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371B1 -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 Google Patents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371B1
KR102280371B1 KR1020197015372A KR20197015372A KR102280371B1 KR 102280371 B1 KR102280371 B1 KR 102280371B1 KR 1020197015372 A KR1020197015372 A KR 1020197015372A KR 20197015372 A KR20197015372 A KR 20197015372A KR 102280371 B1 KR102280371 B1 KR 10228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keh
wearer
lens
spectacle lens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624A (en
Inventor
성진 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19006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6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은,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한다.A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involves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an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nd making the wearer see it,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wearer's sensitivity to bokeh, and the wearer's bokeh and designing spectacle lens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to .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안경 렌즈 발주 장치, 안경 렌즈 수주 장치,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누진 굴절력 렌즈, 단초점 렌즈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과,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과,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과, 누진 굴절력 렌즈와, 단초점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a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a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a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and a monofocal lens.

각각의 착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 방법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착용자의 생활 환경 정보 등을 고려하여 렌즈 설계 기준을 선택하고 있다.In order to realize spectacle lens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arer, various design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lens design standards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l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국제 공개 제 2009/133887 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9/133887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은,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bokeh)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視認)시키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signing a spectacle lens comprises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an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nd making the wearer visually recognize it; acquiring information on sensitivity to bokeh, and designing spectacle lenses based on information on sensitivity to bokeh of the wearer.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은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를 설계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designs the spectacle lens by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first aspect.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발주 장치는,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거쳐서 입력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relates to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to the bokeh obtained by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nd making the wearer visually recognize 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put via the input unit or a design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o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수주 장치는, 원화상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lens order receiving device relates to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to bokeh obtained by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nd making the wearer visually recognize it.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r a design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design unit for designing a spectacle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or the design parameter.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은, 제 3 태양의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제 4 태양의 안경 렌즈 수주 장치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tacle lens order ordering system includes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and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설계된 것이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essive-power lens is designed by the method of setting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first aspect.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단초점 렌즈는, 제 1 태양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설계된 것이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focal lens is designed by the method of setting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monofocal lens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first aspect. .

도 1의 (a)는 제시하는 화상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의 일 실시형태의 설계 방법에 따른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1의 (b)는 제시하는 화상이 중거리에 있는 경우의 해당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1의 (c)는 제시하는 화상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의 해당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의 (a)는 보케 화상으로 가공하기 전의 원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의 (b)는 보케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발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누진 굴절력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의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는 방향 의존성이 없는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0의 (b)는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단초점 렌즈에 있어서의 구면 도수 에러 및 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a)는 비점수차를 중시하는 경우, (b)는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밸런스를 중간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 (c)는 구면 도수를 중시하는 경우의 예이다.
Fig. 1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spect of an inspe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of an embodiment when the image to be presented is at a long distance, and Fig. 1 (b) is the case when the image to be presented is at a medium distanc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aspect of a test|inspection, and Fig.1 (c)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aspect of the said test|inspection when the image to be presented is near.
Fig. 2(a) is a diagram showing an original image before processing into a bokeh image,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okeh imag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reating a bokeh image.
4 is a view showing a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5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ethod for designing a spectacl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ethod for designing a spectacl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rder screen.
8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ethod for designing a spectacl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an aberration in a progressive-power lens.
FIG. 10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reating a direction-dependent bokeh image, and FIG. 10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reating a direction-dependent bokeh imag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pherical power error and aberration in a monofocal lens, (a) is a case where astigmatism is emphasized, (b) is a case where the spherical power error and astigmatism are balanced to an intermediate degree. When setting, (c)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pherical power is emphasized.

이하에서는,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과,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과,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주 장치와,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굴절력의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옵터(D)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상방」, 「하방」, 「상부」, 「하부」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는, 해당 안경 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렌즈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a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and the like of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nit of refractive power shall be expressed by diopter (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expressing "upper", "lower", "upper", "lower", etc. of a spectacle lens, it shall be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lens when the spectacle lens is worn. .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착용자에 대해 실행하는 보케 감수성 검사의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가 검사된다. 보케에 대한 감수성은, 대상물의 화상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케를 실시한 보케 화상(S)을 작성했을 때에,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착용자(W)가 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나, 불쾌감 없이 시인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 등에 의해 나타낸다.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강하면, 보케의 정도가 작은 화상에서도 불쾌감(위화감)을 느끼기 쉽다(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의 범위가 좁음). 한편,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약하면, 보케의 정도가 큰 화상에서도 불쾌감(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의 범위가 넓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보케 감수성 검사에 있어서, 착용자(W)가 허용 가능한 보케의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보케를 실시하기 전의 화상을 원화상(So)이라고 지칭한다.1 is a diagram showing an aspect of a bokeh sensitivity test performed on a wearer of a designed spectacle lens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bokeh sensitivity test, information regarding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in the visual field is inspected. Sensitivity to bokeh is the degree of bokeh that can be tolerated by the wearer W who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when a bokeh image S in which bokeh is applied to the image of an object in various ways is created, or discomfort. It is expressed by the degree of bokeh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If the sensitivity to bokeh is strong, it is easy to feel discomfort (incongruity) even in an image with a small degree of bokeh (the range of the degree of bokeh that can be tolerated is narrow). On the other hand, if the sensitivity to bokeh is weak, it is difficult to feel discomfort (incongruity) even in an image with a large degree of bokeh (the range of the degree of bokeh that can be tolerated is wid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case in which the wearer W measures the allowable degree of bokeh in the bokeh sensitivity tes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image before the bokeh is referred to as an original image So.

안경점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원은, 착용자(W)에게, 착용자(W)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제시된 복수의 보케 화상(S) 및/또는 원화상(So)을 시인시킨다. 복수의 보케 화상(S)은 원화상(So)에 각각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된 것이다. 보케 화상(S) 및/또는 원화상(So)은, 태블릿형 단말,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지칭함) 등의 디스플레이, 종이 등의 인쇄물 등에 표시하여 착용자(W)에게 제시된다. 보케 화상(S)은 원화상(So)이 또렷하게 시인될 수 있는 시력으로 시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사원은 필요에 따라서 교정 렌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W)의 교정 시력을 조정한 후, 보케 화상(S)을 제시한다.In an optician, an inspector who performs a bokeh sensitivity test causes the wearer W to visually see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and/or original images So prese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earer W.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S are created by applying different degrees of bokeh to the original image So. The bokeh image S and/or the original image So is presented to the wearer W by displaying it on a display such as a tablet-type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 or a printed material such as pa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keh image S is visually recognized with the original image So clearly visible, and the inspector adjusts the corrected vision of the wearer W by using a corrective lens, etc., if necessary, and then the bokeh image (S) is presented.

검사원은, 보케 화상(S)을 시인하고 있거나, 또는 시인한 착용자(W)로부터, 보케 화상(S)이 허용 가능한지를, 구두로, 혹은 버튼을 구비한 입력 기기 등을 이용하여 회답받는다. 검사원은, 복수의 보케 화상(S)에 대한 착용자(W)의 회답으로부터,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정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수치 등에 의해 나타내어 발주 장치에 입력한다. 즉, 보케 화상(S)은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도의 보케가 실시된 감수성 평가용의 화상이다.The inspector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or receives a reply from the visually recognized wearer W whether the bokeh image S is acceptable orally or using an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button or the like. The inspector, from the response of the wearer W to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S, indicates the degree of sensitivity to the bokeh in the field of view of the wearer W by a numerical value or the lik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inputs it to the ordering device. do. That is, the bokeh image S is an image for sensitivity evaluation in which a degree of bokeh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is applied.

도 1의 (a)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이 예에서는 2m)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a)에서는, 착용자(W)가 2m의 거리(Df)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f)는 1m 이상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Fig. 1 (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keh sensitivity test in the case where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presented at a position at a distance (2 m in this example) from the wearer W. As shown in FIG. In Fig. 1(a), the line of sight when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in the distance Df of 2 m with both eyes was shown typically with the solid arrow. In the long-distance bokeh sensitivity test, the distance Df from the eyes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image S can be appropriately set to a distance of 1 m or more.

