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335A -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35A
KR20170137335A KR1020160069310A KR20160069310A KR20170137335A KR 20170137335 A KR20170137335 A KR 20170137335A KR 1020160069310 A KR1020160069310 A KR 1020160069310A KR 20160069310 A KR20160069310 A KR 20160069310A KR 20170137335 A KR20170137335 A KR 2017013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gas
heat source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768B1 (ko
Inventor
박준수
이지윤
서리
봉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768B1/ko
Priority to PCT/KR2017/005732 priority patent/WO2017209534A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2011/004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은, 열원을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흡기구를 포함하는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 및,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Operating Method for Hood and Operating Method for Cooking System including such Hood}
본 발명은 후드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 및 가스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움직이는 후드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 및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란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조리기기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자레인지, 히터를 이용한 오븐, 쿡탑(cooktop) 등 다양한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사하여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의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고, 오븐은 히터를 이용하여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함으로써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한다.
한편, 쿡탑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에 올려진 조리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 쿡탑이 대표적이다. 가스 쿡탑의 경우, 화염에 의한 열손실이 커서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쿡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다른 조리기기, 냉장고, 수납 공간, 후드(Hood) 등과 연계되어 하나의 조리기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후드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열기 및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한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조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공기를 청정하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는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적으로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은, 열원을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흡기구를 포함하는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 및,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쿡탑(cooktop)의 열원이 하나 이상 온(on)되는 단계, 온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온된 하나의 열원 위로 후드(hood)의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 및, 온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온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직관적으로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탑 후드(top hood)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의 후드 구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탑 후드(top hood)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주방의 소정 공간에 조리기기(1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기기(10)의 상부에서 소정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후드(20)가 설치된다.
종래 조리기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 후드(20)의 일예는, 조리기기(10)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부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흡입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 그리고,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한 덕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 후드(20)는 조리기기(10)의 상부에서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등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조리시 열기와 오염된 공기 등의 일부가 후드(2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전방 사용자 측으로 확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에서 상부의 후드(20)로 흡입되는 공기(41) 중 일부는 20세 내지 50세 여성 성인평균 코까지의 높이를 의미하는 탑라인(Top Line), 예를 들어, 1430mm 높이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에서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드(20)로 흡입되지 못하고 하부로 확산되는 공기(42)가 발생할 수 있다. 조리기기(10)의 하부로 확산되는 공기(42)는 유아가 흡입할 수 있고, 2세 내지 4세 아이 코까지의 높이를 의미하는 바텀 라인(Bottom Line), 예를 들어, 880mm 높이에서 아이를 향하여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탑 후드(20)는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인체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조리기기(100)와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후드(Auto Moving Hood, 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주방 공간에는 주방가구들이 배치될 수 있고, 주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냉장고, 수납 공간, 후드(Hood) 등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을 조리기기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기(100)는 주방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조리기기(100)의 상단부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요리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50)가 가열됨으로써 용기(5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요리된다.
