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371B1 -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371B1
KR102280371B1 KR1020197015372A KR20197015372A KR102280371B1 KR 102280371 B1 KR102280371 B1 KR 102280371B1 KR 1020197015372 A KR1020197015372 A KR 1020197015372A KR 20197015372 A KR20197015372 A KR 20197015372A KR 102280371 B1 KR102280371 B1 KR 10228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keh
wearer
lens
spectacle lens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624A (ko
Inventor
성진 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19006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은,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과,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과,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과, 누진 굴절력 렌즈와, 단초점 렌즈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착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 방법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착용자의 생활 환경 정보 등을 고려하여 렌즈 설계 기준을 선택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 2009/133887 호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은,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bokeh)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視認)시키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은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를 설계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발주 장치는,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거쳐서 입력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수주 장치는,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은, 제 3 태양의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제 4 태양의 안경 렌즈 수주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설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단초점 렌즈는,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설계된 것이다.
도 1의 (a)는 제시하는 화상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의 일 실시형태의 설계 방법에 따른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1의 (b)는 제시하는 화상이 중거리에 있는 경우의 해당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1의 (c)는 제시하는 화상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의 해당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의 (a)는 보케 화상으로 가공하기 전의 원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의 (b)는 보케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발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누진 굴절력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의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는 방향 의존성이 없는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0의 (b)는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단초점 렌즈에 있어서의 구면 도수 에러 및 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a)는 비점수차를 중시하는 경우, (b)는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밸런스를 중간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 (c)는 구면 도수를 중시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과,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과,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굴절력의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옵터(D)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상방」, 「하방」, 「상부」, 「하부」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는, 해당 안경 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렌즈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착용자에 대해 실행하는 보케 감수성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가 검사된다. 보케에 대한 감수성은, 대상물의 화상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케를 실시한 보케 화상(S)을 작성했을 때에,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착용자(W)가 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나, 불쾌감 없이 시인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 등에 의해 나타낸다.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강하면, 보케의 정도가 작은 화상에서도 불쾌감(위화감)을 느끼기 쉽다(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의 범위가 좁음). 한편,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약하면, 보케의 정도가 큰 화상에서도 불쾌감(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의 범위가 넓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보케 감수성 검사에 있어서, 착용자(W)가 허용 가능한 보케의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보케를 실시하기 전의 화상을 원화상(So)이라고 지칭한다.
안경점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원은, 착용자(W)에게, 착용자(W)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제시된 복수의 보케 화상(S) 및/또는 원화상(So)을 시인시킨다. 복수의 보케 화상(S)은 원화상(So)에 각각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된 것이다. 보케 화상(S) 및/또는 원화상(So)은, 태블릿형 단말,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지칭함) 등의 디스플레이, 종이 등의 인쇄물 등에 표시하여 착용자(W)에게 제시된다. 보케 화상(S)은 원화상(So)이 또렷하게 시인될 수 있는 시력으로 시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사원은 필요에 따라서 교정 렌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W)의 교정 시력을 조정한 후, 보케 화상(S)을 제시한다.
검사원은, 보케 화상(S)을 시인하고 있거나, 또는 시인한 착용자(W)로부터, 보케 화상(S)이 허용 가능한지를, 구두로, 혹은 버튼을 구비한 입력 기기 등을 이용하여 회답받는다. 검사원은, 복수의 보케 화상(S)에 대한 착용자(W)의 회답으로부터,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정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수치 등에 의해 나타내어 발주 장치에 입력한다. 즉, 보케 화상(S)은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도의 보케가 실시된 감수성 평가용의 화상이다.
도 1의 (a)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이 예에서는 2m)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a)에서는, 착용자(W)가 2m의 거리(Df)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f)는 1m 이상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및 이후에서 설명하는 근거리, 중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의 수치 범위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각 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는 한쪽 눈마다 실행하여도 좋다.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원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로서, 텔레비전, 방 또는 옥외의 풍경, 문자, 문장이 그려진 흑판, 백판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중거리(이 예에서는 80㎝)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b)에서는, 착용자(W)가 80㎝의 거리(Dm)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중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m)는 50cm 이상 1m 미만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중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중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중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로서, PC의 화면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1의 (c)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근거리(여기에서는 30cm)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c)에서는, 착용자(W)가 30cm의 거리(Dn)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근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n)는 25cm 이상 50cm 미만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근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근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근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의 예로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태블릿, 잡지, 신문지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보케 감수성 검사는,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중 1개의 거리에 있어서 실행하여도 좋고, 복수의 거리에서 실행하여도 좋다. 보케 감수성 검사는, 원거리, 중거리 및 근거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거리에서 실행하여도 좋다.
