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809A -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809A
KR20190087809A KR1020180006076A KR20180006076A KR20190087809A KR 20190087809 A KR20190087809 A KR 20190087809A KR 1020180006076 A KR1020180006076 A KR 1020180006076A KR 20180006076 A KR20180006076 A KR 20180006076A KR 20190087809 A KR20190087809 A KR 2019008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oil
oil filt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667B1 (ko
Inventor
윤경수
손일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6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일필터, 상기 오일필터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오일필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센싱유닛, 상기 필터센싱유닛에서 측정된 오일입자의 양에 따라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구비되는 필터교체유닛이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상기 필터에 통과됨으로서 공기 중의 이물과 악취 등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실내공기에는 다수의 오일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입자는 주로 음식물 등을 조리할 때 발생되고, 공기 중 오일입자는 가정 내에 배치된 가구, 바닥면 등에 흡착되어 제거가 쉽지 않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된 오일입자는 발암물질인 벤젠 등 인체에 유해하고 대기를 오염시키는 물질을 포함하여 호흡기 질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입자가 발생되는 조리공간과의 거리, 높이차 등으로 인해 오일입자의 포집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물 등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필터에 오일입자가 함께 포집되는 경우, 필터의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 중 오일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바 있다.
(1) 제 1 선행문헌 : 공개특허 제10-2015-0116013호 (2015년 10월 15일 공개), 열원을 이용한 직화구이의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상기 제 1 선행문헌은, 가정용 조리 열원의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오일입자를 제거하는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주방 배기부에 금속 메쉬 필터를 설치하여 오일입자를 수집 및 제거한다.
(2) 제 2 선행문헌 : 등록특허 제10-1310818호 (2013년 9월 13일 등록),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상기 제 2 선행문헌은, 고전압 방전을 이용하여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하전 및 응집시키고, 강력한 회전을 통해 포집시키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문헌들에 따른 종래의 오일입자 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1) 선행문헌 1과 같이 배기부에 오일입자를 제거하는 필터가 설치된 경우, 필터의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오일입자가 계속 축척되어 상기 필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2) 또한, 선행문헌 1에서 사용되는 금속 메쉬 필터는 비교적 고가의 필터로 교체비용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3) 또한, 선행문헌 2에서 이용되는 방전에 의해 오존 등 다른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고, 방전에 의한 스파크에 의해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4) 또한, 선행문헌 2의 장치는 고가의 설비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5) 특히,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에서는 오일입자가 어느 정도 포집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없다. 그에 따라, 필터 등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으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중 오일입자를 전용으로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중 오일입자의 제거를 위한 오일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가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인지하여 능동적으로 오일필터를 교체하거나,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오염도가 높은 경우 자동으로 필터가 교체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교적 저가의 섬유필터를 오일필터로 사용하여 교체가 쉽고 비용이 저감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일필터, 상기 오일필터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오일필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센싱유닛, 상기 필터센싱유닛에서 측정된 오일입자의 양에 따라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구비되는 필터교체유닛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도록, 상기 오일필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수광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광부는 자외선의 양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광측정필름(UV-scale)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름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광측정필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름회전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광측정필름의 색에 따라 상기 광측정필름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광측정필름의 일 측에 구비되는 필름교체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수광부는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와 상기 오일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가 설치되는 제 1 프리필터 및 상기 오일필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가 설치되는 제 2 프리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잇다.
이때,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가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일필터를 절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장되어 설치된 컷팅레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의 일 단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수부 및 상기 필터회수부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수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전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 및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필터교체유닛과 접하는 제 3 필터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수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3 필터부는 상기 필터회수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에 상기 흡입구, 상기 발광부, 상기 오일필터, 상기 수광부 및 상기 토출구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공기가 오일필터에 통과하도록 송풍 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배치된 발광부가 상기 오일필터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오일필터의 타 측에 배치된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한다.
