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799A - 주방용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799A
KR20220049799A KR1020200133356A KR20200133356A KR20220049799A KR 20220049799 A KR20220049799 A KR 20220049799A KR 1020200133356 A KR1020200133356 A KR 1020200133356A KR 20200133356 A KR20200133356 A KR 20200133356A KR 20220049799 A KR20220049799 A KR 2022004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ction grill
frame
air
kitchen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조연아
권기섭
김현기
이창언
김대웅
현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799A/ko
Publication of KR2022004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주방용 후드(1)는 벽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제2하우징(2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흡입그릴(210)이 있을 수 있고,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2하우징(200)내부 양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의 내면에는 유증기포집조립체(1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흡입그릴(210)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Kitchen hood}
본 개시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요리는 종종 실내 공기로 유해한 연기, 가스, 오일 또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야기한다. 많은 주방은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스토브 위에 설치된 주방용 후드를 가지는데,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주방용 후드의 효율이 떨어져서, 주방 내에 잔류하는 유해한 오염물의 양을 증가시킨다.
최근의 연구는 대부분의 주방용 후드의 소유자는 그들의 주방용 후드를 정기적으로 유지보수하거나 청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였다. 하지만,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았을 때 주방용 후드 하부에 축적되거나 또는 공기중에 남아 있는 오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스태프"(staph)), 대장균(Escherichia coli)("대장균"(E. coli), 그리고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수막염, 폐렴, 축농증 및 기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과 같은 박테리아의 번식지이다. 추가로,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동작되지 않을 때, 미세 먼지, 오일 미스트,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그을음(Black Carbon), 그리고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s hydrocarbon)와 같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 주방 전체에 퍼질 수 있다. 이들 박테리아와 물질들은 건강에 위험을 줄 수 있고 또 주방용 후드의 효율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주방에서, 조리중에 발생한 15~40nm 입자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는 기름과 응축되어 1~10㎛의 미세먼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 1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예를 들어 가스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위험한 물질들을 나타낸다.
물질 원인 위험
미세 먼지 음식 표면에 형성된 초기 입자에 수분과 기름의 응축에 의해 발생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서 폐기능을 약화시키고 면역력을 약화시킴; 1군 발암물질
이산화질소 식품성분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능력 감소, 고농도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
포름 알데히드 유기물의 연소과정에서 불완전 연소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발생 눈, 코, 그리고 목과 같은 피부 자극; 장시간 노출시 두통, 구토 및 호흡곤란;발암물질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일이 가열될 때 발생 호흡기 손상, 눈 자극, 두통, 피부자극;만성혈액 장채, 빈혈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탄화로 인해 야기되는 오일의 불완전 연소 호흡기 질환 및 DNA 변형; 1급 발암물질
블랙 카본(검댕) 식품성분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 호흡기 질환
약 15~40nm 크기의 초기 입자(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와 같은 유해물질)는 음식의 조리중에 생성되고, 또 수분, 오일 등과 결합하였을 때, 이들 입자들의 크기는 미세 먼지를 만들도록 증가한다.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가스들은 유증기 또는 미스트로 코팅된다. 유해한 가스를 함유한 증기는, 일단 실내에 축적되면, 쉽게 제거되지 않고 오랜 동안 실내에 머무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2369호에는 주방용 후드에서 미세기름 및 냄새 제거를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주방용 후드의 하부에 있는 조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은 필터에 걸러져 있던 유증기 등을 녹여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요리도구로 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3798호에도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증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후드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에 붙어 있던 유증기 등이 조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녹아서 다시 낙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다.
상기 인용문헌들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세부사항, 특징 및/또는 기술적 배경의 적절한 교시를 위해 적절한 경우 이 명세서에 참조로서 일체로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에서 유증기가 후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에서 유증기가 흡입그릴이나 필터에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유증기가 흡입그릴이나 필터에 포집된 상태로 있어 주방용 후드의 하부로 다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흡입그릴이나 흡입그릴에 있는 필터의 온도를 유증기포집조립체를 사용하여 유증기가 고체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유지한다. 따라서, 주방용 후드로 흡입되는 공기에 있는 유증기가 흡입그릴이나 필터에 고정되어 있어 주방용 후드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거나 또는 주방용 후드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외관을 구성하고 고정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일측을 통하는 일측유로와 내부 타측을 통하는 타측 유로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흡입그릴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일측 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타측면에 형성되어 흡입그릴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타측 입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입구와 타측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흡입그릴에 설치되고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과 접촉되어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과 열교환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상기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는 열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방열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되는 소자안착부, 상기 소자안착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흡입그릴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가지, 상기 제1연장가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에 위치되는 제2연장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가지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연장가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가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일측을 통하는 일측유로와 내부 타측을 통하는 타측 유로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일측 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타측 입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유로와 타측 유로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과 접촉되어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전달하는 날개를 가지는 방열핀이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가 안착되는 소자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입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에 접촉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영역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출구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하는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흡입그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 표면은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되는 그릴접촉면이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은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면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 전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흡입그릴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의 하류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주방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에 설치된 흡입그릴이나 필터의 온도를 유증기포집조립체가 일정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증기가 고체상태로 될 수 있는 온도로 흡입그릴이나 필터의 온도를 유지하여 대부분의 유증기가 흡입그릴이나 필터에 포집되어 주방용 후드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유증기가 주방용 후드 내부에 있는 구성들에 부착되어 발생시키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의 표면에 유증기가 굳어서 남아 있어서 팬의 효율을 떨어지는 것과 유증기 성분에 의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흡입그릴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유증기가 포집된 상태의 흡입그릴을 주방용 후드에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서, 주방용 후드, 특히 흡입그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비록 흡입그릴에 유증기가 굳어서 부착된 상태로 있더라도, 주방용 후드 하방에 있는 스토브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녹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흡입그릴에 굳어서 부착되어 있는 유증기가 녹지 않도록 흡입그릴의 온도를 유증기포집 조립체가 유지하므로 녹은 유증기가 주방용 후드 하부로 낙하되어 요리도구 내로 들어가는 것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주방에 설치된 본 개시의 실시례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4는 주방용 후드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내부에서의 공기흐름을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정단면도.
