 전면과 물점 사이의 거리의 역수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시선 방향 (α,β)에 대해, 소정의 물체 근접도를 갖는 점(M)의 이미지는 최소 및 최대 초점 거리(시상 및 접선 초점 거리임)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점들(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크기 ProxI는 점(M)의 이미지 근접도로 불린다:
Figure pct00006
그러므로, 얇은 렌즈의 경우에서 유추하여, 소정의 시선 방향에 대해 그리고 소정의 물체 근접도에 대해, 즉 대응하는 광선 상의 물체 공간의 점에 대해 광학 도수 Pui가 이미지 근접도 및 물체 근접도의 합, 즉
Figure pct00007
로 정의될 수 있다.
동일한 표기법으로, 난시값 Ast는, 모든 시선 방향에 대해 그리고 소정의 물체 근접도에 대해,
Figure pct00008
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는 렌즈에 의해 생성된 광선 빔의 비점수차에 대응한다.
통상 착용 상태에서의 렌즈의 광학 도수 및 난시의 가능한 정의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통한 광선 추적(Ray tracing through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이라는 제목의 비. 브루동클(B. Bourdoncle) 등에 의한 논문(1990 International Lens Design Conference, D.T. Moore ed., Proc. Soc. Photo. Opt. Instrum. Eng.)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안과 분야에서의 처방은, 도수 처방에 부가하여, 난시 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은 축값(도) 및 모듈값(디옵터)으로 구성된다. 모듈값(module value)은 착용자의 시력 부족을 교정하고자 하는 소정 방향에서의 최대 도수와 최소 도수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방식에 따르면, 축은 기준축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을 따른 2개의 도수 중 하나의 방위를 나타낸다. TABO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기준축은 수평이고, 회전 방향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이다. 45°축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우측 상부 사분면을 좌측 하부 사분면에 링크 연결하는 경사 배향된 축에 대응한다. 이러한 난시 처방은 원거리 시력에서 착용자에 대해 측정된다. "난시(astigmatism)"라는 용어는 쌍(모듈, 축)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때때로 간단히 모듈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당업자는 문맥에 따라 무엇을 지칭하는지 쉽게 이해한다. 또한, 당업자는, 착용자에 대한 도수/난시 처방은 보통 구면도수(sphere), 원주도수(cylinder) 및 축으로 기재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처방된 원거리 시력 평균 도수값(PFV)을 처방된 도수와 처방된 난시의 모듈의 절반의 합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결과적인 난시(resulting astigmatism)는 각 시선 방향에 대해,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에서의 작동 렌즈에 의해 발생된 난시와 처방된 난시 사이의 차이로서 정의된다. 또한, 결과적인 난시는 잔여 난시(residual astigmatism)로 불릴 수도 있다.
통상 착용 상태는, 특히 8°의 경사각, 12㎜의 렌즈-동공 거리, 13.5㎜의 동공-눈 회전 중심 및 0°의 안면각에 의해 정의된 표준 착용자의 눈에 대한 렌즈의 위치로서 이해되는 것이다.
다른 상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착용 상태는 소정 렌즈에 대해 광선-추적 프로그램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도수 및 난시는, 처방이 착용 상태로 안경을 착용하는 착용자에 대해 기준점(즉, 원거리 시력에서의 제어점)에서 충족되거나, 프론토포코미터(frontofocometer)에 의해 측정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렌즈의 다른 부분, 즉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을 통해 보기에 충분한 결과적인 난시 및/또는 다른 광학 수차를 포함하는 중간 시력 구역을 갖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가입 도수 처방치 및 적어도 하나의 복합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일례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가입 도수 처방치는 2 디옵터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렌즈는 구면 좌표계 내에 있으며, 각도(β) x-축 상에 표시되고, 각도(α)가 y-축 상에 표시되어 있다.
