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846A -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846A
KR20220029846A KR1020200110384A KR20200110384A KR20220029846A KR 20220029846 A KR20220029846 A KR 20220029846A KR 1020200110384 A KR1020200110384 A KR 1020200110384A KR 20200110384 A KR20200110384 A KR 20200110384A KR 20220029846 A KR20220029846 A KR 2022002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kitchen hood
dam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섭
조연아
김현기
이지혜
이창언
김대웅
현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846A/ko
Publication of KR2022002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동작조건이 되면 제1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하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거리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을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킬 수 있다.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고, 팬의 팬의 회전에 의해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Kitchen ho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리는 종종 실내 공기로 유해한 연기, 가스, 오일 또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야기한다. 많은 주방은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스토브 위에 설치된 주방용 후드를 가지는데,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주방용 후드의 효율이 떨어져서, 주방 내에 잔류하는 유해한 오염물의 양을 증가시킨다.
최근의 연구는 주방용 후드의 소유자 대부분이 그들의 주방용 후드를 정기적으로 유지보수하거나 청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였다. 하지만,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았을 때 주방용 후드 하부에 축적되거나 또는 공기중에 남아 있는 오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스태프"(staph)), 대장균(Escherichia coli)("대장균"(E. coli), 그리고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수막염, 폐렴, 축농증 및 기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과 같은 박테리아의 번식지이다.
추가로,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동작되지 않을 경우, 미세 먼지, 오일 미스트,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그을음(Black Carbon), 그리고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s hydrocarbon)와 같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 주방 전체에 퍼질 수 있다. 이들 박테리아와 물질들은 건강에 위험을 줄 수 있고 주방용 후드의 효율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한 15~40㎚ 입자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는 기름과 응축되어 1~10㎛의 미세먼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조리시에는 미세먼지, 포름 알데히드, 이산화질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 블랙 카본(검댕) 등의 가스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위험한 물질들을 나타날 수 있다.
약 15~40㎚ 크기의 초기 입자(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와 같은 유해물질)는 음식의 조리중에 생성되고, 이들 입자들의 크기는 수분, 오일 등과 결합하였을 때 미세 먼지를 만들도록 한다.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가스들은 유증기 또는 미스트로 코팅된다. 유해한 가스를 함유한 증기는, 일단 실내에 축적되면, 쉽게 제거되지 않고 오랜 동안 실내에 머무른다.
WO 201709534 A1은 스토브 뒤에 설치된 돌출부나 수도꼭지를 닮은 흡입구를 가지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주방용 후드를 개시한다. 열원을 감지하면 흡입구는 그 열원 위로 이동한다. 흡입구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조리용기 하나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후드는 벽 또는 천정 대신에 스토브 뒤쪽 바닥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어려울 수 있고, 유해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KR 10-0612464 B1은 승강가능한 배기 구동모터를 가지는 주방용 후드를 개시한다. 후드와 흡입그릴은 쿡탑의 바로 위에 제공되어, 기름 찌꺼기가 다시 음식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증가하고 일측 사이드로부터 공기흡입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KR 10-1830811 B1은 물과 세제를 노즐을 통해 주기적으로 분무하는 천정형 주방용 후드를 개시한다. 오수와 세제가 배출파이프에서 배출되고, 주방용 후드의 설치는 드레인 파이프 때문에 제한될 수 있다.
KR 10-1111077 B1은 레인지 후드의 하단부에 설치된 센서들이 온도, 냄새, 연기를 감지하면 팬을 회전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오염원으로부터 레인지 후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효과적인 배기가 어렵고 같은 효율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팬모터의 체적, 풍량,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선행문헌들을 비롯하여 종래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 흡입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오염원의 위치에 공기 흡입구가 적응적으로 변경되지 않아 공기정화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장치의 상부에 주방용 후드가 설치되는 경우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까지의 거리 및 열발생부에서 열발생 여부와 상관 없이 흡입구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일정한 풍량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효과적인 공기청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내부청소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인용문헌들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세부사항, 특징 및/또는 기술적 배경의 적절한 교시를 위해 적절한 경우 이 명세서에 참조로서 일체로 된다.
(선행문헌 1) WO 201709534 A1 (선행문헌 2) KR 10-0612464 B1 (선행문헌 3) KR 10-1830811 B1 (선행문헌 4) KR 10-1111077 B1
본 개시의 목적은 자동으로 동작하고 스스로 청소하는 자율적인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증기, 냄새, 먼지, 오일미스트, 그리고 유해한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고 또 주방 내부의 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공기중의 오염물을 보다 잘 거르기 위해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흡입그릴을 가지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오염원의 위치를 감지하여 오염원의 위치에 따라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분해가 쉽고 휴대 및 교체가 가능한 필터 또는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하방에 위치한 조리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조리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조리장치의 전원이 온/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조리장치에 설치된 열발생부(예들 들어, 화구, 스토브, 인덕션 등)의 온/오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주방용 후드는 조리장치 및 열발생부의 동작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가 주방에 들어서거나 이 주방용 후드에 접근했을 때 주방 또는 스토브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자동 조명을 가지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방은 주방용 후드의 오염을 더 줄이고 및/또는 주방용 후드의 아래에 위치된 스토브를 살균하는 살균조명(예를 들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엘이디)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광을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광)을 가지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방용 후드는 사용자가 주방용 후드를 동작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스피커)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주방용 후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주방용 후드는 모바일 또는 웹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를 위해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모듈을 가질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필터와 센서를 체크하도록 알려주는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확인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하방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 및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요리중인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거리에 따라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공기중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여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질의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흡입그릴을 하강시켜 공기중에 더 많은 면적이 노출되도록 하여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하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의 위치에 따라 흡입그릴의 좌우측 댐퍼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방에서 조리도구의 위치를 감지하면 해당 조리도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및/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하도록 하여 공기청정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공기중에서 오염물을 감지하고 오염물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오일, 먼지, 냄새,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연기, 및/또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또 24시간 동안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하루 24시간 동작하고 주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비록 조리장치에서 요리로부터의 오염물을 배출하도록 조리장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조리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공기상태를 감지하여 24시간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공기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질 상태가 나쁠수록 흡입그릴을 하강시켜 흡입그릴을 오염물질에 더 가까이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청정 효과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공기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 풍량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질센서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질의 상태 또는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공기흡입을 위해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풍량의 팬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공기질 상태가 나쁠수록 풍량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질 상태 중 어느 하나가 최고단계이면 최대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공기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 흡입그릴의 좌우측 댐퍼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질 상태와 조리도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측 및/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하도록 하여 공기청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공기질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질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풍량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공기질 정보 및 풍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추가적인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공기의 온도에 따라 흡입그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에서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우측의 공기온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리장치의 열발생부의 온을 감지하도록 하고 열발생부의 온에 따라 오염원과 흡입그릴이 가까워지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오염원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와 좌우측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흡입그릴을 더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경기의 온도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에서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우측의 공기온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변공기의 오염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오염이 심할 수록 풍량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공기청정이 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변공기의 온도에 따라 흡입그릴의 좌우측 댐퍼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변에 여러 군데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 간의 차이에 따라 오염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오염원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및/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하도록 하여 공기청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내부에 스팀청소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주기적(예를 들어 한 달에 한 번)으로 또는 특정한 오염수준의 감지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스팀청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내부의 스팀청소를 위해 세제액을 저장하는 액체용기를 자동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에서 스팀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제2하우징 내부에서 액체용기를 자동으로 인출하고 제2하우징 내부로 다시 인입되면 스팀청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내부의 액체용기를 자동으로 인출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상의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액체용기의 인출입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스팀청소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각 단계별 진행과정에 대하여 음성으로 안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주방용 후드는 음성안내를 통해서 주방용 후드가 제어될 수 있도록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스팀청소를 위해 흡입그릴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팀청소시 액체용기에 세제액을 넣기 위해서는 흡입그릴의 설치된 제2하우징이 자동으로 하강되고 세제액을 넣은 후 액체용기를 인입시키면 스팀청소가 가능한 위치로 제2하우징이 자동으로 상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스팀청소가 진행되고 스팀청소가 완료되면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팀청소가 완료되면 팬을 회전시켜 흡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가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 내부를 청소하는 스팀을 목표지점에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 내부를 청소하는 스팀을 내부공간 전체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 내부를 스팀으로 청소함에 있어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 내부를 스팀으로 청소함에 있어서 응축수와 이물질의 제거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제2하우징이 승강될 수 있다. 제2하우징의 하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거르도록 하는 흡입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그릴은 착탈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의 상부에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하우징의 내부 상부에는 팬이 배치될 수 있다.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제2하우징 내부 및 제1하우징 내부를 거쳐 상부의 팬 방향으로 상승하며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팬은 팬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회전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승강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하강시키고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조건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하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가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켜 상기 팬의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2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상부의 팬으로 이동될 때 공기의 이동에 따른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유로 상에는 좌측댐퍼가 설치될 수 있고, 우측유로 상에는 우측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좌우측 댐퍼는 각 유로 상에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하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센서는 제1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장치의 상부에 주방용 후드가 설치되는 경우 거리센서는 조리장치 또는 열발생부(예를 들어 화구, 스토브, 인덕션 등)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측정은 실시간으로 실시될 수 있다. 측정된 거리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거리센서에서 하방에 있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방에 물체가 감지되면 제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로 하강시키고 하방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더 낮은 위치로 하감함으로써 조리장치의 오염원으로 흡입구가 가까워질 수 있으며, 더 많은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거리센서에서 주방용 후드의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거리센서는 열발생부에 놓인 조리도구 또는 그 조리도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은 승강버튼의 터치에 의해 승강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승강버튼의 터치가 감지되면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버튼의 터치를 통해 승강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주변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구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공기질 상태가 나쁠수록 제2하우징을 더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제어부는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제2하우징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흡입될 때 흡입그릴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인 제1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방 물체까지의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제2하우징은 계속 제1위치를 유지하고,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상이면 제2하우징은 제1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인 제2위치로 더 하강할 수 있다. 이는 제2하우징이 제1위치에서 있다가 실시간 측정된 거리에서 조리장치에 조리도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하우징을 더 아래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인 제2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방 물체까지의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상이면 제2하우징은 계속 제2위치를 유지하고,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제2하우징은 제2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인 제1위치로 더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제2하우징이 제2위치에서 있다가 실시간 측정된 거리에서 조리장치에 조리도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하우징을 더 위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에 따라 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여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질 측정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풍량이 커지도록 팬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공기질 상태가 나쁠수록 강한 풍량을 발생시켜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복수의 공기질센서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질센서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센서, 냄새를 측정하는 센서, 가스를 측정하는 센서, 오일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VOCs, 메탄가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회전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1하우징 일면에 설치되며 주변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와, 상기 승강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에 의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공기질센서에서 주변공기에 대한 다른 종류의 공기질을 각각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하강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이 회전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각 공기질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풍량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의 경우 측정값의 범위에 따라 0~3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계별로 풍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0단계는 풍량이 발생하지 않은 단계, 1단계는 약풍, 2단계는 중풍, 3단계는 강풍이 될 수 있다. 미세먼지 상황이 나쁠수록 3단계에 가까워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복수의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에 대응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는 0단계, VOC는 1단계, CO2는 2단계인 경우, 이들 중 가장 높은 단계인 2단계에 대응하는 풍량을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최고단계이면 최대풍량이 발생되도록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최고단계는 상기와 같이 구분된 단계 중 가장 마지막 단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3단계로 구분된 경우 3단계가 최고단계가 될 수 있다. 풍량이 최대풍량이 되면 제2하우징을 최하단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주방용 후드가 동작하면 조명을 온시킬 수 있다. 이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주방용 후드를 쉽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가 온됨을 감지할 수 있고, 온된 열발생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측 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이는 열발생부에서의 오염원의 위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함으로써 오염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공기질센서에서 공기질의 상태 또는 수준을 판단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공기질센서가 제1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 하우징을 커버하는 외부 하우징에는 공기질센서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공기질센서로 유입될 수 있어 정확한 공기질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제2하우징의 승강 및 승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된 공기질 수준 또는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제2하우징을 더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에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의 상부 전면에 좌우 측면에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는 주방용 후드의 상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좌우 측면에 설치된 온도센서는 주방용 후드의 좌측 및 우측의 공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각 온도센서가 제1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고, 내부 하우징을 커버하는 외부 하우징에서는 각 온도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주변공기가 외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내부 하우징의 각 온도센서에 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각 위치의 공기온도에 따라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의 회전에 의해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각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풍량이 커지도록 팬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풍량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풍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각 온도의 차이에 따라 풍량을 복수의 단계별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회전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승강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에 의한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가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하는 과정과,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가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좌측하부 및 우측하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에 의한 풍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의 상부 전면에 제1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제1하우징의 하부 좌측면에 제2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제1하우징의 하부 우측면에 제3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2,3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1,2,3온도가 될 수 있다. 제1,2,3온도 간의 온도차이에 따라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온도와 제2온도 또는 제3온도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치 미만이면 풍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팬모터를 정지시켜 팬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 이상이면 그 온도차가 커질수록 풍량이 커지도록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치 사이이면 제1풍량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온도차가 제2기준치와 미리 설정된 제3기준치 사이이면 제2풍량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온도차가 제3기준치와 미리 설정된 제4기준치 사이이면 제3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풍량이 제3풍량이면 제어부는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을 최하단의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의 차이를 기초로 좌측댐퍼 및/또는 우측댐퍼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우측의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 이하이면, 조리장치에서 좌우측 열발생부 모두에 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측 댐퍼를 모두 폐쇄시킬 수 있다. 이는 오염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좌우측 댐퍼를 개방하지 않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측의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좌우측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조리장치에서 좌측 열발생부에 열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좌측댐퍼를 개방하고 우측댐퍼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좌측댐퍼를 개방하여 좌측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상부의 공기온도와 우측의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좌우측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조리장치에서 우측 열발생부에 열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우측댐퍼를 개방하고 좌측댐퍼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우측댐퍼를 개방하여 우측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좌측 또는 우측 댐퍼의 개방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에는 좌측흡입 또는 우측흡입이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우측의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치보다 크고, 좌우측 공기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치 이하이면 조리장치에서 좌우측 열발생부에서 열이 발생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측 댐퍼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좌우측 댐퍼를 모두 개방하여 좌우측에서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공기의 온도는 제2하우징의 승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부의 공기온도 및 좌우측의 공기온도 간의 온도차를 기초로 좌우측 열발생부에서 열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하우징의 승강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조리장치의 좌우측 열발생부에서 모두 열이 발생한 경우 제2하우징이 열발생부에 가까워지도록 상대적으로 더 아래로 하강시켜 더 많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열발생부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곳에 하강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 내부에 청소조립체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내부 스팀청소가 가능할 수 있다.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면 자동으로 스팀청소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가 종료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스팀청소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에서 조리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조리장치의 온/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리장치가 온에서 오프되면 요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미리 설정된 스팀청소 주기가 도래하면 스팀청소를 자동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운전모드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스팀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스팀청소를 시작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진행과정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및/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스팀청소에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을 요청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를 위해 세제액을 담을 수 있는 액체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액체용기는 제2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용기는 필요시 제2하우징 내외부로 슬라이드되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액체용기의 인출입은 인출입모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인출입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액체용기의 인출입 여부는 인출입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인출입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 내에 배치되며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용기와, 상기 액체용기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외부로 인출입시키는 인출입모터와, 상기 승강모터 및 인출입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팀청소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기설정된 초기위치에서 하강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인출입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액체용기를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어부가 스팀청소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팀청소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가 인출입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된 액체용기를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모드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액체용기 내에 세제액을 확인하기 위하여 또는 세제액이 없으면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체용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2하우징을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는 액체용기를 인출하여 내부를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모드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스팀청소모드 시작을 알리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하우징이 하강하면 인출입모터를 구동하여 액체용기가 제2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용기가 인입되면 액체용기 내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세제액을 보충하라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액체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위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더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수위를 확인하여 세제액을 채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를 위해 사용자가 액체용기를 다시 제2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키면 인출입감지센서에서 액체용기의 인입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팀청소를 위해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액체용기가 인출된 후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인출입감지센서에서 액체용기의 인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액체용기의 인입을 요청하는 안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음성안내를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하우징의 상승이 완료되면 스팀청소가 시작됨을 알리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2하우징이 상승되면 스팀청조립체가 구동하여 스팀청소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스팀청소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시 액체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이용하여 스팀발생기에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스팀분배기를 통해 스팀을 복수의 위치로 분배하며 스팀분배기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스팀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가 종료되면 액체용기 내에 회수된 오염액을 버리기 위해 제어부는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제어부는 인출입모터를 구동하여 액체용기를 제2하우징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액체용기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액체용기를 꺼내서 내부의 오염액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청소가 완료되고 액체용기가 제2하우징으로 인입되어 제2하우징이 상승되면 건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켜 풍량에 의해 내부 건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건조과정이 시작되면 건조시작을 알리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건조과정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건조종료를 알리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배기에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이 소정 높이 차이를 두고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에 있는 노즐을 통해 스팀이 하우징 내부로 분사되므로, 스팀이 도달하는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게 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이 소정 높이 차이를 두고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을 보조배관이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노즐을 가지는 제1메인배관, 제2메인배관, 보조배관이 구비되므로 하우징의 내부공간 거의 전체 영역에 동시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와이퍼가 위치되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통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하우징의 내면에 있는 이물질과 응축수를 보다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스팀을 발생하고 분배하도록 구성된 스팀청소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팀청소조립체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제1부분에 있는 액체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는 스팀분배기, 스팀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응축수를 안내하여 상기 용기의 제2부분으로 전달하는 응축수 수집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분배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응축수 수집기 상부에 위치되는 제1메인배관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위치되는 제2메인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 상기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은 보조배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는: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가지는 정면플레이트;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배면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응축수를 아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스팀을 발생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스팀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스팀청소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팀청소조립체는: 액체가 저장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용기; 상기 제1부분에 있는 액체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히터;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메인배관과 상기 제1메인배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는 제2메인배관을 가지는 스팀분배기;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의 제2부분으로 스팀의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응축수 수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와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은 응축수가이드의 하부로부터 용기의 제2부분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스팀을 발생하고 분배하도록 구성된 스팀청소조립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 사이를 통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는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 상기 와이퍼의 선단에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밀착편이 구비되어 제1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기 와이퍼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와이퍼에 형성된 배수로를 향해서도 하향경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 상기 배수로와 대응되는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응축수 수집기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팬을 회전시켜 흡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외부공기의 흡입시 공기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필터 또는 흡입그릴에 의해 거르도록 하여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주방용 후드가 온되거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조명을 온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오염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오염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흡입구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복수의 거리센서가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위치 및 개수로 설치되므로 열발생부에 놓인 오염원에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결과에 따라 제2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의 승강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하우징에 설치된 흡입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방에 위치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에 놓은 조리도구까지 및/또는 요리중인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하강된 흡입구가 사용자의 요리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팬을 회전시켜 제2하우징이 하강된 상태에서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좌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전원버튼이 터치되어 주방용 후드가 온되거나 또는 조리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조리장치가 온되면 주방용 후드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주방용 후드는 조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리장의 온/오프, 열발생부의 온/오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1하우징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주방용 후드의 상태정보, 동작상황, 안내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주방용 후드의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될 수 있어 사용자의 명령을 쉽게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의 하부 좌측 및 우측에 흡입구가 설치되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좌우측 유로 상에 좌우측 댐퍼가 설치되어 오염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댐퍼가 개폐될 수 있다. 이로써 오염원과 가까운 위치의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오염원과의 거리에 따라 댐퍼의 개폐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센서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제2하우징의 승강 높이가 결정되므로 공기의 오염정도가 심해지면 흡입구의 위치를 하강하여 많은 양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오염이 심해질수록 공기정화가 더 강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감지되면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주방용 후드가 온되거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조명을 온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이 하강하기 전에 하방에 있는 조리도구와의 거리를 사전에 감지하여 제2하우징의 하강위치를 결정하므로 하강된 제2하우징에 의해 하방의 조리도구와 부딪히거나 또는 조리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거르도록 하는 흡입그릴이 분해가 쉽고 교체 및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흡입그릴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조리장치의 온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상태에서도 공기질 상태에 따라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24시간 주방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복수의 공기질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질의 상태 또는 수준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질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풍량이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질 상태가 나쁘면 더 강한 풍량을 발생시켜 더 많은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여 빠른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냄새, 오일, 가스 등을 측정할 수 있고, 가스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VOCs, 메탄가스 등이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오염물질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제2하우징의 하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하우징의 하강위치에 따라 흡입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이 나쁘면 제2하우징을 더 하강시켜 흡입구가 더 많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될 수 있어 사용자의 명령을 쉽게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오염원의 위치에 대응되는 댐퍼를 개폐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이 나쁘게 되면 오염원과 가까운 위치의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오염원과의 거리에 따라 댐퍼의 개폐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제2하우징의 승강높이 및 풍량을 설정함으로써 24시간 공기관리 기능이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 측정값의 범위에 따라 풍량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단계의 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에 맞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오염물질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하우징의 높이 및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후드에서 상부의 공기온도와 좌,우측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하방의 조리장치에서 열발생부의 열발생 여부 및 열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열발생부의 열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조리장치에서 열발생부의 열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좌측 흡입구의 좌측댐퍼 및/또는 우측 흡입구의 우측댐퍼를 개폐할 수 있다. 열발생부에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해당 위치에 오염원의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및/또는 우측 댐퍼를 개방하여 효율적인 공기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각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풍량이 커지므로 오염이 심할수록 풍량이 강해지도록 하여 빠른 공기흡입을 통해 공기정화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각 온도의 차이에 따라 풍량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 온도의 차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단계별로 풍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정도에 따라 풍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후드의 상부의 공기온도와 하부의 좌우측의 공기온도 간의 온도차를 이용하므로 하방의 열발생부에 오염원의 존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염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특정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내부의 스팀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를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스팀청소모드가 입력 또는 선택되거나, 기설정된 스팀청소 주기에 도달하거나, 조리장치에서 요리가 종료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요리의 종료는 예를 들어 조리장치가 온된 후 오프된 경우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스팀청소용 액체용기의 인출이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액체용기가 제2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과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인출입감지센서에서 감지함으로써 액체용기의 탈착이 쉽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액체용기가 인출된 후 제1시간 내에 제2하우징으로 다시 인입되지 않으면 액체용기의 인입을 요청하는 안내가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여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스팀청소 과정 및/또는 스팀청소를 위한 액체용기의 인출입 과정에서 진행되는 각 단계마다 안내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사용자가 액체용기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액체용기 내에 세제액 확인 및 보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용기 내의 세제액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세제액 보충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스팀청소 후에 팬을 회전시켜 풍량을 발생하도록 하고, 이러한 풍량에 의해 내부 건조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쾌적한 후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과정의 진행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안내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스팀분배기에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이 소정 높이 차이를 두고 있다. 제1메인배관과 제2메인배관에 있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게 된다. 따라서, 스팀청소가 필요한 내부공간의 각 위치로 스팀을 보다 강한 압력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낼 수 있어, 후드 내부에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배관, 제2메인배관이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서 스팀을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보조배관을 사용하게 되면 추가적으로 더 넓은 영역에 스팀을 더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어서 주방용 후드 내부의 이물질을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개시에서는 스팀분배기가 있는 제2하우징을 제1하우징에 대해 승강시켜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분배기가 제1하우징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 사이에서 제2하우징의 승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 내부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스팀 청소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스팀분배기에서 나온 스팀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와이퍼를 제1하우징의 내면과 제2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두었다. 상기 와이퍼에 의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통한 스팀의 누설이 방지되어 내부공간에 대한 스팀청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승강되는데, 이와 같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제2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된 와이퍼가 제1하우징 내면의 이물질을 분리해서 응축수 수집기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의 내면에 있는 이물질을 와이퍼를 통해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주방에 설치된 본 개시 실시례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4a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보인 주방용 후드의 정면도.