도 5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이고 흡입그릴이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주방용 후드의 측방향 사시도.
도 6은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사시도.
도 7은 외부케이스의 제1하우징이 개방되고 연장된 상태에서 주방용 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주방용 후드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케이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슬라이딩조립체와 스팀청소조립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연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11은 슬라이딩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분해사시도.
도 13은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조립사시도.
도 14는 슬라이딩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5는 스팀청소조립체와 그 주변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16은 스팀청소조립체와 그 주변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7은 스팀청소조립체, 높이감지조립체 그리고 유증기포집조립체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18은 스팀청소조립체, 높이감지조립체 그리고 유증기포집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좌우 흡입경로를 개폐하는 댐퍼들을 보인 도면.
도 20은 댐퍼들과 기어들의 확대도.
도 21은 좌측댐퍼가 개방되고 우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는 우측댐퍼가 개방되고 좌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3은 연장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정단면사시도.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유증기포집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개시된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에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방용 후드(1)는 주변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직사각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외관은 금속 또는 유리-코팅된 금속 물질(예를 들어, 유리-코팅된 스텐레스 스틸 또는 브러쉬된 스텐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주방용 후드(1)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은 제1하우징(100)으로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주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운동은 상기 흡입그릴(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은 다르게는 각각 외부 및 내부 하우징 또는 케이싱으로 또는 각각 암하우징 및 수하우징으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흡입그릴(210)이 스토브표면 또는 상기 스토브 표면에 위치하는 팬, 냄비, 또는 다른 그릇(이하, '요리도구'라 한다)에 근접하도록 하강되게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되거나 주방용 후드(1)에 의해 감지된 팬의 높이 또는 연기의 양 또는 다른 가스에 근거해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끓는 물을 가진 소스 팬 또는 냄비가 상기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스토브에 제공되었을 때, 공기 중에 오일미스트와 같은 많은 오염물질이 있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제1하우징(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것이다. 기름 또는 다른 향기있는 음식 재료를 가진 프라이팬이 상기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스토브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프라이팬으로부터 발산된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해가스, 오일미스트, 및/또는 미세먼지)을 더 잘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대부분이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도 금속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주방용 후드(1)를 향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정면, 배면, 좌측면, 그리고 우측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쉘(Shells)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 내부에 결합되도록 제1 하우징(100) 보다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제2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을 거르도록 구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해제 및 분리될 수 있고, 또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상기 흡입그릴(210)을 청소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추가적인 오염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식기세척기로 세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표면에는 상기 흡입그릴(210)이 상기 제2 하우징(200)과 결합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통공 또는 개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10a)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바닥 표면에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흡입그릴(210)은 상기 개구(21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측면 표면으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된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자석결합을 통해 제2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윈도우 블라이드와 유사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다수개의 곡선 또는 반원통의 슬랫(slats) 또는 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통의 슬랫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층 또는 그릴이 좌우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반원통의 슬랫의 제1 또는 내부 그릴과 반원통 슬랫의 제2 또는 외부 그릴을 보인다.
외부에서 보면, 반원통 슬랫의 상기 외부 그릴은 볼록 곡률을 가진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반원통 슬랫의 상기 내부 그릴은 반대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반원통 슬랫의 내부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반원통 슬랫의 외부 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은 상기 외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과 교대로 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의 형상은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오일 또는 미세먼지)을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에 위치된 상기 흡입그릴(210)은 좌측 흡입그릴(210L)로 불리워질 수 있고 또 상기 제2하우징(200)의 우측면에 위치된 흡입그릴(210)은 우측 흡입그릴(210R)로 불리워질 수 있다. 각각의 좌측 곡면부(652L)와 우측 곡면부(652R)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형성된 홈 또는 내부 공간(652a)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홈(652a)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210a)와 연통될 수 있다. 좌측 흡입그릴(210L)의 상부는, 좌측 곡면부(652L)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좌측 곡면부(652L)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우측 흡입그릴(210R)의 상부는 상기 우측 곡면부(652R)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우측 곡면부(652R)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에는 유증기포집조립체(1220)가 설치될 수 있다.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는 상기 흡입그릴(210)에 유증기가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증기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굳어서 고체형태로 되는데,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온도를 유증기가 포집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여 흡입그릴(210)에 유증기가 굳어서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에는 유증기포집조립체(122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는 프레임(12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은 열전달이 원활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급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은 냉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230)은 상기 흡입그릴(210)의 일측 표면, 즉 상기 제2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의 구성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한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30)은 상기 흡입그릴(210) 전체에 냉기를 전달하여 흡입그릴(210)의 온도가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해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막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230)은 주로 상기 흡입그릴(210)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1230)을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다면, 상기 흡입그릴(2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프레임(1230)이 위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프레임(1230)은 소자안착부(123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내면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열전소자(124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의 적어도 일측 외면은 열전소자(1240)가 접촉하여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면적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단을 가로질러 소자안착부(1232)가 있고, 그 상면은 직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흡입그릴(210)의 배면에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도록 평면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자안착부(1232)의 상면에 인접한 일측 표면이 상기 흡입그릴(210)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는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하는 공기가 안내되어 유동되는 상대적으로 하류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소자안착부(1232)에 안착된 열전소자(124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흡입그릴(21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하여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팬(300)을 향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230)의 상단에 소자안착부(123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1232)의 양단에서 연장되게 제1연장가지(1234,123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폭방향 양단 배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배면 양단 또는 양단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적어도 일측 표면이 평면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의 일측 표면이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되어 흡입그릴(21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의 바닥부 양측 가장자리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에서 연장된 제2연장가지(1235,123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연장가지(1235,1235')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와의 연결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연장가지(1234,1234')와 제2연장가지(1235,1235')는 서로 직교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가지(1235,1235')도 일측 표면이 상기 흡입그릴(210)의 바닥부 내면에 밀착되도록 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가지(1235.1235')가 흡입그릴(210)에 밀착되는 부분은 직사각형의 평면일 수 있다.