상기 오일필터에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필터회전부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연장되고,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 및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필터회수부에 결합되는 제 3 필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2 필터부가 상기 필터회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필터회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포집하는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가시화하고, 오일필터의 교체시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광측정필름의 색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능동적으로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여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감지하여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치에 따라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교체비용이 저렴하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많은 양이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분리할 필요없이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비교적 작고 가볍게 구비되어 오일입자가 발생되는 장소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오일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다른 용도의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오일필터만을 구비하며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구비되며, 타 필터의 오염 및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교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설치자유도가 높으며 휴대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주방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식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비교적 작고 가볍게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에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제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유증기, 즉 공기 중 오일입자가 발생되는 지점과 매우 인접한 곳이 배치되기 때문에 오일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오일입자를 전용으로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는 오일필터가 구비된다. 또한, 부가적인 필터 등의 추가로 다양한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흡입구(120) 및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각종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형상으로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흡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10)의 형상 및 상기 흡입구(120)의 위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상기 하우징(110)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마련된 지지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112)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구(12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벽면에 걸릴 수 있는 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사용자가 ON/OFF와 같은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에 접근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하,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14)와 하우징본체(116)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커버(114)에는 상기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본체(116)에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6)에는 공기를 강제대류시키는 송풍 팬(130) 및 상기 송풍 팬(130)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132, 도 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 팬(130)은 상기 토출구(미도시)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는 오일필터(14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오일필터(140)는 상기 흡입구(120)와 상기 토출구(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0)에서 토출된다.
이때, 오일필터(140)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으며 변형가능한(flexible) 재질로 마련된다. 특히, 상기 오일필터(140)는 공기는 통과되며 오일입자는 포집되는 공극을 갖는 섬유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필터(140)는 부직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다수의 기공을 가지는 섬유로 마련되기 때문에 오일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변형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화재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난연기능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향균물질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변형이 자유로운 상기 오일필터(140)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오일필터(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전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회전부(150)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필터회전축(152)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회전축(152)은 상기 필터회전부(15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필터회전축(152)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필터회전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오일필터(140)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오일필터(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감겨서 롤(roll)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결합된 상기 오일필터(140)의 일부를 제 1 필터부(142)라 한다.
상기 제 1 필터부(142)는 교체가능하게 마련된 부분으로, 아직 사용되지 않은 오일필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142)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겹쳐져 감긴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오일필터(140)의 사용에 따라 양이 변화될 수 있다.
즉, 변형가능한 재질로 마련된 오일필터(140)의 특성을 활용하여 교체가능한 부분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을 분리하여 오일필터(140)를 교환할 필요가 없이, 내부에 배치된 오일필터(14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142)에서 연장되어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44)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필터부(144)는 현재 사용되는 오일필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144)는 상기 흡입구(120)로 유입된 대부분의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에서 타 측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144)에서 연장되어 필터교체유닛(160)과 접하는 제 3 필터부(146)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은 사용된 오일필터(140)의 부분을 교체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에는 상기 오일필터(140)를 절단하는 컷팅부(162) 및 상기 컷팅부(162)가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컷팅레일(164)이 포함된다.
상기 컷팅부(162)는 상기 오일필터(140)를 절단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컷팅부(162)는 칼날과 같은 날카로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컷팅레일(164)은 상기 컷팅부(162)가 상기 오일필터(14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일필터(140)를 절단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컷팅레일(164)이 설치되는 레일설치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오일필터(140)의 교체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교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오일필터(140)의 전면에 위치된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으며, 상기 오일필터(140)의 교체과정을 차례로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회전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하고, 각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필터부(142)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필터부(146)는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부(144)는 공기의 유동공간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일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부(144)에 소정의 오일입자가 포집되어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110)을 분리하지 않고 이를 교체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상기 필터회전부(150)를 회전시켜 상기 오일필터(140)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 3 필터부(146)를 파지하여 하부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필터회전부(150)가 회전되며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감겨있던 제 1 필터부(142)가 하부로 이동된다.