또한, 원거리 및 이후에서 설명하는 근거리, 중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의 수치 범위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각 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는 한쪽 눈마다 실행하여도 좋다.In addition, you may change suitably the numerical range of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a long distance and a short-distance and a medium-distan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bokeh sensitivity test at each distance may be performed for each eye.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원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로서, 텔레비전, 방 또는 옥외의 풍경, 문자, 문장이 그려진 흑판, 백판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The bokeh image (S) presented in the long-distance bokeh sensitivity test is an image of characters, symbols, or sentences, or an image of an object that the wearer (W) recognizes from a distance in daily life or in a specific situation as the original image (So). It is preferable to write As the object visually recognized from a distance, a TV, a blackboard, a whiteboard, etc. on which the scenery, characters, and sentences are drawn can be appropriately used in a room or outdoors.

도 1의 (b)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중거리(이 예에서는 80㎝)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b)에서는, 착용자(W)가 80㎝의 거리(Dm)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중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m)는 50cm 이상 1m 미만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Fig. 1 (b)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keh sensitivity test in the case where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presented at a position at an intermediate distance (80 cm in this example) from the wearer W. As shown in FIG. In FIG.1(b), the line-of-sight in the case where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in the distance Dm of 80 cm with both eyes was shown typically with the solid arrow. In the intermediate-distance bokeh sensitivity test, the distance Dm from the wearer W's eye to the bokeh image S can be appropriately set to a distance of 50 cm or more and less than 1 m.

중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중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중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로서, PC의 화면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The bokeh image (S) presented in the mid-range bokeh sensitivity test is an image of a character, symbol, or sentence or an image of an object that the wearer (W) recognizes at a mid-range in daily life or in a specific situation as the original image (So). It is preferable to write As the object visually recognized from a medium distance, a PC screen or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used.

도 1의 (c)는, 착용자(W)가 착용자(W)로부터 근거리(여기에서는 30cm)에 있는 위치에 제시된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경우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c)에서는, 착용자(W)가 30cm의 거리(Dn)에 있는 보케 화상(S)을 양쪽 눈에 의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선을 실선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근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는, 착용자(W)의 눈으로부터 보케 화상(S)까지의 거리(Dn)는 25cm 이상 50cm 미만의 거리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Fig. 1 (c)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keh sensitivity test in the case where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presented at a position at a short distance (here, 30 cm) from the wearer W. As shown in FIG. In FIG.1(c), the line-of-sight in the case where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s the bokeh image S in the distance Dn of 30 cm with both eyes was shown typically by the solid arrow. In the near-field bokeh sensitivity test, the distance Dn from the eye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image S can be appropriately set to a distance of 25 cm or more and less than 50 cm.

근거리의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제시하는 보케 화상(S)은, 문자, 기호 혹은 문장의 화상 또는 착용자(W)가 일상 생활 혹은 특정 상황에 있어서 근거리에서 시인하는 대상물의 화상을 원화상(So)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근거리에서 시인하는 해당 대상물의 예로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태블릿, 잡지, 신문지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The bokeh image (S) presented in the near-field bokeh sensitivity test is an image of a character, symbol, or sentence or an image of an object that the wearer (W) recognizes at close range in daily life or in a specific situation as the original image (So). It is preferable to write As an example of the said target visually recognized at a short distance, mobile phon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magazine, newspaper, etc. can be used suitably.

보케 감수성 검사는,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중 1개의 거리에 있어서 실행하여도 좋고, 복수의 거리에서 실행하여도 좋다. 보케 감수성 검사는, 원거리, 중거리 및 근거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거리에서 실행하여도 좋다.The bokeh sensitivity test may be performed at one distance among a long distance, a medium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or may be performed at a plurality of distances. The bokeh sensitivity test may be performed at two or more di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ong distance, a medium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누진 굴절력 렌즈는, 원용부, 근용부, 및 원용부와 근용부를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접속하는 중간부를 구비하고, 중간부의 상방에 원용부가, 중간부의 하방에 근용부가 배치된 안경 렌즈이다. 원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에 대해 원거리 및 근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에 대해 중거리 및 근거리에 있어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원거리 또는 중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원용부의 설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근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근용부의 설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ogressive power lens is a spectacle lens comprising a distance part, a near part, and an intermediate part connecting the distance part and the near part so that the refractive index changes continuously, and the distance part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part and the near part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art. In the design of a progressive-power lens having a far portion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a distance and a near portion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the near distanc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bokeh sensitivity test on the wearer W at a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 In the design of a progressive-power lens having a far portion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an intermediate distance and a near portion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the near distanc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bokeh sensitivity test on the wearer W at the intermediate and near distances. . In designing a progressive-power len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bokeh sensitivity test for far or intermediate distances for the design of the far distance part,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near distance part for the design of the near distance part.

도 2는 원화상(So) 및 보케 화상(S)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문자 「E」로 이루어지는 원화상(So)을 도시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원화상(So)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이다. 보케 화상(S1)은 근소한 윤곽의 일그러짐 등을 가지며, 보케의 정도는 작다. 보케 화상(S2)은 윤곽의 선이 명료하게 인식될 수 없을 정도로 되어 있으며, 보케의 정도는 중간 정도이다. 보케 화상(S3)은 전체적으로 불명료하게 되며, 보케의 정도는 크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image So and a bokeh image S. As shown in FIG. Fig. 2(a) shows an original image So composed of the letter "E". Fig. 2(b) i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created by applying different degrees of bokeh from the original image So of Fig. 2(a). The bokeh image S1 has slight outline distortion and the like, and the degree of bokeh is small. In the bokeh image S2, the outline line is not clearly recognized, and the degree of the bokeh is medium. The bokeh image S3 becomes indistinct as a whole, and the degree of the bokeh is large.

보케 화상(S)은, 난시를 발생시키는 안광학계나,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안경 렌즈 등의 굴절체를 통하여 시인한 경우의 원화상(So)의 지각 화상을 가상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나, 굴절체의 비점수차의 정도는 작성된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이한 보케의 정도에 대응하는 보케 화상(S)에 대해 얻어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비점수차 등의 광학 특성을 착용자(W)에게 맞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The bokeh image S is a virtual creation of a perceived image of the original image So when visually viewed through an ophthalmic optical system that generates astigmatism or a spectacle lens that generates astigmatism.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and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refractive body correspond to the degree of bokeh of the created bokeh image S. Therefor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bokeh image 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degrees of bokeh,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astigmatism of the spectacle lens to be designed are appropriately matched to the wearer W. can be set.

도 3은 보케 화상(S)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케 화상(S)의 작성 방법에서는, 안구(90)의 전면으로부터,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할 때의 착용자(W)와 보케 화상(S)의 거리(상술의 Df, Dm, Dn에 상당)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화상(So)을 배치하고, 안경 렌즈(L)를 원화상(So)으로부터 안구(90)의 망막을 향하는 광로 내에 배치하여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의 광선 추적이 실행된다. 광선 추적의 계산은 PC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reating a bokeh image S. As shown in FIG. In the method of creating the bokeh image S,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er W and the bokeh image S (corresponding to Df, Dm, and Dn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yeball 90 when the bokeh sensitivity test is performed. Ray tracing from each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o is performed by arranging the original image So at the position, and placing the spectacle lens L in the optical path from the original image So to the retina of the eyeball 90. . The calculation of the ray tracing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using a PC or the like.

도 3에서는, 광선 추적을 실행하는 광선의 예로서, 원화상(So)의 도면 중 상단으로부터의 광속(F1)을 파선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원화상(So)의 도면 중 하단으로부터의 광속(F2)을 실선을 이용하여 나타냈다. 도 3의 예에서는, 안경 렌즈(L)와 안구(90) 내의 안광학계에 의한 굴절에 의해, 망막의 후방에 원화상(So)으로부터의 광선이 수속(收束)되어 있다. 즉, 초점은 망막 상에 없다. 이 경우, 망막에 투영되는 화상은 초점이 맞지 않는 정도만큼 흐릿하게 된다. 공지의 광선 추적 계산에 의해, 안광학계의 광축과 수직으로, 해당 광축과 망막의 교점을 포함하는 투영면(B)에 도달하는 원화상(So)으로부터의 광량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광선 추적으로 얻어진 투영면(B) 상에 도달하는 광량의 분포에 근거하여, 보케 화상(S)의 분포(예를 들면 휘도의 분포나 인쇄 화상의 경우는 색의 농도)가 결정된다.In Fig. 3, as an example of a ray for ray tracing, a luminous flux F1 from the upper end in the drawing of the original image So is shown using a broken line, and a luminous flux F2 from the lower end in the drawing of the original image So. ) is shown using a solid line. In the example of FIG. 3 , the light rays from the original image So are converged behind the retina by refraction by the spectacle lens L and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in the eyeball 90 . That is, the focus is not on the retina. In this case, the image projected on the retina becomes blurry to the extent that it is out of focus. By a known ray tracing calcul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distribution of the amount of light from the original image So reaching the projection plane B including the inters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retina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on the projection surface B obtained by this ray tracing, the distribution of the bokeh image S (for example, distribution of luminance or density of color in the case of a printed image) is determined.