도 4b는 주방용 후드의 내부와 공기흐름을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정단면도.
도 5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이고 흡입그릴이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주방용 후드의 측방향 사시도.
도 6은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사시도.
도 7은 외부케이스의 제1하우징이 개방되고 연장된 상태에서 주방용 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주방용 후드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케이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슬라이딩조립체와 스팀청소조립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연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정단면도.
도 11은 슬라이딩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분해사시도.
도 13은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조립사시도.
도 14는 슬라이딩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5는 스팀청소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스팀청소조립체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7은 스팀청소조립체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18은 스팀청소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좌우 흡입경로를 개폐하는 댐퍼들을 보인 도면.
도 20은 댐퍼들과 기어들의 확대도.
도 21a는 좌측댐퍼가 개방되고 우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1b는 우측댐퍼가 개방되고 좌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는 연장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정단면사시도.
도 23은 디스플레이와 공기질감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4a에서 도 24f는 디스플레이가 실시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25는 높이감지조립체를 보인 저부 사시도.
도 26은 높이감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7은 주방용 후드의 하부면을 보인 배면도.
도 28은 주방용 후드가 조리장치 상부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9는 주방용 후드에서 다른 구성의 스팀분배기가 채용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0은 주방용 후드에서 도 29에 도시된 스팀분배기가 채용된 구조에서 스팀분배기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1은 주방용 후드에 채용되는 스팀분배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주방용 후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와이퍼가 채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3은 주방용 후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와이퍼가 채용된 것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34는 도 29에 개시된 주방용 후드에서 상대적으로 제1하우징의 내부 상부영역에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5는 도 29에 개시된 주방용 후드에서 상대적으로 제1하우징의 내부 하부영역에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6은 주방용 후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요소의 블럭도.
도 37에서 도 44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5는 공기질 측정값에 따른 풍량을 복수의 단계(level)로 구분한 예시도.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례에 따른 주방용 후드(1)는 주변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후드(1)는 직사각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0)의 외관은 금속 또는 유리-코팅된 금속 물질(예를 들어, 유리-코팅된 스텐레스 스틸 또는 브러쉬된 스텐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주방용 후드(1)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케이싱(100)은 제1하우징(100)으로 역할을 할 수 있고, 주방용 후드(1)는 이러한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주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수직방향 승강운동은 흡입그릴(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은 다르게는 각각 외부 및 내부 하우징 또는 케이싱으로 또는 각각 암하우징 및 수하우징으로 언급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흡입그릴(210)이 레인지, 인덕션장치, 쿡탑 등과 같은 조리장치 또는 조리장치에 위치한 팬, 냄비, 그릇 등(이하, '조리도구'라 한다)에 근접하도록 하강되게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상승되게 슬라이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하우징(200)의 수직방향 슬라이드에 따른 승강에 의해 흡입그릴(210)과 조리장치 및/또는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10)의 내부로 완전히 슬라이드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되거나 주방용 후드(1)에 의해 감지된 조리도구의 높이, 또는 공기중의 미세먼지, 연기 또는 다른 가스의 양에 근거해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끓는 물을 가진 소스 팬 또는 냄비가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조리장치에 제공되었을 때, 공기 중에 오일미스트와 같은 많은 오염물질이 있지 않을 것이므로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제1하우징(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것이다.
또는, 기름이나 향기있는 음식 재료를 가진 프라이팬이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조리장치 상에 위치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프라이팬으로부터 발산된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해가스, 오일미스트, 및/또는 미세먼지)을 더 잘 흡입하도록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대부분이 빠져나올 수 있다.
제2하우징(200)도 금속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지만,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은 주방용 후드(1)를 향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쉘(Shells)일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내외부로 슬라이드 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제1하우징(100)보다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 표면과 우측면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흡입그릴(210)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을 거르도록 구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주방용 후드(1)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스팀을 배출하도록 스팀청소조립체(600)(도 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이후에 설명된다. 스팀청소는 정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조리 후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a에서 도 5를 참조하면, 팬(300)이 흡입그릴(210)의 상부에 있도록 제1하우징(100)의 상부의 일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팬(300)은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팬(300)의 회전에 의해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가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제1하우징(100)의 통해 팬(300)을 향해 상승되고 주방용 후드(1)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부 배출이 불가능하다면 흡입된 공기가 주방용 후드(1)의 배면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다른 공기유동에 대응하여 팬(300)의 형태,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팬(300)은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흡입그릴(210)은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해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해제 및 분리될 수 있고, 또한 흡입그릴(210)은 흡입그릴(210)을 청소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추가적인 오염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식기세척기나 일반 세척기로 세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표면에는 흡입그릴(210)이 제2하우징(200)과 결합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개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210a)는 팬(300)의 회전에 의해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가 될 수 있다. 이에 흡입그릴(210)은 흡입구를 커버하면서 흡입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구(210a)는 제2하우징(200)의 바닥 표면에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흡입그릴(210)은 개구(21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측면 표면으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된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자석결합을 통해 제2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그릴(210)과 팬(300)의 상세한 것은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00)은 외부 케이스 또는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케이스 또는 내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110)는 주방용 후드(1)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주방용 후드(1)의 최외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내부 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슬라이딩)에 의해 제2하우징(200)은 내부 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은 주변공기에 있는 오염물(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VOCs, 연기, 먼지, 오일, 또는 다른 유해한 물질과 가스들)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질(AQ)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질센서는 아래에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질정보, 조명정보, 청소정보, 온도정보, 풍량정보, 동작정보, 또는 사용자의 스팀청소 또는 흡입그릴(210) 분리를 위한 제안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디스플레이(130)에 흡인그릴(210)의 좌측흡입 및/또는 우측흡입의 동작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전원, 스마트운전, 자동/수동운전, 근접흡입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20)은 디스플레이(130)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마운트 또는 디스플레이 공간(130a)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외부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거리센서(801)가 설치될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주방용 후드(1)의 하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조리장치 및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물론 조리장치의 상부에서 있는 사용자의 손까지의 거리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측면에서 하면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거리센서(801)는 이와 같이 연장된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센서(801)의 설치를 위해 외부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거리센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장착홈에 거리센서(801)가 내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각 거리센서(801)는 후술될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거리센서(801)에서 설정된 거리가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거리센서(801)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주방용 후드(1)가 동작시 주방용 후드(1)의 하방에 위치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센서(801)는 제2하우징(200)의 정지중 및/또는 승강중에도 하방에 있는 물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물론 팬(300)이 동작중 및/또는 정지중에도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거리센서(801)는 기본적으로 주방용 후드(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리장치(3)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도 28). 만약, 조리장치(3)의 화구, 인덕션, 또는 스토브 등 열이 발생되는 것(이를 열발생부(805)라 한다)에 조리도구가 존재한다면 그 조리도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조리중인 사용자 손이 있다면 손까지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거리를 근거로 조리장치(3)에 조리도구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존재하는 경우 그 조리도구 또는 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거리센서(801)는 조리장치(3)에 형성된 열발생부(805)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도 27 및 도 28). 도 27 및 도 28에는 일례로 3개의 열발생부(805)와 이에 대응하는 3개의 거리센서(801)가 도시된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거리센서(801)는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서 각각 대응되는 열발생부(805)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거리센서(801)는 대응되는 열발생부(805)의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의 존재여부, 조리도구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주방용 후드(1)의 하면의 넓이가 조리장치(3)의 넓이와 실질적으로 같다면(바람직하게는 같거나 작을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각각은 열발생부(805)의 상부에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라이다(LiDAR)센서, 레이저센서, 카메라,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거리는 제2하우징(200)의 승강, 팬(300)의 회전에 의한 풍량 및/또는 댐퍼(660)의 개폐를 위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조절, 후술하는 댐퍼(660)의 개폐(도 19), 조명의 발광, 및/또는 팬(300)의 동작은 거리센서(801)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례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부 또는 입력장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어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여 후드(1)를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한 후드(1)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30)에는 주방용 후드(1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 제2하우징(120)의 수동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승강버튼, 풍량을 조정하기 위한 풍량조정버튼, 스팀청소를 위한 스팀청소버튼 등 다수의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들 버튼들을 터치하여 선택 또는 입력함으로써 대응되는 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130)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음성출력부는 기설정된 음성파일을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출력부는 공지의 스피커로 실시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내부 하우징(120)에 힌지결합된 도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내부 하우징(120)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장착된 4개의 직사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1)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114)를 통해 내부 하우징(120)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된 패널(예를 들어 좌측 패널)일 수 있다. 도어(111)는 도어(111)를 폐쇄상태로 고정하는 후크 또는 레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13)는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 모서리 및/또는 내부 하우징(120)의 외측 모서리에 있는 대응되는 홈이나 레치에 걸어지거나 클립핑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도어(111)는 자석결합을 통해 닫힘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어(11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에는 후술될 공기질센서에서 주변의 공기질을 감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주변공기가 공기질센서와 접촉할 수 있도록 공기가 통과되는 개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은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112a)와 개구(112a)에 인접하는 공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 내측의 장치들(예를 들어 팬(300))은 외부 하우징(110) 상의 도어(111)를 개방함과 개구(112a)를 통한 작업에 의해 수리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도어(111)의 내면은 개구(112a)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개구(112a) 주위에 형성된 공간(112b)을 밀봉하고 개구(112a)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 또는 시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의 내부 표면, 또는 적어도 시일(112)은 고무, 쿠션, 또는 다른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의 돌출부(112)의 길이, 폭, 및 깊이치수는 내부 하우징(120)의 공간(112b) 및/또는 개구(112a)의 길이, 폭, 그리고 깊이치수와 같거나 약간 작다.
도어(111)가 닫힐 때, 돌출부(112)는 개구(112a)를 덮을 수 있고,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이 개구(112a)를 통해 스며드는 것과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잡혀 있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 하우징(120)의 일측면 하단부에는 센서조립체(500)가 위치될 수 있다. 센서조립체(500)는 복수 개의 공기질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질센서는 도어(111)에 형성된 개구(1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공기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내부 하우징(120)의 외면 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내면에 복수 개의 온도센서(802)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내부 하우징(120)의 정면 상단부에 제1온도센서(802a), 내부 하우징(120)의 좌측면 하단부 중앙에 제2온도센서(802b), 내부 하우징(120)의 우측면 하단부 중앙에 제3온도센서(802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3온도센서(802a,802b,802c)의 위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그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복수의 온도센서(802a,802b,802c)가 내부 하우징(120)의 상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외부 하우징(110)에는 이들 온도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가 통풍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111a,111b,111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온도센서(802a,802b,802c)가 외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이들 개방부는 별로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설치위치에 따라 제1온도센서(802a)는 상부 온도센서로 불리울 수 있고, 제2온도센서(802b)는 좌측 온도센서로 불리울 수 있고, 제3온도센서(802c)는 우측 온도센서로 불리울 수 있다. 제1온도센서(802a)는 주방용 후드(1) 상부의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802b)와 제3온도센서(802c)는 각각 주방용 후드(1)의 좌측과 우측의 주변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조절, 팬(300)의 회전, 후술되는 댐퍼(660)의 개폐 등은 복수의 온도센서(802)에서 측정된 온도에 근거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온도센서(802b)의 온도가 우측 온도센서(802c)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면 좌측 댐퍼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개방될 수 있고 우측 댐퍼는 폐쇄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는 우측 댐퍼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개방될 수 있고 좌측 댐퍼는 폐쇄될 수 있다. 팬(300)에 의한 풍량은 복수의 온도센서(802) 간 온도차이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온도센서(802) 간의 온도차가 클수록 팬(30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풍량이 커질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손잡이(221)(예를 들어, 푸시버튼 또는 홈)를 가지는 도어 또는 커버(220)(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2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액체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 또는 용기통로(220a)를 노출하도록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버(220)는 하부 하우징(200)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액체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되었을 때 분리될 수 있다. 도 9와 도 15에서 도 2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과 같이, 물 및/또는 청소용 액체는 트레이 상에 위치되고, 가열되며, 그리고 주방용 후드(1)의 내부에 있는 장치(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0)의 내측, 팬(300) 등)를 청소하기 위한 스팀청소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자동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미리 정해진 요리 빈도 후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추가적으로 오염물의 감지된 수준 또는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근거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스팀청소 중에 발생된 잔류물 또는 응축수는 액체용기(610)로 다시 안내될 수 있다.
추가적인 화재비상조립체(800)가 화재를 감지하고 끄도록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화재비상조립체(800)의 상세한 것은 도 15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에 추가로,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는 후술될 조명조립체(700)가 위치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복수의 조명(70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조명조립체(700)는 근접센서(701)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2하우징(200)은 슬라이딩조립체(400)를 통해 제1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에 의해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 외부에서 내부로 수직방향 승강될 수 있다. 슬라이딩조립체(400)는 내부 하우징(120)의 내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레일(410)과 하부 하우징(200)의 외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레일(420)은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 슬롯 또는 가이드 내외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 레일(410,420)은 다르게는 각각 암,수레일로 불리워질 수 있다. 다르게는, 제2레일(420)은 제1레일(410) 주변을 슬라이드 하는 홈, 슬롯 또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조립체(400)는 제1하우징(100)에 대해 제2하우징(200)을 자동적으로 승강하기 위한 구동조립체(450)(예를 들어, 모터, 엑츄에이터, 공압 또는 유압 펌프, 또는 랙과 피니언)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조립체(400)의 상세한 것은 도 11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외부 하우징(110)을 형성하는 패널들은 곡면으로 된 모서리 부분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을 둘러싸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더 길고 더 넓을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서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에 고정(예를 들어 나사결합, 부착, 융착,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도어(111)는 내부 하우징(12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대신에 힌지구조(114) 또는 힌지를 통해 외부 하우징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내부 하우징(120)은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축 또는 피니언을 가질 수 있고, 외부 하우징(110)은 내부 하우징(120)의 축 또는 피니언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힌지 넉클 또는 브라켓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례로서, 외부 하우징(110)은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고 내부 하우징(120)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힌지 브라켓에 삽입되는 축 또는 피니언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례로서, 도어(111)는 내부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대신에 외부 하우징(110)의 다른 패널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런 힌지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질(AQ) 센서조립체(500)는 내부 하우징(120) 또는 외부 하우징(110) 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질 센서조립체(500)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오일, 연기, 냄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그리고 다른 유해한 가스 또는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 조절, 팬(300)의 동작, 및/또는 스팀청소 동작은 공기질 센서조립체(50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근거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 먼지, 연기, 오일 등이 공기질 센서조립체(500)에 도달하도록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공기질 센서조립체(500)는 도어(111)의 뒤에 있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좌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도어(111)는 공기질 센서조립체(500)와 정렬된 통공 또는 개구(111a)를 가질 수 있다. 공기질 센서조립체(500)는 도 21a, 21b, 2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들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 개구는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 또는 압입)된 제1 상부프레임(141) 및 제2 상부프레임(1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41,142)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141)은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된 금속 또는 딱딱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반면 제2 상부프레임(142)은 제1 상부프레임(141)의 바닥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결합된 고무 또는 다른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제2 상부 프레임(142)은 제2 하우징(200)의 상부를 위한 시일, 가스켓 또는 쿠션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141)은 통공 또는 개구(141a)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상부프레임(142)은 통공 또는 개구(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이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되었을 때, 제1 상부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의 개구(141a,142a)는 상부 개구(140a)를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부 개구(140a)를 통해 버려지거나 배출될 수 있다. 외부 배출 덕트나 튜브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140a)와 연통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배출 그릴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가 개구(141a)(142a)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전선 통공이 제1 상부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에 형성되어 전선 통공을 통해 제공된 전선을 이용하여 팬(300), 구동조립체(450), 공기질 센서조립체(500), 디스플레이(130), 조명조립체(700), 슬라이딩 조립체(400), 스팀청소조립체(600)를 비롯하여 그외 전기가 필요한 장치, 소자, 그리고 부품 등으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전선은 제1하우징(10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위치된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하우징의 상부프레임(140)의 내부나 하부 또는 내부 하우징(120)의 배면에). 터미널은 상업적인 전원(예를 들어 벽에 있는 소켓)으로부터 외부 전원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소켓과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팬(30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방사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팬(300)은 직선 방사형 팬, 전방 곡선팬 또는 후방 곡선팬일 수 있다. 팬(300)은 팬(300)의 축방향이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팬(300)의 날개들은 공기를 흡입함과 토출함에서 소음을 줄이도록 형상과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팬(300)은 팬하우징(31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팬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 팬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팬하우징(310)은 공기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나선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팬(3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팬하우징(310)은 제2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에서 제2 상부프레임(14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상부프레임(141)은 상부를 더 밀봉하기 위해 제2 상부프레임(142)의 상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팬(300)과 팬하우징(310)의 방향은 배출되는 공기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개구(141a,142a)를 통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부 배출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부 개구(140a)를 폐쇄하도록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고, 또 배면 어댑터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후방을 통한 배출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팬하우징(310)의 전후방향 길이는 팬을 보호하고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팬(3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팬하우징(310)의 상부 부분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제1 및 제2 개구(141a,142a)의 좌우길이와 전후 길이보다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길이에서 더 클 수 있다. 팬하우징(310)의 상부 부분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제1 및 제2 개구(141a,142a)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안내하도록 일측(예를 들면, 좌측면)을 향해 팬(300)의 중심 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241) 및 제2 상부프레임(242)은 제2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압입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241,242)은 제2 하우징 상부프레임(2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프레임(242)은 제2 하우징(200)에게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제2하우징(200)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림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 또는 압입)될 수 있고, 제1 상부프레임(241)은 제2 상부프레임(242)의 상부에 위치된 홈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241)은 제1 하우징(100)으로 제2 하우징(200)이 완전히 삽입될 때, 쿠션, 시일, 또는 가스켓으로 역할하도록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 또는 쿠션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제2 하우징 상부프레임(240)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에 접촉할 수 있고, 또한 충돌 또는 접촉 중에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제2 상부프레임(142)은, 밀봉을 형성하고 또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이물질이 제1 및 제2 하우징(1000,2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흡입된 공기 또는 스팀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하우징의 제1 상부 하우징(241)의 림이 위치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241,242)은 팬하우징(310)이 이들 상부프레임(241,242)을 통과하도록 하고, 제1 하우징(100)의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의 개구(141a,142a)의 외부로 팬(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큰 통공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제2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물, 세제, 화학물질 또는 세정액 등의 세제액이 삽입될 수 있는 액체용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용기(610)는 제2 하우징(200)의 바닥에 형성된 용기가이드(611)로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는 액체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인 용기통로(220a)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선단프레임 또는 플레이트(613)는 액체용기(61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선단프레임(613)은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체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의 내외부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자동으로 인출입되는 경우 인출입모터에 의해 제2하우징(20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수동으로 인출입시 액체용기(610)는 인출입모터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사용자가 액체용기(610)를 수동으로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다.