누진 굴절력 렌즈는, 원용부, 근용부, 및 원용부와 근용부를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접속하는 중간부를 구비하고, 중간부의 상방에 원용부가, 중간부의 하방에 근용부가 배치된 안경 렌즈이다. 원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에 대해 원거리 및 근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에 대해 중거리 및 근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원거리 또는 중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원용부의 설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근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근용부의 설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원화상(So) 및 보케 화상(S)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문자 「E」로 이루어지는 원화상(So)을 도시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원화상(So)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이다. 보케 화상(S1)은 근소한 윤곽의 일그러짐 등을 가지며, 보케의 정도는 작다. 보케 화상(S2)은 윤곽의 선이 명료하게 인식될 수 없을 정도로 되어 있으며, 보케의 정도는 중간 정도이다. 보케 화상(S3)은 전체적으로 불명료하게 되며, 보케의 정도는 크다.
보케 화상(S)은, 난시를 발생시키는 안광학계나,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안경 렌즈 등의 굴절체를 통하여 시인한 경우의 원화상(So)의 지각 화상을 가상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나, 굴절체의 비점수차의 정도는 작성된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이한 보케의 정도에 대응하는 보케 화상(S)에 대해 얻어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비점수차 등의 광학 특성을 착용자(W)에게 맞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보케 화상(S)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케 화상(S)의 작성 방법에서는, 안구(90)의 전면으로부터,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할 때의 착용자(W)와 보케 화상(S)의 거리(상술의 Df, Dm, Dn에 상당)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화상(So)을 배치하고, 안경 렌즈(L)를 원화상(So)으로부터 안구(90)의 망막을 향하는 광로 내에 배치하여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의 광선 추적이 실행된다. 광선 추적의 계산은 PC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선 추적을 실행하는 광선의 예로서, 원화상(So)의 도면 중 상단으로부터의 광속(F1)을 파선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원화상(So)의 도면 중 하단으로부터의 광속(F2)을 실선을 이용하여 나타냈다. 도 3의 예에서는, 안경 렌즈(L)와 안구(90) 내의 안광학계에 의한 굴절에 의해, 망막의 후방에 원화상(So)으로부터의 광선이 수속(收束)되어 있다. 즉, 초점은 망막 상에 없다. 이 경우, 망막에 투영되는 화상은 초점이 맞지 않는 정도만큼 흐릿하게 된다. 공지의 광선 추적 계산에 의해, 안광학계의 광축과 수직으로, 해당 광축과 망막의 교점을 포함하는 투영면(B)에 도달하는 원화상(So)으로부터의 광량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광선 추적으로 얻어진 투영면(B) 상에 도달하는 광량의 분포에 근거하여, 보케 화상(S)의 분포(예를 들면 휘도의 분포나 인쇄 화상의 경우는 색의 농도)가 결정된다.
도 3에서 도시된 광선 추적을 실행하는 모델에 있어서, 안경 렌즈(L) 등의 광학 특성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보케의 정도를 갖는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 안경 렌즈(L)의 비점수차 등을 변경하여 작성하는 것이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와 수차의 대응 관계를 얻는데도 바람직하다.
보케 감수성 검사에 사용하는 복수의 보케 화상을 작성할 때에, 수차는 안경 렌즈의 수차량 또는 안구의 수차량으로서 나타나며, 예를 들면 최소 수차량 0D로부터, 최대 수차량을 1D 내지 3D까지의 범위로 하고, 그 사이를 0.1D, 0.25D 혹은 0.5D 등 임의의 간격으로 작성한다. 비점수차와 같이 방향성을 가지는 수차의 경우는 수차의 각도 15도 내지 90도 사이의 임의의 간격으로 변화시켜, 보케 화상을 작성한다.