도 3에서 도시된 광선 추적을 실행하는 모델에 있어서, 안경 렌즈(L) 등의 광학 특성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보케의 정도를 갖는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 안경 렌즈(L)의 비점수차 등을 변경하여 작성하는 것이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와 수차의 대응 관계를 얻는데도 바람직하다.In the model for performing ray tracing shown in Fig. 3, by appropriately changing optical properties of the spectacle lens L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create a bokeh image 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bokeh. It is also preferable to create by changing the astigmatism or the like of the spectacle lens L to obtain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bokeh of the bokeh image S and the aberration.

보케 감수성 검사에 사용하는 복수의 보케 화상을 작성할 때에, 수차는 안경 렌즈의 수차량 또는 안구의 수차량으로서 나타나며, 예를 들면 최소 수차량 0D로부터, 최대 수차량을 1D 내지 3D까지의 범위로 하고, 그 사이를 0.1D, 0.25D 혹은 0.5D 등 임의의 간격으로 작성한다. 비점수차와 같이 방향성을 가지는 수차의 경우는 수차의 각도 15도 내지 90도 사이의 임의의 간격으로 변화시켜, 보케 화상을 작성한다.When crea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used for the bokeh sensitivity test, the aberration is expressed as the amount of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or the amount of the eyeball, for example, the minimum amount of aberration 0D to the maximum amount of aberration 1D to 3D, , are created at arbitrary intervals such as 0.1D, 0.25D, or 0.5D between them. In the case of an aberration having directionality such as astigmatism, the angle of the aberration is changed at an arbitrary interval between 15 degrees and 90 degrees to create a bokeh image.

또한, 수차는 단일 수차가 아닌 상기 범위 내에서 복수의 수차나 구면 도수 에러를 합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케 화상(S)의 작성에 있어서, 대상물과의 거리, 착용자(W)의 연령이나 조절력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구축된 안구 모델을 이용해서 광선 추적을 실행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눈의 조절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다 정밀하게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ynthesize a plurality of aberrations or spherical power errors within the above range, rather than a single aberration. In the creation of the bokeh image S, the ray tracing may be performed using an eye model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e age of the wearer W, the strength of the accommodative power, and the like. Thereby, the bokeh image S can be created more precisely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he accommodative force of the eye.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서는, 얻어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점에 있어서의 목표 수차나, 허용되는 수차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rget aberration at one or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pectacle lens to be designed and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permissible aberration can be set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here is.

이하에서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고, 원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와, 근거리에 대응하는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를 구비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를 설계하는 예에 의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designing a progressive-power lens including a distance part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a distance and a near part having a refr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a short distance by performing a bokeh sensitivity test at a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will be described below.

안경 렌즈의 설계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따라서, 수차 등의 광학 특성이 적절히 설정된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A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design of spectacle lenses will be described. Th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 spectacle lens in which optical properties such as aberration ar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은, 안경점(발주자)에 설치되는 발주 장치(1)와, 렌즈 메이커에 설치되는 수주 장치(2), 가공기 제어 장치(3), 및 안경 렌즈 가공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주 장치(1)와 수주 장치(2)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주 장치(2)에는, 가공기 제어 장치(3)가 접속되어 있으며, 가공기 제어 장치(3)에는 안경 렌즈 가공기(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의 사정 상, 발주 장치(1)를 1개만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안경점에 설치된 복수의 발주 장치(1)가 수주 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tacle lens order/order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10 includes an ordering device 1 installed at an optical shop (orderer), an ordering device 2 installed at a lens maker, a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and a spectacle lens processing machine 4 . is composed by The ordering device 1 and the ordering device 2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a network 5 such as the Internet, for example. Further, a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is connected to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 and a spectacle lens processing machine 4 is connected to the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ordering device 1 is described in FIG. 4 for the sake of illustration, in reality, a plurality of ordering devices 1 provided in a plurality of opticians are connected to the ordering device 2 .

발주 장치(1)는, 안경 렌즈의 발주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이며, 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통신부(13)와, 표시부(14)와, 입력부(15)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발주 장치(1)를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안경 렌즈의 발주 처리를 실행하는 발주 처리부(111)를 구비한다. 통신부(13)는 수주 장치(2)와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을 실행한다. 표시부(14)는, 예를 들어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발주하는 안경 렌즈의 정보(발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발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15)는,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15)를 거쳐서, 발주 화면의 내용에 따른 발주 정보가 입력된다.The ordering device 1 is a computer that executes ordering processing for spectacle lense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1 , a storage unit 12 , a communication unit 13 , a display unit 14 , and an input unit 15 . .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ordering device 1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The control unit 11 includes an ordering processing unit 111 that executes ordering processing for spectacle lenses. The communication unit 13 performs communication via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and the network 5 . The display unit 14 is,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an order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of spectacle lenses to be ordered. The input unit 15 includes, for example, a mouse, a keyboard, or the like. For example, via the input unit 15,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order screen is input.

또한, 표시부(14)와 입력부(15)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display part 14 and the input part 15 may be comprised integrally by a touch panel etc.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수주 처리나 설계 처리, 광학 성능의 연산 처리 등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며, 제어부(21)와, 기억부(22)와, 통신부(23)와, 표시부(24)와, 입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1)는, 기억부(2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수주 장치(2)를 제어한다. 제어부(21)는, 안경 렌즈의 수주 처리를 실행하는 수주 처리부(211)와, 안경 렌즈의 설계 처리를 실행하는 설계부(212)를 구비한다. 통신부(23)는 발주 장치(1)와 네트워크(5)를 거쳐서 통신을 실행하거나, 가공기 제어 장치(3)와 통신을 실행한다. 기억부(22)는 안경 렌즈 설계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판독 가능하게 기억한다. 표시부(24)는, 예를 들어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안경 렌즈의 설계 결과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25)는,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rder receiving device 2 is a computer that executes order receiving processing, designing processing, optical performance arithmetic processing, and the like for spectacle lense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21 , a storage unit 22 , a communication unit 23 , and a display unit 24 . ) and the input unit 25 .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 The control unit 21 includes an order receiving processing unit 211 for executing an order receiving processing for spectacle lenses, and a designing unit 212 for executing a spectacle lens design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unit 23 performs communication via the ordering device 1 and the network 5 , or communicates with the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 The storage unit 22 readably stores various data for spectacle lens design. The display unit 24 is,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the design result of the spectacle lens and the like. The input unit 25 includes, for example, a mouse, a keyboard, and the like.

또한, 표시부(24)와 입력부(25)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display part 24 and the input part 25 may be comprised integrally by a touch panel etc.

다음에,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에 있어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좌측에는 안경점측에서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도 5의 우측에는 렌즈 메이커측에서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가 설계된다.Next, the procedure for providing spectacle lenses in th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10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 On the left side of Fig. 5, the procedure executed by the optician is shown, and on the right side of Fig. 5, the procedure executed on the lens maker side is shown. In the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in the spectacle lens order/order system 10, the spectacle lens is designed by the above-described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단계(S11)에 있어서, 발주자는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In step S11, the orderer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도 6은 단계(S11)를 복수의 단계로 더 나누어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111)에 있어서, 발주자는, 교정 렌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W)의 시력을 조절하고, 착용자(W)가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거리에 있는 원화상(So)을 또렷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111)가 종료되면, 단계(S112)로 진행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 S11 by further dividing the step S11 into a plurality of steps. In step S111, the orderer adjusts the eyesight of the wearer W by using a corrective lens or the like, and the wearer W clearly recognizes the original image So at a distance at which the bokeh sensitivity test is performed. make it possible When step S111 is fin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2.