상기 제2연장가지(1235,1235') 일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3연장가지(123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연장가지(1236)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바닥부 내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가지(1236)에서 상기 흡입그릴(210)에 밀착되는 부분은 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가지(1236)가 상기 흡입그릴(210)의 바닥부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의 형상도 직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30)의 소자안착부(1232) 상에는 열전소자(12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40)는 전기에너지를 받아서 펠티에 효과에 따른 냉각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열전소자(1240)에 의한 냉각에 의해 상기 프레임(1230)으로 냉기가 전달되고, 상기 냉기가 상기 프레임(1230)을 통해 흡입그릴(210)로 전달되면서 흡입그릴(210)을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의 온도는 유증기가 냉각되어 고체화되어 흡입그릴(2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열전소자(1240)의 일측에는 방열핀(125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열핀(1250)은 상기 열전소자(1240)에 일체로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열핀(1250)이 상기 열전소자(1240)와는 별도로 만들어져 열전소자(12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핀(1250)은 본 실시례에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날개(1252)가 돌출되어 있는데, 다르게는 상기 날개(1252)가 방열핀(215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다수개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방열핀(1250)의 날개(1252)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40)에서 발생하는 열은 주로 상기 방열핀(1250)의 날개(12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열핀(1250)이 상기 제2하우징(200) 내부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하여 열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250)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660)의 하부에 해당되는 유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250)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30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방열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팬(300)이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에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부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의 형태, 위치 및 방향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팬(300)을 향해 상승되고, 그리고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상부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또는, 만약 상부 배출이 불가능하다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주방용 후드(1)의 배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3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흡입그릴(210)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외부 케이스 또는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케이스 또는 내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최외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에는 벽면에의 장착을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주변 공기에 있는 오염물(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연기, 먼지, 오일 또는 다른 유해한 물질과 가스들)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질센서조립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고)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질 정보, 조명정보, 청소정보, 온도정보, 다른 동작 정보, 또는 사용자의 스팀청소 또는 흡입그릴(210) 분리를 위한 제안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디스플레이(130)에 대한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30)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마운트 또는 디스플레이 공간(130a)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고)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에 힌지결합된 도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장착된 4개의 직사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114)를 통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된 패널(예를 들어 좌측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도어(111)를 폐쇄상태로 고정하는 후크 또는 레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113)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 모서리 및/또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외측 모서리에 있는 대응되는 홈이나 레치에 걸어지거나 클립핑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도어(111)는 자석결합을 통해 닫힘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을 형성하는 패널들은 곡면으로 된 모서리 부분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을 둘러싸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보다 약간 더 길고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서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대신에 힌지구조(114)를 통해 외부 하우징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도어(111)는 내부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대신에 외부 하우징(110)의 다른 패널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런 힌지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112a)와 상기 개구(112a)에 인접하는 공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 내측의 장치들(예를 들어 상기 팬(300))은 외부 하우징(110) 상의 도어(111)를 개방함과 상기 개구(112a)를 통한 작업에 의해 수리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면은 상기 개구(112a)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12a) 주위에 형성된 공간(112b)을 밀봉하고 상기 개구(112a)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 또는 시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부 표면, 또는 적어도 상기 시일(112)은 고무, 쿠션, 또는 다른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돌출부(112)의 길이, 폭, 및 깊이치수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기 공간(112b) 및/또는 개구(112a)의 길이, 폭, 그리고 깊이치수와 같거나 약간 작다. 상기 도어(111)가 닫힐 때,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개구(112a)를 덮을 수 있고, 또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이 상기 개구(112a)를 통해 스며드는 것과 상기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잡혀 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들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 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 또는 압입)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41,142)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41)은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된 금속 또는 딱딱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2상부프레임(142)은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의 바닥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결합된 고무 또는 다른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부 프레임(142)은 제2 하우징(200)의 상부를 위한 시일, 가스켓 또는 쿠션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은 통공 또는 개구(141a)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상부프레임(142)은 통공 또는 개구(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의 상기 개구(141a,142a)는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통해 버려지거나 배출될 수 있다. 외부 배출 덕트나 튜브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140a)와 연통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배출 그릴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가 상기 개구(141a)(142a)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전선 통공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에 형성되어 전선을 통해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1220), 팬(300), 공기질 센서조립체(500), 디스플레이(130), 센서조립체(700), 슬라이딩 조립체(400), 그리고 스팀청소조립체(600)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위치된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241,242)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압입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241,242)은 제2 하우징 상부 프레임(2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42)은 상기 제2 하우징(200)에게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림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41)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42)의 상부에 위치된 홈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41)은 상기 제1 하우징(100)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쿠션, 시일, 또는 가스켓으로 역할하도록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 또는 쿠션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하우징 상부 프레임(240)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 프레임(140)에 접촉할 수 있고, 또 충돌 또는 접촉 중에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제2 상부프레임(142)은, 밀봉을 형성하고 또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이물질이 상기 제1과 제2하우징(1000,2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흡입된 공기 또는 스팀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상부 하우징(241)의 림이 위치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상부 프레임(241,242)은, 팬하우징(310)이 상기 상부 프레임(241,242)을 통과하도록 하고 또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41,142)의 개구(141a,142a)의 외부로 팬(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큰 통공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방사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팬(300)은 직선 방사형 팬, 전방 곡선팬 또는 후방 곡선팬일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상기 팬(300)의 축방향이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팬(300)은 팬하우징(3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은 공기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 상기 팬(3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에서 상기 제2 상부프레임(14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은 상기 상부를 더 밀봉하기 위해 제2 상부프레임(142)의 상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300)과 팬하우징(310)의 방향은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개구(141a,142a)를 통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부 배출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폐쇄하도록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고, 또 배면 어댑터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후방을 통한 배출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팬을 보호하고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팬(3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 상부 프레임(140)의 제1 및 제2 개구(141a,142a)의 좌우길이와 전후 길이보다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길이에서 더 클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은 