액체용기(610)가 제2하우징(200)의 내외부로 인출 및 인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인출입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인출입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체용기(610)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액체용기(6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제2하우징(200)의 소정 위치, 즉 자성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를 부착하여 홀센서로부터 자성체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액체용기(610)의 인입 및 인출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센서로부터 자성체가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액체용기(610)의 인입을 감지하고 설정거리를 벗어나면 액체용기(610)의 인출을 감지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수용액은 스팀을 발생하도록 스팀발생기(612)(도 17)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스팀은 팬(300)과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 스팀분배기(670)로 전달될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스팀청소조립체(600)의 상부 또는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 사각 또는 링형상으로 된 튜브 또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르게는, 스팀분배기(670)는 U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개구가 제2 하우징(200)의 정면, 상면, 측면 등으로 향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스팀분배기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 또는 샤워헤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의 형상과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튜브 또는 채널(671)(도 11)은 스팀분배기(670)를 스팀발생기(612)(도 17)에 연결할 수 있어 스팀이 튜브(671)를 통해 스팀분배기(670)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는, 튜브(671)는 파이프 일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스팀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 또는 노즐(672)(도 14)을 가질 수 있다.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서, 튜브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등 일 수 있다. 노들(672)에서 배출되는 스팀의 방향은 제2하우징(200)의 내부의 측면방향(수평), 상면방향(수직), 측면에서 상부방향(상부경사) 등이 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고 폐기될 응축수가 액체용기(610)로 복귀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응축수가이드 또는 수집기(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가이드(65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액체용기(610)로 액체의 아래방향 유동과 복귀를 안내하도록 상부에서 바닥으로 일반적인 내측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응축수가이드(650)의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는 제2하우징(200)의 내측 표면의 상부 부분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체결, 압입,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653)는 튜브(671)를 위한 공간을 두기 위해 제1 하우징(1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튜브(671)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가이드(65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응축수가이드(650)에 의해 정의된 일반적인 경사를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된 다수개의 탭 또는 리브(651)를 포함할 수 있다. 탭(651)은 계단과 유사할 수 있고, 응축수가이드(650)의 정면 또는 배면 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탭(651)들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또한 탭(651)들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탭(651)들은 응축수를 아래로 안내하기 위해 약간의 하방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탭(651)들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탭(651)들은 도 15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댐퍼조립체(662)가 응축수가이드(650)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조립체(662)는 댐퍼(660)와, 댐퍼(660)를 회전시키는 기어(66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661)는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설치된 댐퍼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기어(661)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응축수통로(662a)는 댐퍼조립체(66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댐퍼조립체(66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댐퍼조립체(66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플레이트(655)는 제1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된 통공 또는 개구(650a)를 가질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제1 응축수통로(662a)로 낙하하고 결국 액체용기(610)로 가도록 개구(650a)를 향해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개구(650a)를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추가의 액체가이드(663)가 댐퍼조립체(662)와 용기가이드(6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추가의 제2응축수통로(663a)가 댐퍼조립체(662)의 제1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액체가이드(66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액체가이드(663)와 응축수통로(662a)의 높이는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로부터 용기가이드(611)에 삽입된 액체용기(610)로 연속적인 통로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는 액체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인 용기통로(220a)를 정의할 수 있고, 액체용기(610)는 용기가이드(611) 내외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2 응축수통로(663a)는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만약 액체가이드(663)가 생략된다면, 제1응축수 통로(662a)는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응축수는 폐기를 위해 액체용기(610)로 다시 들어가도록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 그리고 댐퍼조립체(662) 및 액체가이드(630) 내부의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를 통해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 액체가이드(663) 그리고 용기가이드(611)는 모두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내부표면은 좌측면과 우측면에 응축수 가이드(650)의 하부에 내측으로 곡면으로 되는 곡면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652)는 잘못 전달된 응축수가 아래로 안내되도록 내측으로의 곡면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곡면부(652)의 하부는 흡입그릴(21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곡면부(652)는 흡입그릴(2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댐퍼(660)(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길러틴(guillotine), 루버, 또는 베인 타입)는 곡면부(652)의 하부 부분과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댐퍼(660)는 스팀청소조립체(600)와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정의된 흡입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댐퍼(660)는 흡입그릴(2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승하여 주방용 후드(1)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로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댐퍼(660)는 닫혔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기어(661)가 댐퍼(660)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할 수 있도록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기어(661)를 둘러싸고 보호하기 위해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추가의 벽 또는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댐퍼(660)는 댐퍼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여 개폐될 수 있다. 댐퍼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661)가 동작하여 댐퍼(66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댐퍼구동모터는 후술될 것과 같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댐퍼(660)의 개방정도는 다양한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청소 동안, 동작중인 열발생부의 위치, 주변온도, 공기질 측정값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스팀청소시 팬(300)은 팬(300), 팬하우징(310), 내부 케이스(120)와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 상부로 스팀을 흡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댐퍼(660)는 흡입그릴(210) 상에 잔류하는 오일과 먼지가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탭(651)을 통해 낙하는 잘못된 잔류물을 포획하도록 스팀청소 동안에 폐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댐퍼(660)는 팬(300)이 작동되고 있을 때 공기 청소 또는 정화 동안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의 보다 상세한 것이 도 18에서 도 22를 참조하여 뒤에서 설명될 것이다.
흡입그릴(210)은 제2하우징(200)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과 우측면)과 이들 측면에서 각각 하면으로 연장하여 이어지는 하면의 일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윈도우 블라이드와 유사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다수개의 곡선 또는 반원통의 슬랫(slats) 또는 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통의 슬랫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층 또는 그릴이 좌우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반원통의 슬랫의 제1 또는 내부 그릴과 반원통 슬랫의 제2 또는 외부 그릴을 보인다.
외부에서 보면, 반원통 슬랫의 외부 그릴은 볼록 곡률을 가진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반원통 슬랫의 내부 그릴은 반대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반원통 슬랫의 내부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반원통 슬랫의 외부 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은 외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과 교대로 될 수 있다. 흡입그릴(210)의 형상은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오일 또는 미세먼지)을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하부는 주방용 후드(1) 아래로 광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사용자에 위해 수동으로 광을 조명할 수도 있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광을 조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광을 조명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예로 제2하우징(220)이 하강하여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이면 자동으로 광을 조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조리장치 또는 주방용 후드(1)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근접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명조립체(700)는 주방용 후드(1)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감지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에 근거하여 광을 조명하거나 팬(300)을 동작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의 상세한 것은 도 25와 도 2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조립체(400)는 구동조립체(450)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구동조립체(450)의 동작과 팬(300)의 회전은 공기질센서조립체(500) 또는 조명조립체(700)(도 9)에 의해 감지된 것, 거리센서(801)에 의해 감지되는 것, 스팀청소동작의 시작에 근거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근거하여 후술될 제어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구동조립체(450)를 통한 제2하우징(200)의 높이의 조절과 팬(300)의 속도를 통한 흡입력의 조절은 제어부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410)이 내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결합, 부착,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0)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된 4개의 제1 레일(410)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레일(410)이 각각 내부 케이스(1200)의 정면 또는 측면의 좌측 부분, 정면 또는 측면의 우측 부분, 배면 또는 측면의 좌측 부분, 배면 또는 측면의 우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설명된 제1레일(410)의 숫자와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하나의 제1레일(410)이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제1레일(410)이 내부 케이스(120)의 정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하나의 제1레일(410)은 내부 케이스(120)의 좌측 표면 또는 측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제1레일(410)은 제1레일(410)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있도록 내부 케이스(120)의 우측 표면 또는 측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레일(410)과 제2레일(420)의 구조적 강성에 따라서는 하나의 제1레일(410)(예를 들어 배면에)만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일(420)이 제1레일(410)에 결합하도록 제1레일(4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하우징(200)의 외면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결합, 부착,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0)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된 4개의 제1레일(410)의 예에서, 제2 하우징(200)의 가장자리들 근처에 위치된 4개의 제2레일(420)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레일(420)은 각각 정면의 좌측 부분, 정면의 우측 부분, 배면의 좌측 부분, 배면의 우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제2레일(420)의 설명된 숫자와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레일(410)은 홈을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 또는 바아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체 제2레일(420)은 제1레일(410)의 홈 내에 결합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제2레일(420)은 제1레일(410)의 홈 내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크기를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제2레일(420)은 홈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제1레일(410) 및/또는 제1레일(410)의 추가적인 돌출부는 제2레일(420)의 홈 내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일(410,420)의 모양과 윤곽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레일(410)의 상부는 제2 하우징(200)이 너무 많이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하우징 상단 프레임이 부딪힐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또는 팬하우징(310)과 응축수가이드(65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턱(ledge)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제2레일(420)은 단단한 바아(solid bar)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추가의 상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제1레일(410)의 스톱퍼와 충돌하도록 구성된 단단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제1레일(410)의 하부는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제2하우징(200)을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턱은 제2레일(420)(예를 들어 측면에서)의 상방향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레일(420)의 상부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제1레일(420)의 하부에 위치된 턱에 걸어지도록 구성된 후크 또는 돌출림을 가질 수 있다.
구동조립체(450)는 제1레일(410)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인 내부케이스(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제1레일(410) 사이의 배면에, 또는 다른 예로서,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제1레일(410)의 측면에). 그리고 구동조립체(450)는 제1레일(410)의 측면에 결합된 하우징(45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여기에 추가로, 구동조립체(450)는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측 표면에 결합(예를 들어 접착, 용접 또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54)은 제2하우징(200)을 승강하도록 구성된 승강모터(453)(또는 엑츄에이터, 또는 유압 또는 공기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터(453)는 기어(452)에 결합된 축 또는 피니언을 회전할 수 있다. 랙(451)은 제2하우징(200)의 배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54), 승강모터(453), 기어(452), 그리고 랙(451)의 위치는 기어(452)가 랙(451)과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어(452)는 외부 원주면에 형성된 치를 가질 수 있고, 랙(451)은 기어(452)의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홈 또는 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모터(453)가 제1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기어(452)를 회전할 때, 기어(452)의 치는 랙(451)의 치를 아랫방향으로 누를 수 있고, 또 제2 하우징(200)이 하강할 수 있다. 승강모터(453)가 기어(452)를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기어(452)의 치는 랙(451)의 치를 상방향으로 밀고, 또 제2 하우징(200)은 상승 또는 들어올려질 수 있다. 랙(451)의 상부 또는 하부단부는 랙(451)이 기어(452)와 결합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상승과 하강이 안정적이게 되도록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기어(45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2개의 승강모터(453)가 있을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기어(452)의 속도가 일치하고 구동조립체(450)의 무게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승강모터(453)가 각 기어(452)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수개의 기어(452), 랙(451) 및/또는 승강모터(453)가 제2하우징(200)의 더 나은 고정과 지지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단지 하나의 랙(451), 하나의 기어(452) 및 하나의 승강모터(453)만이 있을 수도 있다.
제2하우징(200)의 배면은 직사각형 바아 또는 돌출부(231)와 상부 턱(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배면의 좌측과 우측 면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바아(231)와 2개의 바아(231)의 상부에 2개의 상부 턱(232)이 있을 수 있다. 바아(231)와 상부 턱(232)의 숫자는 제2레일(420)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다.
제2레일(420)은 제2레일(420)의 상부가 상부 턱(23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상부 턱(232)의 하부에서 바아(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레일(410)의 상부에 스톱퍼 또는 턱이 형성되었을 때, 제1레일(410)의 스톱퍼 또는 턱은 주방용 후드(1)가 완전히 짧아지거나 작아진 상태일 때 상부 턱(23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턱(232)의 돌출된 길이는 제2레일(420)의 전후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부 턱(232)의 좌우 길이는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의 좌우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랙(451)은 바아(231)에 인접한 위치에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454)은 제2하우징(200)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도록 랙(4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어(452)는 랙(451)과 정렬하도록 하우징(454)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54)은 기어(452)를 덮을 수 있고 또 제1레일(410)과 결합하도록 바아(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하우징(454)은 기어(452)가 랙(451)과 결합하게 노출되는 선단 개구 또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54)은 추가적으로 좌측면과 우측면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추가의 기어커버(452a)가 기어(452)를 보호하도록 기어(452)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어커버(452a)는 기어(45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기어커버(452a)는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지 않아서 바아(231) 및/또는 제1 레일(410)이 기어(452)와 기어커버(452a)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는다. 다르게는, 만약 하우징(454)이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부에 주로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바아(231)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레일(410)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기어커버(452a)는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평면으로 된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슬라이딩조립체(400)의 하우징(454)은 추가된 지지를 위해 주방용 후드(1)의 설치브라켓에 더 밀접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100)의 외부 케이스(110)의 내면에 고정되게 내부케이스(1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케이스(120)는 제2하우징(200)에 고정된 랙(451)과 기어(452)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454)이 돌출하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4가 하우징(454)의 아래에 위치된 후크(20)를 보이지만,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후크(20)는 하우징(454)을 잘 지지하도록 하우징(454)의 무게중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5에서 도 18을 참조하면, 액체용기(610)는 제2하우징(210)의 내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용기(610)는 용기가이드(611) 내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는 액체용기(610)의 좌우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좌우 길이를 가지는 통로를 정의하도록 제2하우징(20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는 ┗┛ 형상(또는 다르게는 U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용기(610)는 상부개구를 가지는 직사각형 용기(또는 다르게는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리드(614)가 액체용기(610)의 상부 개구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리드(614)는 스팀청소중 액체용기(6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리드(614)는 리드(614)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경사진 경사부일 수 있는 가이드(614a)를 가지고 형성된다. 가이드(614a)의 하부 또는 이에 인접하여 형성된 개구(614b)가 있을 수 있다. 개구(614b)는 가이드(614a)의 하부와 리드(614)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614a)는 제2응축수통로(663a)의 하부와 연통될 수 있다(또는 이와 다르게는, 만약 액체가이드(663)가 분리되면, 제1 응축수통로(662a)의 하부와) 응축수 수집기(650)와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안내되고 모여진 응축수는 가이드(614a)와 리드(614)의 개구(614b)를 통해 액체용기(610)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의 좌우 길이는 제2하우징(200)의 전체 전면의 좌우길이 및/또는 흡입그릴(21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또는 우측면)은 공기가 흡입그릴(210)을 통해 효율적으로 흡입되고 제1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흡입그릴(21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선단프레임(613) 및 커버(220)는 용기가이드(611)의 좌우길이보다 더 큰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부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커버(220)는 손잡이(221)(예를 들어, 버튼 또는 홈)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선단프레임(613)은 손잡이(221)의 배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가이드(611)로부터 액체용기(610)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손잡이(221)를 당길 수 있다.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물, 화학물질, 세제, 또는 다른 세정액으로 채울 수 있다. 액체용기(610)는 액체용기(610)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통 또는 부분으로 분리하도록 추가의 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용기(610)는 제1통 또는 액체분배기(610a)와 제2통 또는 응축수수집기(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610a)은 스팀발생기(612)에 인접한 위치(즉, 후단에)에 제공될 수 있고, 반면에 제2통(610b)은 리드의 가이드(641a)와 정렬되는 위치(즉, 선단에)에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은 제1통(610a)에 채워질 수 있고, 반면에 응축수는 아래로 안내되어 제2통(610b)에 모아질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 또는 액체용기(610) 중 적어도 하나는 액체용기(610) 내에 저장된 액체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의 수위감지센서(702)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용기가이드(611)는 중량센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체용기(610)는 정전식 감응센서(capacitive sensor)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팀발생기(612)의 동작은 추가의 수위감지센서(702)에 의해 감지된 물의 양에 근거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액체용기(610)에 충분한 양의 액체(예를 들어 350~400ml)가 위치되고,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에 삽입되고, 그리고 댐퍼(660)가 폐쇄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통(610a)의 후단은 개폐되도록 구성된 시일 또는 노즐(615)을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예를 들어, 히터)는 용기가이드(611)의 뒤에 제2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액체용기(610)의 뒤에 있는 용기가이드(6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612)는 시일(61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개구(617a)를 가지는 돌출부(617)를 가질 수 있다. 시일(615)은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초기 상태 또는 휴식 상태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617)는 시일(615)을 개방하기 위해 시일(615)의 개구로 압입될 수 있고 또 개구(617a)를 통해 액체용기(610)로부터 스팀발생기(612)로 액체가 들어가도록 한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시일(615) 또는 개구(617)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되도록 구성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스팀청소 동안, 스팀발생기(612)로 들어간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는 튜브(671)를 통해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에서 발생된 스팀은 튜브(671)로 올라가서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튜브(671)는 스팀이 스팀분배기(670)로 들어갈 때 분산될 수 있도록 전후길이보다 긴 좌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제2하우징(200)의 수평 횡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수평 횡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프레임과 유사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팀분배기(670)는 링(ring)일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는 중공일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흡입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응축수가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것과의 간섭을 줄이도록 중앙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18에서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팀분배기(670)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의 주변을 커버할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팬(300) 하부의 응축수수집기(650)의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는, 스팀분배기(670)는 응축수수집기(650)에 인접한 제2하우징(2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팀은 튜브(671)를 통해 스팀분배기(67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와 튜브(671)는 하나의 튜브 또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 후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672)들은 스팀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스팀을 모으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노즐(672)들은 하우징의 중앙을 향하도록 스팀분배기(67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672)들은 스팀분배기(670)의 좌측과 우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노즐(672)들은 스팀분배기(670)의 선단 및 후단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노즐(672)들은 스팀분배기(670)의 내측의 압력에 근거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노즐(672)들은 스팀분배기(670)에 위치된 추가의 압력센서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밸브를 가질 수 있고, 또 스팀분배기(670)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수준이거나 더 높다고 감지되었을 때, 노즐(672)들은 자동적으로 스팀을 배출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스팀은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스팀의 일부는 팬(300), 팬하우징(310), 그리고 제1하우징(100)의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상승할 수 있고, 또 스팀의 일부는 응축수 수집기(650), 및/또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낙하할 수 있다.
