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238A - 주방용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238A
KR20180089238A KR1020170014103A KR20170014103A KR20180089238A KR 20180089238 A KR20180089238 A KR 20180089238A KR 1020170014103 A KR1020170014103 A KR 1020170014103A KR 20170014103 A KR20170014103 A KR 20170014103A KR 20180089238 A KR20180089238 A KR 2018008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degree
contamination
kitchen hood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경
이정호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238A/ko
Publication of KR2018008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주방용 후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모듈, 상기 후드 모듈에 구비되며 복수의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는 조명부,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KITCHEN HOOD}
본 발명은, 오염도에 따라 다른 색체의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현재의 오염도를 나타낼 수 있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 상면에 각종 조리용기를 얹어 놓고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각종 음식 냄새와 연기 등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음식 냄새와 연기가 거실 또는 방으로 흐르면서 집안 전체에 음식 냄새가 배어나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레인지 상측에 후드를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후드는 일반적으로 조리기구의 사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외부 또는 실내로 토출하는 기구를 말한다.
한편 최근의 후드는 공기 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후드에 조명을 장착하여 조명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후드에 대해서는 공개 특허 공보 10-2010-0020816에서 설명하고 있다.
한편, 공기 오염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조리 기구에서 조리가 진행중인 때에는 공기 오염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조리가 종료되면 공기 오염도는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육안으로 공기 오염도를 판단할 수 없으며, 따라서 후드의 오프 시기를 판단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드를 열어보기 전까지는 후드의 내부 오염도를 판단하기 힘들며, 이에 따라 후드 내부 청소 및 필터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조명의 색체로 나타내어, 공기 오염의 정도 및 후드의 동작 중단 시기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키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를 조명의 색체로 나타내어, 후드 내부의 오염 정도, 청소 시기, 필터 교체 시기 등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 및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를 모두 나타낼 수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는, 주방용 후드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한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는, 후드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나 팬의 부하에 기초하여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한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는,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판단한 후, 이를 주방용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제1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함으로써, 사용자는 공기 오염의 정도 및 후드의 동작 중단 시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함으로써, 사용자는 후드 내부의 청소시기 또는 필터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후드의 동작 상황에 맞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0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조명 발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따른 조명 발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의 스위칭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방용 후드(100)는 쿡탑 등의 조리기기(2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리기구(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여러 가지 냄새 및 오염물질들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냄새 및 오염물질은 조리기구(200)의 상측으로 유동하여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드(100)는 조리 기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100)는, 조리기기(2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나 냄새를 흡입한 후, 흡입된 실내 공기를 탈취 및 살균 등의 정화작업을 실시하여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100)는, 조명부(120)를 포함하여 실내를 조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방용 후드(100)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용 후드(100)를 천장에 고정하는 와이어는 길이를 조절하여 주방용 후드(100)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주방용 후드(100)는, 후드 모듈(110), 조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드 모듈(110)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0)는 후드 모듈에 구비되며 복수의 색체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다.
조명부(120)에서 발산된 빛은 실내를 밝히는 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드 모듈(110)의 내부에는 팬(111)이 배치될 수 있다.
팬(111)은 후드 모듈(110) 내부의 모터(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팬(111)은 모터에서 전달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111)은 실내 공기, 특히 후드(100) 하측 방향의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팬(111)은 다수의 짧은 만곡형 날개를 가진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팬(11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11)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후드 모듈(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130)를 거치면서, 오염 물질이 걸러지거나 살균되거나 탈취될 수 있다.