또한, 수차는 단일 수차가 아닌 상기 범위 내에서 복수의 수차나 구면 도수 에러를 합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케 화상(S)의 작성에 있어서, 대상물과의 거리, 착용자(W)의 연령이나 조절력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구축된 안구 모델을 이용해서 광선 추적을 실행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눈의 조절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다 정밀하게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서는, 얻어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점에 있어서의 목표 수차나, 허용되는 수차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고, 원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를 설계하는 예에 의해 설명한다.
안경 렌즈의 설계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따라서, 수차 등의 광학 특성이 적절히 설정된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은, 안경점(발주자)에 설치되는 발주 장치(1)와, 렌즈 메이커에 설치되는 수주 장치(2), 가공기 제어 장치(3), 및 안경 렌즈 가공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주 장치(1)와 수주 장치(2)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주 장치(2)에는, 가공기 제어 장치(3)가 접속되어 있으며, 가공기 제어 장치(3)에는 안경 렌즈 가공기(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의 사정 상, 발주 장치(1)를 1개만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안경점에 설치된 복수의 발주 장치(1)가 수주 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
발주 장치(1)는, 안경 렌즈의 발주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이며, 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통신부(13)와, 표시부(14)와, 입력부(15)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발주 장치(1)를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안경 렌즈의 발주 처리를 실행하는 발주 처리부(111)를 구비한다. 통신부(13)는 수주 장치(2)와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을 실행한다. 표시부(14)는, 예를 들어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발주하는 안경 렌즈의 정보(발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발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15)는,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15)를 거쳐서, 발주 화면의 내용에 따른 발주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표시부(14)와 입력부(15)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수주 처리나 설계 처리, 광학 성능의 연산 처리 등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며, 제어부(21)와, 기억부(22)와, 통신부(23)와, 표시부(24)와, 입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1)는, 기억부(2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수주 장치(2)를 제어한다. 제어부(21)는, 안경 렌즈의 수주 처리를 실행하는 수주 처리부(211)와, 안경 렌즈의 설계 처리를 실행하는 설계부(212)를 구비한다. 통신부(23)는 발주 장치(1)와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을 실행하거나, 가공기 제어 장치(3)와 통신을 실행한다. 기억부(22)는 안경 렌즈 설계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판독 가능하게 기억한다. 표시부(24)는, 예를 들어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안경 렌즈의 설계 결과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25)는,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24)와 입력부(25)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에 있어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좌측에는 안경점측에서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도 5의 우측에는 렌즈 메이커측에서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가 설계된다.
단계(S11)에 있어서, 발주자는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도 6은 단계(S11)를 복수의 단계로 더 나누어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111)에 있어서, 발주자는, 교정 렌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W)의 시력을 조절하고, 착용자(W)가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거리에 있는 원화상(So)을 또렷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111)가 종료되면, 단계(S112)로 진행한다.
단계(S112)에 있어서, 발주자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등에 있는 위치에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주자는, 원근용 누진 굴절력 렌즈의 작성을 위해, 원거리, 예를 들어 착용자(W)로부터 2m의 거리에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순차 제시한다. 발주자는, 예를 들어 착용자(W)로부터 30cm 등의 근거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순차 제시한다.
상이한 보케의 정도를 갖는 보케 화상(S)을 제시하는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케에 대한 익숙함이 생기지 않도록, 착용자가 충분히 허용 가능한 보케의 정도가 작은 화상을 적어도 수개의 화상에 1회의 비율로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12)가 종료되면, 단계(S113)로 진행한다.
단계(S113)에 있어서, 발주자는,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발주자는, 각 거리에 관하여, 착용자(W)가 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를 청취한다. 발주자는, 각 거리에 관하여, 착용자(W)가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수치로 변환하여 기록한다. 단계(S113)가 종료되면, 단계(S12)로 진행한다.