스팀은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다른 낙하물(예를 들어, 먼지 또는 오일)은 제2하우징(200) 및/또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떨어지거나 또는 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고 그리고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응축수 수집기(650)는 다수개의 탭(651), 정면 및 배면 플레이트(653), 그리고 상부 개구에 의해 정의된 경사진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지는 가이드일 수 있다.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응축수 수집기(650)의 상부는 낙하하는 먼지, 오일, 또는 응축수가 응축수 수집기(650)를 통과하지 않도록 제2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의, 각각의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약간 작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응축수수집기(650)는 액체용기(610)로 응축수를 안내할 수 있다.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안내되는 개구(650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650a)는 제1응축수 통로(662a)(도 19)의 개구와 연통될 수 있고, 또 제1응축수 통로(662a)의 좌우 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짧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 각각의 내부의 제1 응축수통로(662a)와 제2응축수통로(663a)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액체용기(610)로 들어가게 개구(650a)를 향해 수집된 응축수와 다른 액체를 안내하도록 선택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응축수 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후단에서 선단으로 아래로 경사지거나, 및/또는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좌우측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응축수 수집기(650)의 정면과 배면은 직사각형 및/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각각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a, 653b)로 형성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653a)의 정면은 제2하우징(200)의 정면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체결, 부착, 접착, 또는 융착)될 수 있고, 또 정면플레이트(653a)의 측면들은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653b)의 배면은 파이프(671)를 위한 공간을 허용하도록 제2하우징(2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파이프(671)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653b)의 측면들은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상부 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우길이가 감소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면과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단부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댐퍼조립체(66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팀분배기(670)는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상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653b)는 튜브(671)의 상단부가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의 측면플레이트(654)는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654)는 스팀분배기(670)와 간섭하지 않도록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부분의 하부 부분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654)는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의 내측면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결합, 볼트결합, 부착,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좌측면 플레이트와 우측면플레이트라고 할 수 있다.
탭(651)들은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또는 사다리꼴 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좌우길이는 거꾸로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을 가져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줄어들므로, 가장 낮은 위치의 탭(651)은 가장 높은 탭(651)보다 제2하우징(200)의 중앙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사이드 바아들 또는 플레이트(653c)들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탭(651) 들은 사이드바아(653c)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어, 탭(651)들과 전체 응축수 가이드(650)에도 견고성과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탭(651)의 상부는 측면플레이트(65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탭(651)은 응축수가이드(650) 및/또는 댐퍼조립체(662)의 바닥플레이트(655)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와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해 탭(651)들의 중앙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바아가 있을 수 있다. 탭(651)들은 응축수를 댐퍼조립체(662)로 아래로 안내하도록 약간 하부로 경사질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는 댐퍼(660)(도 19와 도 20)를 회전하는 댐퍼구동모터와 기어(661)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외부 벽(666,667)을 가질 수 있다. 제1응축수가이드(662a)(도 19와 도 20)는 기어(661)와 댐퍼구동모터와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는 외부벽(666,667)의 내측 위치에서 댐퍼조립체(662)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벽(664,665)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벽(664,665)은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의 선단과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고, 또 제1응축수통로(662a)는 내부벽(664, 66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내부벽(664,665)은 기어(661)와 댐퍼구동모터를 낙하하는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댐퍼조립체(662)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15가 단면도를 보이지만, 도 16과 도 17은 댐퍼조립체가 선단벽(662F)과 후단벽(662R)을 가져 외부벽(666,667)과 선단 및 후단벽(662F, 662R)이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다. 선단벽(662F)은 내부벽(664,665)과 제1응축수통로(662a)(도 19)를 덮을 수 있다.
제1응축수통로(662a)(도 19)는 응축수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에 있는 개구(650a) 하부의 댐퍼조립체(66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는 개구(650a)와 제1응축수통로(662a)와 연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추가적인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낙하하는 응축수는 제1응축수 통로(662a)를 통해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를 관통해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외부벽(666.667)은 댐퍼조립체(662)의 외부 좌측과 우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댐퍼(660)들은 닫혔을 때 댐퍼(660)들의 상단부가 제2하우징(200)의 내측면의 곡면부(652)에 접촉하도록 외부벽(666,667)의 하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기어(661)들과 댐퍼(660)들의 상세한 것은 도 19에서 도 21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액체가이드(663)는 댐퍼조립체(662) 하부에 위치된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의 하부는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액체가이드(663)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제1응축수통로(662a)는 액체가이드(663)의 내부에 위치된 제2응축수통로(663a)와 정렬될 수 있다.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면은 댐퍼(660)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제2응축수통로(663a)로 안내하기 위해 댐퍼(66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는 리드(614)에 형성된 가이드(614a)와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614a)는 가이드(614a)의 하부와 리드(614)의 상부 사이에 개구 또는 갭(614b)이 형성될 수 있도록 리드(614)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아랫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또는 응축수는 하부 개구를 통해 액체용기(610)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응축수 수집기(650)를 액체용기(610)와 리드(614)에 연결하는 하방향 통로가 있는 한, 댐퍼조립체(662), 액체가이드(663), 그리고 응축수 수집기(650)의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드(614)는 액체용기(610)의 상부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내부 상부 부분에 형성된 턱 또는 홈이 있을 수 있고, 또 리드(614)는 고정되도록 턱에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체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에 형성된 용기가이드(611)의 바닥면에 슬라이드되어 오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용기가이드(611)의 좌측과 우측 내부 측면 및/또는 용기가이드(611)의 바닥 표면은 추가적인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액체용기(610)의 좌측 및 우측 외부 측면 및/또는 액체용기(610)의 하부 표면은 액체용기(610)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선단프레임(613)은 용기가이드(611)에 정의되고 또 액체용기(610)가 완전히 제2하우징(200)으로 인입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의 선단표면에 제공되는 개구인 용기통로(220a)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단프레임(613)은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커버(220)는 손잡이(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선단프레임(613)의 정면은 손잡이(221)에 형성된 홈이나 공동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용기가이드(611)와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손잡이(221)를 당길 수 있다.
액체용기(610)는 용기통로(220a)와 용기가이드(611)외부로 완전히 당겨질 수 있어서 액체용기(610)의 제2통(610b)에 모아진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고 또 싱크대 또는 다른 물 공급원으로부터 액체용기(610)의 제1통(610a)에 물이나 다른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액체용기(610)가 외부로 나왔을 때, 액체용기(610)의 제2통(610b)에 모아진 응축수가 폐기될 수 있다. 시일(615)은 개구(617)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또 시일(615)은 폐쇄될 수 있어서 액체는 액체용기(610)의 제1통(610a)에 채워져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은 액체는 폐기될 수 있다.
추가적인 화재비상조립체(800)는 제2하우징(200)의 바닥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화재비상조립체(800)는 화재감지기(820)와 액체 또는 폼 호스 또는 노즐(81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820)는 연기감지기, 가스감지기(예를 들어, 광이온화 검출기(photoionization detector) 또는 PID)), 또는 열감지기일 수 있다. 화재감지기(820)에 의해 감지된 연기 또는 열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을 때, 물, 폼, 또는 다른 소화제(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건조화학제, 습식화학제, 할로겐 또는 청정제, 또는 건조분말)가 폼노즐(810)을 통해 아래에 분출될 수 있다. 폼노즐(810)은 제2하우징(200)의 후단 내측에 제공된 선택적인 액체대야(basin) 또는 폼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제2하우징(200)의 하부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하부면은 조명조립체(7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조명(7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조명조립부(700)는 근접센서(7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701)는 주방용 후드(1)로부터 사용자 또는 다른 이동하는 물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도 25에서 도 2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조명(703)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703a)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도 26). 또 조명(703)은 주방용 후드(1)의 주변영역 또는 조리장치를 비추기 위해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조명(703)은 근접센서(701)에 근거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방용 후드(1)에 접근하여 근접센서(701)에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음을 감지하면 조명(703)이 자동으로 켜질 수 있다. 조명(703)은 조리장치를 소독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일반조명과 살균조명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케이스 또는 커버(7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4)의 바닥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고 또는 광확산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 조명(703)은 바닥면의 상부에 조명(703)에 의한 광이 바닥면을 통해 나갈 수 있도록 배향되어 위치된다. 다르게는, 커버(704)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조명(703)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투명, 반투명, 또는 확산렌즈가 조명(703)을 보호하기 위해 조명(703) 아래의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704)의 후단 부분은 근접센서(701)가 위치되는 센서마운트(70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마운트(705)는 경사질 수 있고, 근접센서(701)는 수평방향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마운트(705)는 근접센서(701)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르게는, 근접센서(701)는 레이더센서일 수 있고, 또 센서마운트(705)는 불투명일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센서마운트(705)는 근접센서(701)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선택적인 투명커버가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704)는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의 더 상세한 것은 도 25에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돠 도 19에서 도 20을 참조하면, 스팀청소조립체(600)는 흡입그릴(210)에서 팬(300)으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서 공기흡입경로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동작 중에, 팬(30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팬(300)을 향해 상방으로 향하고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외부로 배출되게 댐퍼(660) 중 적어도 하나가 전부개방 또는 부분개방이 될 수 있다. 스팀청소동작 동안, 댐퍼(660)는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내부의 스팀을 고립시켜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에 스팀발생기(670)로부터 분배된 스팀을 유지하도록 처음에는 폐쇄될 수 있다. 댐퍼(660)는 나중에 팬(300)이 동작될 때 개방될 수 있다.
댐퍼(660)는 힌지구조(660a)를 통해 댐퍼조립체(662)의 외부벽(666,66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660a)는 댐퍼(66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결합된 축일 수 있고, 또 외부벽(666,667)의 선단과 후단 하부단부에 의해 정의된 브라켓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힌지(660a)는 외부벽(666,667)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축 또는 핀 주위를 회전하는 중공 힌지 너클(knuckle)일 수 있다. 하지만, 댐퍼조립체(662)에의 댐퍼(660)의 결합은 힌지 구조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댐퍼(660)는 랙 또는 기어(668)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둥근호모양(예를 들면, 반원)을 가질 수 있다. 랙(668)은 댐퍼조립체(662) 내부에 위치된 기어(661)의 외주에 위치된 치와 결합하는 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벽(666,667)은 랙(668)이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기어(661)는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댐퍼구동모터에 결합될 수 있으며, 댐퍼구동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댐퍼조립체(662)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된 좌측과 우측 기어(661)를 가질 수 있고, 또 각각의 기어(661)는 좌측기어와 우측기어(661)가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그 자신의 댐퍼구동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는 댐퍼구동모터를 스팀과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터하우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모터하우징(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내부 벽(664,665)에 의해 형성된)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 또는 가이드가 댐퍼(660)를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기 위해 힌지(660a) 아래의 위치에서 액체가이드(66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가이드(663)는 댐퍼조립체(662)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조립체의 좌우길이보다 약간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개구가 힌지에 인접한 위치의 댐퍼(660)에 형성될 수 있고, 또 액체가이드(663)의 좌측 및 우측벽은 댐퍼(660)에 있는 슬릿의 위치보다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벽의 내면은 액체가이드(663)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돌출부, 경사면, 또는 터널을 가질 수 있고, 댐퍼(660)의 슬릿을 통해 낙하하는 응축수는 이들 가이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들은 제2응축수통로(663a) 및/또는 리드(614)의 가이드(614a)로 연장되거나 및/또는 연통될 수 있다. 댐퍼(660)의 상부면은 슬릿을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으며, 이는 배출구(drain)로도 불리워질 수 있다.
주방용 후드(1)는 조리장치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조명조립체(700)에서 조리장치 방향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1)는 하부의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거리센서(801)에서 조리도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조리도구가 놓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공기질(AQ)감지조립체(500)는 제1하우징(100)의 좌측 및/또는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질감지조립체(500)가 좌우측에 모두 형성된 경우 공기질감지조립체(500)는 좌측과 우측에서의 오염수준을 비교함에 의해 스토브 상에 조리도구의 어느 쪽이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 및/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로부터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조리도구에 가장 인접한 댐퍼(660)는 개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반면에 조리도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댐퍼(660)는 조리도구에 더 밀접한 흡입동작을 증가시키기 위해 폐쇄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댐퍼(660)의 동작은 이진법(예를 들어,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적이거나 또는 조리도구의 위치에 근거해서 개폐정도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댐퍼(660)는 좌측 및 우측의 공기유로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 댐퍼(660L) 및 및 우측 댐퍼(660R)를 사용하는 실시례는 도 21a와 도 21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댐퍼(660)는 기어(661)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기어(661)는 댐퍼구동모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댐퍼(660)를 개방하기 위해, 기어(661)는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랙(668)은 댐퍼(660)가 외부 벽(666,667)에 평행할 때까지 내측으로 댐퍼(660)를 회전하도록 댐퍼조립체(662)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댐퍼(660)를 닫기 위해, 기어(661)는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리고 랙(668)은, 댐퍼(660)의 추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652)에 댐퍼(660)의 외부 단부가 접촉할 때까지 외측으로 댐퍼(660)를 회전하도록 댐퍼조립체(662)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응축수통로(662a)는 댐퍼조립체(662)의 외부벽(666,667)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또 내부벽(664,665)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르게는 별도의 직사각형 프레임 또는 파이프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응축수는 기어(661)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1 응축수 통로(662a)를 통해 낙하될 수 있다. 응축수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댐퍼조립체(662)의 상부 림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응축수통로(662a)는 댐퍼조립체(662)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응축수 통로(662a)는 바닥플레이트(655)에 형성된 튜브일 수 있고 또 제2응축수통로(663a)와 일치하도록 댐퍼조립체(662)의 상부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1a와 도 21b를 참조하면, 좌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좌측기어(661L)로 불리울 수 있고, 우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우측기어(661R)로 불리울 수 있으며, 좌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좌측댐퍼(660L)로 불리울 수 있고, 또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우측댐퍼(660R)로 불리울 수 있다. 좌측댐퍼(660L)에 결합된 랙(668)은 좌측랙(668L)으로 불리울 수 있고, 우측댐퍼(660R)에 결합된 랙(668)은 우측랙(668R)으로 불리울 수 있다.
또한, 댐퍼조립체(662)의 좌측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6)은 좌측 외부벽(666)으로 불리울 수 있고, 반면에 댐퍼조립체(662)의 우측 외부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7)은 우측 외부벽(667)으로 불리울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좌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곡면부(652)는 좌측 곡면부(652L)로 불리울 수 있고, 제2하우징(200)의 우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곡면부(652)는 우측 곡면부(652R)로 불리울 수 있다.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동작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둘 수 있다. 좌측랙(668L)은 좌측 외부벽(666)의 배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우측랙(668R)은 우측 외부벽(667)의 정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조명조립체(700) 및/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좌측기어(661L)는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좌측 댐퍼구동모터에 결합된 좌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좌측 축과 좌측 댐퍼구동모터는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응축수통로(662a)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기어(661L)는 좌측 외부벽(666)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좌측 외부벽(666)은 좌측 랙(668L)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 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좌측 랙(668L)은 좌측 댐퍼(660L)를 회전하기 위한 좌측 기어(661L)와 결합할 수 있다.
좌측 기어(661L)는 좌측 댐퍼(660L)를 개방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 좌측 외부벽(666)을 향해 좌측 댐퍼(666L)를 회전할 수 있다.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좌측 댐퍼(660L)는 좌측댐퍼(660L)의 내면이 좌측 외부벽(666)의 외면을 보도록 좌측 외부벽(666)에 평행할 수 있다. 힌지(660a)(도 19)에 대한 좌측 댐퍼(660L)의 각도는,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좌측 댐퍼(660L)가 좌측 외부벽(666)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좌측 흡입통로가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의 좌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기어(661L)는 좌측 댐퍼(660L)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 좌측 댐퍼(660L)를 좌측 곡면부(652L)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그 상부 부분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좌측 댐퍼(660L)의 좌우길이는,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닫혔을 때, 좌측 댐퍼(660L)의 외부 단부가 좌측 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댐퍼(660L)의 전후길이는 좌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제2하우징(200)의 선단 및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측 기어(661R)는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우측 댐퍼구동모터에 결합된 우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우측 축은 좌측 축보다 더 길 수 있다. 다르게는, 우측 축과 우측 댐퍼구동모터는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제1 응축수 통로(662a)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기어(661R)는 우측 외부벽(667)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우측 외부벽(667)은 우측 랙(668R)이 삽입되는 선단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우측랙(668R)은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하기 위한 우측 기어(661R)와 결합할 수 있다.
우측 기어(661R)는 우측 댐퍼(660R)를 개방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 우측 댐퍼(660R)를 우측 외부벽(667)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우측 댐퍼(660R)는 우측 댐퍼(660R)의 내부 표면이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을 향하도록 우측 외부 벽(667)에 평행하도록 될 수 있다.
힌지(660a)(도 19)에 대한 우측 댐퍼(660R)의 각도는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우측 댐퍼(660R)가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우측 흡입통로가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의 우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기어(661R)는 우측 댐퍼(660R)를 닫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우측 곡면부(652L)를 향해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할 수 있다.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좌우길이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우측 댐퍼(660R)의 좌우길이는,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닫혔을 때, 우측 댐퍼(660R)의 외부 단부가 우측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측댐퍼(660R)의 전후길이는 제2하우징(200)의 선단과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우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에 위치된 흡입그릴(210)은 좌측 흡입그릴(210L)로 불리워질 수 있고, 제2하우징(200)의 우측면에 위치된 흡입그릴(210)은 우측 흡입그릴(210R)로 불리워질 수 있다.
각각의 좌측 곡면부(652L)와 우측 곡면부(652R)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형성된 홈 또는 내부 공간(652a)이 있을 수 있다. 홈(652a)은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210a)와 연통될 수 있다.
좌측 흡입그릴(210L)의 상부는, 좌측 곡면부(652L)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좌측 곡면부(652L)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우측 흡입그릴(210R)의 상부는 우측 곡면부(652R)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우측 곡면부(652R)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좌측 흡입그릴(210L)의 상부는 선택적인 자석결합을 통해 좌측곡면부(652L)의 홈(652a)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곡면부(652L)는 강자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좌측 흡입그릴(210L)의 상부는 좌측 곡면부(652L)에 자력으로 끌어당겨지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흡입그릴(210R)의 상부는 선택적인 자석결합을 통해 우측 곡면부(652R)의 홈(652a)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곡면부(652R)는 강자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우측 흡입그릴(210R)의 상부는 우측 곡면부(652R)에 자력으로 끌어당겨지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거리센서(801)는 조리장치에 놓인 조리도구의 좌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거리센서(801)는 제2하우징(200)의 하방에 위치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805)(화구, 인덕션, 스토브 등)에 놓인 조리도구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조리도구가 존재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센서(801)는 조리장치의 열발생부(805)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도 30). 바람직하게는 거리센서(801)와 열발생부(805)는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이러한 거리센서(801)는 제2하우징(200)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리도구가 좌측에 있으면, 이에 대응되는 좌측 댐퍼(660L)는 완전히 개방되고 우측 댐퍼(660R)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우측에 있으면, 이에 대응되는 우측 댐퍼(660R)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고 좌측 댐퍼(660L)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좌측 및 우측에 있으면, 이에 대응되는 좌측 댐퍼(660L)와 우측댐퍼(660R) 모두는 완전히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우측댐퍼(660R)와 좌측댐퍼(660L)의 개방정도는 조리도구의 위치에 따라 연속으로 조절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우측댐퍼(660R)에 가까울수록 우측댐퍼(660R)가 더 개방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좌측댐퍼(660L)에 가까울수록 좌측 댐퍼(660L)가 더 개방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우측댐퍼(660R)로부터 멀어질수록 우측댐퍼(660R)는 더 폐쇄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좌측댐퍼(660L)로부터 멀어질수록 좌측 댐퍼(660L)는 더 폐쇄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주방용 후드(1)의 하부 중앙에 있을 때, 우측 댐퍼(660R)와 좌측 댐퍼(660L)는 각각 절반정도 개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우측댐퍼(660R)와 좌측댐퍼(660L)의 개폐는 복수의 온도센서(802)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동작될 수 있다. 주방용 후드(1)의 상부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802a)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주방용 후드(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2,3온도센서(802b,802c)에서 측정된 제2,3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팬(300)의 회전속도 및/또는 좌우측 댐퍼(660L,660R)의 개방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팬(300)의 회전속도 및/또는 좌우측 댐퍼(660L,660R)의 개방정도에 따라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2에서 도 26을 참조하면, 조명조립체(700)와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조명조립체(700)와 스팀청소조립체(600)가 제2하우징(20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도록 제2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팬(300)과 팬하우징(310)은 제1하우징(100)에 고정된 위치로 남아 있도록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140)(예를 들어, 제2 상부프레임(14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수직 하강하였을 때, 흡입그릴(210)에서 제1상부프레임(141)에 형성된 개구(141a)까지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좌측과 우측 흡입경로의 길이는 증가될 수 있다.