렌즈는 자오선(ML)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누진 렌즈의 자오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피팅 크로스에 대응하는 시선 방향과 렌즈의 하부 사이의 주시 각도 α=α1의 매 하강에 대해, 착용 상태하에서의 각 주시 방향과 목표 물점을 연관시키는 에르고라마에 의해 결정된 거리에서 정중면(median plane)에 위치된 물점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시선 방향 (α1,β1)이 광선 추적에 의해 조사된다. 정중면은 바람직하게는 코의 베이스를 통과하는 머리의 정중면이다. 또한, 이러한 정중면은 좌측 및 우측 눈의 회전 중심의 중간을 통과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방식으로 정의된 모든 시선 방향은 에르고라마-눈-렌즈 시스템의 자오선을 형성한다. 개인화를 위해, 환경에서의 머리의 각도 및 위치와 같은 착용자의 자세 데이터가 물체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체 위치는 근거리 시력에서의 착용자의 측방 시프트(lateral shift)를 모델화하기 위해 정중면에서 벗어나 위치될 수 있다.
렌즈의 자오선은 착용자가 원거리 시력으로부터 근거리 시력까지 보고 있는 경우에 착용자의 평균 시선 방향의 궤적을 나타낸다. 렌즈의 표면의 자오선(ML)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렌즈의 광학 자오선에 속하는 각 시선 방향(α,β)은 점(x,y)에서 이 표면과 교차한다. 이 표면의 자오선은 렌즈의 자오선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점의 세트이다.
시력 용어에서의 값은 시선 방향에 대해 표현될 수 있다. 시선 방향은 보통 원점이 눈의 회전 중심인 프레임에서의 방위각 및 하향 각도에 의해 주어진다. 렌즈가 눈의 전방에 장착되는 경우에, 피팅 크로스로 불리는 점은 동공 앞에, 또는 주 시선 방향에 대한 눈의 눈 회전 중심(Q') 앞에 배치된다. 주 시선 방향은 착용자가 똑바로 보고 있는 상황에 대응한다.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에 있어서, 피팅 크로스가 렌즈의 어떤 표면(저면 또는 후면)에 위치설정되더라도, 피팅 크로스는 0°의 하향 각도(α) 및 0°의 방위각(β)에 대응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상기 설명은 중심 시력에 대해 주어졌다. 주변 시력에서는, 시선 방향이 고정되므로, 동공의 중심이 눈의 회전 중심 대신에 고려되고, 주변 광선 방향이 시선 방향 대신에 고려된다. 주변 시력이 고려되는 경우, 각도(α) 및 각도(β)는 시선 방향 대신에 광선 방향에 대응한다.
도 4는 하나의 주시 방향을 따라 물점에 대해 정의된 착용자의 광학 도수의 레벨 라인을 도시한다. 통상과 같이, 도 4에는 등도수선(isopower line)이 구면 좌표계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등도수선은 동일한 광학 도수값(P)을 갖는 점으로 형성된다. -0.25 디옵터 내지 2.00 디옵터의 등도수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착용 상태하에서 결과적인 난시 크기에 대응하는 레벨 라인을 도시한다. 통상과 같이, 도 5에는 등난시선(isoastigmatism line)이 구면 좌표계에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등난시선은 동일한 난시 크기를 갖는 점으로 형성된다. 0.25 디옵터 내지 2.50 디옵터의 등난시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상의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복합 표면은 원거리 시력점(far vision point), 상기에 정의된 피팅 크로스(CM), 근거리 시력점(near vision point)(NV) 및 중간 시력점(intermediate vision point)(VI)을 포함한다.
원거리 시력점(FV)은 원거리 시력에 대한 설계 기준이 적용되는 점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원거리 시력점은 피팅 크로스, 또는 피팅 크로스 위의 4°내지 8°의 주시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거리 시력점은 피팅 크로스(CM)에 대응한다.
렌즈의 피팅 크로스(CM)는 렌즈 상에 그려진 원에 의해 둘러싸인 도트와 같은 십자 마크 또는 임의의 다른 마크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렌즈 상에 기하학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이것은 안경사가 렌즈를 프레임 내로 끼워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렌즈 상에 물리적으로 배치된 정렬점이다.
구면 좌표에서, 피팅 크로스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렌즈의 한 면과 주 주시 방향의 교점에 대응하기 때문에, 좌표 (αF=0°,βF=0°)를 갖는다.