후드 모듈(100)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는, 필터(130)를 거친 공기를 팬(111)으로 안내하는 흡입 유로(112) 또는 팬(1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시키는 토출 유로(1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후드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20)는 후드 모듈(100)의 하측,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복수의 색체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부(120)는 복수의 할로겐 램프 또는 복수의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할로겐 램프는 관 안에 봉입된 할로겐 원소로 인하여 점등시 광속이 저하되는 것과 색 온도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주방용 후드(100)는 공기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0)는 후드 모듈(110)을 감사면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0)는 주방용 후드(100)의 하부에 배치된 조리 기기(200)에서 발생한 연기가 퍼지지 않고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가이드(140)는 실내 조명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20)에서 방출된 조명은 공기 가이드(140)에서 가이드 하는 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조명 발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100)는 오염도의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도의 검출을 위한 데이터는, 실내 공기 내 먼지량, 가스량 및 냄새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50)는, 후드 모듈(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후드 모듈(110)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센싱부(150)가 후드 모듈(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센싱부(150)는 후드 모듈(100)의 어느 일면 또는 공기 가이드(14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주방용 후드(10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부(150)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50)에서 획득한 실내 공기 내 먼지량, 가스량 및 냄새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오염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오염의 정도가 제1 기준보다 큰 제3 단계, 오염의 정도가 제1 기준보다는 작지만 제2 기준보다는 큰 제2 단계, 오염의 정도가 제2 기준보다 작은 제1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오염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오염의 정도가 증가하고 있거나 오염의 정도가 증가한 후 유지되고 있는 제3 단계, 오염의 정도가 감소하고 있는 제2 단계, 오염의 정도가 작아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제1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제3 단계인 경우 제3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 기기(2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 있어 먼지, 가스 등이 오염 물질이 활발히 배출되고 있는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3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빨간색이면, 제어부는 빨간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제2 단계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는 제2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조리가 종료되었으나 먼지,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이 아직 남아 있는 경우, 오염 물질의 양이 작아졌거나 오염 물질의 양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2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노란색이면, 제어부는 노란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인 제1 단계로 변경된 경우,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1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조리가 종료되었고, 먼지, 가스 등의 오염물질도 대부분 제거된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1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파란색이면, 제어부는 파란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주방용 후드(100)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센싱부(150)가 후드 모듈(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후드 모듈(110)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한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센싱부(150)는 후드 모듈(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드 모듈(110)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50)는 흡입 유로(112)에 배치되어, 흡입 유로(112) 내 먼지량, 가스량 및 냄새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50)가 후드 모듈(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100)가 동작 중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100)가 동작 중일 때 센싱부(150)가 획득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방용 후드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명부(120)는 제2 조명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명부(125)는 후드 모듈(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25)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램프(125a, 125b,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명부(125)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조명부(120)에 대한 실시 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0)는,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명부(125)에서 발산된 빛은 공기 가이드(140)를 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색체의 조명이 후드 전체를 통하여 발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따른 조명 발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센싱부(150)는 제2 센싱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싱부(155)는 흡입 유로(11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부(155)는 주방용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싱부(155)는 흡입 유로(112)에 배치되어, 흡입 유로(112)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유로(112)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는, 흡입 유로(112) 내부의 공기 내의 먼지량, 가스량 및 냄새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제2 센싱부(155)가 흡입 유로(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2 센싱부(155)는 후드 모듈(110) 내부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싱부(155)는 토출 유로(113)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센싱부(155)는 필터(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센싱부(155)는 후드 모듈(110)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부(155)는 후드 모듈(110) 내부에 구비되는 팬(111)의 부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방용 후드(100)내 기름이나 먼지가 쌓이는 경우, 기름 또는 먼지는 팬(111)이나 모터에 달라붙어 팬(111)의 부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100)의 필터(130)에 기름이나 먼지가 끼는 경우, 실내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약화시키며, 따라서 팬(111)의 부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팬(111)의 부하에 대한 데이터는,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2 센싱부(155)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싱부(155)에서 획득한, 후드 모듈(110)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 및 후드 모듈(110) 내부에 구비되는 팬(111)의 부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는, 오염의 정도가 제1 기준보다 작은 제1단계, 오염의 정도가 제1 기준보다는 크지만 제2 기준보다는 작은 제2 단계, 오염의 정도가 제2 기준보다 큰 제3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가 제1 단계인 경우 제1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용 후드 내부를 청소하거나 필터를 교체한지 얼마 되지 않아 내부 청소나 필터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1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파란색이면, 제어부는 파란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가 제2 단계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는 제2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용 후드 내부를 청소하거나 필터를 교체한지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여 내부 청소나 필터 교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2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노란색이면, 제어부는 노란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후드 모듈(110) 내부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제3 단계로 변경된 경우,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3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드 내부의 오염도가 높아 내부 정소나 필터 교체가 즉각적으로 필요한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제3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계에 대응하는 조명의 색체가 빨간색이면, 제어부는 빨간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 단계에 따라 제1 색체, 제2 색체, 제3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으면,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음을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가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인 경우 제어부는 조명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후드 모듈 내부의 오염도가 제3 단계가 되면, 제어부는 빨간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50)가 후드 모듈(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100)가 동작 중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반면에, 센싱부(150)가 후드 모듈(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주방용 후드(100)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실내 공기가 주방용 후드(100) 내부에 흡입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100)가 비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조명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일 때,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용 후드가 동작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있고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3단계인 경우,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빨간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일 때,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용 후드가 동작하지 않고 있고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가 1단계인 경우,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파란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오염의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체의 조명이 발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조명의 색체는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경우, 제어부는 빨간색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오염도가 가장 낮은 경우, 제어부는 노란색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조명의 색체가 오염도의 정도에 따라서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의 스위칭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방용 후드(100)는 조리기기(200)와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기기(200)는 가스렌지일 수 있다.