공기질감지조립체(500)는 도어(111) 뒤의 내부 하우징(120)의 좌측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의 좌측은 내부 하우징(120)의 외부벽(121)과 내부벽(122)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공기질감지조립체(500)는 내부하우징(120)의 내부공간 내에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는 내부 하우징(120)의 우측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또 내부하우징(120)의 우측은 공기질감지조립체(500)가 위치된 내부하우징(120)의 외부벽(121)과 내부벽(122)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제2 공기질감지조립체(500)가 주방용 후드(1)의 좌측과 우측 모두에서 공기질이 감지되도록 추가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제1 분자통로경로(510a)가 외부벽(12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자통로경로(510a)는 외부벽(121)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분자통로경로(510a)는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별도의 디스크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또 디스크는 외부 벽(121)에 형성된 대응되는 개구 또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복수의 공기질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일실시례로 3개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는 제1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하우징(100)의 내부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경우, 이들 센서들에 대응되는 외부 하우징(110)에는 공기가 통풍되도록 개방부(111d)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다른 예로 공기질센서(520a,520b,520c)가 외부 하우징(110)에 설치된다면 이러한 개방부(111d)는 형성될 필요가 없다.
제1센서(520a)는 제1분자통로경로(510a)와 정렬되도록 내부벽(12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공기질감지조립체(500)는 다수개의 공기질센서와 대응되는 분자통로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a, 도 21b,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분자경로통로(510a,510b,510c)에 정렬된 제1, 제2, 제3센서(520a,520b,520c)가 있을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3개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3센서(520a,520b,520c)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각각 제1, 제2 및 제3분자경로통로(510a,510b,510c)의 후방과 정렬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먼지, 오일, 가스들, 그리고 다른 이물질을 함유하는 공기는 각각 제1~3분자경로통로(510a,510b,510c)를 통해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1~3센서(520a,520b,520c)는 광이온화검출기(PID), 입자센서, 또는 가스 또는 유해한 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다른 센서들일 수 있다.
제1~3센서(520a,520b,520c)는 내부벽(122)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PCB)(530)에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30)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제2, 및/또는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각각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장치 또는 모바일 또는 웹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적인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조리장치, 외부 공기정화기, 또는 다른 스마트 장비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로부터 정보를 받거나 및/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의 통신모듈로 공기질 측정값 또는 다른 데이터나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센서(520a)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가스의 양 또는 밀도(예를 들어, 백만분의 1 또는 PPM)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CO2)의 많은 양이나 높은 밀도는 높은 수준의 연기나 다른 발암물질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산화탄소(CO2)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제1센서(520a)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이산화질소(NiO2), 포름알데히드(CH2O 또는 HCH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블랙카본(BC) 또는 그을음, 및/또는 다순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의 양 또는 밀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센서(520b)는 오일, 오일미스트, 먼지, 또는 다른 때(dirt) 또는 더께(grime)의 양 또는 밀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센서(520c)는 악취나 냄새의 양 또는 밀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10) 및/또는 도어(111)는 제1~3분자통로경로(510a,510b,510c)를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적인 슬릿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도어(111)와 내부하우징(120)의 사이에 틈새가 있을 수 있어서 연기와 가스가 제1~3분자통로경로(510a,510b,510c)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팬(300)의 동작은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제1-3센서(520a,520b,520c)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양 또는 밀도)이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기준값보다 각각 크거나 같을 때, 팬(300)이 켜지거나 또는 팬(300)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팬속도 양 만큼씩 증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팬(300)의 속도는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의 공기질 측정값은 총 오염수준을 계산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고, 또 팬(300)의 속도는 계산된 총 오염수준에 비례해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과 계산된 총 오염수준의 비교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팬(300)의 속도가 제1, 제2 및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증가할 때, 팬(300)은 공기정화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공기 유동을 최적화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가 완료된 이후이고 조리도구가 없을 때, 제2하우징(200)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팬(300)은 잔류하는 오염물을 줄이도록 미리 정해진 속도, 예를 들어 최대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만약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 주방에서 감지되었다면,(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조리 또는 구이 동안에)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하강할 수 있고(예를 들어 최대 량) 또는 팬(300)은 주방에 있는 장치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배출하고 및/또는 집안의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속도(예를 들어 최대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스팀청소동작은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및/또는 팬(300)의 현재 동작에 근거하여 시작되거나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00)이 공기정화동작 후 또는 요리의 종료를 표시하도록 어떤 오염수준이 줄어든 후에 꺼진 후에, 제어기는 스팀청소가 주방용 후드(1)의 내부에 남아 있는 어떤 잔류 가스, 먼지, 오일, 냄새 등을 제거하는데 좋았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에게 액체용기(610)를 채울 것을 알릴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만약 액체용기(610)가 미리 채워져 있다면, 스팀청소 동작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팀청소 동작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6과 도 2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외부하우징(110)의 전면패널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도어(111) 및/또는 도어(111)에 반대되는 외부하우징(110)의 측면에 제2 및/또는 제3 디스플레이가 있을 수 있다.
외부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표면에 의해 또는 레이저가공,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정의된 다수개의 개구 또는 관통공(13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133)은 숫자, 문자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1)이 관통공(133)과 정렬하여 외부하우징(110)의 전면패널의 뒤에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1)은 관통공(133)을 통해 광이 조사되도록 다수개의 LED(LEDs)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133)은 별도의 통지를 정의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LED(132)의 숫자와 관통공(133)에 의해 정의된 통지의 숫자는 같을 수 있고, LED(132)는 관통공(133)에 의해 정의된 통지와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조사되어야 하는 통지에 근거하여 어느 LED(132)가 켜져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 또 LED(132)로부터 나오는 광은 대응되는 통지를 정의하는 관통공(133)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관통공(133)에 의해 정의된 통지는, 언제 팬(300)이 켜지는지, 공기정화동작중에 언제 팬(300)이 동작하는지, 공기질감지조립체(500)가 감지한 양 또는 밀도가 언제 미리 정해진 양 또는 밀도보다 위거나 아래인지, 언제 스팀청소조립체(600)가 동작하는지, 언제 액체용기(610)가 액체로 채워졌는지, 언제 조명이 켜지는지, 또는 다른 동작 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 조명조립체(700), 화재비상조립체(800), 또는 어떤 다른 추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33)은 좌측댐퍼(660L) 또는 우측댐퍼(660R)의 개폐에 의해 어느 측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지, 즉, 공기 흡입이 좌측흡입인지 우측흡입인지, 그리고 운전모드가 수동운전인지 설정된 스마트기능의 운전인지, 제2하우징(200)이 하부로 내려간 상태에서 흡입하는 근접흡인지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추가로, LED(132)는 과정의 완성(예를 들어 스팀청소동작 또는 공기정화동작)을 전달하거나 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폭넓은 감지값을 전달하도록 다양한 가시 파장의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관통공(133)은 제1 통지, 제2 통지 그리고 제3 통지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통지의 뒤에 위치된 LED(132)는 제1센서(520a)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과 밀도가 미리 정해진 제1양보다 크거나 같을 때 빨간색 광을 내고,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제1양보다 작지만 미리 정해진 제2양보다 큰 경우에는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 광을 내고, 그리고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제2양보다 작거나 같을 때에는 파란색 또는 흰색광을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설정된 제2양과 설정된 제1양 사이에서 제1센서(520a)에 의해 이산화탄소에서의 감지된 증가에 근거해서 보라색 또는 청색광(예를 들어 400nm)과 적색광(예를 들어 700nm) 사이에서 LED(132)에 의해 발산되는 광의 파장이 증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디스플레이(130)는 제1센서(520a)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감지된 양이 미리 정해진 제1양보다 크거나 같을 때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지 뒤의 LED(132)의 실시는 제2센서(520b)에 의해 감지된 것에 유사하게 근거할 수 있고, 또 제3통지 뒤의 LED(132)의 실시는 제3센서(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유사하게 근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조명(703)을 켜고 끄는 것, 스팀청소를 제어하기 위해 스팀발생기(612)를 켜고 끄는 것, 그리고 공기정화를 제어하도록 팬(300)의 속도를 조절하고 및/또는 켜고 끄는 것 및/또는 제2하우징(200)을 승강하는 것과 같은 지시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센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조립체는 사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관통공(133)에 의해 형성된 통지를 터치하도록 정전식 터치감지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터치센서조립체는 LED(132) 근처의 인쇄회로기판(131)에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1)은 사용자가 무선으로 모바일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원격장치를 통해 지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있다. 다르게는, 마이크가 소리 지시에 의해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23에서 도 24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실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오일/먼지, 및/또는 냄새의 수준을 표시하도록 다른 색상의 광을 사용하는 것을 대신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통지는 행과 열로 배치된 다수개의 관통공(133)을 구비할 수 있고, 또 켜진 조명의 숫자가 대응되는 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3과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3)들은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예를 들어,3행 5-15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오일/먼지, 및/또는 냄새의 수준에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열이 점등된다.(또는 3행 5열에 의해 정의된 다수개의 블럭)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3)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예를 들어 5행 5-12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 제2,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오일/먼지, 및/또는 냄새의 수준에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행이 점등된다(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행의 집합에서 5열로 정의된 다수개의 블럭).
도 24b와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3)은 직선 수평라인(도 24a) 또는 원형, 반원형, 또는 호형(도 24e)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 다수개의 점등된 관통공(133)이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오일/먼지, 및/또는 냄새의 수준에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팬(300)의 속도는 다수개의 점등된 관통공(133)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23과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3)은 사용자가 팬(300)을 켜고 끄도록 하는 버튼 주위에 동심원(각각은 적어도 십여개의 관통공(133)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4b와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의 좌측과 우측에 수평선 또는 수평 행들이 있을 수 있다. 동심원의 갯수, 켜진 조명의 색상, 또는 관통공(133)의 갯수가 팬(300)의 속도에 대응될 수 있다.
관통공(133)에 의해 둘러싸여진 터치버튼의 이런 구성은 조명(703)(예를 들어, 버튼은 조명(703)을 켜고 끌 수 있고, 관통공(133)은 현재의 밝기를 표시할 수 있다), 공기질감지조립체(500) 자체를 끄기를 원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모든 센서(520a~520c)를 오프할 수 있다), 또 주방용 후드(1)를 수동으로 제어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는 제2하우징(200)의 높이(예를 들어, 승강버튼을 터치하여 제2하우징(200)을 상승 및/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고, 관통공(133)은 현재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4e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팬(300)을 켜고 끄는 버튼이 없을 수 있고, 대신에 관통공(133)이 반원을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방사상의 선(예를 들어 6개의 관통공으로)들로 배치될 수 있고, 또 방사상의 선의 갯수 또는 관통공의 갯수가 팬(300)의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f에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청소중임을 나타내는 스팀청소, 좌측댐퍼(660L)를 개방하여 좌측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중임을 나타내는 좌측흡입, 우측댐퍼(660R)를 개방하여 우측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중임을 나타내는 우측흡입, 기설정된 스마트운전을 수행중임을 나타내는 스마트운전, 제2하우징(200)이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하여 흡입중임을 나타내는 근접흡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정보는 예시이며, 물론 그 외에도 선택적으로 액체용기의 교체 및/또는 탈착여부, 액체의 수위정보 등 다른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는 관통공(133), 통지, 그리고 다른 선택적인 버튼과 스위치의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추가로, 디스플레이트(130) 또는 외부하우징(110)의 다른 표면은 스위치(예를 들어, 조명(703) 및/또는 팬(300)을 켜고 끄는), 다이얼(예를 들어, 밝기, 속도, 높이의 수준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하부는 조명조립체(700)의 커버(704)의 상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4)는 추가적인 홈 또는 리브를 통해 공간에 압입될 수 있고, 또 볼트, 스크류 등을 통해 더 고정될 수 있다. 커버(704)의 결합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704)는 청소나 수리를 위한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하우징(200)의 저면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버(704)는 커버(704)의 저면이 제2하우징(200)의 저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홈 또는 공간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커버(704)의 저면은 제2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704)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형성되어 근접센서(701)와 조명(703)으로부터 나오는 전자기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와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센서마운트(705)와 조명(703) 아래의 커버(704)의 바닥은 투명일 수 있고, 반면에 커버(704)의 나머지(예를 들면 측면)는 불투명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조명(703)이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조리장치르 조명할 수 있고, 또 근접센서(701)가 방해없이 신호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한 커버(704)를 형성하는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 또는 그 이상(예를 들어 좌측과 우측)의 근접센서(701)가 센서마운트(705)에 서로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좌측 근접센서(701)는 센서마운트(705)의 좌측 부분에 있을 수 있고 우측 근접센서(701)는 센서마운트(705)의 우측 부분에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개별 근접센서(701)는 전후방향에 더해 좌우방향으로 주방용 후드(1)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주방용 후드(1)에 대한 사용자의 좌우위치가 좌측 및 우측 근접센서(701) 사이의 데이터를 비교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센서마운트(705)는 제2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아래로 경사질 수 있다. 근접센서(701)는 센서마운트(705)의 경사를 따라 배치되도록 센서마운트(70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701)는 수평 또는 전후 방향으로 근접센서(701)에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비스듬히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르게는, 센서마운트(705)는 경사지지 않도록 커버(704)의 나머지 부분 아래로 돌출되거나 매달린 별개의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고, 또 근접센서(701)는 수평 또는 전후방향으로 근접센서(701)로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전후방향(그리고 비스듬하지 않은)을 따라 수평으로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구동조립체(450)와 선택적으로 팬(300)의 조절은 주방용 후드(1)의 공기청소 또는 정화기능은 사용자가 수행하는 요리의 종류와 조리도구의 종류에 따라 맞춤화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어부는 저장된 거리를 메모리(915)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15)에 저장된 거리는 고정된 위치에 남아 있는, 제1하우징(100)의 하부로부터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조리장치 또는 다른 표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저장된 거리는 제2하우징(200)이 최대 양만큼 상승되도록 최대 양만큼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조리장치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저장된 거리는 거리센서(801)에 의한 초기 감지와 제1하우징(100)에 대한 제2하우징(200)의 알려진 또는 감지된 거리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0)에 대한 제2하우징(200)의 높이는 슬라이딩조립체(400)의 구동조립체(450)에 있는 추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또는 구동조립체(450)의 승강모터(453)의 동작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저장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측정될 수 있고 입력될 수 있다.
거리가 거리센서(801)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는 제1하우징(100)에 대한 제2하우징(200)의 높이에 근거하여 감지된 거리를 수정된 또는 계산된 거리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 내부로 최대 양만큼 삽입되었을 때, 수정된 거리는 감지된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제어부는 저장된 거리에 수정된 거리를 비교함에 의해 스토브의 상부에 위치된 조리도구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수정된 거리가 저장된 거리와 같은 때, 제어기는 스토브 상에 조리도구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고, 또 대신 팬(300)을 구동할 수 있고 또 선택적으로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제공된 감지된 것에 일차적으로 근거하여 구동조립체(450)를 동작할 수 있다.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1위치로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은 조리도구로부터 떨어진 미리 정해진 제1거리가 되는 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거리는, 예를 들면, 프라이팬의 평균 높이(예를 들면 5cm)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제1위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일 수 있고 또는 제2하우징(200)이 최대 양만큼 하강되도록 제1하우징(100)으로 최소 거리 삽입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거리보다 높은 미리 정해진 제2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2위치로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은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2거리보다 크거나 같지만 미리 정해진 제3거리보다 작다고 결정되었을 때, 미리 정해진 제2위치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거리는 평균 또는 중간 크기의 소스팬 또는 냄비를 나타내는 높이(예를 들어 12cm)일 수 있고, 또 미리 정해진 제2위치는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절반정도 슬라이드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거리와 미리 정해진 제3거리 사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의 높이는 조리도구로부터 떨어진 미리 정해진 제2거리이도록 조절될 수 있다.
조리도구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3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3위치로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은 조리도구로부터 떨어진 미리 정해진 제3위치가 되는 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3위치는, 예를 들면, 대형 소스팬 또는 냄비의 높이(예를 들어 15~18cm)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저장된 미리 정해진 3개의 거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제1거리보다 크고, 작은 냄비 사이즈(예를 들어 8~10cm)와 동일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제2거리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제4거리가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4거리는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미리 정해진 제4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한 구동조립체(450)의 제어의 실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조명조립체(700)는 높이 대신에 조리도구의 표면적 또는 반경을 감지할 수 있고 구동조립체(450)를 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조리장치에 조리도구가 없다고 제어부가 결정하였을 때, 제2하우징(200)은 주방내에서 매끄러운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최대 양만큼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될 수 있다. 이 위치는 초기위치로 불리워질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뷰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어떤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수준이거나 그 이하일 때까지 제2하우징(200)을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에 조리도구가 없지만 이산화탄소, 오일 및 먼지, 또는 냄새중 적어도 하나의 수준이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수준이거나 그 이상이라고 결정하면, 제2하우징(200)은 상승되지 않거나 또는 다르게는 더 하강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팬(300)의 속도는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오일 또는 먼지, 또는 냄새의 모든 수준이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수준 아래인 경우,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으로 최대 양만큼 삽입되도록 상승될 수 있고, 그리고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팬(300)은 꺼지거나 또는 팬(300)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얼마나 오랫동안 조리도구가 스토브로부터 제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선택적인 타이머가 있을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조리도구를 비우고, 조리도구를 채우고, 또는 일시적으로 조리도구를 없애고 조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다른 단계와 같은 사소한 중간조리단계 동안 제2하우징(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 요리가 진행되지 않는 시간 또는 그 이상이 경과할 때까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조절의 대안적인 더 간단한 실시로서, 제2하우징(200)의 높이는 거리센서(801)와 거리센서(801) 아래의 감지된 조리도구 사이의 미리 정해진 근거 거리를 유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실시례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거나 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수준과 같거나 그 이하일 때, 제2하우징(200)은 최대 양만큼 제1하우징(100)으로 삽입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감지값에 근거하여 추가적으로 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수준 또는 측정값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위치 또는 거리의 값을 수정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위치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수준이 더 높을 때, 더 낮게 되도록 수정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위치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수준이 더 낮을 때 더 높게 수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제어부는 제2하우징(200)을 미리 정해진 제2 위치(수정되지 않은)로 이동할 수 있고, 또 그리고 나서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감지값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조절량만큼 제2하우징(200)을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로서, 중간 크기의 소스 팬이 조리장치 상에 위치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2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중간 크기의 소스 팬에서 물을 끓이고 있을 경우, 각각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오일 및 먼지, 또는 냄새 의 수준 또는 측정값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하우징(200)은 제2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미리 정해진 청소 조절양만큼 상승될 수 있는데, 이는 고정된 미리 정해진 양(예를 들어 4인치)일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이산화탄소, 오일 및 먼지, 그리고 냄새의 측정된 수준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중간 크기의 소스팬이 깊은 프라이어(deep fryer)로서 사용되는 경우 또는 향이 있는 소스를 요리하는 경우, 각각 제1~3센서(520a,520b,520c)에 의해 감지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VOCs, 메탄가스, 오일 또는 먼지, 또는 냄새의 수준이나 측정값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2하우징(200)이 고정된 미리 정해진 양(예를 들어 4인치)인 미리 정해진 더러움조정 양만큼 하강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VOCs, 메탄가스, 오일 및 먼지, 그리고 냄새의 감지된 수준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높이가 낮은 프라이팬의 경우에는, 조절은 더 깨끗한 공기에 근거하여 일차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프라이팬이 조리장치 상에 위치되었을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1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데, 이는 제2하우징(200)이 슬라이드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위치일 수 있다. 프라이팬이 기름으로 재료를 볶기 위해 사용될 때,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제1위치에 남겨질 수 있다(또는, 제2하우징(200)이 더 하강할 수 있다면, 제2하우징(200)은, 다르게는, 미리 정해진 더러움 조절양만큼 하강될 수 있다). 대신에 프라이팬이 적은 양의 음식을 끓이거나 찌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연기 또는 냄새를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참깨를 노릇노릇하게 볶는데 사용되는),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청소조절양만큼 상승할 수 있다.