누진 렌즈는 통일 규격 ISO 8990-2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미세-마킹(micro-marking)을 포함한다. 또한, 임시 마킹은 렌즈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적용되어, 예를 들어 피팅 크로스, 근거리 시력점, 원거리 시력점과 같은 렌즈 상의 제어점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임시 마킹이 없거나 지워진 경우, 예를 들어 마운팅 차트(mounting chart) 및 영구적인 미세-마킹을 사용함으로써 당업자가 렌즈 상에 제어점을 위치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또한, 미세-마킹은 렌즈의 양쪽 표면을 위한 기준계를 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근거리 시력점(NV)은 자오선 상에 위치되고, 근거리 시력에 대한 설계 기준이 적용되는 점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시력점은 착용자의 광학 도수가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가입 도수 처방치의 100%에 도달하는 자오선의 점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시력점은 피팅 크로스 아래로 36.6°만큼 주시 방향의 하강에 대응한다. 근거리 시력점(NV)은 사전규정된 구면 좌표계에서의 좌표 (αN=6°.βN=36.6°)를 갖는다.
중간 시력점은, 예를 들어 자오선을 따라,
Figure pct00009
, 및
Figure pct00010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며, 여기서 αFF와 αNN과 αII는 각각 픽 시스템에 있어서의 원거리 시력점, 근거리 시력점 및 중간 시력점의 각도 좌표(angular coordinate)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11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된다.
실제로, 중간 시력점은 바람직하게는 원거리 시력점 또는 피팅 크로스에 너무 근접하여 있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12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된다.
실제로, 중간 시력점은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시력점보다 원거리 시력점에 근접하여 있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표면은 원거리 시력 구역, 근거리 시력 구역 및 중간 시력 구역을 추가로 포함한다.
원거리 시력 구역(FZ)은 원거리 시력점 주위의 구역이다. 원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원거리 시력 원추(far vision cone)의 교점에 대응한다. 원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right circular cone)이다. 원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렌즈의 원거리 시력점을 통과한다. 원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aperture)(W1)는 PL/9 이상 PL/3 이하이며, 여기서 PL은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각도 누진 길이(angular progression length)이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각도 누진 길이는 착용자의 광학 도수가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가입 도수 처방치의 100%에 도달하는 자오선의 점까지 피팅 크로스로부터의 하강 주시의 각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누진 길이는 20°이상 32°이하이다.
근거리 시력 구역(NZ)은 근거리 시력점 주위의 구역이다. 근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근거리 시력 원추(near vision cone)의 교점에 대응한다. 근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다. 근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렌즈의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한다. 근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W3)는 PL/9 이상 PL/3 이하이다.
근거리 시력 구역 및 원거리 시력 구역의 크기는 선명한 시력을 제공하는 렌즈의 표면의 충분하게 큰 구역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도록, 또한 중간 시력 구역과의 어떠한 중첩도 회피하도록 너무 크지 않도록 선택된다.
중간 시력 구역(FZ)은 중간 시력점 주위의 구역이다. 중간 시력 구역은 렌즈와 중간 시력 원추(intermediate vision cone)의 교점에 대응한다. 중간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다. 중간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렌즈의 중간 시력점을 통과한다. 중간 시력 원추의 개구(W2)는 PL/9 이상 PL/3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시력 구역의 표면은 착용자에게 선명한 시력의 보다 큰 구역을 제공하기 위해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의 표면보다 작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 시력 구역(FZ) 및 근거리 시력 구역(NZ)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Add/3에 대응하는 0.67 디옵터 이하이고, 여기서 Add는 가입 도수 처방의 값이다. 즉, 구역의 모든 점에 대해,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하이다.
레몬(Remon) 등(2006)에 따르면, 시력(visual acuity)은 결과적인 난시의 0.25 D의 증분마다 대략 0.1 LogMar만큼 떨어진다. 임상적으로, 시력의 하나의 라인의 변화, 즉 0.1 LogMar는 큰 변화인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인 난시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과 같은, 상세 시력에 사용된 시력 구역에서 Add/3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의 모든 점에 대해,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이들 시력 구역을 통해 볼 때 높은 광학적 품질의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0.25 디옵터 이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렌즈를 통해 볼 때 착용자가 중간 시력 구역을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하기 위해, Add/3 이상이다. 즉, 중간 시력 구역의 모든 점에 대해,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그러한 결과적인 난시를 갖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의 사용은 특히 어린이에 대한 근시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을 돕는다.
근시 어린이는 구면 블러(spherical blur)의 낮은 검출 임계값: 0.27±0.15 D(슈미드(Schmid) 등, 2002)를 갖는다.