상기 조리기기(100)는 쿡탑(cooktop)일 수 있고,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조리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10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 및 가스(90)를 흡입하는 후드(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드(200)는 상기 조리기기(1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가스(90)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가스(90)를 흡입하는 흡기구(211)를 포함하는 헤드(210), 내부에 수납 공간에 마련되는 본체(220), 상기 본체(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211)는 중력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조리기기(100)의 사용으로 발생하게 되는 가스(90)를 상기 후드(2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흡기구(211)에는 소정 ??터가 장착되어, 가스의 흡입과 동시에 유해 물질을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210)에는 사용자가 상기 후드(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2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버튼(213)은 상기 본체(2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220) 또는 상기 헤드(210)는 열원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와 가스, 증기를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적어도 헤드(21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상기 헤드(210)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스탠드형(stand type) 후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조리기기(100)의 상부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210)는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광을 출력하는 조명부(21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212)는 가스 흡입에 따라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212)의 내부에는 광원이 배치되며,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부(212)는 광을 출력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조리기기를야간에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212)는, 상기 흡기구(211)의 주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스 및 흡입 과정을 더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212)는 후드(2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220)는,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22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20) 내부의 팬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220)의 내부에서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흡인력으로 인해 외부의 가스가 상기 흡기구(211) 및 상기 본체(220)를 거쳐 상기 지지부(23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20)로 흡입된 가스는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0)에는 공지된 후드의 다양한 내부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210)의 내부 공간에도 상술한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그 디자인(design)에 따라 상기 헤드(210) 및/또는 상기 본체(220)에 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본체(220)를 통과하는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부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부(230)는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배기관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고, 착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20)는 모터(motor),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 등의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헤드(210)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 수단은, 열감지 센서 및/또는 가스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상기 후드(200)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단 후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후드(300)가, 상기 후드(200)의 가스 흡입에 따라 구동됨으로써, 양방향에서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후드(300)는, 상기 조리기기(100), 예를 들어, 쿡탑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예시한 후드(2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드와 외관 디자인에서 차이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열원 및 가스, 증기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헤드(210)를 이동시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조리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200)는, 조리기기(100)와 분리된 단독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단독형으로 구성되는 후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단독형 후드를 설명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고정된 조리기기(100) 또는 이동 사용 가능한 조리기기(110) 및, 조리기기(100, 110)와 분리되고,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후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기기(100, 1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후드(400)를 배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조리시 발생하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후드(400)는 상기 조리기기(100, 11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400)는, 가스를 흡입하는 흡기구(411)를 포함하는 헤드(410), 내부에 수납 공간에 마련되는 본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411)를 통하여 흡입된 가스는 상기 본체(42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본체(420)의 일단에는 개구부 또는 개폐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기구(411)의 주위에는 조명부(41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400)는 내부에 필터들을 구비하여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공기청정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모듈을 포함하거나,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고 악취를 탈취한다.
공기청정기의 일예는, 흡입부, 필터부, 송풍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공기청정기의 일측에서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공기청정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한다. 상기 송풍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의 내부 및/또는 공기청정기 본체의 내부에는 필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헤파필터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하고, 탈취필터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610), 후드를 움직일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부(620), 후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650) 및, 후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610)는 조리시 소정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610)는, 열원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 가스, 증기 등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 센서는, 열원 및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 센서는, 공지된 다양한 비접촉식 열감지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감지 센서는 써모파일(thermopile) 센서일 수 있다.
써모파일 센서는 열전대의 한 접점을 적외선 흡수판에 접촉시키면 그 접점이 측정대상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흡수하여 두 접점 사이에는 온도차가 발생하고, 이 온도차에 비례하는 열기전력이 얻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열감지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온도계, 써모그래픽 카메라(Thermographic camer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스감지 센서는, 공지된 다양한 가스감지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가스감지 방법 및 센서는 가스의 종류, 농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므로, 조리시 많이 발생하고 유해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벤조피렌, 아크릴아마이드의 검출 능력이 뛰어난 가스감지 센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센싱부(610)의 각 센서들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20)는 프로세서(650)의 제어에 따라 후드를 움직일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부(620)는 최소한 후드의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620)는 후드의 헤드를 움직일 수 있는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절 수단은 모터, 랙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620)는 기타 공지된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후드를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650)는 후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50)는, 상기 센싱부(640)의 각 센서들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드의 헤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50)는, 후드의 흡기, 배기 과정에서 이용되는 팬, 모터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80)는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8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본체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68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광을 출력하는 조명부(6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명부(630)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630)는 상기 프로세서(650)의 제어에 따라 발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630)는 가스 흡입에 따라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630)는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통신 모듈(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통신 모듈(660)을 통하여 조리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660)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660)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후드와 조리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통신 모듈(660)을 통하여 조리기기와 통신할 수 있고, 조리기기로부터 열원의 온(on)/오프(off) 정보 등 조리기기의 구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열원을 판별한다(S7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열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열에 기초하여 상기 열원을 판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조리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열원 정보로부터 상기 열원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열원의 개수를 판별하고(S720),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대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S720),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흡기구를 포함하는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다(S730).