가스렌지를 점화하기 위하여 가스렌지의 스위치(210)가 조작되는 경우, 가스렌지는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를 주방용 후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스렌지를 점화하기 위하여 가스렌지의 스위치(210)를 회전시키는 경우, 가스렌지는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를 주방용 후드(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가 수신되면, 주방용 후드의 제어부는 특정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가 수신되면, 주방용 후드의 제어부는 녹색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가 수신되면, 주방용 후드의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를 동작시키고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가스렌지의 스위치가 회전되었을 때로부터 가스렌지가 실제로 점화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 경우 가스렌지가 실제로 점화되기 까지 가스렌지로부터 가스가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렌지가 실제로 점화되기 전에 미리 점화 정보를 주방용 후드로 전송하기 때문에, 주방용 후드는 가스가 누출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렌지가 실제로 점화되기 전에 미리 점화 정보를 주방용 후드로 전송하기 때문에, 주방용 후드는 아직 조리중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미리 동작하여 누출되는 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방용 후드(10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공기 가이드(14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부(160)는 후드 모듈(110)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에는 프로그레시브 바(161)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6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센싱부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오염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161)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일 때,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161)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일 때, 제어부는 주방용 후드(100) 내부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161)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레시브 바(161)의 길이는, 오염도의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도가 제1 단계인 경우 프로그레시브 바(161)의 길이는 제 1 길이일 수 있으며, 오염도가 제2 단계인 경우 프로그레시브 바(161)의 길이는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주방용 후드 110: 후드 모듈
120: 조명부 130: 필터
140: 공기 가이드 150: 센싱부

Claims (10)

  1.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모듈;
    상기 후드 모듈에 구비되며 복수의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는 조명부;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제2 단계인 경우 제2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제1 단계로 변경된 경우 제1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는,
    상기 후드 모듈 내부의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후드 모듈 내부에 구비되는 팬의 부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주방용 후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으면,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음을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후드 모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주방용 후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 일 때,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일 때,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8. 제 1항에 있어서,
    가스렌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렌지의 점화 정보가 상기 가스렌지로부터 수신되면, 특정 색체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9.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모듈;
    상기 후드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에서 전달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팬;
    상기 후드 모듈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후드 모듈에 장착되며 복수의 색체의 빛을 방출하는 광 출력부;
    상기 후드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고, 오염도의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 일 때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0.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모듈;
    상기 후드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에서 전달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팬;
    상기 후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디스플레이부;
    오염도의 검출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가 동작 중 일 때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방용 후드가 비 동작 중일 때 상기 주방용 후드 내부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KR1020170014103A 2017-01-31 2017-01-31 주방용 후드 KR20180089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03A KR20180089238A (ko) 2017-01-31 2017-01-31 주방용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03A KR20180089238A (ko) 2017-01-31 2017-01-31 주방용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38A true KR20180089238A (ko) 2018-08-08

Family

ID=6323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103A KR20180089238A (ko) 2017-01-31 2017-01-31 주방용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2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115A (zh) * 2018-10-30 2020-05-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蜗壳积油检测提醒方法
KR102128749B1 (ko) * 2020-02-24 2020-07-01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실내공기오염도에 따라 동작하는 조명장치
KR20200099870A (ko) * 2019-02-15 2020-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염알림기능을 갖는 레인지후드
KR102148014B1 (ko) * 2019-12-19 2020-08-25 조봉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115A (zh) * 2018-10-30 2020-05-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蜗壳积油检测提醒方法
KR20200099870A (ko) * 2019-02-15 2020-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염알림기능을 갖는 레인지후드
KR102148014B1 (ko) * 2019-12-19 2020-08-25 조봉래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2128749B1 (ko) * 2020-02-24 2020-07-01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실내공기오염도에 따라 동작하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238A (ko) 주방용 후드
JP6131477B2 (ja) 室内空気質制御システム
EP2749818B1 (en) Range ho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352117A (zh) 空气净化器及其过滤网更换提醒方法
JP598521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20190087809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257182A (zh) 空调机
KR20220028833A (ko) 주방용 후드
KR100836725B1 (ko) 공기청정기용 먼지 센서의 보상 제어방법
JP2010019430A (ja) 空気調和機
KR20160001754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용 조명 장치 및 그의 필터 교환 알람 방법
CN110779057B (zh) 抽油烟机
KR101126260B1 (ko) 배기 후드
KR20220028834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92546A2 (en) Kitchen exhaust ultraviolet system
KR100463679B1 (ko) 배기후드의 열감응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8094A (ko) 공기 청정 살균기
KR100618208B1 (ko) 자동환풍장치
JP2017180851A (ja) レンジフード
KR102053799B1 (ko) 공동주택의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KR20060086159A (ko)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739957B (zh) 空气净化装置
KR20220029846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7263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20734B1 (ko)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