슬라이딩조립체(400)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4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외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과 제1레일(420) 쌍의 위치와 갯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 슬롯 또는 가이드 내외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 및 제2 레일(410,420)은 다르게는 각각 암,수레일로 불리워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410) 주변을 슬라이드 하는 홈, 슬롯 또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상기 제1 하우징(100)에 대해 상기 제2하우징(200)을 자동적으로 승강하기 위한 구동조립체(450)(예를 들어, 모터, 엑츄에이터, 공압 또는 유압 펌프, 또는 랙과 피니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구동조립체(450)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조립체(450)의 동작은 공기질센서조립체(500) 또는 센서조립체(700)(도 9)에 의해 감지된 것, 스팀청소동작의 시작에 근거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근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일(410)의 상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너무 많이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하우징 상단 프레임이 부딪힐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또는 상기 팬하우징(310)과 응축수가이드(65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턱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단단한 바아(solid bar)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추가의 상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레일(410)의 스톱퍼와 충돌하도록 구성된 단단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의 하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을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은 상기 제2레일(420)(예를 들어 측면에서)의 상방향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의 상부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420)의 하부에 위치된 턱에 걸어지도록 구성된 후크 또는 돌출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조립체(450)는 상기 제1레일(410)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인 상기 내부케이스(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제1레일(410) 사이의 배면에 또는, 다른 예로서,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제1레일(410)의 근처에) 상기 구동조립체(450)는 상기 제1레일(410)의 측면에 결합된 하우징(45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여기에 추가로, 구동조립체(450)는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측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제2하우징(200)을 승강하도록 구성된 구동원(453)(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터, 엑츄에이터, 또는 유압 또는 공기압 펌프)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동원(453)은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모터(453)는 상기 기어(452)에 결합된 축 또는 피니언을 회전할 수 있다. 랙(451)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 모터(453), 기어(452), 그리고 랙(451)의 위치는 상기 기어(452)가 상기 랙(451)과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452)는 외부 원주면에 형성된 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랙(451)은 상기 기어(452)의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홈 또는 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453)가 제1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상기 기어(452)를 회전할 때, 상기 기어(452)의 치는 상기 랙(451)의 치를 아랫방향으로 누를 수 있고, 또 상기 제2 하우징(200)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모터(453)가 상기 기어(452)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기어(452)의 치는 상기 랙(451)의 치를 상방향으로 밀고, 또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승 또는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랙(451)의 상부 또는 하부단부는 상기 랙(451)이 상기 기어(452)와 결합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상승과 하강이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되도록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기어(45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2개의 모터(453)가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기어(452)의 속도가 일치하고 상기 구동조립체(450)의 무게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상기 모터(453)가 각 기어(452)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수개의 기어(452), 랙(451) 및/또는 모터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더 나은 고정과 지지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단지 하나의 랙(451), 하나의 기어(452) 및 하나의 모터(453)만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은 직사각형의 바아 또는 돌출부(231)와 상부 턱(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의 좌측과 우측 면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바아(231)와 상기 2개의 바아(231)의 상부에 2개의 상부 턱(23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아(231)와 상부 턱(232)의 숫자는 상기 제2레일(420)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2레일(420)의 상부가 상기 상부 턱(23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턱(232)의 하부에서 상기 바아(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레일(410)의 상부에 스톱퍼 또는 턱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레일(410)의 스톱퍼 또는 턱은 상기 주방용 후드(1)가 완전히 짧아지거나 작아진 상태일 때 상기 상부 턱(23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턱(232)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레일(420)의 전후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턱(232)의 좌우 길이는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의 좌우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랙(451)은 상기 바아(231)에 인접한 위치인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랙(4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452)는 상기 랙(451)과 정렬하도록 상기 하우징(454)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기어(452)를 덮을 수 있고 또 상기 제1레일(410)과 결합하도록 상기 바아(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기어(452)가 상기 랙(451)과 결합하게 노출되는 선단 개구 또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은 추가적으로 좌측면과 우측면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추가의 기어커버(452a)가 상기 기어(452)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어(452)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기어(45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지 않아서 상기 바아(231) 및/또는 제1 레일(410)이 상기 기어(452)와 기어커버(452a)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는다. 다르게는, 만약 상기 하우징(454)이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부에 주로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바아(231)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일(410)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평면으로 된다.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 또는 외부 하우징(110)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표면 또는 우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에는 내부하우징(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공기중에 있는 먼지, 오일, 연기, 냄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그리고 다른 유해한 가스 또는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 조절, 유증기포집조립체(1220)의 동작, 팬(300)의 동작, 및/또는 스팀청소동작은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 먼지, 연기, 오일, 등이 상기 공기질 센서조립체(500)에 도달하도록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좌측과 우측면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좌측과 우측에서의 오염수준을 비교함에 의해 스토브 상에 요리도구의 어느 쪽이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조립체(700) 및/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로부터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요리도구에 가장 인접한 댐퍼(660)는 개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요리도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댐퍼(660)는 상기 요리도구에 더 밀접한 흡입동작을 증가시키기 위해 폐쇄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상기 제2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물, 세제, 화학물질, 또는 다른 세정액이 삽입될 수 있는 액체저장용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정기적인 시간간격으로, 조리 후,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용기가이드(611) 내에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인 용기통로(220a)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선단프레임 또는 플레이트(613)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선단프레임(613)은 상기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고 또 폐기될 액체저장용기(610)로 응축수를 복귀시키는 것을 안내하게 구성된 응축수 가이드 또는 수집기(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도 18을 참고하면, 액체저장용기(610)는 상기 용기가이드(611) 내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좌우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좌우 길이를 가지는 통로를 정의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자 형(또는 다르게는 U-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상부개구를 가지는 직사각형 용기(또는 다르게는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리드(614)가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상부 개구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614)는 스팀청소중에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614)는 상기 리드(614)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경사진 경사부일 수 있는 가이드(614a)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614a)의 하부 또는 이에 인접하여 형성된 개구(614b)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614b)는 상기 가이드(614a)의 하부와 상기 리드(614)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14a)는 제2응축수통로(663a)의 하부와 연통될 수 있다(또 다르게는, 만약 액체가이드(663)가 분리되면, 제1 응축수통로(662a)의 하부와) 응축수 수집기(650)와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안내되고 모여진 응축수는 상기 가이드(614a)와 상기 리드(614)의 개구(614b)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전체 전면의 좌우길이 및/또는 상기 흡입그릴(21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또는 우측면)은 공기가 흡입그릴(210)을 통해 효율적으로 흡입되고 제1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1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선단프레임(613) 및 커버(220)는 용기가이드(611)의 좌우길이보다 더 큰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손잡이(221)(예를 들어, 버튼 또는 홈)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선단프레임(613)은 상기 손잡이(221)의 배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가이드(611)로부터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221)를 당길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도 9를 참고하여 설명된 액체 저장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 또는 용기통로(220a)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되었을 