또한, 어느 거리에 대해 단계(S111 내지 S113)를 실행한 후, 다시 단계(S11)로 되돌아와서, 상이한 거리에 대해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각 거리에 대해서, 그 거리에 맞는 교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 근거리의 측정을 하는 경우는, 필요한 렌즈의 가입도에 따라서, 원용부의 처방에 구면 도수를 가입도의 도수정도 플러스하여 교정을 실행하고 나서 측정을 하는 등,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단계(S12)에 있어서, 발주자는, 단계(S113)에 있어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하는 안경 렌즈의 발주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발주자는 발주 장치(1)의 표시부(14)에 발주 화면을 표시시키고, 입력부(15)를 거쳐서 발주 정보를 입력한다.
도 7은 발주 화면(1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렌즈 정보 항목(101)에서는, 주문하는 렌즈의 상품명, 구면 도수(S 도수), 난시 도수(C 도수), 난시축도, 가입도 등의 렌즈 주문 도수에 관련된 항목을 입력한다. 가공 지정 정보 항목(102)은 주문하는 렌즈의 외경을 지정하는 경우나, 임의 점 두께를 지정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염색 정보 항목(103)은 렌즈의 색을 지정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피팅 포인트(FP) 정보(104)는 착용자(W)의 눈의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 PD는 동공간 거리를 나타낸다. 프레임 정보 항목(105)에서는, 프레임 모델명, 프레임 종별 등을 입력한다. 감수성 정보 항목(106)에서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있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입력한다. 도 7의 예에서는,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원거리 및 근거리 각각에서 10 단계의 수치로 나타냈다(원거리에서 「5」, 근거리에서 「4」). 도 7의 예에서는, 숫자가 크면 클수록,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강해지도록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정의하고 있다.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사용하는 화상은 이하와 같이 준비한다.
최소 수차량으로 작성한 화상을 10, 최대 수차량으로 작성한 화상을 0으로 하고, 각 화상을 10 단계로 구분한다. 그리고, 착용자가 최대한 허용 가능하다고 한 보케의 화상의 구분을 감수성의 강도의 측정값으로 한다.
또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표현 방법에 대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작을수록 큰 수치가 되도록 나타내도 좋고, 수치가 아닌 기호로 정의하여도 좋으며,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나타내고 전달할 수 있으면 특별히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발주 화면(100)에서는, 상술의 항목 이외에도, 프레임의 전경각, 캠버각(camber angle),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 등의 피팅 파라미터나 착용자(W)의 조절력에 관한 정보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원용부 및/또는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산출된 설계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설계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후술의 도 9의 파선 화살표 또는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용부 또는 근용부에 있어서 렌즈 상을 좌우로 연장하는 선분으로, 수차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는 길이 등으로 할 수 있다.
발주자가, 도 7의 발주 화면(100)의 각 항목을 입력하고, 송신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발주 장치(1)의 발주 처리부(111)는, 발주 화면(100)의 각 항목에서 입력된 정보(발주 정보)를 취득하고,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3)에 있어서, 발주 장치(1)는 해당 발주 정보를 통신부(13)를 거쳐서 수주 장치(2)로 송신한다.
발주 장치(1)에 있어서, 발주 화면(100)을 표시하는 처리, 발주 화면(100)에서 입력된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 해당 발주 정보를 수주 장치(2)에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발주 장치(1)의 제어부(11)가 기억부(12)에 미리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단계(S21)(도 5)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수주 처리부(211)는, 통신부(23)를 거쳐서, 발주 장치(1)로부터 발주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S22)로 진행한다. 단계(S22)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설계부(212)는 수신한 발주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의 설계를 실행한다.
도 8은 단계(S22)에 대응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221)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처방 데이터와,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원용부 및/혹은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 등의 설계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수주 장치(2)는 적절히 프레임의 전경각, 캠버각,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 등의 피팅 파라미터 등도 취득한다. 단계(S221)가 종료되면 단계(S222)로 진행한다.