팬(300)은 요리가 끝난 후 적어도 30분 동안은 온 상태로 남겨질 수 있는데, 이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 또는 거리센서(801)에 의해 조리도구가 없다는 감지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요리가 끝난 후의 계속된 배기는 주방에서 미세먼지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보인다. 팬(300)은 2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에 근거하여 온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요리 전에, 사용자는 수동으로 팬(300)을 켤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는, 근접센서(701)를 통해 조명조립체(700)는 주방용 후드(1)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또 자동적으로 팬(300)을 켤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위치 또는 팬(300)의 속도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또는 스팀청소동작의 시작에 근거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매 달 또는 3개월 마다), 또는 다르게는 요리 빈도,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공기질 측정값, 또는 제1 또는 제2하우징(100, 200)의 내부에 있는 추가적인 잔류물 감지기에 의한 감지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에게 스팀청소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안하는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공지의 제공은 스팀청소동작에서 제1 단계(즉 단계 1)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 상의 통지를 보면, 사용자는 스팀청소를 시작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2 단계(단계 2)에서 사용자 지시를 받을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사용자 지시를 받은 후에, 팬(300)은 꺼질 수 있고 또 제2하우징(200)은 최대 양만큼 또는 제3 단계(단계 3)에서 액체용기(610)에 접근을 허용하는 양만큼 하강될 수 있다.
단계 3에서 제2하우징(200)이 하강된 후, 디스플레이(130)는 제4 단계(단계 4)에서 액체용기(610)를 액체로 채우라고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통지를 낼 수 있다. 통지를 확인한 후에,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용기가이드(611)로부터 꺼낼 수 있고 제1통(610a)을 액체로 채울 수 있다.
액체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되었기 때문에 분리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체를 채운 후에,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용기가이드(611)로 다시 삽입할 수 있다. 제5 단계(단계 5)에서, 센서는 액체용기(610)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액체용기(610) 내에 미리 정해진 수위 또는 그 이상이라고 감지되면, 제2하우징(200)은 최대 양만큼 상승될 수 있고 또는 제2하우징(200)은 제6 단계(단계 6)에서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상승된 후, 댐퍼(660)가 제7 단계(단계 7)에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닫혀질 수 있다. 댐퍼(660)가 닫힌 후에, 제8 단계(단계 8)에서, 스팀발생기(612)가 켜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는 제9 단계(단계 9)에서 미리 정해진 스팀발생시간동안 동작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스팀발생시간이 지난 후에, 스팀발생기(612)는 제10 단계(단계 10)에서 꺼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와 팬(300)은 제11 단계(단계 11)에서 미리 정해진 수집시간 동안 꺼진 상태로 남겨질 수 있다.
단계 11 동안, 응축수는 팬(300)이 켜지기 전에 액체용기(610)의 제2통(610b)에 수집되는 것이 계속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수집시간이 지난 후에, 팬(300)은 제12 단계(단계 12)에서 외부로 스팀과 잔류물을 배출하기 위해 켜질 수 있고, 또 댐퍼(660)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팬(300)은 제13 단계(단계 13)에서 미리 정해진 배출시간동안 켜진 상태로 남겨질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배출시간이 지나면, 팬(300)은 제14 단계(단계 14)에서 꺼질 수 있다.
팬(300)이 꺼진 후, 디스플레이(130)는 액체용기(610)를 비우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통지를 제공할 수 있고 댐퍼(660)는 만약 선택적으로 개방되었다면 제15 단계에서 폐쇄될 수 있다.(단계 15)
다른 실시예에서 팬(300)은 설정된 시간 또는 24시간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팬(300)의 회전속도가 결정되고 풍량이 결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주기 또는 24시간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모드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기질 상태 또는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라도 팬(300)은 계속해서 동작할 수도 있다.
통지를 보면, 사용자는 수집된 응축수가 폐기될 수 있도록 제2하우징(200)을 하강하는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제16 단계에서 지시를 받으면(단계 16), 제2하우징(200)은 하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분리해 낼 수 있고, 수집된 응축수를 폐기하고, 또 제2하우징(200)으로 다시 액체용기(610)를 삽입할 수 있다.
빈 액체용기(610)(또는 미리 정해진 수위보다 낮은 수위)를 감지하면, 제2하우징(200)은 제17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단계 17). 단계 17 후에, 사용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가 상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주방 내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돌아가도록 주방용 후드(1)를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트(130)에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팬(300) 및/또는 제2하우징(200)의 높이는 주방에서 용납가능한 공기질을 유지하도록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한 감지값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스팀이 스팀발생기(612)에 의해 발생되기 전에 팬(300)이 꺼지는 한 위의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계 3에서, 팬(300)은 제2하우징(200)이 하강됨에 따라 온 상태로 있을 수 있고, 또 단계4, 단계5, 단계6, 또는 단계7까지 오프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댐퍼(660)는 단계3, 단계4, 단계5, 단계6, 또는 단계7 중 어느 하나에서 닫혀질 수 있다.
단계 14에서 또는 단계15, 단계 16, 단계17 후에,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따라서, 팬(300)은 온 상태로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주방 내의 오염된 공기를 계속하여 배출하도록 켜질 수 있고, 또는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런 단계들의 배치에서, 댐퍼(660)는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만약, 단계 14 이후에 팬(300)이 온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팬(300)은 디스플레이(130)로 입력된 지시를 통해 수집된 응축수를 폐기하도록 액체용기(610)를 분리하기 위한 요구를 사용자가 표시할 때 꺼질 수 잇다.
사용자는 밤에 스팀청소가 발생하기를 원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과정과 다른 것으로서, 단계 1에서 통지를 보면, 사용자는 스팀청소가 나중에 시작하도록 프로그램하기 위한 지시를 디스플레이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로 액체용기(610)를 채우기 위해 액체용기(610)를 분리해 낼 수 있지만, 미리 정해진 수위를 감지하고 또 단계 6에서 제2하우징(200)이 상승하면, 단계7 및/또는 단계8은 미리 프로그램된 시간까지 지연될 수 있다. 그 동안, 공기질감지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한 필요와 수동 지시에 따라, 팬(300)은 주방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동작하기를 계속할 수 있고, 또 댐퍼(660)는 개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미리 채워서 언제든지 또는 주기적으로 미리 프로그램된 스팀청소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스팀청소 과정을 권장하는 통지를 받기 전에 액체용기(610)를 미리 채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요리 빈도, 제2하우징(200)의 내부의 추정된 먼지 또는 잔류물 수준에 근거하여 스팀청소가 자동적으로 발생하도록 안내하는 지시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디스플레이(130)가 사용자에게 스팀청소를 권장할 때에 근거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 단계1-6은 생략될 수 있고, 단계7에서, 팬(300)은 댐퍼(660)가 닫힌 후에 꺼질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16 후에 액체용기를 미리 채울 수 있다. 사용자가 제2통(610b)으로부터 수집된 응축수를 폐기함에 따라, 사용자는, 그 때, 제1통(610a)을 채울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이후에 다음의 스팀청소 시에 액체용기(610)를 채울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단계 5와 단계 6은, 다르게는, 용기가이드(611)에 삽입되는 액체용기(610)의 감지된 무게 또는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액체용기(610)를 삼입한 후에 제2하우징(200)이 상승하게 지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7과 단계 8은,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이 상승된 후에 자동적으로 대신에 디스플레이(130)에의 사용자 지시입력에 근거하여 시작될 수 있다.
단계 15에서, 스팀청소가 완료되었다고 사용자에게 통지를 제공하는 대신에, 대안으로서, 액체용기(610)가 수집된 응축수를 폐기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자동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단계 17에서, 빈 액체용기(610)의 감지에 따라 제2하우징(200)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대신, 사용자가 제2하우징(200)이 상승하도록 지시하게 디스플레이(130)에 명령을 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스팀 시간, 수집 시간, 그리고 배출시간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대신에, 단계 9에서 단계 15는, 다르게는, 제2응축수통(610b)에 수집된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응축수통(610b)내의 감지된 수위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9에서, 스팀발생기(612)는 제1수위가 제2통(610b) 내에서 감지될 때까지 동작될 수 있다. 일단 제1수위에 도달하면, 스팀발생기(612)는 단계 10에서 꺼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와 팬(300)은 제1수위보다 높은 제2수위가 제2통(610b)에서 감지되었을 때까지 단계 11에서 오프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수위의 감지에 따라, 팬(300)은 단계 12에서 켜질 수 있다.
단계 4 이후에, 사용자가 액체용기(610)를 채움에 따라, 사용자는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흡입그릴(210)을 분리할 것을 선택할 수 있고 흡입그릴(210)을 청소를 위해 식기세척기에 넣을 수 있다. 흡입그릴(210)은 사용자가 수집된 응축수를 버렸을 때, 단계 16 후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단계 8에서 닫혀지는 댐퍼(660)에 대한 대안으로서, 댐퍼(660)는 개방된 채로 있을 수 있고, 또 사용자는 흡입그릴(210) 하부의 제2하우징(200)의 하부로 액체용기를 장착할 수 있고, 또는 잘못 전달된 응축수를 포획하기 위해 흡입그릴(210) 아래에 액체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액체용기를 장착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지만, 흡입그릴(210)은 만약 댐퍼(660)가 개방된 채로 있으면 스팀청소과정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액체용기는 레치로 걸어지거나, 자력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압입 등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더 간단한 실시로서, 스팀발생기(312), 제2하우징(200), 댐퍼(660), 팬(300)은 단순한 시간-근거 스팀청소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 등, 사용자의 지시 후, 응축수가이드(611)에 삽입되어 있는 액체용기(610)의 감지후, 또는 제2하우징(200)이 상승된 후에, 계산된 미리 정해진 횟수 동작될 수 있다.
도 29에서 도 31에는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1)에서 스팀분사기(670')의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는 다른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스팀분사기(670')는 스팀을 사용하여 주방용 후드(1) 내부의 먼지 및/또는 오일 등(이하 '이물질'이라고 한다)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기(670')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주방용 후드(1) 내부의 여러 부품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소정 온도의 스팀을 사용한다. 스팀을 이물질에 분사하여 이물질을 분리해 내고,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에 이물질이 함께 섞여서 응축수 수집기(650)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와 이물질은 상기 액체용기(610)로 전달되어 수거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을 참고하면, 스팀분사기(67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와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의 보다 넓은 영역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기(67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이 높이 차를 두고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은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로 상부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메인배관(673')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중 상단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메인배관(673')은 상기 제1메인배관(673)보다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의 형상은 본 실시례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보조배관(674)을 포함하는 전체 스팀분배기(670)의 형상은 흡입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응축수가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그리고 보조배관(674)이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스팀분배기(670')의 내부가 중공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이 사각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각형 프레임 또는 링형상으로 되어 중앙을 관통하여 공기와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수평 횡단면 형상과 같은 수평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에서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배관(67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조배관(674)은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배관(674)은 상기 모서리 이외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배관(674)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관(674)은 상기 제1메인배관(673)과 제2메인배관(673')의 내부를 연결하여 스팀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튜브(671)를 통해 스팀발생기(612)에서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메인배관(673)으로 튜브(671)를 통해 스팀이 전달되고, 상기 제1메인배관(673)에서 보조배관(674)을 거쳐 제2메인배관(673')으로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보조배관(674)으로 각각 별도의 튜브(671)를 통해 스팀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튜브(671)를 사용하면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보조배관(674)의 노즐(672)에서 거의 같은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다르게는, 상기 보조배관(674)이 없이 상기 제1메인배관(673)이나 제2메인배관(673')과 같은 형상의 구성이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메인배관 들에 별도의 튜브(671)가 각각 연결되어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메인배관(673)이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에 결합되어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는,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면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그리고 보조배관(674)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노즐(672) 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노즐(672)의 구성은 위의 실시례에서 설명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상기 노즐(672)은 상기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그리고 보조배관(674)의 외면 전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물질이 주로 많이 붙어 있는 영역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노즐(672)들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 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므로, 상기 제2하우징(200) 및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의 좌측 내면과 우측 내면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의 구성 및 동작과 관련된 것은 위의 실시례에 설명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노즐(672) 들에서 토출되는 스팀이 제2하우징(200)의 내부 및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와 제1하우징(100)의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스팀이 분사될 수 있어, 분사된 스팀이 목표위치에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노즐(672)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으로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의 일부에는 스팀윈도우(200w)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윈도우(200w)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윈도우(200w)를 통해서는 분사된 스팀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제1메인배관(673), 제2메인배관(673') 그리고 보조배관(674)중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면과 반대되는 외면에도 노즐(672)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중앙을 관통하는 영역으로 스팀이 분사되도록 노즐(672)을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중앙을 관통하는 영역에 상기 팬하우징(310)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팀을 팬하우징(310)의 외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분배기(670')에서 스팀이 분사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310)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 영역과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 영역에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이 전달되는 영역은 도 34에 굵은 실선으로 둘러쳐진 부분이고, 화살표가 그려진 영역에 스팀이 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는 주로 상기 팬(300), 즉 상기 팬하우징(310) 외면에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상부 내면으로도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 상부로도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612)에서 발생한 스팀은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전달된 스팀은 각각의 노즐(672)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의 노즐(672)을 통해서는 주로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으로 스팀이 분사되고, 상기 제2메인배관(673')을 통해서는 주로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와 상기 팬하우징(310) 등으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보조노즐(674)을 통해서 분사되는 스팀은 상기 팬하우징(310), 내부하우징(120)의 내면, 제2하우징(200)의 내부 상부 등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된 스팀은 각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해 내어 낙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이 응축되어 만들어진 응축수는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로 전달될 수 있다. 응축수들은 상기 개구(650a)를 통해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를 거쳐 액체저장용기(610)에 모아질 수 있다. 상기 탭(651) 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댐퍼(660)로 일부의 응축수가 전달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66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660)의 표면을 따라 응축수가 안내되어 상기 액체가이드(66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로 전달된 응축수는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에 모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제1하우징(100)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 전체와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로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이 영역은 도 35에서 굵은 실선으로 둘러쳐진 부분이고, 주로 화살표가 그려진 영역에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주로 스팀이 분사되는 영역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상부와 내부하우징(120)의 하부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하우징(200) 내부의 상부에 주로 스팀이 분사되고,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 영역에도 스팀이 분사되고 전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상대적으로 하부 내면으로 상기 스팀윈도우(200w)를 통해 스팀이 전달될 수 있다. 물론, 도 35의 상태에서도 상기 팬(300)쪽으로도 어느 정도 스팀이 전달될 수는 있다.
여기서도, 상기 스팀발생기(612)에서 발생한 스팀은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전달된 스팀은 각각의 노즐(672)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부공간, 특히 상대적으로 하부의 내부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배관(673)을 통해서는 주로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으로 스팀이 분사되고, 상기 제2메인배관(673')을 통해서는 주로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중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와 상기 팬하우징(310) 등으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보조노즐(674)을 통해서 분사되는 스팀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 중 상대적으로 하부로 상기 스팀윈도우(200w)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된 스팀은 각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해 내어 낙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이 응축되어 만들어진 응축수는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로 전달될 수 있다. 응축수들은 주로 상기 개구(650a)를 통해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를 거쳐 액체저장용기(610)에 모아질 수 있다.
상기 탭(651) 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댐퍼(660)로 일부의 응축수가 전달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66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660)의 표면을 따라 응축수가 안내되어 상기 액체가이드(66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로 전달된 응축수는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에 모아질 수 있다.