단계(S112)에 있어서, 발주자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등에 있는 위치에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주자는, 원근용 누진 굴절력 렌즈의 작성을 위해, 원거리, 예를 들어 착용자(W)로부터 2m의 거리에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순차 제시한다. 발주자는, 예를 들어 착용자(W)로부터 30cm 등의 근거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순차 제시한다.In step S112, the orderer present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So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t positions located near, intermediate, and far from the wearer W, , make the wearer acknowledge 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dering party sequentially present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at a distance, for example, at a distance of 2 m from the wearer W, in order to create a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for near and far. The ordering party sequentially present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similarly to a short distance such as 30 cm from the wearer W, for example.

상이한 보케의 정도를 갖는 보케 화상(S)을 제시하는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케에 대한 익숙함이 생기지 않도록, 착용자가 충분히 허용 가능한 보케의 정도가 작은 화상을 적어도 수개의 화상에 1회의 비율로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12)가 종료되면, 단계(S113)로 진행한다.The order of presenting the bokeh images 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boke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o as not to cause familiarity with the bokeh, an image with a sufficiently small degree of bokeh acceptable to the wearer is at least once in a ratio of several images. It is preferable to present it as When step S112 is fin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3.

단계(S113)에 있어서, 발주자는,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발주자는, 각 거리에 관하여, 착용자(W)가 허용할 수 있는 보케의 정도를 청취한다. 발주자는, 각 거리에 관하여, 착용자(W)가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수치로 변환하여 기록한다. 단계(S113)가 종료되면, 단계(S12)로 진행한다.In step S113, the orderer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The client listens for the degree of bokeh that the wearer W can tolerate, for each distance. The orderer converts the intensity of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bokeh with respect to each distance into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records it. When step S113 is fin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

또한, 어느 거리에 대해 단계(S111 내지 S113)를 실행한 후, 다시 단계(S11)로 되돌아와서, 상이한 거리에 대해 보케 감수성 검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각 거리에 대해서, 그 거리에 맞는 교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 근거리의 측정을 하는 경우는, 필요한 렌즈의 가입도에 따라서, 원용부의 처방에 구면 도수를 가입도의 도수정도 플러스하여 교정을 실행하고 나서 측정을 하는 등, 적절히 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executing steps S111 to S113 for a certain distanc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again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bokeh sensitivity test for different distances. Thereby, for each distance, a calibr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distance can be used. For example, in the design of a progressive-power lens, in the case of near-field measurement, the spherical power is added to the prescription of the distance part according to the required addition degree of the lens, and the correction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the measurement. etc.,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단계(S12)에 있어서, 발주자는, 단계(S113)에 있어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하는 안경 렌즈의 발주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발주자는 발주 장치(1)의 표시부(14)에 발주 화면을 표시시키고, 입력부(15)를 거쳐서 발주 정보를 입력한다.In step S12, the orderer determines the ordering information of the spectacle lens to order,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acquired in step S113. Then, the orderer displays an order screen on the display unit 14 of the ordering device 1 , and inputs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5 .

도 7은 발주 화면(1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렌즈 정보 항목(101)에서는, 주문하는 렌즈의 상품명, 구면 도수(S 도수), 난시 도수(C 도수), 난시축도, 가입도 등의 렌즈 주문 도수에 관련된 항목을 입력한다. 가공 지정 정보 항목(102)은 주문하는 렌즈의 외경을 지정하는 경우나, 임의 점 두께를 지정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염색 정보 항목(103)은 렌즈의 색을 지정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피팅 포인트(FP) 정보(104)는 착용자(W)의 눈의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 PD는 동공간 거리를 나타낸다. 프레임 정보 항목(105)에서는, 프레임 모델명, 프레임 종별 등을 입력한다. 감수성 정보 항목(106)에서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 대한 보케 감수성 검사에 있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입력한다. 도 7의 예에서는,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원거리 및 근거리 각각에서 10 단계의 수치로 나타냈다(원거리에서 「5」, 근거리에서 「4」). 도 7의 예에서는, 숫자가 크면 클수록,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강해지도록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정의하고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rder screen 100 . In the lens information item 101, items related to the lens order power, such as the brand name of the lens to be ordered, the spherical power (S power), the astigmatism power (C power), the astigmatism axis, and the addition degree, are input. The processing designation information item 102 is used when designating the outer diameter of a lens to be ordered or when designating an arbitrary point thickness. The dyeing information item 103 is used when designating the color of the lens. The fitting point (FP) information 104 input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wearer W's eyes. PD stands for pupillary distance. In the frame information item 105, a frame model name, frame type, and the like are input. I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item 106,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strength of the sensitivity to the bokeh in the distance and near-field bokeh sensitivity tests is input. In the example of FIG. 7 , the intensity of the sensitivity to bokeh wa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in 10 steps at each of the far and near (“5” at a distance, “4” at a close range). In the example of FIG. 7 , the intensity of the sensitivity to bokeh is defined so that the greater the number, the stronger the sensitivity to the bokeh.

보케 감수성 검사에서 사용하는 화상은 이하와 같이 준비한다.The images used in the bokeh sensitivity test are prepared as follows.

최소 수차량으로 작성한 화상을 10, 최대 수차량으로 작성한 화상을 0으로 하고, 각 화상을 10 단계로 구분한다. 그리고, 착용자가 최대한 허용 가능하다고 한 보케의 화상의 구분을 감수성의 강도의 측정값으로 한다.An image created with the minimum amount of aberration is set to 10, and an image created with the maximum amount of aberration is set to 0, and each image is divided into 10 stages. Then, the division of the image of the bokeh that the wearer said is acceptable to the maximum is set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itivity.

또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표현 방법에 대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이 작을수록 큰 수치가 되도록 나타내도 좋고, 수치가 아닌 기호로 정의하여도 좋으며,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나타내고 전달할 수 있으면 특별히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expressing sensitivity to bokeh, the smaller the sensitivity to bokeh, the larger the number may be, or it may be defined as a symbol rather than a number, and the sensitivity to bokeh can be expressed and conve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If there is, th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발주 화면(100)에서는, 상술의 항목 이외에도, 프레임의 전경각, 캠버각(camber angle),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 등의 피팅 파라미터나 착용자(W)의 조절력에 관한 정보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원용부 및/또는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산출된 설계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설계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후술의 도 9의 파선 화살표 또는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용부 또는 근용부에 있어서 렌즈 상을 좌우로 연장하는 선분으로, 수차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는 길이 등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dering screen 100, in addition to the above item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fitting parameters such as the foreground angle of the frame, camber angl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nd the lens, and information about the adjustment force of the wearer W, etc. You can add information. Further,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strength of the wearer W's sensitivity to bokeh, the calculated design parameter is input as an index indicating a range in which the astigmatism of the far and/or near-use parts is small. may do The design parameter is, for example, a line segment extending left and right on the lens image in the far-view portion or near-use portion, as indicated by a dashed arrow or a dashed-dotted arrow in FIG. 9 to be described later, and a length at which aberration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etc. can be done.

발주자가, 도 7의 발주 화면(100)의 각 항목을 입력하고, 송신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발주 장치(1)의 발주 처리부(111)는, 발주 화면(100)의 각 항목에서 입력된 정보(발주 정보)를 취득하고,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3)에 있어서, 발주 장치(1)는 해당 발주 정보를 통신부(13)를 거쳐서 수주 장치(2)로 송신한다.When the orderer inputs each item on the order screen 100 of FIG. 7 and clicks a send button (not shown), the order processing unit 111 of the order device 1 , in each item of the order screen 100 , The input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is acqui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In step S13 , the ordering device 1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ordering device 2 via the communication unit 13 .

발주 장치(1)에 있어서, 발주 화면(100)을 표시하는 처리, 발주 화면(100)에서 입력된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 해당 발주 정보를 수주 장치(2)에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발주 장치(1)의 제어부(11)가 기억부(12)에 미리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In the ordering device 1, the processing of displaying the order screen 100, the processing of acquiring the order information input on the ordering screen 100, and the processing of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The control unit 11 of the apparatus 1 executes a predetermined program previously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2 .