단계(S222)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설계부(212)는, 단계(S221)에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
도 9는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한 목표 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 중앙에 4개의 수차 분포도를 나타내고, 도면의 가장 우측의 부분에는, 수차 분포도에서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있는 패턴에 대응하는 수차의 크기를 나타냈다. 파선 화살표는 원용부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되고, 수차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하인 부분의 폭을 나타내며, 이 길이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일점쇄선의 화살표는 근용부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되고, 수차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하인 부분의 폭을 나타내며, 이 길이는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파선 화살표 및 일점쇄선 화살표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되지만, 예를 들면 원용 측정 포인트의 위치(원용 도수 측정 위치)나, 근용 측정 포인트의 위치(근용 도수 측정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도 9에 도시한 4개의 수차 분포도 내에서, 좌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1)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약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는 좁지만, 비점수차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윤곽의 일그러짐은 작다. 우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2)는,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 좌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1)는, 근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 우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2)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근용부,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
단계(S223)(도 8)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렌즈 전체의 형상을 결정한다. 렌즈 전체의 형상이 결정되면, 단계(S224)로 진행한다. 단계(S224)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굴절력, 비점수차 등의 광학 특성이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S224)를 긍정 판정하고, 설계 처리를 종료하고, 단계(S23)(도 5 참조)로 진행한다.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단계(S224)를 부정 판정하고, 단계(S223)로 되돌아온다.
단계(S23)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단계(S22)에서 설계한 안경 렌즈의 설계 데이터를 가공기 제어 장치(3)로 출력한다. 가공기 제어 장치(3)는, 수주 장치(2)로부터 출력된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 가공기(4)에 가공 지시를 보낸다. 그 결과, 안경 렌즈 가공기(4)에 의해, 해당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는 안경 렌즈가 가공되어, 제조된다. 안경 렌즈 가공기(4)에 의해 제조된 안경 렌즈가 안경점에 출하되고, 안경 프레임에 끼워져서 고객(착용자(W))에게 제공된다.
또한, 수주 장치(2)에 있어서, 발주 장치(1)로부터 발주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 수신한 발주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처리, 안경 렌즈의 설계 데이터를 가공기 제어 장치(3)로 출력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수주 장치(2)의 제어부(21)가 기억부(22)에 미리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및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은,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한 안경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감수성에 관한 정보는 착용자(W)가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이다. 이에 의해, 허용 가능한 보케 화상(S)에 대응하는, 허용 가능한 수차의 범위를 참고로 하여, 착용자(W)에게 맞는 안경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케 화상(S)의 각각은 원화상(So)으로부터 사출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안경 렌즈(L)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이에 의해, 안경 렌즈 등의 굴절체에 의해 발생되는 보케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낸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보케 화상(S)을 작성하기 위한 광선 추적에서,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는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또는 난시축이 상이한 안경 렌즈(L)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안경 렌즈(L)의 수차와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를 대응시켜,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안경 렌즈(L)를 설계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원화상(So)은,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착용자(W)가 시인하는 것을 상정한 대상물의 화상이다. 이에 의해, 실제로 설계되는 안경 렌즈가 사용되는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복수의 보케 화상을 착용자(W)에게 제시하는 것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의 거리는 25cm 이상 50cm 미만의 근거리, 50cm 이상 1m 미만의 중거리 및 1m 이상의 원거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거리이다. 이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 각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W)가 교정 시력을 얻은 상태로 하여, 착용자(W)에게 보케 화상(S)을 시인시킨다. 이에 의해, 정확하게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한 누진 굴절력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발주 장치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5)와, 입력부(15)를 거쳐서 입력된 해당 정보 또는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1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한 안경 렌즈를 발주할 수 있다.
(10)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주 장치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해당 정보 또는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한 안경 렌즈를 수주, 설계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상술의 실시형태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 광선 추적을 하여 보케 화상(S)을 작성했지만, 일점으로부터의 광선 추적에 의해 점상 분포 함수(Point Spread Function; PSF)를 계산하고,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원화상(So)의 각 점의 휘도나 색의 농도를 합성곱 적분하는 것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도 좋다.
도 10의 (a)는 비점수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의 굴절력 에러에 의한 보케 화상(S4)의 작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원 안에 X가 그려진 기호는 합성곱 적분을 나타낸다. 원화상(So)을 방향 의존성이 없는 점상 분포(P1)에 대응하는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합성곱 적분하면, 보케 화상(S4)과 같은 각 점이 균일하게 흐릿한 것과 같은 화상이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보케 화상(S4)을 적절히, 방향 비의존적인 보케 화상이라고 지칭한다.