또한,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S720),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다(S7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상기 헤드의 이동(S730, S740)후에 가스감지 센서를 통하여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S735, S745).
상기 가스가 감지되면(S735, S745),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737, S747).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S720), 상기 헤드가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에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737). 즉,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가스 흡입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S720),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를 상기 헤드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747). 즉, 상기 헤드가 현재 동작중인 열원들 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위치, 동작으로 가스 흡입,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스 흡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흡입(S737, S747)에 따라 조명부에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헤드의 이동시에는 제1 색상의 광을 출력하고, 가스 흡입 시에는 제2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조명부가 다른 색상을 가지는 광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쿡탑(cooktop), 예를 들어,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열원이 하나 이상 온(on)되면(S810), 후드도 공기청정 기능을 준비(ready)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온(on)된 열원 및 그 개수를 판별할 수 있다(S820).
온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는(S820), 상기 온된 하나의 열원 위로 후드(hood)의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고(S830), 상기 온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는(S820), 상기 온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다(S8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상기 헤드의 이동(S830, S835)후에 가스감지 센서를 통하여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S840)
상기 가스가 감지되면(S840), 상기 후드가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860, S865).
이 경우에도, 온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온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S850), 상기 헤드가 상기 온된 하나의 열원 위에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860). 즉,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S850), 상기 온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를 상기 헤드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865). 즉, 상기 헤드가 현재 동작중인 열원들 위로 순차적으로 왕복하면서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위치, 동작으로 가스 흡입,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온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스 흡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흡입(S860, S865)에 따라 후드의 조명부에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조명부는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열원 온(ON)/오프(OFF)에 따라 후드(hood)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드 전체를 움직이거나 적어도 후드의 헤드(head)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의 헤드는, 열원이 켜지면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켜진 열원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 열원들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감지 센서의 가스 감지 여부에 따라, 공기청정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가스 감지의 경우에는, 가스가 감지되는 위치는 크게 상관이 없고, 가스가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따라서, 열원 온/오프 여부에 따라 후드 헤드는 이미 이동해있는 상태에서, 가스가 감지되면 공기 청정이 시작될 수 있다.
열원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열원 사이를 헤드가 오가면서 공기 청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원, 가스, 증기 감지시, 자동으로 최적의 위치에서 공기 청정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효과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가스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S870), 즉시 또는 소정 시간(ex. 5초) 경과 후에 후드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S880).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후드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하단 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후드가, 상기 후드의 가스 흡입에 따라 구동됨으로써, 양방향에서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상단에서 동작하는 후드와 하단에서 동작하는 후드를 동시 구동함으로써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빠짐없이 흡입할 수 있고, 유해물질의 인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후드는, 조리기기, 예를 들어, 쿡탑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착탈 가능하고,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하나 이상의 열원을 감지할 수 있다(S920).
한편, 단독형으로 사용가능한 스탠드 후드의 일예는, 미사용시 폴딩(folding) 상태로 보관,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후드의 폴딩 상태를 판별하여, 언폴딩 상태인 경우에, 센서 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S9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열원 및 그 개수를 판별할 수 있다(S930).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는(S930),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후드(hood)의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고(S940),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는(S930),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할 수 있다(S94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상기 헤드의 이동(S940, S945)후에 가스감지 센서를 통하여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S950).
상기 가스가 감지되면(S950), 상기 후드가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970, S975).