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액체저장용기(610)를 2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하도록 추가의 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제1통 또는 액체분배기(610a)와 제2통 또는 응축수수집기(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610a)은 스팀발생기(612)에 인접한 위치(즉, 후단에)에 제공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2통(610b)은 상기 리드의 가이드(641a)와 정렬되는 위치(즉, 선단에)에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은 상기 제1통(610a)에 채워질 수 있고, 반면에 응축수는 아래로 안내되어 상기 제2통(610b)에 모아질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 또는 액체저장용기(61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 내에 위치된 액체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의 수위센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중량센서를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의 동작은 추가의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의 양에 근거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에 충분한 양의 액체가 위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댐퍼(660)가 폐쇄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통(610a)의 후단은 개폐되도록 구성된 시일 또는 노즐(615)을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예를 들어, 히터)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뒤에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뒤에 있는 용기가이드(6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612)는 상기 시일(61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개구(617a)를 가지는 돌출부(617)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일(615)은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초기 상태 또는 휴식상태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617)는 상기 시일(615)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시일(615)의 개구로 압입될 수 있고 또 상기 개구(617a)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부터 스팀발생기(612)로 액체가 들어가도록 한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시일(615) 또는 상기 개구(617)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되도록 구성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스팀청소 동안, 상기 스팀발생기(612)로 들어간 액체는 가열된다. 상기 스팀발생기(612)는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612)에서 발생된 스팀은 상기 튜브(671)로 올라가서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튜브(671)는 스팀이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들어갈 때 분산될 수 있도록 전후길이보다 긴 좌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는 다수개의 탭(651), 정면 및 배면 플레이트(653), 그리고 상부 개구에 의해 정의된 경사진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지는 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응축수 수집기(650)의 상부는 낙하하는 먼지, 오일, 또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를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2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의, 각각의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약간 작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수집기(650)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응축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안내되는 개구(650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650a)는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도 19)의 개구와 연통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의 좌우 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짧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 각각의 내부의 제1 응축수통로(662a)와 제2응축수통로(663a)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들어가게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수집된 응축수와 다른 액체를 안내하도록 선택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후단에서 선단으로 아래로 경사지거나, 및/또는 상기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좌우측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정면과 배면은 직사각형 및/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각각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a, 653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의 정면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정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정면플레이트(653a)의 측면들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의 배면은 튜브 또는 파이프(671)를 위한 공간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파이프(671)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의 측면들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상부 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우길이가 감소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면과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단부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상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는 상기 튜브(671)의 상단부가 상기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의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스팀분배기(670)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부분의 하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좌측면 플레이트와 우측면플레이트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또는 사다리꼴 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좌우길이는 거꾸로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을 가져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줄어들므로, 가장 낮은 위치의 탭(651)은 가장 높은 탭(651)보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중앙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상기 탭(651)은 계단과 유사할 수 있고 또 상기 응축수가이드(650)의 정면 또는 배면 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또 상기 탭(651)들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응축수를 아래로 안내하기 위해 약간의 하방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탭(651)들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바아들 또는 플레이트(653c)들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탭(651) 들은 상기 사이드바아(653c)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어, 상기 탭(651)들과 전체 응축수 가이드 또는 응축수 수집기(650)에도 견고성과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탭(651)의 상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65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탭(651)은 상기 응축수가이드(650) 및/또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바닥플레이트(655)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와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탭(651)들의 중앙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바아가 있을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가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댐퍼(660)와, 상기 댐퍼(660)를 회전하는 기어(6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축수통로(662a)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측에 위치한다.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된 통공 또는 개구(65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로 낙하하고 결국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가도록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추가의 액체가이드(663)가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용기가이드(6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추가의 제2 응축수통로(663a)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제1 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액체가이드(66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와 응축수통로(662a)의 높이는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로부터 상기 용기가이드(611)에 삽입된 액체저장용기(610)로 연속적인 통로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는 댐퍼조립체(662) 하부에 위치된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하부는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액체가이드(66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면은 상기 댐퍼(660)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댐퍼(66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만약 상기 액체가이드(663)가 생략된다면,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응축수는 폐기를 위해 액체저장용기(610)로 다시 들어가도록 상기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 그리고 상기 댐퍼조립체(662) 및 액체가이드(630) 내부의 상기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를 통해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 액체가이드(663) 그리고 용기가이드(611)는 모두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내부표면은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의 하부에 내측으로 곡면으로 되는 곡면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652)는 잘못 전달된 응축수가 아래로 안내되도록 내측으로의 곡면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부(652)의 하부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곡면부(652)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길러틴(guillotine), 루버, 또는 베인 타입)는 상기 곡면부(652)의 하부 부분과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와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정의된 흡입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닫혔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기어(661)가 댐퍼(660)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할 수 있도록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661)를 둘러싸고 보호하기 위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추가의 벽 또는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댐퍼(660)의 개방정도는 스팀청소 동안 조절될 수 있고 또 상기 팬(300)은 스팀청소과정의 종료를 향해 상기 팬(300), 팬하우징(310), 그리고 내부 케이스(120)와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 상부로 스팀을 흡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댐퍼(660)는 흡입그릴(210)상의 잔류하는 오일과 먼지가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탭(651)을 통해 낙하하는 잘못된 잔류물을 포획하도록 스팀청소 동안에 폐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댐퍼(660)는 상기 팬(300)이 작동되고 있을 때 공기 청소 또는 정화 동안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댐퍼(660)(도 19와 도 20)를 회전하는 모터와 기어(661)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외부 벽(666,667)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응축수가이드(662a)(도 19와 도 20)는 상기 기어(661)와 모터와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외부벽(666,667)의 내측 위치에서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벽(664,665)(도 15)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벽(664,665)은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의 선단과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고, 또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는 상기 내부벽(664, 66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내부벽(664,665)은 상기 기어(661)와 모터를 낙하하는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댐퍼조립체(662)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15가 단면을 보이지만, 도 16과 도 17은 상기 댐퍼조립체가 선단벽(662F)과 후단벽(662R)을 가져 상기 외부벽(666,667)과 상기 선단 및 후단벽(662F, 662R)이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다. 