도 10의 (b)는 비점수차가 발생하는 경우의 보케 화상(S5)의 작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원 안에 X가 그려진 기호는 합성곱 적분을 나타낸다. 원화상(So)을 방향 의존성(비스듬한 45도 방향)을 갖는 점상 분포(P2)에 대응하는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합성곱 적분하면, 보케 화상(S5)과 같은 각 점이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여 흐릿한 화상이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보케 화상(S5)을 적절히,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이라고 지칭한다.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S)의 방향 의존성은 착용자(W)의 난시축의 방향에 근거하여 정해도 좋다.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 및 방향 비의존적인 보케 화상은,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 광선 추적하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광로 내에 삽입되는 안경 렌즈(L) 등의 굴절체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적절히 소망의 보케 정도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케 화상(S)은, 망막으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를 투과하여 망막에 입사할 때에 광선 추적하여 얻어지는 점상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각각 작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편하게 여러 가지 태양의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
(변형예 2)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광선 추적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했지만, PC 등의 연산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분포 함수를 커널(kernel)로 하여 화상의 각 점의 휘도 또는 색의 농도를 합성곱 연산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한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
(변형예 3)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계 방법에서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이 내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단초점 렌즈에 관해서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초점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렌즈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구면 도수로부터의 굴절력의 편차인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단초점 렌즈의 구면 도수 에러 및 비점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c)에 있어서,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도와 비점수차의 분포도를 도시하고, 도면의 가장 우측의 부분에는, 분포도에 이용되고 있는 패턴에 대응하는 구면 도수 에러 또는 수차의 크기를 도시했다.
도 11의 (a)는 비점수차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1) 및 비점수차의 분포(A1)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비점수차의 크기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강한 착용자(W)에게 매우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1의 (b)는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밸런스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b)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2) 및 비점수차의 분포(A2)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비점수차의 크기는 도 11의 (a)의 예보다 크기는 하지만, 구면 도수 에러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평균적인 착용자(W)에게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1의 (c)는 구면 도수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c)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3) 및 비점수차의 분포(A3)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구면 도수 에러의 크기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약한 착용자(W)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변형예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시야의 주변부에 관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하여, 착용자(W)에게 맞는 단초점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4)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계 파라미터를 착용자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측정값과 보케 감수성 검사를 받은 다수의 시험자의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하와 같이 설정하여도 좋다.
사전에 다수(예를 들면, 30명 이상)의 시험자에게 실행된 검사 결과로부터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의 측정값의 평균값 M과 표준 편차 σ를 구한다. 시험자는, 예를 들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경우는 40대 이상의 연령의 시험자, 단초점 렌즈의 경우는 40대 미만의 시험자와 같이, 연대별로 나누어서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원거리 감수성 범위 정수 K를 상기 측정값의 표준 편차 σ의 1배 내지 3배까지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거리의 수차의 감수성의 고저차를 렌즈의 설계에 크게 반영시키는 경우는 K값을 작게 하고, 반대로 원거리의 수차의 감수성의 고저차를 렌즈의 설계에 작게 반영시키는 경우는 K값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원용부 설계 파라미터 P는 착용자의 원거리 감수성 측정값 D로부터
P = (D-M)/K
의 형태로 계산된다.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목표값 Rtf는 최대값 Rfmax와 최소값 Rfmin으로부터 설계 파라미터 P를 이용하여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한다.
Rft = (Rfmax+Rfmin)/2 + P*(Rfmax-Rfmin)/2
근거리에 대해서도 동일한 계산을 실행한다. 단, Rft>Rfmax의 경우, Rft는 Rfmax로 하고, Rft<Rmin의 경우, Rft는 Rfmin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목표값 Rnt를 구한다.