즉, 오일입자를 포집한 오일필터(140)의 부분이 하부로 이동되며, 공기유로 상에는 오일입자가 포집되지 않은 오일필터(140)가 배치된다. 즉, 사용되지 않은 오일필터(140)로 교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컷팅부(162)를 상기 컷팅레일(164)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오일필터(140)를 절단한다. 즉, 오일입자가 포집된 오일필터(140)의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시 도 5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 공기 중 오일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오일필터(140)를 교체하여 계속적으로 상기 공기청정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이와 같은 오일필터(140)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필터센싱유닛(17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은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즉,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에서 측정된 오일입자의 양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으로 상기 오일필터(140)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은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20)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오일필터(1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은 상기 오일필터(14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에는, 상기 오일필터(140)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72)와 상기 발광부(172)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가 포함된다. 즉, 상기 발광부(172), 상기 오일필터(140) 및 상기 수광부는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172), 상기 오일필터(140) 및 상기 수광부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발광부(172)가 상기 흡입구(120)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발광부(172)는 상기 오일필터(140)에 소정의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72)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 마련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설정된 파장값 또는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광부는 자외선의 양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광측정필름(174, UV-scale)으로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발광부(172)는 자외선(UV)영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172)는 상기 광측정필름(174)가 반응할 수 있는 200~420nm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7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의 발광부설치부(17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설치부(173)는 공기의 유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개구를 갖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설치부(173)는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프리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측정필름(174)은 UV스케일(UV-scale) 또는 자외선 광량분포 측정필름으로 명칭된다. 상기 광측정필름(174)은 지지체에 감광층과 백색층이 형성된 구조로 마련되며, 조사된 자외선 광량에 따라 감광층에 구비된 발색제가 반응하여 색이 변화된다.
이와 같은 색 변화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오일필터(140)에 오일입자가 거의 포집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광부(172)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상기 오일필터(140)를 대부분 통과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측정필름(174)에 비교적 많은 양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광측정필름(174)의 색이 변화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오일필터(140)에 많은 양의 오일입자가 포집된 경우,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하는 자외선의 양이 줄어든다, 그에 따라, 상기 광측정필름(174)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양이 줄어들며 상기 광측정필름(174)의 색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광층정필름(174)은 앞서 설명한 상기 오일필터(14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필터센싱유닛(170)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름회전부(176)와, 상기 광측정필름(174)을 교체하기 위한 필름교체유닛(178)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름회전부(176)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회전부(150)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필름회전축(17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광측정필름(17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름회전부(176)에 감긴 롤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필름교체유닛(178)은 상기 필터교체유닛(16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교체유닛(178)에는 상기 필터교체유닛(160)과 같이 컷팅부 및 컷팅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레일설치부(118)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측정필름(174)도 도 5에 도시된 오일필터(140)의 교체과정와 동일하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능동적으로 상기 오일필터(140)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오일필터(140) 및 상기 광측정필름(174)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자동으로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교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 3과 동일한 외관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14)와 하우징본체(11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6)에는 공기를 강제대류시키는 송풍 팬(130) 및 상기 송풍 팬(130)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132, 도 7)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는 오일필터(140),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전부(15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필터회전축(152)이 구비된다.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부(142), 상기 제 1 필터부(142)에서 연장되어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44) 및 상기 제 2 필터부(144)에서 연장되어 필터교체유닛(180)에 결합되는 제 3 필터부(146)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필터교체유닛(180)은 사용된 오일필터(140)의 부분을 교체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필터교체유닛(180)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수부(182) 및 상기 필터회수부(182)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수모터(184)가 포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회전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교체유닛(18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하고, 각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부(142)는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필터부(146)는 상기 필터회수부(182)에 감긴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부(144)는 공기의 유동공간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일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부(144)에 소정의 오일입자가 포집되어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필터회수모터(184)가 상기 필터회수부(182)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필터회전부(150)도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필터회전부(150)에 감겨있던 제 1 필터부(142)가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144)가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필터회수부(182)에 감기게 된다.