단계(S21)(도 5)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수주 처리부(211)는, 통신부(23)를 거쳐서, 발주 장치(1)로부터 발주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S22)로 진행한다. 단계(S22)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설계부(212)는 수신한 발주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의 설계를 실행한다.In step S21 ( FIG. 5 ), when the order receiving processing unit 211 of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ing device 1 via the communication unit 23 , it proceeds to a step S22 . . In step S22, the design unit 212 of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designs the spectacle lens based on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도 8은 단계(S22)에 대응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221)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처방 데이터와,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원용부 및/혹은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 등의 설계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수주 장치(2)는 적절히 프레임의 전경각, 캠버각,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 등의 피팅 파라미터 등도 취득한다. 단계(S221)가 종료되면 단계(S222)로 진행한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designing a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step S22. In step S221,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provides the prescription data of the spectacle lens, information on the wearer W's sensitivity to bokeh, or an index indicating a small range of astigmatism in the far and/or near areas, etc. to obtain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also acquires fitting parameters such as the foreground angle of the frame, the camber ang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nd the lens as appropriate. When step S221 is finished, it proceeds to step S222.

단계(S222)에 있어서, 수주 장치(2)의 설계부(212)는, 단계(S221)에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In step S222, the design unit 212 of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determines the spectacle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or design parameters regarding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acquired in step S221. Set the target aberration.

도 9는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한 목표 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 중앙에 4개의 수차 분포도를 나타내고, 도면의 가장 우측의 부분에는, 수차 분포도에서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있는 패턴에 대응하는 수차의 크기를 나타냈다. 파선 화살표는 원용부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되고, 수차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하인 부분의 폭을 나타내며, 이 길이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일점쇄선의 화살표는 근용부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되고, 수차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하인 부분의 폭을 나타내며, 이 길이는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파선 화살표 및 일점쇄선 화살표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되지만, 예를 들면 원용 측정 포인트의 위치(원용 도수 측정 위치)나, 근용 측정 포인트의 위치(근용 도수 측정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target aberration based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bokeh. The four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s are shown in the center of the figure, and the magnitude of aberr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used to represent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in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is shown in the rightmost part of the figure. The dashed arrows extend left and right in the distant portion and indicate the width of a portion where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is length is an index indicating the range in which the astigmatism of the far portion is small. The dashed-dotted arrows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near-use portion and indicate the width of a por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is length is an index indicating a range in which the astigmatism of the near-use portion is small.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dashed arrow and the dashed-dotted arrow are arbitrarily set, but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ar measuring point (the far power measuring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near measuring point (the near power measuring position).

도 9에 도시한 4개의 수차 분포도 내에서, 좌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1)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약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는 좁지만, 비점수차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윤곽의 일그러짐은 작다. 우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2)는,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 좌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1)는, 근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 우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2)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며, 근용부,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가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Within the four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s shown in FIG. 9,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at the upper left is a lens for the wearer W with weak sensitivity to near and far astigmatism, and the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is narrow, Since the change in astigmatism is small, the distortion of the contour is small.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2) in the upper right is a lens for the wearer (W), in which the sensitivity of distant astigmatism is stronger than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and the range in which the astigmatism of the distant part is small is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It is designed to be wider.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21 in the lower left is a lens for the wearer W, in which the sensitivity of near-field astigmatism is stronger than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and the range where the astigmatism of the near part is small is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It is designed to be wider.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22) on the lower right is a lens for the wearer (W) whose sensitivity to near and far astigmatism is stronger than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It is designed wider than the case of (A11).

단계(S223)(도 8)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렌즈 전체의 형상을 결정한다. 렌즈 전체의 형상이 결정되면, 단계(S224)로 진행한다. 단계(S224)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안경 렌즈의 굴절력, 비점수차 등의 광학 특성이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S224)를 긍정 판정하고, 설계 처리를 종료하고, 단계(S23)(도 5 참조)로 진행한다. 소망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단계(S224)를 부정 판정하고, 단계(S223)로 되돌아온다.In step S223 (FIG. 8),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determines the shape of the entire lens of the spectacle lens. When the overall shape of the lens is determin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4. In step S224,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determines whether optical properties such as refractive power and astigmatism of the spectacle lens satisfy desired conditions. When the desir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determination in affirmative step S224 is made, the design process ends, 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23 (see Fig. 5). If the desired condition is not satisfied, a negative determination is made in step S224,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223.

단계(S23)에 있어서, 수주 장치(2)는 단계(S22)에서 설계한 안경 렌즈의 설계 데이터를 가공기 제어 장치(3)로 출력한다. 가공기 제어 장치(3)는, 수주 장치(2)로부터 출력된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 가공기(4)에 가공 지시를 보낸다. 그 결과, 안경 렌즈 가공기(4)에 의해, 해당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는 안경 렌즈가 가공되어, 제조된다. 안경 렌즈 가공기(4)에 의해 제조된 안경 렌즈가 안경점에 출하되고, 안경 프레임에 끼워져서 고객(착용자(W))에게 제공된다.In step S23 ,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outputs the design data of the spectacle lens designed in step S22 to the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 The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sends a processing instruction to the spectacle lens processing machine 4 based on the design data output from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 As a result, the spectacle lens processing machine 4 processes and manufactures a spectacle lens based on the design data. A spectacle lens manufactured by the spectacle lens processing machine 4 is shipped to an optician, fitted into a spectacle frame, and provided to a customer (the wearer W).

또한, 수주 장치(2)에 있어서, 발주 장치(1)로부터 발주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 수신한 발주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처리, 안경 렌즈의 설계 데이터를 가공기 제어 장치(3)로 출력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수주 장치(2)의 제어부(21)가 기억부(22)에 미리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In addition, in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 the processing for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ing device 1 , the processing for designing the spectacle lens based on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the design data of the spectacle lens are sent to the processing machine control device 3 . The output processing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1 of the order receiving device 2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install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2 .

상술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및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은,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한 안경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1)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an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So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are separated from the wearer W at a distance from the wearer W. , presen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a medium-distance, a short-distance, etc., making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 it, and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to the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sign an appropriate spectacle lens based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bokeh.

(2)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감수성에 관한 정보는 착용자(W)가 보케 화상(S)을 시인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이다. 이에 의해, 허용 가능한 보케 화상(S)에 대응하는, 허용 가능한 수차의 범위를 참고로 하여, 착용자(W)에게 맞는 안경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2)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sensitivity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wearer W is permissible to visually recognize the bokeh image S. Thereby, a spectacle lens suitable for the wearer W can be designed with reference to the allowable range of aberrations corresponding to the allowable bokeh image S.

(3)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케 화상(S)의 각각은 원화상(So)으로부터 사출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안경 렌즈(L)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이에 의해, 안경 렌즈 등의 굴절체에 의해 발생되는 보케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낸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3)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S emits light from the original image So and transmi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pectacle lens L causing different aberrations, respectively. Created by track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reate a bokeh image S that more accurately represents the bokeh generated by a refractive object such as a spectacle lens, and more accurately measure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in the visual field.

(4)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보케 화상(S)을 작성하기 위한 광선 추적에서,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는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또는 난시축이 상이한 안경 렌즈(L)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안경 렌즈(L)의 수차와 보케 화상(S)의 보케의 정도를 대응시켜,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안경 렌즈(L)를 설계할 수 있다.(4)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is embodiment, in the ray tracing for creating different bokeh images S, the plurality of refractors each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have spherical power, astigmatism power, or astigmatism axis. It includes different spectacle lenses (L). Thereby, the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L and the degree of the bokeh of the bokeh image S are matched, and the spectacle lens L can be designed more effectively from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to the bokeh.

(5)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원화상(So)은,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착용자(W)가 시인하는 것을 상정한 대상물의 화상이다. 이에 의해, 실제로 설계되는 안경 렌즈가 사용되는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다.(5)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iginal image So is a posi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wearer W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a long distance, a medium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and is visually recognized by the wearer W It is an image of an object assumed to b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measure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ctacle lens actually designed is used.