도 9에 도시한 4개의 수차 분포도 중에서, 좌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1)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이 양쪽 최소값 Rfmin, Rnmin을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는 좁지만, 비점수차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윤곽의 일그러짐은 작다. 우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2)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대값 Rfmax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소값 Rnmin을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원거리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 좌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1)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소값 Rfmin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대값 Rnmax를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근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 우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2)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이 양쪽 모두 최대값 Rfmax, Rnmax를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
설계의 목표값은 이 4개의 각을 갖는 사각의 범위 중에서, 원거리 목표값 Rft, 근거리 목표값 Rnt의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중간부에 대해서도,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원용부, 중간부, 또는 근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있어서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보다 착용자에게 맞는 누진 굴절력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고려할 수 있는 그 이외의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도입된다.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233004 호(2016년 11월 30일 출원)
1 : 발주 장치 2 : 수주 장치
9 : 가입도 특성 그래프 10 :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11 : 발주 장치의 제어부 13 : 발주 장치의 통신부
21 : 수주 장치의 제어부 23 : 수주 장치의 통신부
100 : 발주 화면 106 : 감수성 정보 항목
S : 보케 화상 So : 원화상
W : 착용자

Claims (18)

  1.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보케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인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은, 망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를 투과하여 상기 망막에 입사할 때에 광선 추적하여 얻어지는 점상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각각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는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또는 난시축이 상이한 안경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임의의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원화상의 각 점의 휘도 또는 색의 농도의 합성곱 연산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화상은, 상기 착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가 시인하는 것을 상정한 대상물의 화상인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을 상기 착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가 교정 시력을 얻은 상태로 하여, 상기 착용자에게 상기 보케 화상을 시인시키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0.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1.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원용부, 중간부, 또는 근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있어서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2.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3.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14.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거쳐서 입력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 발주 장치.
  15.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 수주 장치.
  16. 청구항 14에 기재된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청구항 15에 기재된 안경 렌즈 수주 장치를 구비하는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7015372A 2016-11-30 2017-11-13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KR102280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3004 2016-11-30
JPJP-P-2016-233004 2016-11-30
PCT/JP2017/040785 WO2018101015A1 (ja) 2016-11-30 2017-11-13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発注装置、眼鏡レンズ受注装置、眼鏡レンズ受発注システム、累進屈折力レンズ、単焦点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24A KR20190068624A (ko) 2019-06-18
KR102280371B1 true KR102280371B1 (ko) 2021-07-21

Family

ID=6224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72A KR102280371B1 (ko) 2016-11-30 2017-11-13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8953B2 (ko)
EP (1) EP3550356A4 (ko)
JP (1) JP6994468B2 (ko)
KR (1) KR102280371B1 (ko)
CN (2) CN113325607A (ko)
CA (1) CA3044515C (ko)
WO (1) WO2018101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536B1 (ja) * 2019-02-06 2019-12-04 寛惠 榎 視認性評価装置、視認性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視認性評価方法
EP3736617A1 (de) * 2019-05-10 2020-11-11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ischen korrektionsmittels
CA3168630A1 (en) 2020-02-06 2021-08-12 Nikon-Essilor Co., Ltd.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for ophthalmic lenses and the design, manufacture, and ordering thereof
WO2023248717A1 (ja) * 2022-06-22 2023-12-28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感受性の評価方法および一対の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WO2024034373A1 (ja) * 2022-08-12 2024-02-1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決定支援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25A (ja) * 2001-04-20 2002-10-29 Menicon Co Ltd 視力検査表
US20120092614A1 (en) * 2009-06-10 2012-04-19 Drobe Bjoern Manufacturing of progressive spectacle lens customized based on blur perception