어린이의 지각 블러의 95%를 갖기 위해서, 0.27+1.96*0.15=0.56 D(평균+1.96*표준편차)의 값이 요구될 수도 있다.
난시 렌즈와 유사한 블러를 달성하기 위해서, 난시 렌즈가 동일한 도수의 구면 렌즈에 비하여 1/sqr(2)의 시력의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0.56*sqr(2)=0.80 D의 도수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누진 렌즈를 착용한 어린이의 근시 제어 연구에 있어서, 기준 가입 도수 값은 2.00 D이다.
따라서, 어린이가 중간 시력을 사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즉 렌즈의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의 충분한 레벨의 블러를 갖게 하기 위해, 0.80 D의 결과적인 난시가 요구된다.
눈 관리 전문가가 2.00 D보다 낮은 가입 도수 값을 사용하기를 원하면,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설계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결과적인 난시 레벨을 동등 비율로 감소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2.00 D의 가입 도수에 대해, 결과적인 난시가 약 0.80 D이어야 하며, 그에 따라 X D의 가입 도수에 대해, 결과적인 난시가 0.80/2.00*X=0.4*X D이어야 한다.
그러나, 0.4*Add는 최소값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어린이가 중간 시력 영역을 이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따라서 보다 높은 값이 또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특히 어린이에 대한 근시 진행을 둔화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용에 대해, 가입 도수 처방치는 유리하게 1.5 내지 2.5 디옵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도수에 대해 양의 도수의 주변 구역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자오선을 따라 착용자의 광학 도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각도(β)가 y-축 상에 표시되고, 도수 디옵터가 x-축 상에 표시되어 있다. 최소 및 최대 광학 도수는 파선으로 도시되고, 광학 도수는 굵은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자오선을 따라 픽싱 크로스 위에 약 0.5 디옵터의 양의 도수를 포함한다.
주변 구역은 원거리 시력점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진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착용자의 블러 지각에 따라 맞춰질 수 있다.
실제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의 목적은 원거리 시력 구역 또는 근거리 시력 구역을 착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착용자에 의해 지각되는 시각 품질의 큰 감소가 유발되어야 한다.
다른 착용자가 블러 지각의 다른 임계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가 착용자에 의해 지각되기에 충분히 큰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러한 값은 예를 들어 슈미드 등(200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블러 지각 임계값(blur perception threshold; BPT)의 측정에 기초하여 개인화될 수 있다. 그러한 BPT의 측정에 기초하여,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2×BPT×k 이상의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를 가짐으로써 개인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BPT는 구면 블러에 대해 얻어진 착용자의 블러 지각 임계값이고, k는 엄밀히 1보다 큰 상수이며, 예를 들어 k는 1.5이다. √2는 난시 블러가 구면 블러보다 지각하기 어렵고, 즉 보다 많은 블러를 지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BPT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임계값(BPT)의 표준편차(SD)를 제공하는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면, 상수 k는,
Figure pct00013
와 같을 수 있으며, 여기서 SD는 소정의 착용자에 대한 블러 지각 측정값의 표준편차이고, m은 블러가 대부분의 시간에 지각되기에 충분히 큰 것, m≥0, 바람직하게는 m=1.96인 것을 보장하는 상수이다. 유리하게, m=1.96인 경우,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에 의해 유발된 블러는 적어도 95%의 시간에 지각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표면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예를 들어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착용자 데이터 제공 단계(S1),
-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 제공 단계(S2), 및
- 최적화 단계(S3)를 포함한다.
착용자 데이터 제공 단계(S1) 동안에, 적어도 착용자의 처방치를 포함하는 착용자 데이터가 제공된다.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 제공 단계(S2) 동안에,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제공된다.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피팅 크로스, 근거리 시력점, 및 피팅 크로스와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는 메인 자오선을 갖는다.