상기 선단벽(662F)은 상기 내부벽(664,665)과 제1응축수통로(662a)(도 21)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도 19)는 상기 응축수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에 있는 개구(650a) 하부의 댐퍼조립체(66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개구(650a)와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와 연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추가적인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낙하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를 통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를 관통해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벽(666.667)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외부 좌측과 우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들은 닫혔을 때 상기 댐퍼(660)들의 상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측면의 곡면부(652)에 접촉하도록 상기 외부벽(666,667)의 하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을 도 19와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상기 흡입그릴(210)에서 팬(300)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동작 중에, 상기 댐퍼(660)중 적어도 하나가 공기가 상기 팬(300)을 향해 상방으로 흡입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외부로 배출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스팀청소동작 동안, 상기 댐퍼(66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내부의 스팀을 고립시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에 상기 스팀발생기(670)로부터 분배된 스팀을 유지하도록 처음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나중에 상기 팬(300)이 동작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힌지 또는 힌지구조(660a)를 통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외부벽(666,66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는 상기 댐퍼(66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결합된 축일 수 있고, 또 상기 외부벽(666,667)의 선단과 후단 하부단부에 의해 정의된 브라켓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힌지(660a)는 상기 외부벽(666,667)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축 또는 핀 주위를 회전하는 중공 힌지 너클(knuckle)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조립체(662)에의 상기 댐퍼(660)의 결합은 힌지 구조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댐퍼(660)는 랙 또는 기어(668)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둥근호 모양(예를 들면, 반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랙(668)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위치된 기어(661)의 외주에 위치된 치와 결합하는 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벽(666,667)은 상기 랙(668)이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661)는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댐퍼조립체(662)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된 좌측과 우측 기어(661)를 가질 수 있고, 또 각각의 기어(661)는 좌측기어와 우측기어(661)가 서로로 부터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그 자신의 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모터를 스팀과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터하우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모터하우징(예를 들어 도 15의 내부 벽(664,665)에 의해 형성된)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 또는 가이드가 상기 댐퍼(660)를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기 위해 상기 힌지(660a) 아래의 위치에서 액체가이드(66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가이드(663)는 상기 댐퍼조립체(662)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댐퍼조립체의 좌우길이보다 약간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개구가 상기 힌지에 인접한 위치의 댐퍼(660)에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 및 우측벽은 상기 댐퍼(660)에 있는 슬릿의 위치보다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벽의 내면은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돌출부, 경사면, 또는 터널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댐퍼(660)의 슬릿을 통해 낙하하는 응축수는 이들 가이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들은 제2응축수통로(663a) 및/또는 리드(614)의 가이드(614a)로 연장되거나 및/또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의 상부면은 상기 슬릿을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으며, 이는 배출구(drain)로도 불리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660)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도 21과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좌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좌측기어(661L)로 불리울 수 있고, 우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우측기어(661R)로 불리울 수 있으며, 좌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좌측댐퍼(660L)로 불리울 수 있고, 또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우측댐퍼(660R)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좌측댐퍼(660L)에 결합된 랙(668)은 좌측랙(668L)으로 불리울 수 있고, 상기 우측댐퍼(660R)에 결합된 랙(668)은 우측랙(668R)으로 불리울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의 좌측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6)은 좌측 외부벽(666)으로 불리울 수 있고, 반면에 댐퍼조립체(662)의 우측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7)은 우측 외부벽(667)으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곡면부(652)는 좌측 곡면부(652L)로 불리울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우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곡면부(652)는 우측 곡면부(652R)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동작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좌측랙(668L)은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배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우측랙(668R)은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정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상기 센서조립체(700) 및/또는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좌측모터에 결합된 좌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좌측 축과 좌측모터는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응축수통로(662a)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는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외부벽(666)은 상기 좌측 랙(668L)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 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랙(668L)은 상기 좌측 댐퍼(660L)를 회전하기 위한 좌측 기어(661L)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는 좌측댐퍼(660L)의 내면이 좌측 외부벽(666)의 외면을 보도록 상기 좌측 외부벽(666)에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도 19)에 대한 상기 좌측 댐퍼(660L)의 각도는,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좌측 흡입통로가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의 좌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그 상부 부분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좌우길이는,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외부 단부가 상기 좌측 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전후길이는 상기 좌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 및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우측모터에 결합된 우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축은 상기 좌측 축보다 더 길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우측 축과 우측 모터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응축수 통로(662a)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우측 외부벽(667)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외부벽(667)은 상기 우측 랙(668R)이 삽입되는 선단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우측랙(668R)은 상기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하기 위한 우측 기어(661R)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는 우측 댐퍼(660R)의 내부 표면이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우측 외부 벽(667)에 평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도 19)에 대한 상기 우측 댐퍼(660R)의 각도는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우측 흡입통로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의 우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상기 우측 댐퍼(660R)를 닫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우측 곡면부(652L)를 향해 상기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좌우길이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우측 댐퍼(660R)의 좌우길이는,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의 외부 단부가 상기 우측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댐퍼(660R)의 전후길이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과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상기 우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여 스팀분배기(670)를 설명한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수평 횡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수평 횡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프레임과 유사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링(ring)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는 중공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흡입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응축수가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것과의 간섭을 줄이도록 중앙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의 주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팬(300) 하부의 응축수수집기(650)의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응축수수집기(650)에 인접한 제2하우징(2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U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개구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정면을 향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 또는 샤워헤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형상과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소정 형상의 튜브 또는 채널(671)(도 11)은 상기 스팀분배기를 상기 스팀발생기(612)(도 17)에 연결할 수 있어 스팀이 상기 튜브(671)를 통해 스팀분배기(67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스팀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 또는 노즐(672)(도 14)을 가질 수 있다.