(6)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복수의 보케 화상을 착용자(W)에게 제시하는 것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의 거리는 25cm 이상 50cm 미만의 근거리, 50cm 이상 1m 미만의 중거리 및 1m 이상의 원거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거리이다. 이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 각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6)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is embodiment, presenting to the wearer W a plurality of bokeh images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redetermined distances, wherein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tances are 25 cm or more and less than 50 cm Two or more di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hort distance, a medium distance of 50 cm or more and less than 1 m, and a distance of 1 m or more. Accordingly, in the desig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desig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distance based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7)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W)가 교정 시력을 얻은 상태로 하여, 착용자(W)에게 보케 화상(S)을 시인시킨다. 이에 의해, 정확하게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다.(7)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is embodiment, the wearer W is made to obtain corrected visual acuity, and the wearer W is made to visually recognize the bokeh image 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8)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적절한 누진 굴절력 렌즈를 설계할 수 있다.(8) 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is set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sign an appropriate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based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the bokeh.

(9)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발주 장치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5)와, 입력부(15)를 거쳐서 입력된 해당 정보 또는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1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한 안경 렌즈를 발주할 수 있다.(9)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So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from the wearer W at a distance, intermediate distance, near distance, etc. The input unit 15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field of view of the wearer W, which is prese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quired by making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 it, and the corresponding input via the input unit 15 and a communication unit 13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r design parameter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o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rder spectacle lens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bokeh.

(10)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수주 장치는, 원화상(So)에 대해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S)을, 착용자(W)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제시하여, 착용자(W)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착용자(W)의 시야에 있어서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해당 정보 또는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한 안경 렌즈를 수주, 설계할 수 있다.(10)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lurality of bokeh images 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So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from the wearer W to a distance, intermediate distance, near distance, etc.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to bokeh in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W obtained by presenting 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king the wearer W visually recognize it, or a design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lternatively, a design unit for designing the spectacle lens based on the design parameters is provi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rder and design spectacle lens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to bokeh.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상술의 실시형태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ollowing modificatio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변형예 1)(Modification 1)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 광선 추적을 하여 보케 화상(S)을 작성했지만, 일점으로부터의 광선 추적에 의해 점상 분포 함수(Point Spread Function; PSF)를 계산하고,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원화상(So)의 각 점의 휘도나 색의 농도를 합성곱 적분하는 것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okeh image S was created by ray tracing from each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o, but a Point Spread Function (PSF) is calculated by ray tracing from one point, The bokeh image S may be created by convolutionally integrating the luminance and color density of each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o using a distribution function.

도 10의 (a)는 비점수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의 굴절력 에러에 의한 보케 화상(S4)의 작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원 안에 X가 그려진 기호는 합성곱 적분을 나타낸다. 원화상(So)을 방향 의존성이 없는 점상 분포(P1)에 대응하는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합성곱 적분하면, 보케 화상(S4)과 같은 각 점이 균일하게 흐릿한 것과 같은 화상이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보케 화상(S4)을 적절히, 방향 비의존적인 보케 화상이라고 지칭한다.Fig. 10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reation of a bokeh image S4 due to a refractive power error in the case where astigmatism is not generated. A symbol with an X inside a circle represents a convolutional integral. When the original image So is convolutionally integrated by a point distribu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distribution P1 having no direction dependence, an image such as the bokeh image S4 in which each point is uniformly blurred is obtained. Hereinafter, the bokeh image S4 is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a direction-independent bokeh image.

도 10의 (b)는 비점수차가 발생하는 경우의 보케 화상(S5)의 작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원 안에 X가 그려진 기호는 합성곱 적분을 나타낸다. 원화상(So)을 방향 의존성(비스듬한 45도 방향)을 갖는 점상 분포(P2)에 대응하는 점상 분포 함수에 의해 합성곱 적분하면, 보케 화상(S5)과 같은 각 점이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여 흐릿한 화상이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보케 화상(S5)을 적절히,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이라고 지칭한다.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S)의 방향 의존성은 착용자(W)의 난시축의 방향에 근거하여 정해도 좋다.Fig. 10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reation of the bokeh image S5 in the case where astigmatism occurs. A symbol with an X inside a circle represents a convolutional integral. When the original image So is convolutionally integrated with a point distribu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distribution P2 having direction dependence (a direction of 45 degrees oblique), an image in which each point such as the bokeh image S5 is blurred toward an oblique direction is obtained. is obtained Hereinafter, the bokeh image S5 is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a direction-dependent bokeh image. The direction dependence of the direction-dependent bokeh image 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astigmatism axis of the wearer W.

방향 의존적인 보케 화상 및 방향 비의존적인 보케 화상은, 원화상(So)의 각 점으로부터 광선 추적하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광로 내에 삽입되는 안경 렌즈(L) 등의 굴절체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적절히 소망의 보케 정도의 것을 얻을 수 있다.The direction-dependent bokeh image and the direction-independent bokeh image are optical properties of a refracting body such as a spectacle lens L inserted into an optical path by the method shown in Fig. 3 in which rays are traced from each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o. By adjusting ,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obtain a desired degree of bokeh.

본 변형예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케 화상(S)은, 망막으로부터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등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를 투과하여 망막에 입사할 때에 광선 추적하여 얻어지는 점상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각각 작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편하게 여러 가지 태양의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S includes a plurality of refractive bodies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in light emitted from points at predetermined distances, such as far, intermediate, and near distances, from the retina. Each can be created based on a point distribution function obtained by tracing a ray when it passes through and enters the retina. Thereby, the bokeh image S of various aspects can be created simply.

(변형예 2)(Modification 2)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광선 추적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했지만, PC 등의 연산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분포 함수를 커널(kernel)로 하여 화상의 각 점의 휘도 또는 색의 농도를 합성곱 연산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보케 화상(S)을 작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한 보케 화상(S)을 작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okeh image S is created by ray tracing, but using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C, the luminance or color density of each point of the image is synthesized using a specific distribution function as a kernel. The bokeh image S may be created by image processing for multiplication calculation. Thereby, various bokeh images S can be created by a simple method.

(변형예 3)(Modified example 3)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계 방법에서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이 내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단초점 렌즈에 관해서도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초점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는, 착용자(W)의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렌즈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구면 도수로부터의 굴절력의 편차인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desig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setting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content to this. Even with respect to the monofocal lens, design can be performed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As shown in FIG. In the design of the monofocal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W, it is possible to set the spherical power error and astigmatism, which are the deviations of the refractive power from the spherical power at the periphery of the lens.

도 11은 단초점 렌즈의 구면 도수 에러 및 비점수차의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c)에 있어서,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도와 비점수차의 분포도를 도시하고, 도면의 가장 우측의 부분에는, 분포도에 이용되고 있는 패턴에 대응하는 구면 도수 에러 또는 수차의 크기를 도시했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etting of the spherical power error and astigmatism of the single-focal lens. 11A to 11C, the distribution of spherical power error and the distribution of astigmatism are shown, and in the rightmost part of the figure, the spherical power error or aberr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used in the distribution is shown. size is shown.

도 11의 (a)는 비점수차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1) 및 비점수차의 분포(A1)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비점수차의 크기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강한 착용자(W)에게 매우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1의 (b)는 구면 도수 에러와 비점수차의 밸런스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b)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2) 및 비점수차의 분포(A2)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비점수차의 크기는 도 11의 (a)의 예보다 크기는 하지만, 구면 도수 에러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평균적인 착용자(W)에게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1의 (c)는 구면 도수를 중시하는 설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c)의 구면 도수 에러의 분포(E3) 및 비점수차의 분포(A3)에 의한 단초점 렌즈는, 구면 도수 에러의 크기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약한 착용자(W)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Fig. 11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sign that places importance on astigmatism. As for the monofocal lens with the distribution of spherical dioptric power error (E1) and distribution (A1) of astigmatism in FIG. 11A, the size of astigmatism is suppressed, so the wearer W with strong astigmatism sensitivity It is very preferably used for Fig. 11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sign that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the spherical power error and the astigmatism. In the monofocal lens with the distribution of spherical power error (E2) and astigmatism (A2) of FIG. 11(b), the magnitude of astigmatism is larger than that of the example of FIG. 11(a), but the spherical power Since the error is suppressed, the sensitivity of astigmatism is preferably used for the average wearer W. Fig. 11C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sign that emphasizes the spherical dioptric power. In the monofocal lens with the distribution of spherical power error (E3) and distribution (A3) of astigmatism in FIG. 11C, the size of the spherical power error is suppressed, so the wearer W with weak astigmatism ) is preferably used.

본 변형예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시야의 주변부에 관해, 착용자(W)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하여, 착용자(W)에게 맞는 단초점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this modification,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monofocal lens is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to bokeh. Thereby, regard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eld of view,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nofocal lens suitable for the wearer W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sensitivity to bokeh.