개시된 주방용 후드(1)에서는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에 대해 승강하므로, 상기 스팀분배기(670')가 제2하우징(200)과 함께 이동하면서 내부하우징(120)의 내부 전체 영역으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하우징(200)의 상기 스팀윈도우(200w)를 통해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의 내부 상부(도 34 참고)와 내부 하부(도 35참고)로 스팀을 직접 전달할 수 있어 내부하우징(120) 내부 전체 영역에 대한 스팀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2와 도 33을 참고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과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면 사이를 통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퍼(675)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스팀이나 응축수의 누설 방지 기능 외에도 상기 내부하우징(120) 내면에 있는 이물질과 응축수를 분리해 수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과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제2하우징(200)과 내부하우징(120)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전후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의 선단에는 밀착편(67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의 선단에 있는 상기 밀착편(676)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676)은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편(676)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밀착되어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있는 이물질 및/또는 응축수를 긁어낼 수 있다. 상기 밀착편(676)은 와이퍼(675)와 별도로 만들어져 와이퍼(67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에 의해 모아진 이물질과 응축수는 상기 제2하우징(200)에 형성된 배수공(200h)을 통해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배수공(200h)은 상기 제2하우징(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의 폭방향 중간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수공(200h)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57)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을 향해 상면이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퍼(657)의 상면에는 경사면(6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77)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77)은 또한 상기 와이퍼(657)에 형성된 배수로(677')를 향해서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77)은 도 32 및 도 3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중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677)은 상기 밀착편(676)에서부터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퍼(675)의 양단부에서부터 상기 배수공(200h)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면(677)의 2중 경사는 상기 와이퍼(675)에 의해 모아진 응축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수공(200h)으로 원활하게 전달하여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와이퍼(675)의 경사면(677)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는 상기 배수공(200h)과 대응되게 배수로(67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수로(677')는 상기 배수공(200h)으로 응축수와 이물질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로(677')는 상기 배수공(200h)을 향해 상기 와이퍼(675)의 전후 방향 폭의 중간부분에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하우징(120) 내면에 직접 마주보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과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 사이에 있는 부품들과는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퍼(675)의 좌우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하우징(120)과 제2하우징(200)의 사이에 상하로 길게 위치되는 제1레일(410) 및 제2레일(42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퍼(675)의 길이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과 제2레일(420)과 같은 부품이 있는 경우, 제2하우징(200)의 하나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와이퍼(67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 및 제2레일(42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와이퍼(675)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200)의 하나의 외측면에 제1레일(410) 및 제2레일(420) 쌍이 하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675)가 적어도 2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 및 제2레일(420) 쌍이 2개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675)가 적어도 3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와이퍼(675)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고, 하나의 와이퍼(675)에 대해 하나의 배출공(200h)이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와이퍼(675)는 도 29에서 설명된 실시례 외에도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는 상기 스팀분배기(670')에서 스팀이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을 할 때, 상기 내부하우징(120)과 제2하우징(200)의 사이를 통해 스팀, 응축수, 이물질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와이퍼(675)의 선단에 있는 밀착편(676)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밀착되어 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상승하면 상기 밀착편(676)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내부하우징(120)의 내면에 있는 응축수, 이물질 등을 긁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상기 와이퍼(675)의 경사면(677)에 응축수,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상기 경사면(677)의 경사와 중력작용에 의해 상기 응축수, 이물질이 상기 경사면(677)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경사면(677)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가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배수공(200h)으로 연장된 배수로(677')를 향해서도 하향 경사가 있어, 응축수와 이물질은 상기 배수로(677')로 이동되고, 결국에는 상기 배수공(200h)을 통해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로 응축수와 이물질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675)에 의한 응축수와 이물질의 수거는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에 대해 하강할 때도,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승 동작시에 비해서 수거되는 응축수와 이물질의 양은 적지만, 상기 와이퍼(675)의 경사면(677)에 낙하된 응축수와 이물질은 상기 경사면(677)을 따라 배수로(677'), 배수공(200h)을 통해 응축수 수집기(65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6은 주방용 후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요소의 블럭도이고, 도 37에서 도 44는 실시예들에 따른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주방용 후드에서 제어부(920)는 미리 설정된 주방용 후드(1)의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주방용 후드(1)가 초기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초기상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상태는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수 있고, 팬(300)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위치를 초기위치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초기상태에서 좌우측 댐퍼(660L,660R)가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르게는 개방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조건은 주방용 후드(1)가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제1하우징(100)의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전원버튼을 터치하면 제어부(920)가 동작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주방용 후드(1)는 통신부(917)를 통해 조리장치(3)가 온(on)됨이 감지되면 동작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917)는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조리장치(1)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하여 통신부(917)는 조리장치(3)외 다른 외부장치(미도시)와도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부(917)와 통신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어부(920)는 주방용 후드(1)의 동작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동작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면 주방용 후드(1)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1 : 동작조건 판단 단계]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920)는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 고정설치된 복수의 거리센서(80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주방용 후드(1)의 하방에 있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주방용 후드(1)의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3)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존재한다면 그 조리도구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없다면 거리센서(801)는 열발생부(805)까지 제1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있다면 제1거리보다 작은 제2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도구의 종류에 따라 제2거리는 다르게 측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후라이팬은 통상적으로 냄비보다 높이가 낮으므로 후라이팬의 제2거리는 냄비의 제2거리보다 클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실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는 제어부(9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조리장치(3)의 거리, 조리장치(3)에 조리도구가 존재하는지 여부, 존재하는 경우 그 조리도구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센서(801)는 주방용 후드(1)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도 30). 도 30에서와 같이 각 거리센서(801)는 바람직하게는 각 열발생부(805)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열발생부(805)의 위치가 변경되면 거리센서(801)의 위치도 이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거리센서(801)는 제2하우징(200)의 정지 중 및/또는 승강 중에도 하방에 있는 물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또는 팬(300)이 동작중 및/또는 정지중에도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S103 : 거리 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측정거리와 미리 설정된 제1설정거리를 비교하여 제2하우징(200)의 하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하강위치는 복수의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그 하강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조리도구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낮은 조리도구보다 제2하우징(200)의 하강위치가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설정거리는 제2하우징(200)의 하강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주방용 후드(1)의 설치위치(높이), 조리장치와의 거리, 조리도구의 높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S105 : 제1 거리비교 단계]
제어부(920)는 복수의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가 기설정된 제1설정거리 이하이면 승강모터(254)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미리 설정된 제1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인 것은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놓여져 있다는 의미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있는 경우가 조리도구가 없는 경우에 비해 측정거리가 짧을 수 있다. 제1설정거리는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기준거리가 될 수 있다.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인 경우는 주방용 후드(1)의 하방에 조리도구가 존재한다는 것이므로 제2하우징(200)을 제1위치까지만 하강시킬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조금 하강시키는 것이다. 열발생부(805)에 높이가 높은 조리도구가 있으면 제1위치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조리도구가 있는 경우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보다 더 아래로 하강하면 제2하우징(200)이 조리도구에 부딪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조리시 제2하우징(200)이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경우는 제1위치까지만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S107 : 제2하우징 제1위치로 하강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하강되면 제어부(920)는 팬모터(907)를 구동하여 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300)이 회전하면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팬모터(907)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팬모터(907)의 동작속도를 제어하여 팬(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팬(300)의 회전속도는 유동되는 공기의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S109 : 팬 구동 단계]
제2하우징(200)이 하강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흡입구의 위치에 따라 근접흡입 여부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될 수 있다. 근접흡입은 제2하우징(200)이 조리장치(3)에 근접하여 흡입하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하강한 경우는 제어부(920)는 디스플레이(130)에 근접흡입이 아닌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근접흡입시 근접흡입에 라이팅을 온시키는 것에 반대로 라이팅을 오프시킴으로써 근접흡입이 아닌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하여 제어부(920)는 음성출력부(913)를 통해 근접흡임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하강하면 타이머(905)를 이용하여 제2하우징(200)의 하강완료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제2하우징(200)의 추가적인 승강이 없으면 근접흡입이 아님을 알리는 표시 및/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승강이 없다는 것은 조리도구의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변경이 있더라도 거리센서(801)와 조리도구의 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를 유지한다는 것이 될 수 있다. [S111 : 근접흡입 오프 표시 단계]
상기 S105 단계에서 복수의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제어부(920)는 승강모터(254)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제1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인 제2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다는 것은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을 제2위치로 더 하강시킴으로써 흡입구(흡입그릴)가 외부로 더 많이 노출될 수 있고, 공기를 더 많이 흡입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한 경우 조리장치(3)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한 경우일 수 있다. 제2위치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할 수 있는 최하단 위치가 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제2위치의 아래에 최하단 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레에서는 제1위치는 초기위치보다 일례로 16㎝ 아래이고, 제2위치는 초기위치보다 일례로 26㎝ 아래일 수 있다.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제1위치보다 제2위치가 더 아래이며, 제2위치가 제2하우징(200)이 더 아래로 하강한 것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수치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S113 : 제2하우징 제2위치로 하강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되면 제어부(920)는 팬모터(907)를 구동하여 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300)이 회전하면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S115 : 팬 구동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하여 팬(300)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제어부(920)는 디스플레이(130)에 근접흡입 동작중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제어부(920)는 음성출력부(913)를 제어하여 근접흡입 동작에 대한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주방용 후드(1)가 근접흡입으로 동작중임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S117 : 근접흡입 온 표시 단계]
제2하우징(200)의 하강은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동작, 주변온도, 공기질 수준, 조리장치(3)에 조리도구의 유무, 조리도구와의 거리 등에 따라 다른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일례로, 주방용 후드(1)가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될 수 있다. 최하단 위치로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거리센서(801)에서 조리도구까지 실시간 측정거리에 따라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위치는 상기 초기위치, 초기위치보다 한단계 아래인 제1위치, 제1위치보다 한단계 아래인 제2위치, 제2위치보다 한단계 아래인 최하단 위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및 단계는 일례이며, 다르게는 초기위치, 중간위치, 최하단 위치의 3단계 또는 초기위치 및 최하단위치의 2단계로도 구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92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승강버튼이 터치되면 승강모터(453)를 구동시켜 제2하우징(200)의 위치가 조정될 수도 있다. 승강버튼은 일례로 제2하우징(200)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버튼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하나의 승강버튼을 구비하여 승강버튼이 한번씩 터치될 때마다 상승과 하강이 교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S201 : 제2하우징 제1위치로 하강]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하강하는 동안 또는 제1위치로 하강이 완료되면 거리센서(801)에서 하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거리는 제어부(920)로 전달될 수 있다. [S203 : 거리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거리센서(801)에서 측정된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설정거리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설정거리는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거리가 될 수 있다. [S205 : 판단단계]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이면 제2하우칭(200)의 위치를 현재 제1위치으로 유지할 수 있다.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인 경우는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존재한다는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조리도구와의 거리를 일정거리 이상 유지하기 위해 제2하우징(200)의 위치를 제1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제1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S203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 실시간 거리측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단계가 반복해서 진행될 수 있다. [S207 : 제1위치 유지 단계]
만약,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제2하우징(200)을 더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제2하우징(200)을 제1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인 제2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S209 : 제2위치로 하강 단계]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S301 : 제2하우징 제2위치로 하강]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하는 동안 또는 제2위치로 하강이 완료되면 거리센서(801)에서 하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거리는 제어부(920)로 전달될 수 있다. [S303 : 거리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설정거리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설정거리는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거리가 될 수 있다. [S305 : 판단단계]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제2하우칭(200)의 위치를 현재 제2위치으로 유지할 수 있다.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큰 경우는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흡입구가 조리장치에 더 근접하도록 제2하우징(200)의 위치를 제2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다. 제2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S303 단계로 진행하여 실시간 거리측정이 진행되고, 이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S307 : 제2위치 유지 단계]
만약,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가 되면 열발생부(805)에 조리도구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제2하우징(200)과 조리도구 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2하우징(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하가 되면 제2하우징(200)을 제2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인 제1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에는 S303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S309 : 제2위치로 하강 단계]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및 도 40을 참조하면, 제어부(920)는 주방용 후드(1)의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주방용 후드(1)가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동작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401 : 동작조건 판단 단계]
제어부(920)는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를 동작시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는 예를 들어 상기 공기질센서는 주변공기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1센서(520a), 주변공기의 냄새를 측정하는 제2센서(520b), 주변공기의 가스를 측정하는 제3센서(520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주변공기의 오일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센서(520c)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VOC 가스, 메탄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S403 : 공기질 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마다 복수의 단계(level)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5에는 일례로 공기질 측정값과 풍량의 단계별 매핑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질센서(520a,520b,520c)는 예를 들어 VOCs, 미세먼지, CO2를 측정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각각의 종류별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풍량의 단계(level)가 할당될 수 있다. 공기질 측정값의 단계(level)는 측정된 공기질의 상태 또는 수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VOC의 측정값이 X1 이하이면 0단계, 측정값이 X1~X2 이면 1단계, X2~X3이면 2단계, X3~X4이면 3단계 등이 될 수 있다. 미세먼지와 CO2도 역시 측정값에 따라 복수의 단계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으로 볼 때, 0단계는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것일 수 있다. 1단계, 2단계, 3단계 등으로 갈수록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은 나빠지는 것일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0단계를 '좋음' 단계, 1단계를 '보통' 단계, 2단계를 '나쁨' 단계, 3단계를 '매우 나쁨' 단계로 구분하여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0단계와 1단계만으로 구분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예로서 0~2단계, 0~3단계, 0~4단계, 0~5단계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때, 맨 마지막 단계가 가장 높은 단계(이하, 최고단계라 함)가 될 수 있다. 최고단계는 해당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이 가장 나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level)는 풍량과 관련될 수 있다. 0단계는 풍량이 발생하지 않는 단계일 수 있다. 풍량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제어부(920)가 팬모터(907)를 구동하지 않아 팬(300)이 회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단계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풍량이 발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2단계는 1단계보다 더 강한 풍량이 발생하는 단계이고, 3단계는 2단계보다 더 강한 풍량이 발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맨 마지막 단계가 가장 강한 풍량이 발생하는 최고단계일 수 있다. [S405 : 공기질 측정값의 단계(level) 구분 단계]
제어부(920)는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에서 서로 다른 종류별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되는 단계를 각 종류별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C, 미세먼지, CO2의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단계(level)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각 종류별로 서로 다른 단계로 표시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는 같은 단계로 표시될 수도 있다. [S407 : 공기질 단계(level) 표시 단계]
제어부(920)는 각각의 단계별로 다른 풍량이 발생되도록 팬모터(907)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질 측정값의 단계별로 서로 다른 풍량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값이 클수록, 즉 단계가 높을수록 풍량이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센서(520a,520b,520c)에서 측정된 다른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이 최고단계(high level)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C, 미세먼지, CO2 중 어느 하나라도 최고단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409 : 최고단계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적어도 한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이 최고단계(high level)인 경우는 어느 한 종류의 공기질이 가장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공기를 가능한 많이 흡수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제어부(920)는 제2하우징(200)을 하강시키거나 또는 일부 하강된 상태라면 더 하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는 제2위치로 더 하강시킬 수 있다. 제2위치는 예를 들어 최하단 위치가 될 수 있다. [S411 : 제2하우징 하강 단계]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제어부(920)는 최고단계에 대응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팬모터(907)를 구동시켜 팬(30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최고단계에 대응하는 풍량은 최대풍량이 될 수 있다. 이는 공기질 상태 또는 수준이 가장 나쁜 상태이므로 강한 풍량으로 공기를 흡수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최대풍량을 위해 팬(300)이 최대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S413 : 최대풍량 발생]
그런데, 만약 S409 단계에서 적어도 한 종류의 공기질 측정값이 최고단계가 아닌 경우에에는 제어부(920)가 각 종류별 공기질 측정값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에 대응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팬모터(907)를 구동시켜 팬(30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C는 1단계, 미세먼지는 2단계, CO2는 3단계인 경우 이들 각 종류별 측정값 중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는 3단계이다. 따라서, 3단계에 대응되는 풍량이 발생되도록 팬(30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3단계가 최고단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VOC는 0단계, 미세먼지는 1단계, CO2는 2단계이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는 2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VOC와 미세먼지는 0단계, CO2는 1단계이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는 1단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두 같은 단계가 될 수도 있다. [S415 : 높은 단계의 풍량 발생 단계]
상기 S413 단계 및 S415 단계 이후에는 상기 S405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및 도 41을 참조하면, 제어부(920)는 동작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주방용 후드(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501 : 동작조건 판단 단계]
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920)는 제2하우징(200)의 하면에 설치된 조명(703)을 온(on)시킬 수 있다. [S503 : 조명 온 단계]
제어부(920)는 조리장치(3)에 설치된 복수의 열발생부(805)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상기 열발생부(805)의 온/오프 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920)는 통신부(917)를 통해 조리장치(3)와 통신하여 조리장치(3)의 온/오프 여부, 복수의 열발생부(805)의 온/오프 여부, 열발생부(805) 상에 조리도구의 존재 여부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920)는 제1하우징(100)에 열발생부(805)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802)에서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열발생부(805)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더 정확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열발생부(805)의 온/오프 여부뿐만 아니라 어느 위치의 열발생부(805)가 온/오프인지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열발생부(805)의 온(on)은 조리장치(3)의 온(on)을 의미할 수 있다. [S505 : 열발생부 온 판단 단계]
열발생부(805)가 온되면 제어부(920)는 열발생부(805)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또는 우측 흡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흡입구 및 우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각각 좌측 유로 및 우측 유로로 흡입될 수 있다. 좌측의 열발생부(805)가 온된 경우 제어부(920)는 좌측댐퍼(660L)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우측의 열발생부(805)가 온된 경우 제어부(920)는 우측댐퍼(660R)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열발생부(805)가 오프된 경우는 해당 위치의 댐퍼(6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S507 : 흡입구 개방 단계]
제어부(920)는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520)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질센서(520a,520b,520c)는 주변공기의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S509 : 공기질 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팬모터(907)를 구동하여 팬(30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각 종류별로 공기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단계 및 풍량에 대해서는 도 35 및 상술한 S405 단계 내지 S415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S511 : 풍량 발생 단계]
또한, 복수의 거리센서(801)는 하방에 존재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920)로 전송할 수 있다. [S513 : 거리 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측정거리에 따라 승강모터(453)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거리에 따른 제2하우징(200)의 승강은 도 32 내지 도 34와, 그리고 상술한 S103 단계 내지 S115 단계, S201 단계 내지 S209 단계, 그리고 S301 단계 내지 S309 단계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즉, 측정거리에 따라 제2하우징(200)이 초기위치에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하강될 수 있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하강될 수도 있고,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상승될 수도 있다.