즉, 공기유로 상에는 오일입자가 포집되지 않은 오일필터(140)가 배치되고, 오일입자가 포집된 오일필터(140)는 상기 필터회수부(182)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다시 공기 중 오일입자를 포집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오일필터(140)를 교체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이와 같은 오일필터(140)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필터센싱유닛(19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센싱유닛(190)은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필터센싱유닛(190)은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20)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오일필터(1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필터센싱유닛(190)은 상기 오일필터(14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센싱유닛(190)에는, 상기 오일필터(140)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92)와 상기 발광부(192)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194)가 포함된다. 즉, 상기 발광부(192), 상기 오일필터(140) 및 상기 수광부(194)는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92)는 상기 오일필터(140)에 소정의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92)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 마련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설정된 파장값 또는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발광부(172)와 달리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발광부(192)는 파장영역에 제한이 없다. 즉,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194)는 상기 발광부(192)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도록 상기 발광부(192)와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광부(194)는, 소정의 파장영역의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192) 및 상기 수광부(194)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발광부(192) 및 상기 수광부(194)를 각각 4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개수에 불과하다. 다만, 상기 발광부(192) 및 상기 수광부(194)는 서로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92) 및 상기 수광부(194)는 소정의 발광부설치부(196) 및 수광부설치부(198)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설치부(196) 및 상기 수광부설치부(198)는 공기의 유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개구를 갖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설치부(196) 및 수광부설치부(198)는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프리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설치부는 상기 발광부(192)가 설치되는 제 1 프리필터(196)이고, 상기 수광부설치부는 상기 수광부(194)가 설치되는 제 2 프리필터(198)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프리필터(196)는 상기 흡입구(120)와 상기 오일필터(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프리필터(198)는 상기 오일필터(140)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120), 상기 제 1 프리필터(196), 상기 오일필터(140), 상기 제 2 프리필터(198) 및 상기 토출구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 중 오일입자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제어부(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200)는 상기 공기청정기(100) 자체에 구비되거나 그와 연결된 각종 기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청정기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02) 및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부(2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2)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4)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관에 구비되거나, 상기 공기청정기(1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각종 기기들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각종 기기들과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에는 Wi-Fi모듈, 블루투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202)에 입력된 소정의 정보 및 상기 수광부(194)에서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발광부(192)에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팬 모터(132) 및 상기 필터회수모터(184)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4)에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ON된다(S200).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02)를 통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함으로서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ON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100)에는 소정의 오일센서가 구비되어 공기 중 오일입자의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ON되는 것은 상기 팬 모터(132)가 동작되어 상기 송풍팬(130)이 공기를 강제대류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하며 공기 중 오일입자가 상기 오일필터(140)에 포집되고, 오일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토출된다. 즉, 유입된 공기는 공기 중 오일입자가 제거되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OFF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된 경우 필터 검사가 수행된다(S210).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OFF되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센서에 의해 상기 팬 모터(132)가 정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검사(S210)는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작동되고 정지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소정의 구동횟수 또는 구동시간 이상으로 구동된 경우 상기 필터 검사(S2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오일필터(140)의 성능에 따라 미리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결정된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오일필터(140)에 소정의 광이 조사되고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한 광이 측정된다(S220). 즉, 상기 발광부(192)가 소정의 광을 상기 오일필터(140)로 조사하고, 상기 수광부(194)가 상기 오일필터(140)를 통과한 소정의 광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수광부(194)에서 감지된 광의 양에 따른 소정의 측정 전류값이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기준치는 상기 발광부(192)에서 조사된 광, 상기 오일필터(140)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수광부(194)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오일입자가 포집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상기 오일필터(140)는 교체할 필요가 없이 계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상기 수광부(194)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오일필터(140)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오일입자가 포집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상기 오일필터(140)를 교체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에 따라, 필터 교체이 수행된다(S240). 상기 필터 교체은 상기 필터회수모터(184)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회수부(182)를 회전시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회수부(182)에 사용된 오일필터(140)가 감기며 새로운 오일필터(140)가 공기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검사에 따라 측정된 양에 따른 오일필터(140)의 오염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4)에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필터(140)의 오염도가 70%인 경우 필터 교체를 수행하고, 측정된 오일필터의 오염도가 50%로 아직 교체가 필요하지 않음을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오일필터의 오염도가 70%에 가까운 경우 필터 교체여부를 선택하는 메세지를 가시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도 4, 도 5)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도 6)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으며 각 구성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측정필름과 필터회수부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에 사용자가 광측정필름의 색 변화를 확인하고 필터회수부를 회전시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광측정필름의 색 변화를 센싱하여 그 변화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와 컷팅부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에 사용자가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통해 컷팅부를 이동시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필터회전부 및 컷팅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필터회전부를 회전시켜 오일필터를 교체하고 컷팅부를 이동시켜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형상 및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 중 오일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오일필터의 오염도를 가시화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100 : 공기청정기 110: 하우징