(변형예 4)(Variation 4)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계 파라미터를 착용자의 보케 감수성 검사의 측정값과 보케 감수성 검사를 받은 다수의 시험자의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하와 같이 설정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ign parameters may be set as follows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wearer's bokeh susceptibility test and statistical data of a large number of testers who have undergone the bokeh susceptibility test.

사전에 다수(예를 들면, 30명 이상)의 시험자에게 실행된 검사 결과로부터 원거리의 보케 감수성의 측정값의 평균값 M과 표준 편차 σ를 구한다. 시험자는, 예를 들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경우는 40대 이상의 연령의 시험자, 단초점 렌즈의 경우는 40대 미만의 시험자와 같이, 연대별로 나누어서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원거리 감수성 범위 정수 K를 상기 측정값의 표준 편차 σ의 1배 내지 3배까지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거리의 수차의 감수성의 고저차를 렌즈의 설계에 크게 반영시키는 경우는 K값을 작게 하고, 반대로 원거리의 수차의 감수성의 고저차를 렌즈의 설계에 작게 반영시키는 경우는 K값을 크게 취할 수 있다.The mean value M and standard deviation σ of the measured values of distant bokeh sensitivity are calculated from the test results previously performed on a large number of (eg, 30 or more) testers. The tester may divide the test by ag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gressive power lens, a tester over 40 years old, and in the case of a monofocal lens, a tester under 40 years old. The far-field sensitivity range constant K may be any value between one and three times the standard deviation σ of the measured value. For example, when the high and low differences in sensitivity of far-field aberrations are largely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lens, the K value is made small. Conversely, when the high and low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of far-field aberrations are reflected in the lens design, the K value can be taken large. there is.

원용부 설계 파라미터 P는 착용자의 원거리 감수성 측정값 D로부터The distance design parameter P is derived from the wearer's distance sensitivity measurement D

P = (D-M)/KP = (D-M)/K

의 형태로 계산된다.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목표값 Rtf는 최대값 Rfmax와 최소값 Rfmin으로부터 설계 파라미터 P를 이용하여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한다.is calculated in the form of The target value Rtf of the range in which the astigmatism of the distant part is small is calculated as follows by using the design parameter P from the maximum value Rfmax and the minimum value Rfmin.

Rft = (Rfmax+Rfmin)/2 + P*(Rfmax-Rfmin)/2Rft = (Rfmax+Rfmin)/2 + P*(Rfmax-Rfmin)/2

근거리에 대해서도 동일한 계산을 실행한다. 단, Rft>Rfmax의 경우, Rft는 Rfmax로 하고, Rft<Rmin의 경우, Rft는 Rfmin으로 한다.The same calculation is performed for close range. However, in the case of Rft>Rfmax, Rft shall be Rfmax, and in the case of Rft<Rmin, Rft shall be Rfmin.

마찬가지로 하여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목표값 Rnt를 구한다.In the same way, the target value Rnt of the area where the astigmatism of the near part is small is obtained.

도 9에 도시한 4개의 수차 분포도 중에서, 좌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1)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이 양쪽 최소값 Rfmin, Rnmin을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는 좁지만, 비점수차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윤곽의 일그러짐은 작다. 우측 상단의 수차 분포도(A12)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대값 Rfmax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소값 Rnmin을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원거리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 좌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1)는, 원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소값 Rfmin이며, 근용부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은 최대값 Rnmax를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근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 우측 하단의 수차 분포도(A22)는,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넓이의 설계 목표값이 양쪽 모두 최대값 Rfmax, Rnmax를 취한 경우의 렌즈이며, 근거리, 원거리의 비점수차의 감수성이 수차 분포도(A11)의 경우보다 강한 착용자(W)를 위한 렌즈이다.Among the four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s shown in Fig. 9,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at the upper left is a lens in the case where the design target values for the area in which the astigmatism at the near and far distances are small are both minimum values Rfmin and Rnmin, Although the range in which the score difference is small is narrow, since the change in astigmatism is small, distortion of the outline is small. In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2 in the upper right corner, the design target value for the area of the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of the far distance part is the maximum value Rfmax, and the design target value for the area with the area with the small astigmatism of the near part is the minimum value Rnmin. , and is a lens for the wearer W, in which the sensitivity at a distance is stronger than the case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A11. In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21 in the lower left corner, the design target value for the area in the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in the far part is the minimum value Rfmin, and the design target value for the area in the range where the astigmatism in the near part is small is the maximum value Rnmax. It is a lens for the wearer W, in which the sensitivity of near-field astigmatism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11. The aberration distribution diagram A22 in the lower right is a lens in the case where the design target values of the area with small near and far astigmatism are the maximum values Rfmax and Rnmax of both, and the sensitivity of near and far astigmatism is aberration It is a lens for the wearer W who is stronger tha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diagram A11.

설계의 목표값은 이 4개의 각을 갖는 사각의 범위 중에서, 원거리 목표값 Rft, 근거리 목표값 Rnt의 값으로 결정된다.The target value of the design is determined by the values of the distant target value Rft and the short-range target value Rnt in the range of the quadrangle having these four angles.

또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중간부에 대해서도,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하여도 좋다.Further,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a target area of a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may be set even for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본 변형예에서는,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원용부, 중간부, 또는 근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있어서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근거하여, 보다 착용자에게 맞는 누진 굴절력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modified example, the target area of a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in at least two regions selected from the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parts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can be set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re suitable for the wearer based on the wearer's sensitivity to bokeh.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고려할 수 있는 그 이외의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of the said embodiment. Other aspects that can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의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도입된다.The disclosure content of the following priority base applica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233004 호(2016년 11월 30일 출원)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233004 (filed on November 30, 2016)

1 : 발주 장치 2 : 수주 장치
9 : 가입도 특성 그래프 10 :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11 : 발주 장치의 제어부 13 : 발주 장치의 통신부
21 : 수주 장치의 제어부 23 : 수주 장치의 통신부
100 : 발주 화면 106 : 감수성 정보 항목
S : 보케 화상 So : 원화상
W : 착용자
1: ordering device 2: ordering device
9: Addition degree characteristic graph 10: Glass lens order ordering system
11: control unit of the ordering device 13: communication unit of the ordering device
21: control unit of order receiving device 23: communication unit of order receiving device
100: order screen 106: sensitivity information item
S : Bokeh image So : Original image
W: wearer

Claims (18)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키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것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and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and causing the wearer to visually recognize i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to bokeh;
Designing spectacle lens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wearer to bokeh,
Each of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is created by ray tracing light emit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passing through a refracting body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보케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인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is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permissible for the wearer to recognize the bokeh image.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은, 망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를 투과하여 상기 망막에 입사할 때에 광선 추적하여 얻어지는 점상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각각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are each created based on a point distribution function obtained by tracing rays when light emitted from a poi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tina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refractors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and enters the retina. felled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굴절체는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또는 난시축이 상이한 안경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refractive bodies generating the different aberrations include spectacle lenses having different spherical powers, astigmatism powers, or astigmatism axes.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임의의 분포 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원화상의 각 점의 휘도 또는 색의 농도의 합성곱 연산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is created by image processing that performs a convolution operation of the luminance or color density of each point of the original image based on an arbitrary distribution function.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화상은, 상기 착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가 시인하는 것을 상정한 대상물의 화상인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iginal image is an image of an object assumed to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wearer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earer.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을 상기 착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senting to the wearer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at different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tances.
How to design spectacle len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가 교정 시력을 얻은 상태로 하여, 상기 착용자에게 상기 보케 화상을 시인시키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has obtained corrected vision, the wear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bokeh image.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Setting the target aberration of the progressive power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의 원용부, 중간부, 또는 근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에 있어서의, 비점수차가 작은 범위의 목표 넓이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setting a target area of a range with small astigmatism in at least two regions selected from the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parts of the progressive power lens based on the sensitivity information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목표 수차를 설정하는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Setting a target aberr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monofocal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How spectacle lenses are designed.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설계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Designing a spectacle lens by the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A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es.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거쳐서 입력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안경 렌즈 수주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 발주 장치.
The wearer, obtained by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and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and making the wearer visually recognize 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sensitivity to bokeh;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r a design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o a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Each of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is created by ray tracing light emit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passing through a refracting body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Glasses lens ordering device.
원화상에 대해, 안광학계의 난시의 정도 및 안경 렌즈의 수차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이한 정도의 보케를 실시하여 작성한 복수의 보케 화상을 제시하여, 착용자에게 시인시켜 취득한, 상기 착용자의 보케에 대한 감수성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설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케 화상의 각각은,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출사되어 각각 상이한 수차를 발생시키는 굴절체를 투과하는 광을 광선 추적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안경 렌즈 수주 장치.
The wearer, obtained by presenting a plurality of bokeh images created by subjecting the original image to different degrees of bokeh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ophthalmic optical system and the magnitude of the aberration of the spectacle lens, and making the wearer visually recognize it, a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sensitivity to bokeh or a design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 design unit for designing spectacle lenses based on the information or the design parameters;
Each of the plurality of bokeh images is created by ray tracing light emit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passing through a refracting body generating different aberrations.
Glasses lens ordering device.
청구항 14에 기재된 안경 렌즈 발주 장치와, 청구항 15에 기재된 안경 렌즈 수주 장치를 구비하는
안경 렌즈 수발주 시스템.
A device comprising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and th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
Glasses lens order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15372A 2016-11-30 2017-11-13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KR1022803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3004 2016-11-30
JPJP-P-2016-233004 2016-11-30
PCT/JP2017/040785 WO2018101015A1 (en) 2016-11-30 2017-11-13 Method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device for ordering spectacle lens, device for receiving order of spectacle lens, system for ordering and receiving order of spectacle lens, progressive lens, and monofocal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24A KR20190068624A (en) 2019-06-18
KR102280371B1 true KR102280371B1 (en) 2021-07-21