스팀은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와 튜브(671)는 하나의 튜브 또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스팀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스팀을 모으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좌측과 우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선단 및 후단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스팀의 일부는 상기 팬(300), 팬하우징(310),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상승할 수 있고, 또 스팀의 일부는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 및/또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낙하할 수 있다.
스팀은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다른 낙하물(예를 들어, 먼지 또는 오일)은 제2하우징(200) 및/또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떨어지거나 또는 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스토브 상에 있는 조리기구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높이조절 및/또는 상기 팬(300)의 동작은 상기 센서조립체(7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주방용 후드(1)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 지도 감지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에 근거하여 광을 발산하거나 상기 팬(300)을 동작할 수 있다.
센서조립체(70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면은 상기 센서조립체(7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01)는 상기 주방용 후드(1)로부터 사용자 또는 다른 이동하는 물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702)는 상기 스토브 상에 놓여 있는 요리기구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는 카메라, 레이저센서, 레이다 센서, 열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조명(703)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703)은 다수개의 광발산다이오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조명(703)의 동작은 상기 근접센서(701)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방용 후드(1)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근접센서(701)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주변영역 또는 스토브를 비추기 위해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케이스 또는 커버(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704)의 바닥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고 또는 광확산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조명(703)에 의한 광이 상기 바닥면을 통해 나갈 수 있도록 배향되어 위치된다. 다르게는, 상기 커버(704)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투명, 반투명, 또는 확산렌즈가 상기 조명(703)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조명(703) 아래의 상기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704)의 후단 부분은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가 위치되는 센서마운트(7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경사질 수 있고, 상기 근접센서(701)는 수평방향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702)는 상기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스토브에 있는 요리도구를 감지하도록 아래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는 레이다센서일 수 있고, 또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불투명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선택적인 투명커버가 상기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704)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화재비상조립체(80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바닥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재비상조립체(800)는 화재감지기(820)와 액체 또는 폼 호스 또는 노즐(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820)는 연기감지기, 가스감지기(예를 들어, 광이온화 검출기(photoionization detector) 또는 PID)), 또는 열감지기일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820)에 의해 감지된 연기 또는 열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을 때, 물, 폼, 또는 다른 소화제(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건조화학제, 습식화학제, 할로겐 또는 청정제, 또는 건조분말)가 상기 폼노즐(810)을 통해 아래에 분출될 수 있다. 상기 폼노즐(810)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후단 내측에 제공된 선택적인 액체대야(basin) 또는 폼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4에는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1220)의 프레임(123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30')은 앞에서 설명된 프레임(1230)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가지(12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가지(1237)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내면에 일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를 통해 전달된 냉기를 흡입그릴(2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가지(1237)는 상기 흡입그릴(210)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을 피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가지(1237)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보다 넓은 영역에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가지(1237)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흡입그릴(210)을 마주볼 때, 상기 연결가지(1237)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가지(1237)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프레임(1230')에서도 프레임(1230')의 상단에 소자안착부(1232)가 있고, 상기 소자안착부(1232) 양단에서 제1연장가지(1234,123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가지(1234,1234')에서 제2연장가지(1235,1235')가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흡입그릴(210)에 바닥부가 없다면, 상기 제2연장가지(1235,1235')는 없어도 되고, 제1연장가지(1234,1234')의 단부를 제3연장가지(1236)가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25와 도 26에는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와 다른 형태의 주방용 후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증기포집조립체(2220)가 흡입그릴(2210)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흡입그릴(2210)이 전체적으로 평면인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2210)은 주방용 후드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구의 형상이 사각형상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흡입구의 형상이 원형으로 된다면 상기 흡입그릴(2210)의 가장자리 형상도 원형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210)은 주방용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걸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입그릴(2210)에는 필터의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210)은 주방용 후드에서 분리해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게 프레임(22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은 열전달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의 재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의 형상은 상기 흡입그릴(2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흡입그릴(2210)의 가장자리 형상과 같은 사각형 상으로 상기 프레임(2230)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의 일측 표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열전소자(2240)가 안착되는 소자안착면(2230')이 될 수 있고, 타측 표면은 상기 흡입그릴(2210)에 안착되는 그릴접촉면(2230")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자안착면(2230')과 그릴접촉면(2230")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프레임(2230)의 상측 표면(도면 기준)이 모두 소자안착면(2230')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면을 기준으로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2210)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유동되기 때문이다. 만약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2210)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우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2230)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이 우측방향 상면이 소자안착면(2230')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은 각각 막대 형상인 제1부재(2231), 제2부재(2232), 제3부재(2233), 제4부재(2234)가 사각형을 구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부재(2231,2232,2233,2234) 들은 상기 소자안착면(2230')과 그릴접촉면(2230")이 다른 표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평면으로 되도록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에는 상기 부재(2231,2232,2233,2234)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흡입그릴(2210)을 가로질러 흡입그릴(2210)에 접촉하는 연결가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열전소자(2240)는 상기 소자안착면(22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240)에서는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 상기 프레임(2230)으로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핀(2250)으로는 열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240)가 반드시 상기 소자안착면(2230') 전체에 대응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고, 상기 소자안착면(223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240)에서 나오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열전소자(2240)에는 방열핀(22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2250)은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표면에 다수개의 날개(2252)가 형성되어 있어, 주변의 공기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접촉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거나,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되어 주방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팬(300)의 동작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흡입그릴(210)을 통해 주방 내의 오염물질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200)의 양측면과 저면에 걸쳐 있는 2개의 흡입그릴(210)을 통해서 공기가 제2하우징(200)과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는데, 이들 2개의 흡입그릴(2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2하우징(200) 내에서 별도의 경로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유증기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유증기에는 벤조피렌,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유증기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 및 제1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유로 상에 흡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는 상기 유증기포획조립체(220)가 동작을 하면 상기 흡입그릴(210)에 유증기가 포집될 수 있다. 유증기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유증기포획조립체(220)가 동작되도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증기포획조립체(220)는 주방용 후드가 동작되면 함께 동작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포획조립체(220)가 동작되면, 상기 열전소자(1240)가 동작하여 상기 프레임(1230)으로 냉기를 보내게 된다. 상기 프레임(1230)으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소자안착부(1232), 제1연장가지(1234,1234'), 제2연장가지(1235,1235'), 제2연장가지(136)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21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냉기가 상기 흡입그릴(210)로 전달되면, 상기 흡입그릴(210)은 유증기를 고체상태로 굳게 만들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유증기는 흡입그릴(210)의 낮은 온도 때문에 흡입그릴(210) 또는 상기 프레임(1230)에 굳은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그릴(210) 또는 상기 프레임(1230)에 포획된 오일 성분은 상기 흡입그릴(210)의 온도가 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다시 녹아서 주방용 후드의 하부로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물론, 일단 오일이 굳어서 포획되어 있으면, 오일이 녹을 수 있는 온도로 까지 흡입그릴(210)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상기 유증기포획조립체(22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오일 성분은 굳은 상태로 흡입그릴(210)에 그대로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이나 프레임(1230)에 포획된 오일 성분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제2하우징(200)에서 분리하여 세척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230), 열전소자(1240) 등도 상기 흡입그릴(210)과 함께 제2하우징(200)에서 분리해서 세척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실시례나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도 오일이 포집되는 것은 동일하며, 제 24에 있는 실시례의 경우는 연결가지(1237)들이 다수개 있어서 흡입그릴(21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유증기의 포집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개시된 유증기포집조립체(2220)에서도 상기 열전소자(2240)의 동작에 의해 유증기의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열전소자(2240)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프레임(2230)으로 전달되고, 상기 프레임(2230)의 제1부재(2231), 제2부재(2232), 제3부재(2233), 제4부재(2234)를 통해 냉기가 상기 흡입그릴(22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210)로는 상기 프레임(2230)에 의해 가장자리에 주로 냉기가 전달되지만, 상기 흡입그릴(2210)의 중앙 영역으로서 냉기가 전달되면서 유증기가 상기 흡입그릴(2210)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포집될 수 있다.