120 : 흡입구 130 : 송풍 팬
140 : 오일필터 150 : 필터회전부
160, 180 : 필터센싱유닛 162 : 컷팅부
170, 190 : 필터교체유닛 172, 192 : 발광부
174 : 광측정필름 182 : 필터회수부

Claims (15)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 오일입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일필터;
    상기 오일필터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오일필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센싱유닛;
    상기 필터센싱유닛에서 측정된 오일입자의 양에 따라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구비되는 필터교체유닛;
    이 포함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도록, 상기 오일필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수광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광부는 자외선의 양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광측정필름(UV-scale)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름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광측정필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름회전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센싱유닛에는, 상기 광측정필름의 색에 따라 상기 광측정필름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광측정필름의 일 측에 구비되는 필름교체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다이오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오일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가 설치되는 제 1 프리필터; 및
    상기 오일필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가 설치되는 제 2 프리필터;가 더 포함되는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가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일필터를 절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장되어 설치된 컷팅레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오일필터의 일 단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수부; 및
    상기 필터회수부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수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필터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전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 및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필터교체유닛과 접하는 제 3 필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교체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회수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3 필터부는 상기 필터회수부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흡입구, 상기 발광부, 상기 오일필터, 상기 수광부 및 상기 토출구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공기가 오일필터에 통과하도록 송풍 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오일필터의 일 측에 배치된 발광부가 상기 오일필터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오일필터의 타 측에 배치된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오일필터를 통과한 광을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오일필터를 교체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필터에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필터회전부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연장되고, 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 및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필터회수부에 결합되는 제 3 필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2 필터부가 상기 필터회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필터회수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06076A 2018-01-17 2018-01-17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076A KR102062667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076A KR102062667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09A true KR20190087809A (ko) 2019-07-25
KR102062667B1 KR102062667B1 (ko) 2020-02-11

Family

ID=6746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076A KR102062667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6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345B1 (ko) * 2020-07-02 2021-02-18 이재훈 마스크 결합형 공기정화장치
US20210121813A1 (en) * 2019-10-28 2021-04-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leaner for kitchen
KR20210050137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씨티엘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WO2022244945A1 (en) * 2021-05-21 2022-11-2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hood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609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테리어스 롤스크린식 렌지후드용 보조필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353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120029490A (ko) * 2010-09-16 2012-03-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롤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60052304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염감지센서,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5333A (ko) * 2016-03-09 201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353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120029490A (ko) * 2010-09-16 2012-03-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롤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60052304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염감지센서,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5333A (ko) * 2016-03-09 201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1813A1 (en) * 2019-10-28 2021-04-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leaner for kitchen
KR20210050137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씨티엘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US11654389B2 (en) 2019-10-28 2023-05-2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with cutter
US11772027B2 (en) 2019-10-28 2023-10-0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with user interface
US11826686B2 (en) * 2019-10-28 2023-11-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leaner for kitchen
KR102217345B1 (ko) * 2020-07-02 2021-02-18 이재훈 마스크 결합형 공기정화장치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WO2022244945A1 (en) * 2021-05-21 2022-11-2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667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809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3267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 살균 시스템
KR100508312B1 (ko) 공기정화기
KR101895978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이 구비된 천장용 조명등
KR101611029B1 (ko) 공기 청정기
KR101962730B1 (ko)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동주택 주방후드 거름망
JP2004510118A (ja) 空気清浄器
TWI617775B (zh) 空氣清淨機
CN107080854B (zh) 一种带紫外消毒灯的模块化空气过滤装置
KR20210050430A (ko) 주방용 후드
JP6055605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JP6350344B2 (ja) 空気清浄機
JP5222050B2 (ja) 空気調和機
KR20210051965A (ko) 소형 공기청정기
KR20180089238A (ko) 주방용 후드
JP5800617B2 (ja) 空気清浄機
KR20180083113A (ko) 필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KR102424846B1 (ko) 스마트센싱 유해가스 정화기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WO2022102320A1 (ja) 空気浄化装置
KR20190061626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503683B (zh) 空气调节机
JP2021042936A (ja) 空気調和機
JPH08206540A (ja) 空気清浄器
KR20240067650A (ko)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융합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살균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