이때,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의 상승은 즉시 실시될 수 있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하강은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인 상태에서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작은 경우는 조리도구가 놓여진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이 감지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조리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이 제2하우징(200)과 가까워졌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하우징(200)을 조리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과 일정거리를 두도록 하기 위해 제2하우징(200)을 제1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승은 즉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2하우징(200)이 제1위치인 상태에서 측정거리가 제1설정거리보다 큰 경우 조리도구가 없는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는 조리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이 제2하우징(200)과 멀어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하우징(200)의 하방의 물체와 멀어진 것이 일시적인 것인지 조리가 끝난 것인지 등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측정거리가 계속 유지되면 조리도구가 없어지거나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은 것이므로 제2하우징(200)을 더 하강시킬 수 있다. [S515 : 제2하우징 승강 단계]
만약, 상기 S505 단계에서 제어부(920)에서 열발생부(805)가 오프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조리장치(3)가 오프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열발생부(805)의 오프는 조리장치(3)의 오프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조리장치(3)는 온되었는지 열발생부(805)만 오프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920)는 통신부(917)를 통해 조리장치(3)의 온/오프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S517 : 조리장치 오프 판단 단계]
조리장치가 오프가 아니면 상기 S505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들을 반복하고, 조리장치가 오프이면 제어부(920)는 온되어 있는 조명(70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후 후드동작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S519 : 조명 오프 단계]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및 도 42를 참조하면, 주방용 후드(1)의 제1하우징(100)에는 복수의 온도센서(802)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제1온도센서(802a)가 설치되어 주방용 후드(1)의 상부 주변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1하우징(100)의 하부 좌측면에 제2온도센서(802b)가 설치되어 주방용 후드(1)의 하부 좌측면의 주변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그리고 제1하우징(100)의 하부 우측면에 제3온도센서(802c)가 설치되어 주방용 후드(1)의 하부 우측면의 주변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802b) 및 제3온도센서(802c)는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3)의 열발생부(805)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00)의 좌측면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802b)는 조리장치(3)의 좌측 열발생부(805)에 의한 주변공기의 온도에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을 것이고, 우측면에 설치된 제3온도센서(802c)는 우측 열발생부(805)에 의한 주변공기의 온도에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920)가 주방용 후드(1)의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주방용 후드(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601 : 동작조건 판단 단계]
제어부(920)는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복수의 온도센서(802)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센서(802)는 각각 설치된 위치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된 온도를 각각 제어부(9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부의 제1온도센서(802a)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1온도, 하부 좌측면의 제2온도센서(802b)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2온도, 하부 우측면의 제3온도센서(802c)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3온도라 각각 칭할 수 있다. [S603 : 온도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이들의 온도차에 따라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920)는 이들 온도차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20)는 제1온도와, 제2온도 또는 제3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 간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다. [S605 : 제1 비교 단계]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보다 작으면 팬모터(907)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팬(30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팬(300)이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풍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보다 작다는 것은 상부의 공기온도와 하부의 공기온도 차이가 작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의 공기온도에 비해 하부의 공기온도가 빨리 증가하므로 상부의 공기온도와 하부의 공기온도의 차이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기준치는 하부의 공기온도가 증가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값이 될 수 있다. [S607 : 팬모터 정지 단계]
반대로,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 이상이면 하부의 공기온도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한 경우는 요리가 실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920)는 팬모터(907)를 구동하여 팬(30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풍량이 발생할 수 있다. [S609 : 팬모터 구동 단계]
팬모터(907)가 구동되어 팬(300)이 회전하면 제어부(920)는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풍량은 상기 온도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 이상이고 미리 설정된 제2기준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611 : 제2 비교 단계]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클수록 더 큰 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에 대한 범위를 복수 개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는 풍량이 발생하도록 팬모터(90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1기준치 이상이면서 제2기준치보다 작으면 미리 설정된 제1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S613 : 제1풍량 발생 단계]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2기준치 이상이면 제3기준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온도차가 제2기준치와 제3기준치 사이이면 그에 대응되는 풍량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615 : 제3 비교 단계]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2기준치 이상이면서 제3기준치보다 작으면 미리 설정된 제2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S617 : 제2풍량 발생 단계]
계속해서,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3기준치 이상이면 제4기준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온도차가 제3기준치와 제4기준치 사이이면 그에 대응되는 풍량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619 : 제4 비교 단계]
제어부(920)는 상기 온도차가 제3기준치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3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풍량은 최대풍량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차 범위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제1풍량이 최대풍량이 될 수도 있고, 제2풍량이 최대풍량이 될 수도 있다. 본 개시 실시례에서는 상기 온도가차 특정 기준치 이상이면 최대풍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S621 : 제3풍량 발생 단계]
최대풍량이 되면 제어부(920)는 제2하우징(200)을 현재 위치에서 더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만약 현재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한 상태라면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풍량이 최대풍량인 경우는 제1온도와, 제2 또는 제3 온도 간의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된 경우이므로, 이는 열발생부(805)에서 발생하는 열이 더 강해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열발생부(805)에서 강한 열로 요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강한 풍량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S623 : 제2하우징 하강 단계]
이후에는 상기 S603 단계로 진행되어 이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및 도 43을 참조하면, 제어부(920)에서 주방용 후드(1)의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주방용 후드(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701 : 동작조건 판단 단계]
제어부(920)는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복수의 온도센서(802)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센서(802)는 각각 설치된 위치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된 온도를 각각 제어부(9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부의 제1온도센서(802a)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1온도, 하부 좌측면의 제2온도센서(802b)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2온도, 하부 우측면의 제3온도센서(802c)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3온도라 각각 칭할 수 있다. [S703 : 온도측정 단계]
제어부(920)는 이들의 온도차에 따라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상기 제1온도, 제2온도, 제3온도 간의 온도차가 산출하고, 이들 온도차와 미리 설정된 제1설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온도-제1온도)의 제1온도차 및 (제3온도-제1온도)의 제2온도차가 모두 미리 설정된 제1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는 주방용 후드(1)에서 좌측면의 공기온도(제2온도)와 상부의 공기온도(제1온도) 간의 차이(제1온도차)와 주방용 후드(1)에서 우측면의 공기온도(제3온도)와 상부의 공기온도(제1온도) 간의 차이(제2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1온도차와 제2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 이하인 경우는 상부와 좌우측의 온도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 경우는 열발생부(805)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705 : 제1 판단 단계]
제어부(920)는 제1온도차 및 제2온도차가 제1설정값 이하이면 좌우 흡입구의 유로 상에 형성된 좌측댐퍼(660L) 및 우측댐퍼(660R)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좌측댐퍼(660L) 및 우측댐퍼(660R)의 개폐는 제어부(920)의 제어에 따라 각각 좌우측 댐퍼구동모터(669L,669R)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서 요리가 진행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필요가 없는 것일 수 있고 좌우측 댐퍼(660L,660R)를 개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어, 상기 S703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S707 : 좌우댐퍼 폐쇄 단계]
만약, 제1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제2온도-제3온도)의 제3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2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제2온도센서(802b)에 대응하는 위치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여 좌측의 주변온도가 상승한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도 좌측의 주변온도가 우측의 주변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승한 것으로서 좌측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위 두 조건은 모두 좌측의 주변온도가 상승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좌측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709 : 제2 판단 단계]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어부(920)가 좌측댐퍼구동모터(669L)를 구동하여 좌측댐퍼(660L)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우측댐퍼구동모터(669R)는 구동하지 않아 우측댐퍼(660R)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만약 우측댐퍼(660R)가 개방되어 있다면 우측댐퍼구동모터(669R)를 구동하여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S703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S711 : 좌측댐퍼만 개방 단계]
만약, 제2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제3온도-제2온도)의 제4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제3온도센서(802c)에 대응하는 위치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하여 우측의 주변온도가 상승한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도 우측의 주변온도가 좌측의 주변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승한 것으로서 우측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위 두 조건은 모두 우측의 주변온도가 상승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우측의 열발생부(805)에 열이 발생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713 : 제3 판단 단계]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어부(920)가 우측댐퍼구동모터(669R)를 구동하여 우측댐퍼(660R)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좌측댐퍼구동모터(669L)는 구동하지 않아 좌측댐퍼(660L)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만약 좌측댐퍼(660L)가 개방되어 있다면 좌측댐퍼구동모터(669L)를 구동하여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S703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S715 : 우측댐퍼만 개방 단계]
만약, 제1온도차 및 제2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제3온도차 또는 제4온도차 중 어느 하나가 제2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온도차 및 제2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면 좌측 및 우측의 주변온도가 모두 상승한 것으로서 좌측 및 우측의 열발생부(805)에 모두 열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3온도차 또는 제4온도차 중 어느 하나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는 좌측 및 우측 주변온도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둘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좌측 및 우측의 주변온도가 동시에 상승한 것으로서 좌측 및 우측의 열발생부(805)에 모두 열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717 : 제4 판단 단계]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어부(920)가 좌측댐퍼구동모터(669L) 및 우측댐퍼구동모터(669R)를 모두 구동하여 좌측댐퍼(660L) 및 우측댐퍼(660R)가 모두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S703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S719 : 좌우측 댐퍼 모두 개방 단계]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좌우측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부 및 좌우측 온도를 이용하여 열발생부(805)에서 열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좌우측 댐퍼(660)를 개방함으로써 열발생부의 위치에 대응된 효과적인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6 및 도 44를 참조하면, 제어부(920)에서 주방용 후드(1)에 스팀청소모드가 입력 또는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팀청소모드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스팀청소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다르게는 미리 설정된 스팀청소 주기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요리가 진행된 이후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일정 이상의 풍량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진행된 경우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스팀청소모드가 입력되면 스팀청소모드가 시작된다는 안내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다. [S801 : 스팀청소모드 입력 단계]
스팀청소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20)는 승강모터(453)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제2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제2위치는 사용자가 제2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 액체용기(610)를 인출 및 인입시키기에 적당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위치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할 수 있는 최하단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제2하우징(200)이 하강되기 직전에 제2하우징(200)이 하강된다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도 있다. [S803 : 제2하우징 하강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되면 제어부(920)는 인출입모터(911)를 구동하여 액체용기(610)가 제2하우징(2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인출은 인출입감지센서(903)가 감지할 수 있다. 인출입감지센서(903)는 액체용기(610)의 인출감지결과를 제어부(9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액체용기(610)가 인출되면 액체용기(610)가 인출되었다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고,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액체용기(610)를 꺼내 세제액을 투입하라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액체용기(610)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스팀청소를 위해 그 내부에 물, 세제, 화학물질 또는 세정액 등을 채울 수 있다. [S805 : 액체용기 인출 단계]
사용자가 액체용기(610)의 내부를 채운 후 다시 제2하우징(200)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인입은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인출감지센서(920)로부터 액체용기(610)가 인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807 : 액체용기 인입 판단 단계]
만약, 미리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액체용기(610)가 제2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되지 않으면 제어부(920)는 액체용기(610)의 인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920)는 타이머(905)를 통해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액체용기(610)의 인출을 감지한 이후부터 제1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920)가 액체용기(610)가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액체용기(6110)의 인입을 감지하지 않은 채 제1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809 : 제1시간 경과 판단 단계]
액체용기(610)의 인출이 감지된 이후 제1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액체용기(610)의 인입을 요청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인입요청은 여러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30)에 액체용기(610)의 인입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액체용기(610)를 인입시키라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액체용기(610))가 인출된 상태에서 부저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S811 : 액체용기 인입 요청 단계]
S807 단계에서, 제어부(920)는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액체용기(6110)의 인입이 감지되면 승강모터(453))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스팀청소를 위한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바람직하게는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상승하여 제1하우징(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S813 : 제2하우징 상승 단계]
이처럼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 내부로 상승하면 제어부(920)는 제2하우징(200) 내부에 포함된 스팀청소조립체(600)를 제어하여 스팀청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스팀청소조립체(600)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팀청소가 진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30)에는 스팀청소 진행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스팀청소의 시작 및 청소시간을 알리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스팀청소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S815 : 스팀청소 진행 단계]
스팀청소는 설정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스팀청소가 시작되면 타이머(905)를 이용하여 스팀청소가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817 : 설정시간 경과 판단 단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920)는 스팀청소조립체(600)를 제어하여 스팀청소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청소가 진행되는 동안 스팀청소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액체용기(61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스팀청소 완료시 스팀청청소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도 있다. [S819 : 스팀청소 종료 단계]
스팀청소가 종료되면 액체용기(610)로 회수된 오염물질을 비워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액체용기(6110)를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제어부(920)는 승강모터(453)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바람직하게는 제2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제2위치는 최하단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제2하우징(200)의 하강전에 제2하우징(200)이 하강된다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도 있다. [S821 : 제2하우징 하강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하강되면 제어부(920)는 인출입모터(911)를 구동하여 액체용기(610)가 제2하우징(2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인출은 인출입감지센서(903)가 감지할 수 있다. 인출입감지센서(903)는 액체용기(610)의 인출감지결과를 제어부(9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액체용기(610)가 인출되면 액체용기(610)가 인출되었다는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고,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액체용기(610)를 비우라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액체용기(610)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액체용기(610) 내에 회수된 오염물질을 비울 수 있다. [S823 : 액체용기 인출 단계]
사용자는 액체용기(610)의 내부를 비운 후 다시 제2하우징(200)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액체용기(610)의 인입은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인출감지센서(920)로부터 액체용기(610)가 인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825 : 액체용기 인입 판단 단계]
제어부(920)는 액체용기(610)가 인입되지 않은 채 제1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타이머(905)를 통해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제1시간 내에 액체용기(610)가 인입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827 : 제1시간 경과 판단 단계]
액체용기(610)의 인출이 감지된 후 제1시간이 경과되면 액체용기(610)의 인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30)에 액체용기(610)의 인입요청을 표시하거나 또는 액체용기(610)를 인입시키라는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액체용기(610))가 인출된 상태에서 부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S829 : 액체용기 인입 요청 단계]
S825 단계에서, 제어부(920)는 인출입감지센서(903))에서 액체용기(6110)의 인입이 감지되면 승강모터(453))를 구동하여 제2하우징(2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은 바람직하게는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상승하여 제1하우징(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S831 : 제2하우징 상승 단계]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 내부로 상승하면 제1하우징(100) 및 제2하우징(200) 내부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820)는 팬모터(907)를 구동하여 팬(300)이 회전되도록 하여 일정이상의 풍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풍량에 의해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의 내부가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팬(300)이 회전되면 내부 건조가 시작됨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 안내음성은 건조시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S833 : 팬모터 구동 단계]
이러한 내부의 건조 과정은 설정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팬모터(907)의 구동에 의해 팬(300))의 회전이 시작되면 타이머(905)를 이용하여 내부 건조 과정이 제2시간 동안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835 : 설정시간 경과 판단 단계]
이러한 건조 과정이 제2시간 동안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920)는 팬모터(907)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30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건조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건조가 종료되면 건조의 종료를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S837 : 건조 종료 단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액체용기(610)에 세제수를 채우고 스팀청소가 자동으로 진행되며 스팀청소가 완료되면 액체용기(610)에 회수된 오염물질을 비운 후 내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용기(610)에 세제액을 채우고 오염물질을 비우기 위해 제2하우징(200)을 하강시켜 액체용기(610)를 제2하우징(200)의 외부로 자동으로 인출시키고, 액체용기(610)가 제2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되면 제2하우징(200)을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1: 주방용 후드 100: 제1하우징
110: 외부하우징 111: 도어
112: 돌출부(시일) 112a: 개구
112b: 공간 113: 레치
114: 힌지 116: 선단패널(선단판)
117: 상부패널(상부판) 118: 측패널(측판)
119: 하부패널(하부판 119a: 하부개구
120: 내부하우징 121: 외부벽
122: 내부벽 130: 디스플레이
131: 인쇄회로기판 132: 엘이디
133: 관통공 140: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
140a: 상부개구 141: 제1상부프레임
141a: 개구 142: 제2상부프레임
142a: 개구 152: 플랜지
152a: 후크 160,160': 선단내부케이스
161: 지지턱 161a: 지지돌출부
162: 턱 165: 커버
165a: 스위퍼개구 165b: 개구
200: 제2하우징 200h: 배수공
200w: 스팀윈도우 210: 흡입그릴
210a: 개구 220: 전면플레이트
221: 손잡이 230: 도어
231: 바아 232: 상부턱
240: 제2하우징 상부프레임 241: 제1상부프레임
242: 제2상부프레임 250: 후면플레이트
260: 전면플레이트 300: 팬
300a: 팬통공 310: 팬하우징
400: 슬라이딩조립체 410,410': 제1레일
420,420': 제2레일 450: 구동조립체
451: 랙 452: 기어
452a: 기어커버 453: 승강모터
454: 하우징 500: 센서조립체
510a: 제1분자통로경로 510b: 제2분자통로경로
510c: 제3분자통로경로 520a: 제1센서
520b: 제2센서 520c: 제3센서
530: 인쇄회로기판 600: 스팀청소조립체
610: 액체용기 610a: 제1통
610b: 제2통 611: 용기가이드
611": 용기프레임 612, 612': 스팀발생기(히터)
613: 선단프레임 614: 리드
614a: 가이드 614b: 개구
615,615': 시일 615": 시일
617: 개구 617a: 개구
650: 응축수수집기 650a: 개구
651: 탭(플레이트) 652: 곡면부
652R: 우측곡면부 652L: 좌측곡면부
652a: 홈 653: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
653a: 정면플레이트 653b: 배면플레이트
653c: 사이드바아 655: 바닥플레이트
654: 측면플레이트 660: 댐퍼
660L: 좌측댐퍼 660R: 우측댐퍼
660a: 힌지 661: 기어
661L: 좌측기어 661R: 우측기어
662: 댐퍼조립체 662F: 선단벽
662R: 후단벽 662a: 제1응축수통로
663: 액체가이드 663a: 제2응축수통로
664: 내부벽 665: 내부벽
666: 외부벽 667: 외부벽
668: 랙 668L: 좌측랙
668R: 우측랙 670, 670': 스팀분배기
671: 튜브 672: 노즐
673: 제1메인배관 673': 제2메인배관
674: 보조배관 675: 와이퍼
676: 밀착편 677: 경사면
677': 배수로 680a: 레일
680b: 레일 669L: 좌측댐퍼구동모터
669R: 우측댐퍼구동모터 700: 센서조립체
701: 근접센서 702: 수위감지센서
703: 조명 703a: 광발산다이오드
704: 커버 705: 센서마운트
800: 화재비상조립체 801: 거리센서
802: 온도센서 802a: 제1온도센서
802b: 제2온도센서 802c: 제3온도센서
810: 노즐 820: 화재감지기
900: 스위핑조립체 901: 조작부
903: 인출입감지센서 905: 타이머
907: 팬모터 910: 스위퍼
911: 인출입모터 913: 음성출력부
915: 메모리 917: 통신부
920: 상부헤더 930: 하부헤더

Claims (44)

  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회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승강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하강시키고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주방용 후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전원버튼이 터치되어 전원이 온(on)됨을 감지하면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주방용 후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조리기구의 온(on)을 감지하면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주방용 후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서 오염물을 거르도록 구성된 흡입그릴을 더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면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를 유입 및 차단하는 좌측댐퍼;
    상기 제2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면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를 유입 및 차단하는 우측댐퍼;
    상기 좌측댐퍼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좌측댐퍼구동모터;
    상기 우측댐퍼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우측댐퍼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또는 우측댐퍼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좌측댐퍼 또는 우측댐퍼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거리센서에서의 측정거리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의 위치를 조정하는 주방용 후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의 측정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설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2하우징을 설정된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제2하우징을 설정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위치가 상기 제2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인 주방용 후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의 열발생부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변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센서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방용 후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는 상기 주변공기에 포함된 연기, 먼지, 오일, 가스 또는 냄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방용 후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하방으로 발광하는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조명을 온시키는 주방용 후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을 온시키는 주방용 후드.
  14. 제어부가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조건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하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에 따라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가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방에 설치된 조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조리장치의 온(on)이 감지되면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설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미리 설정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면 근접흡입이 아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미리 설정된 제2위치로 더 하강시키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미리 설정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면 근접흡입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설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미리 설정된 제1위치로 더 상승시키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22.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수직승강되도록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회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상기 승강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팬에 의한 풍량을 조정하는 주방용 후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을 거르도록 형성된 흡입그릴을 더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하강하는 동안 또는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주방용 후드.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각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풍량이 커지도록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풍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각 온도 간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풍량을 복수의 단계별로 표시하는 주방용 후드.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
    상기 제1하우징의 좌측 하부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
    상기 제1하우징의 우측 하부에 설치된 제3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2 또는 제3온도센서 각각 측정된 제2온도 또는 제3온도 간의 온도차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온도차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팬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온도차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커질수록 상기 풍량이 커지도록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 제2기준치 미만이면 제1풍량, 상기 제2기준치 이상 제3기준치 미만이면 제2풍량, 상기 제3기준치 이상 제4기준치 미만이면 제3풍량이 되도록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풍량이면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2하우징을 설정된 최하단까지 하강시키는 주방용 후드.
  32.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면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를 유입 및 차단하는 좌측댐퍼;
    상기 제2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면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를 유입 및 차단하는 우측댐퍼;
    상기 좌측댐퍼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좌측댐퍼구동모터;
    상기 우측댐퍼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우측댐퍼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또는 우측댐퍼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좌측댐퍼 또는 우측댐퍼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2,3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제2,3온도 간의 각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좌측댐퍼 및 우측댐퍼가 모두 폐쇄되도록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2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와 상기 제3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좌측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우측댐퍼는 폐쇄되도록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35.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3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2온도와 상기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우측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좌측댐퍼는 폐쇄되도록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36.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2,3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제2,3온도와의 각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와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좌측댐퍼 및 우측댐퍼가 모두 개방되도록 상기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37. 제어부가 기설정된 동작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가 승강모터를 구동하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로 수직하강하는 단계;
    상기 제2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가 팬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좌측하부 및 우측하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한 풍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온도와 상기 제1하우징의 좌측하부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 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제3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2온도 또는 제3온도의 온도차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온도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풍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팬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차이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풍량이 발생하도록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 제2기준치 미만이면 제1풍량, 상기 제2기준치 이상 제3기준치 미만이면 제2풍량, 상기 제3기준치 이상 제4기준치 미만이면 제3풍량이 되도록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풍량이면 상기 승강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2하우징을 설정된 최하단까지 하강시키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41.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3온도의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의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좌측댐퍼 및 우측댐퍼가 모두 폐쇄되도록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42.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와 상기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좌측댐퍼는 개방되고 우측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우측댐퍼는 폐쇄되도록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43.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와 상기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2하우징의 우측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우측댐퍼는 개방되고 좌측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좌측댐퍼는 폐쇄되도록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44.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3온도와의 각 온도차가 모두 제1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온도와 제3온도의 온도차가 제2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의 흡입구의 유로에 설치된 좌측댐퍼 및 우측댐퍼가 모두 개방되도록 좌측댐퍼구동모터 및 우측댐퍼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방용 후드 제어방법.
KR1020200110384A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9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84A KR20220029846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84A KR20220029846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846A true KR20220029846A (ko) 2022-03-10

Family

ID=8081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84A KR20220029846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9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6364A1 (en) * 2022-05-13 2023-11-15 Arçelik Anonim Sirketi An exhaust hood with improved automatic operation perform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4B1 (ko) 2005-03-09 2006-08-16 (주)이젠텍 승강식 배기후드 장치
KR101111077B1 (ko) 2009-02-17 2012-02-16 (주)서브제로코리아 레인지 후드 시스템
WO2017009534A1 (en) 2015-07-14 2017-01-19 Juha Rantala Light emitting diode based structure and luminaire incorporating the same for continuous disinfection
KR101830811B1 (ko) 2017-07-27 2018-02-22 (주)대륭 주방용 세척식 천장 후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4B1 (ko) 2005-03-09 2006-08-16 (주)이젠텍 승강식 배기후드 장치
KR101111077B1 (ko) 2009-02-17 2012-02-16 (주)서브제로코리아 레인지 후드 시스템
WO2017009534A1 (en) 2015-07-14 2017-01-19 Juha Rantala Light emitting diode based structure and luminaire incorporating the same for continuous disinfection
KR101830811B1 (ko) 2017-07-27 2018-02-22 (주)대륭 주방용 세척식 천장 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6364A1 (en) * 2022-05-13 2023-11-15 Arçelik Anonim Sirketi An exhaust hood with improved automatic operation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010B2 (en) Self-cleaning kitchen hood
KR20220028833A (ko) 주방용 후드
KR20210050430A (ko) 주방용 후드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1614105B1 (ko) 공기정화 및 순환기능을 갖는 직화 구이장치
KR20220028834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1626A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KR101411356B1 (ko) 필터 자동교체 환기 유닛 및 이를 갖는 환기 시스템
KR102524785B1 (ko) 급기 및 배기기능을 갖는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
TW201818026A (zh) 空氣清淨機
KR20220029846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20220029847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8214A (ko) 증기배출을 유도하는 위생적인 조리실
KR102040132B1 (ko) 주방 후드 세정장치
KR20220040746A (ko) 주방용 후드
KR20110093307A (ko) 주방용 후드와 그 작동방법
KR101642369B1 (ko) 주방용 후드의 미세 기름 및 냄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49799A (ko) 주방용 후드
KR0138631Y1 (ko) 육류 구이용 숯불 로스터
KR20220028835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44997A (ko) 가변 팬 구동부를 지닌 이동식 재순환 그릴
KR20220040078A (ko) 주방용 후드
JP2009144942A (ja) 調理場の換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