JP2013217948A (ja) 2012-03-12 2013-10-24 Nikon-Essilor Co Ltd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14203440A1 (ja) 2013-06-19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WO2015150432A1 (en) 2014-04-03 2015-10-0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progressive ophthalmic le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9864B2 (en) 1999-02-12 2004-02-05 Hoya Corporation Eye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1158338B1 (en) * 2000-05-22 2006-03-01 Hoya Corporation Method for simulating an ocula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UPQ842800A0 (en) * 2000-06-28 2000-07-20 Aivision Pty Ltd Flat screen vision testing
JP3735842B2 (ja) * 2002-05-28 2006-01-18 Hoya株式会社 眼光学系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を駆動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06702B2 (ja) * 2006-08-0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ガネレンズ発注システム
US7771051B2 (en) * 2007-06-13 2010-08-10 Rahim Hirji Near eye opthalmic device
CN102007445B (zh) 2008-04-28 2012-11-28 Hoya株式会社 基于透镜的设计标准的透镜的设计方法
WO2009135058A2 (en) * 2008-04-30 2009-11-05 Ophthonix, Inc. Method of designing progressive addition lenses
FR2944364B1 (fr) * 2009-04-14 2011-09-02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de lunettes personnalise en fonction d'une perception de flou
FR2947165B1 (fr) 2009-06-29 2011-08-19 Essilor Int Caracterisation d'une perception de flou
JP5725646B2 (ja) * 2010-03-10 2015-05-27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累進屈折力レンズ設計システム、および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WO2013027755A1 (ja) 2011-08-24 2013-02-28 Hoya株式会社 眼鏡装用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装置、眼鏡レンズ発注システム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EP2642332B1 (en) * 2012-03-23 2015-05-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wearer
US9791718B2 (en) * 2012-07-31 2017-10-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designed to inhibit progressive myopia of the wearer
US20150230744A1 (en) * 2012-08-10 2015-08-20 Valorisation-Recherche,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stimulus property perceived by a subject
US10678815B2 (en) * 2012-10-02 2020-06-09 Banjo, Inc. Dynamic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9265412B2 (en) * 2013-08-27 2016-02-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ans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the effects of low cylinder astigmatism correction
EP3088938A4 (en) * 2013-12-26 2017-08-02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lens supply system
JP2015194511A (ja) * 2014-03-31 2015-11-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供給システム
US9980638B2 (en) * 2014-05-12 2018-05-2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refractive error and ophthalmic lenses provided therefrom
EP3006991A1 (en) * 2014-10-08 2016-04-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determining a lens design of an optical lens adapted to a wear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25A (ja) * 2001-04-20 2002-10-29 Menicon Co Ltd 視力検査表
US20120092614A1 (en) * 2009-06-10 2012-04-19 Drobe Bjoern Manufacturing of progressive spectacle lens customized based on blur perception
JP2013217948A (ja) 2012-03-12 2013-10-24 Nikon-Essilor Co Ltd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14203440A1 (ja) 2013-06-19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150235427A1 (en) * 2013-06-19 2015-08-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WO2015150432A1 (en) 2014-04-03 2015-10-0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progressive ophthalmic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25607A (zh) 2021-08-31
EP3550356A4 (en) 2020-08-12
KR20190068624A (ko) 2019-06-18
JPWO2018101015A1 (ja) 2019-10-17
WO2018101015A1 (ja) 2018-06-07
US11428953B2 (en) 2022-08-30
CA3044515C (en) 2021-08-03
JP6994468B2 (ja) 2022-01-14
CN110050225A (zh) 2019-07-23
US20190271859A1 (en) 2019-09-05
CA3044515A1 (en) 2018-06-07
EP3550356A1 (en)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371B1 (ko)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
US10958898B2 (en) Image creation device, method for image creation, image creation program,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CN105163649A (zh) 计算机化屈光和散光确定
CN104335103A (zh) 用于为佩戴者提供个性化眼镜片光学系统的方法
EP1158338A2 (en) Method for simulating an ocula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07723B1 (ko) 안구 렌즈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연관된 평가 시스템 및 안구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산업용 조립체
US11754856B2 (en)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eyeglass lens, eyeglass lens ordering device, eyeglass lens order receiving device, and eyeglass lens ordering and order receiving system
US20220350162A1 (en)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ophthalmic lens design method,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method, ophthalmic lens, ophthalmic lens ordering device, ophthalmic lens order receiving device, and ophthalmic lens order receiving/ordering system
CN113993441A (zh) 用于交互式测量眼屈光不正、阅读镜加光度和度数的计算机实现方法和系统
CN113613546A (zh) 评估用于视觉任务的视觉设备的性能的装置和方法
KR20210152176A (ko) 맞춤형 아이웨어 제작 방법 및 장치
JP6273444B2 (ja) 眼鏡レンズの視距離算出方法、視距離表示装置及び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
JP2015075342A (ja) レンズの光学性能評価方法、設計方法及びレンズの光学性能表示方法
JP2022512186A (ja) コンピュータ支援光学系を利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4137879A1 (en) Eyeglasses lens evaluation device
JP2020003510A (ja)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CN108066006A (zh) 视力矫正效果模拟系统及方法
JP2013167829A (ja) 眼鏡装用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眼鏡装用シミュレーション情報の提供方法及び眼鏡装用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