최적화 단계(S3) 동안에,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가 최적화된다.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본 발명에 따라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를 얻기 위해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설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최적화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는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 예를 들어 0.25 D 미만의 낮은 결과적인 난시, 및 예를 들어 Add/3 초과의 높은 결과적인 난시를 가지며, 여기서 Add는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가입 도수 처방치이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존의 광학 설계로부터 시작하여 착용자의 처방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설계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명 개념의 제한 없이 실시예의 도움으로 상기에 설명되었다. 특히,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가입 도수 처방치가 렌즈의 전면에만 또는 렌즈의 후면에만 제공되거나, 렌즈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결합되거나, 심지어 렌즈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간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가입 도수 및 난시 처방치를 갖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에 있어서,
    - 원거리 시력점;
    - 근거리 시력점(NV); 및
    - 중간 시력점(IV)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 상기 원거리 시력점 주위의 원거리 시력 구역으로서,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원거리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상기 원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상기 원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원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며, 상기 원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이며, 여기서 PL은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각도 누진 길이인,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
    - 상기 근거리 시력점(NV) 주위의 근거리 시력 구역으로서, 상기 근거리 시력 구역은 렌즈와 근거리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상기 근거리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상기 근거리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며, 상기 근거리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인, 상기 근거리 시력 구역, 및
    - 상기 중간 시력점(IV) 주위의 중간 시력 구역으로서, 상기 중간 시력 구역은 렌즈와 중간 시력 원추의 교점에 대응하며, 상기 중간 시력 원추는 직원추이고, 상기 중간 시력 원추의 축은 눈의 회전 중심과 중간 시력점을 통과하며, 상기 중간 시력 원추의 개구는 PL/9 이상 PL/3 이하인, 상기 중간 시력 구역을 구비하며,
    - 상기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14
    , 및
    Figure pct00015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αFF와 αNN과 αII는 각각 픽 시스템에 있어서의 원거리 시력점, 근거리 시력점 및 중간 시력점의 각도 좌표이며,
    -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하이고, 여기서 Add는 가입 도수 처방의 값이고,
    - 상기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Add/3 이상이며,
    상기 결과적인 난시는 각 시선 방향에 대해, 눈과 연관된 기준 프레임에서의 작동 렌즈에 의해 발생된 난시와 처방된 난시 사이의 차이이고,
    상기 각도 누진 길이는 착용자의 광학 도수가 통상 착용 상태하에서 가입 도수 처방치의 100%에 도달하는 자오선의 점까지 피팅 크로스로부터의 하강 주시의 각도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도수에 대해 양의 도수의 주변 구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변 구역은 원거리 시력점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진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16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력점은,
    Figure pct00017

    가 되도록 원거리 시력점과 근거리 시력점 사이에 배치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력점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0.4×Add 이상 2×Add 이하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누진 길이는 20°이상 32°이하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도수 처방치는 1.5 디옵터 이상 2.5 디옵터 이하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0.25 디옵터 이하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력 구역의 표면은 원거리 시력 구역 및 근거리 시력 구역의 표면보다 작은,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력 구역에서의 결과적인 난시는 √2×BPT×k 이상이고, 여기서 BPP는 구면 블러에 대해 얻어진 착용자의 블러 지각 임계값이고, k는 엄밀히 1보다 큰 상수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구비하는 시각 장치.
  12. 착용자의 진행성 근시의 진행을 둔화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용도.
  13.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표면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 적어도 착용자의 처방치를 포함하는 착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착용자 데이터 제공 단계,
    -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피팅 크로스, 근거리 시력점, 및 상기 피팅 크로스와 근거리 시력점을 통과하는 메인 자오선을 갖는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 제공 단계, 및
    - 착용자의 처방치에 맞춰지고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나타내는 최적화된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 데이터를 얻기 위해 초기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를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표면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 결정 방법.