Family

ID=6224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72A KR102280371B1 (en) 2016-11-30 2017-11-13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8953B2 (en)
EP (1) EP3550356A4 (en)
JP (1) JP6994468B2 (en)
KR (1) KR102280371B1 (en)
CN (2) CN113325607A (en)
CA (1) CA3044515C (en)
WO (1) WO20181010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536B1 (en) * 2019-02-06 2019-12-04 寛惠 榎 Visibility evaluation apparatus, visibility evaluation program, and visibility evaluation method
EP3736617A1 (en) * 2019-05-10 2020-11-11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correction means
CA3168630A1 (en) 2020-02-06 2021-08-12 Nikon-Essilor Co., Ltd.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for ophthalmic lenses and the design, manufacture, and ordering thereof
WO2023248717A1 (en) * 2022-06-22 2023-12-28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pair of eyeglass lenses
WO2024034373A1 (en) * 2022-08-12 2024-02-1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Eyeglass lens determination method, and eyeglass lens determination assistance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25A (en) * 2001-04-20 2002-10-29 Menicon Co Ltd Visual acuity chart
US20120092614A1 (en) * 2009-06-10 2012-04-19 Drobe Bjoern Manufacturing of progressive spectacle lens customized based on blur perception
JP2013217948A (en) 2012-03-12 2013-10-24 Nikon-Essilor Co Ltd Spectacle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WO2014203440A1 (en) 2013-06-19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WO2015150432A1 (en) 2014-04-03 2015-10-0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progressive ophthalmic le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9864B2 (en) 1999-02-12 2004-02-05 Hoya Corporation Eye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1158338B1 (en) * 2000-05-22 2006-03-01 Hoya Corporation Method for simulating an ocula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UPQ842800A0 (en) * 2000-06-28 2000-07-20 Aivision Pty Ltd Flat screen vision testing
JP3735842B2 (en) * 2002-05-28 2006-01-18 Hoya株式会社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driving an eye optical system simulation apparatus
JP4306702B2 (en) * 2006-08-0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Glasses lens ordering system
US7771051B2 (en) * 2007-06-13 2010-08-10 Rahim Hirji Near eye opthalmic device
CN102007445B (en) 2008-04-28 2012-11-28 Hoya株式会社 Design method of selecting lens design standard
WO2009135058A2 (en) * 2008-04-30 2009-11-05 Ophthonix, Inc. Method of designing progressive addition lenses
FR2944364B1 (en) * 2009-04-14 2011-09-02 Essilor Int PERFORMING A PERSONALIZED GLASS GLASS BASED ON A PERCEPTION OF FLOU
FR2947165B1 (en) 2009-06-29 2011-08-19 Essilor Int CHARACTERIZATION OF A PERCEPTION OF FLOU
JP5725646B2 (en) * 2010-03-10 2015-05-27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method,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system, and progress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WO2013027755A1 (en) 2011-08-24 2013-02-28 Hoya株式会社 Eyeglasses-wearing simulation method, program, device, eyeglass lens-ordering system and eyeglass lens manufacturing method
EP2642332B1 (en) * 2012-03-23 2015-05-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wearer
US9791718B2 (en) * 2012-07-31 2017-10-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designed to inhibit progressive myopia of the wearer
US20150230744A1 (en) * 2012-08-10 2015-08-20 Valorisation-Recherche,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stimulus property perceived by a subject
US10678815B2 (en) * 2012-10-02 2020-06-09 Banjo, Inc. Dynamic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9265412B2 (en) * 2013-08-27 2016-02-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ans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the effects of low cylinder astigmatism correction
EP3088938A4 (en) * 2013-12-26 2017-08-02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lens supply system
JP2015194511A (en) * 2014-03-31 2015-11-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for spectacle lens and lens supply system
US9980638B2 (en) * 2014-05-12 2018-05-2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refractive error and ophthalmic lenses provided therefrom
EP3006991A1 (en) * 2014-10-08 2016-04-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determining a lens design of an optical lens adapted to a wear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25A (en) * 2001-04-20 2002-10-29 Menicon Co Ltd Visual acuity chart
US20120092614A1 (en) * 2009-06-10 2012-04-19 Drobe Bjoern Manufacturing of progressive spectacle lens customized based on blur perception
JP2013217948A (en) 2012-03-12 2013-10-24 Nikon-Essilor Co Ltd Spectacle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WO2014203440A1 (en) 2013-06-19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50235427A1 (en) * 2013-06-19 2015-08-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WO2015150432A1 (en) 2014-04-03 2015-10-0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progressive ophthalmic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25607A (en) 2021-08-31
EP3550356A4 (en) 2020-08-12
KR20190068624A (en) 2019-06-18
JPWO2018101015A1 (en) 2019-10-17
WO2018101015A1 (en) 2018-06-07
US11428953B2 (en) 2022-08-30
CA3044515C (en) 2021-08-03
JP6994468B2 (en) 2022-01-14
CN110050225A (en) 2019-07-23
US20190271859A1 (en) 2019-09-05
CA3044515A1 (en) 2018-06-07
EP3550356A1 (en)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371B1 (en)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device, spectacle lens ordering system,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onofocal lens
US10958898B2 (en) Image creation device, method for image creation, image creation program,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CN105163649A (en) Computerized refraction and astigmatism determination
CN104335103A (en) A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pectacle lens optical system for a wearer
EP1158338A2 (en) Method for simulating an ocula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07723B1 (en)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lenses, associated evaluation system and industrial assembly for manufacturing ocular lenses
US11754856B2 (en)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eyeglass lens, eyeglass lens ordering device, eyeglass lens order receiving device, and eyeglass lens ordering and order receiving system
US20220350162A1 (en)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ophthalmic lens design method,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method, ophthalmic lens, ophthalmic lens ordering device, ophthalmic lens order receiving device, and ophthalmic lens order receiving/ordering system
CN113993441A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reading lens addition power and power of an eye
CN1136135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vision equipment for vision task
KR20210152176A (en) Customized eyewear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JP6273444B2 (en) Visual distance calculation method for eyeglass lens, visual distance display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for eyeglass lens
JP2015075342A (en) Lens optica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design method, and lens optical performance display method
JP2022512186A (en) Systems and methods that utilize computer-aided optical systems
EP4137879A1 (en) Eyeglasses lens evaluation device
JP2020003510A (en) Method of evaluating spectacle lenses, method of designing spectacle lens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pectacle lenses
CN108066006A (en) Vision correction effect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JP2013167829A (en) System of simulation of wearing spectacles,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simulation of wearing spectacles, and program for simulation of wearing spec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