이 경우에도,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S960), 상기 헤드가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에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970). 즉,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S960),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를 상기 헤드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S975). 즉, 상기 헤드가 현재 동작중인 열원들 위로 순차적으로 왕복하면서 가스 흡입 등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위치, 동작으로 가스 흡입,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스 흡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흡입(S970, S975)에 따라 후드의 조명부에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조명부는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열원 온(ON)/오프(OFF)에 따라 후드(hood)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드 전체를 움직이거나 적어도 후드의 헤드(head)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의 헤드는, 열원이 켜지면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켜진 열원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 열원들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감지 센서의 가스 감지 여부에 따라, 공기청정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후, 가스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S980), 즉시 또는 소정 시간(ex. 5초) 경과 후에 후드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S99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의 후드 구조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시스템은, 조리기기(100), 조리기기(100)의 열원의 구동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헤드(210)를 포함하는 후드(200) 및 하단 후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후드(300)는 열원 및/또는 후드(200)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후드(300)가, 상기 후드(200)의 가스 흡입에 따라 구동됨으로써, 양방향에서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스들은 공기 무게(28.8-29)를 기준으로 무거운 가스(91)와 가벼운 가스(92)가 다르게 운동한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28)는 공기보다 무겁고, 이산화질소(46), 벤조피렌(42), 아크릴아마이드(71)는 공기보다 가볍다.
따라서, 상기 후드(200)는 일산화탄소를 상부에서 흡입하고, 상기 하단 후드(300)는, 이산화질소, 벤조피렌, 아크릴아마이드를 하부에서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에서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리용기(50)를 소정 가열부 위에 놓고 음식물을 요리하는 경우에 가열부 및 조리용기(50)의 온도가 올라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은, 열감지 센서를 통하여 열원을 감지하거나, 조리기기 열원이 온(on)되는 경우에, 해당 열원의 위치로 헤드(1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은,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대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도 11과 같이,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흡기구를 포함하는 헤드(1110)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1201, 1202)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1210)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원의 감지 즉시, 후드, 적어도 헤드를 최적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은, 상기 헤드의 이동 후에 가스감지 센서를 통하여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가 감지되면,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는 헤드를 이동시키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가스 흡입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는,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1201, 1202) 사이를 상기 헤드(1210)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1210)가 현재 동작중인 열원(1201, 1202)들 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별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다른 위치, 동작으로 가스 흡입,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는 광을 출력하는 조명부(131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1312)는 상기 조명부(1312)는, 흡기구(1311)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312)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색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312)의 라이팅(lighting)을 통하여 가스 흡입을 가시화할 수 있고, 유해증기 및 흡입 성능의 가시화가 나능하다.
또한, 조리 상황의 시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312)는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1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면서게 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를 구동하는 경우, 가스(70)는 조리기기(10)와 상부 구조물(30)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20세 내지 50세 여성 성인평균 코까지의 높이를 의미하는 탑라인(Top Line), 예를 들어, 1430mm 높이에서 2세 내지 4세 아이 코까지의 높이를 의미하는 바텀 라인(Bottom Line), 예를 들어, 880mm 높이 사이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최적의 위치에서 유해 가스를 흡입,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직관적으로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후드 및 조리기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조리기기: 100
후드: 200
헤드: 210
흡기구: 211
조명부: 212

Claims (14)

  1. 열원을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로 흡기구를 포함하는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판별 단계는,
    열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열에 기초하여 상기 열원을 판별하거나, 조리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열원 정보로부터 상기 열원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가스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스가 감지되면, 가스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 단계는,
    상기 판별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상기 헤드가 상기 판별된 하나의 열원 위에서 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 단계는,
    상기 판별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상기 판별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를 상기 헤드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에 따라 조명부에서 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후드의 동작 방법.