  14. 프로세서에 액세스 가능한 명령의 하나 이상의 저장된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제13항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제14항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57001591A 2012-07-31 2013-07-29 누진 안과용 렌즈 KR20150036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940 2012-07-31
EP12305940.4 2012-07-31
PCT/EP2013/065868 WO2014019968A1 (en) 2012-07-31 2013-07-29 Progressive ophthalmic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145A true KR20150036145A (ko) 2015-04-07

Family

ID=4701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591A KR20150036145A (ko) 2012-07-31 2013-07-29 누진 안과용 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91718B2 (ko)
EP (1) EP2880489B1 (ko)
KR (1) KR20150036145A (ko)
CN (1) CN104520756B (ko)
WO (1) WO2014019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2952B1 (fr) * 2013-11-08 2015-11-06 Essilor Int Metho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 parametre de conception optique d'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EP3079006B1 (en) * 2015-04-10 2019-06-12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ch an ophthalmic lens
EP3362847B1 (en) 2015-10-15 2024-01-17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providing an oph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n emmetropic and presbyopic wearer
EP3276399A1 (en) * 2016-07-29 2018-01-3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for myopic wearers
JP6994467B2 (ja) * 2016-10-31 2022-01-14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累進屈折力レンズ対、累進屈折力レンズ対の設計方法および累進屈折力レンズ対の製造方法
KR102280371B1 (ko) * 2016-11-30 2021-07-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CN107291233B (zh) * 2017-06-21 2020-09-15 常州快来信息科技有限公司 头戴3d显示设备的视觉优化系统、智能终端及头戴设备
EP3420887A1 (en) * 2017-06-30 2019-01-0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ye rotation center of the eye of a subject, and associated device
EP3457195A1 (en) * 2017-09-19 2019-03-20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10921614B2 (en) * 2017-12-31 2021-02-16 Neurolens, Inc. Low-convergence negative power spectacles
US10921612B2 (en)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US11947197B2 (en) 2018-03-29 2024-04-02 Reopia Optics, Inc. Spectacle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2031298A1 (en) * 2020-08-07 2022-02-1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myopia contr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231624A1 (en) * 2021-04-30 2022-11-03 Carl Zeiss Vision Inc.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24752U1 (de) 1996-07-05 2004-03-11 Rodenstock Gmbh Progressives Brillenglas
FR2753805B1 (fr) 1996-09-20 1998-11-13 Essilor Int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US6343861B1 (en) 1998-06-12 2002-02-0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yopia lens
US7229173B2 (en) * 2004-08-25 2007-06-1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A. Short corridor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reduced unwanted astigmatism
FR2880428B1 (fr) * 2005-01-04 2007-10-26 Essilor Int Verre ophtalmique progressif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erre
AU2006301940B2 (en) 2005-10-12 2012-03-29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Ophthalmic lens element for myopia correction
FR2895092B1 (fr) * 2005-12-16 2008-02-29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PL2069854T3 (pl) * 2006-09-15 2015-08-31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Element soczewki oftalmicznej
TWI467266B (zh) 2007-10-23 2015-01-01 Vision Crc Ltd 眼科鏡片元件
US8721076B2 (en) * 2007-11-30 2014-05-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cess for controlling a lens manufacturing process
TWI361269B (en) * 2008-04-02 2012-04-01 Univ Nat Taiwan Lens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lens
FR2946762B1 (fr) * 2009-06-10 2011-07-15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de lunettes progressif personnalise en fonction d'une perception de flou
SG179307A1 (en) 2010-09-16 2012-04-27 Ceepro Pte Ltd Ophthalmic 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8743A1 (en) 2015-06-18
US9791718B2 (en) 2017-10-17
CN104520756B (zh) 2016-11-16
EP2880489B1 (en) 2023-05-24
WO2014019968A1 (en) 2014-02-06
CN104520756A (zh) 2015-04-15
EP2880489A1 (en)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6145A (ko) 누진 안과용 렌즈
US1101631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hree dimensional performance of an ophthalmic lens; associated method of calculating an ophthalmic lens
CN107407827B (zh) 旨在安装在眼镜架上的眼镜眼科镜片
JP2018109785A (ja) 装着者の利き手を考慮に入れた眼用レンズ
KR102042554B1 (ko) 안경 렌즈 결정 방법
KR101877880B1 (ko) 누진 안경 렌즈 결정 방법
JP2007256957A (ja) 累進焦点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
KR102100726B1 (ko) 안과용 렌즈의 광학 파라미터 결정 방법
US10247962B2 (en)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cal system of a progressive addition ophthalmic lens being arranged to output a supplementary image
JP2008501990A (ja) 眼用レンズ
CN107407826B (zh) 眼科镜片以及确定所述眼科镜片的方法
CN106461975B (zh) 具有放大的中距离视区的渐变多焦点镜片
KR101228458B1 (ko) 안과용 렌즈
CN111989611B (zh) 用于确定单光眼科镜片的方法
JP6785857B2 (ja) 光学レンズの屈折力を判定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屈折力判定装置および光学レンズの屈折力を判定する方法
US1039405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ir of ophthalmic lenses
JP2022532028A (ja) 装用者に適合する眼用累進多焦点レンズ
JP7055097B2 (ja) 正視で老眼の装用者のための累進屈折力レンズと、かかるレンズを提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