  7. 쿡탑(cooktop)의 열원이 하나 이상 온(on)되는 단계;
    온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상기 온된 하나의 열원 위로 후드(hood)의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온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상기 온된 복수개의 열원 중간 위치로 상기 헤드(head)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가스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후드가 가스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 단계는,
    상기 온된 열원이 하나인 경우에, 상기 헤드가 상기 온된 하나의 열원 위에서 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 단계는,
    상기 온된 열원이 복수개 경우에, 상기 온된 복수개의 열원 사이를 상기 헤드가 왕복하면서 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에 따라 상기 후드의 조명부에서 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에 따라 하단 후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후드는, 상기 쿡탑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069310A 2016-06-03 2016-06-03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46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10A KR102462768B1 (ko) 2016-06-03 2016-06-03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PCT/KR2017/005732 WO2017209534A1 (ko) 2016-06-03 2017-06-01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10A KR102462768B1 (ko) 2016-06-03 2016-06-03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35A true KR20170137335A (ko) 2017-12-13
KR102462768B1 KR102462768B1 (ko) 2022-11-02

Family

ID=6047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10A KR102462768B1 (ko) 2016-06-03 2016-06-03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768B1 (ko)
WO (1) WO20172095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37B1 (ko) * 2020-01-08 2020-11-1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냄새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한 전기 그릴
WO2022191397A1 (ko) * 2021-03-08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46160A1 (en) * 2022-01-26 2023-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adaptive air quality and pollution control in food processing and other thermal processing environ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3010B2 (en) 2019-10-28 2023-02-07 Lg Electronics Inc. Self-cleaning kitchen hood
JP2022059687A (ja) * 2020-10-02 2022-04-14 シンポ株式会社 加熱調理器システム、及び脱臭方法
EP4265162A1 (de) * 2022-04-20 2023-10-2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und dunstabzugsmodul
EP4265161A1 (de) * 2022-04-20 2023-10-2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Mobile dunstabzugshaube, system und 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42A (ko) * 2005-02-05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레인지 배기후드의 배기조절 장치
KR20080029523A (ko) * 2006-09-29 2008-04-03 이동일 주방용 후드장치
JP2008249321A (ja) *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レンジフードシステム
JP2009186132A (ja) * 2008-02-08 2009-08-20 Panasonic Corp 排気フードおよび排気システム
JP2012159280A (ja) * 2011-01-31 2012-08-23 Tornex Inc 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67B1 (ko) * 2009-02-11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JP5899393B2 (ja) * 2011-02-25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42A (ko) * 2005-02-05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레인지 배기후드의 배기조절 장치
KR20080029523A (ko) * 2006-09-29 2008-04-03 이동일 주방용 후드장치
JP2008249321A (ja) *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レンジフードシステム
JP2009186132A (ja) * 2008-02-08 2009-08-20 Panasonic Corp 排気フードおよび排気システム
JP2012159280A (ja) * 2011-01-31 2012-08-23 Tornex Inc 換気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37B1 (ko) * 2020-01-08 2020-11-1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냄새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한 전기 그릴
WO2022191397A1 (ko) * 2021-03-08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WO2023146160A1 (en) * 2022-01-26 2023-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adaptive air quality and pollution control in food processing and other thermal processing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534A1 (ko) 2017-12-07
KR102462768B1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768B1 (ko) 후드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러한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9835339B2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US20060150965A1 (en)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KR20210050429A (ko) 주방용 후드
JP2014044032A (ja) 無煙グリル
KR20160104514A (ko) 이동식 렌지 후드
KR20190087809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5700257B2 (ja) 熱分解機能を持つオーブン
KR20200012233A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JP5921890B2 (ja) レンジフード
KR200408483Y1 (ko) 숯불 로스터
KR102114459B1 (ko) 스마트 렌지후드
KR100589607B1 (ko) 레인지 후드
JP2020024054A (ja) レンジフード
CN114526502A (zh) 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493077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JP2007192484A (ja) レンジフード
JP2017180851A (ja) レンジフード
KR20220040746A (ko) 주방용 후드
CN114543133A (zh) 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871391B2 (ja) レンジフード
JP2007192482A (ja) レンジフード
CN113898985A (zh) 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70052380A (ko) 숯불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