여기서도, 열전소자(2240)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방열핀(22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핀(2250)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방열핀(2250)에 있는 날개(2252)에서 공기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30)으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흡입그릴(2210)로 전달된다. 냉기는 상기 흡입그릴(2210)의 전체 영역으로 전달되어 상기 흡입그릴(22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있는 유증기가 굳어서 흡입그릴(2210)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흡입그릴(2210)에 포집된 유증기는 흡입그릴(2210)을 세척함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비록 실시례들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많은 변경과 실시례들이 이 개시의 원리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도록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개시,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조합 구성의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추가로, 당업자에게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배열, 대안적인 사용에서 변형 및 수정이 명백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를 구성하는 프레임(1230) 등이 상기 흡입그릴(2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122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230)이 흡입그릴(21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될 수도 있다.
1: 주방용 후드 2: 브라켓
20: 후크 30: 브라켓후크
40: 돌출부 100: 제1하우징
110: 외부하우징 111: 도어
112: 돌출부(시일) 112a: 개구
112b: 공간 113: 레치
114: 힌지 116: 선단패널(선단판)
117: 상부패널(상부판) 118: 측패널(측판)
119: 하부패널(하부판 119a: 하부개구
120: 내부하우징 121: 외부벽
122: 내부벽 130: 디스플레이
131: 인쇄회로기판 132: 엘이디
133: 관통공 140: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
140a: 상부개구 141: 제1상부프레임
141a: 개구 142: 제2상부프레임
142a: 개구 152: 플랜지
152a: 후크 160,160': 선단내부케이스
161: 지지턱 161a: 지지돌출부
162: 턱 165: 커버
165a: 스위퍼개구 165b: 개구
200: 제2하우징 210: 흡입그릴
210a: 개구 220: 전면플레이트
221: 손잡이 230: 도어
231: 바아 232: 상부턱
240: 제2하우징 상부프레임 241: 제1상부프레임
242: 제2상부프레임 250: 후면플레이트
260: 전면플레이트 300: 팬
300a: 팬통공 310: 팬하우징
400: 슬라이딩조립체 410,410': 제1레일
420,420': 제2레일 450: 슬라이딩조립체
451: 랙 452: 기어
452a: 기어커버 453: 모터
454: 하우징 500: 센서조립체
510: 외부슬릿 511: 제1외부통공
512: 제2외부통공 513: 제3외부통공
514: 제4외부통공 515: 제5외부통공
517: 제1구획벽 519: 제2구획벽
521: 제1내부통공 522: 제2내부통공
523: 제3내부통공 524: 제4내부통공
525: 제5내부통공 550: 스피커
600: 스팀청소조립체 610: 액체저장용기
610a: 제1통 610b: 제2통
611: 용기가이드 611": 용기프레임
612, 612': 스팀발생기(히터)
613: 선단프레임 614: 리드
614a: 가이드 614b: 개구
615,615': 시일 615": 시일
617: 개구 617a: 개구
650: 응축수수집기 650a: 개구
651: 탭(플레이트) 652: 곡면부
652R: 우측곡면부 652L: 좌측곡면부
652a: 홈 653: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
653a: 정면플레이트 653b: 배면플레이트
653c: 사이드바아 655: 바닥플레이트
654: 측면플레이트 660: 댐퍼
660L: 좌측댐퍼 660R: 우측댐퍼
660a: 힌지 661: 기어
661L: 좌측기어 661R: 우측기어
662: 댐퍼조립체 662F: 선단벽
662R: 후단벽 662a: 제1응축수통로
663: 액체가이드 663a: 제2응축수통로
664: 내부벽 665: 내부벽
666: 외부벽 667: 외부벽
668: 랙 668L: 좌측랙
668R: 우측랙 670: 스팀분배기
671: 튜브(파이프) 또는 채널
672: 노즐 680a: 레일
680b: 레일 700: 센서조립체
701: 근접센서 702: 높이센서
704: 커버 705: 센서마운트
800: 화재비상조립체 810: 노즐
820: 화재감지기 1220, 1220': 유증기포집조립체
1230: 프레임 1232: 소자안착부
1234, 1234': 제1연장가지 1235,1235': 제2연장가지
1236: 제2연장가지 1237: 연결가지
1240: 열전소자 1250: 방열핀
1252: 날개 2210: 흡입그릴
2220: 유증기포집조립체 2230: 프레임
2230': 소자안착면 2230": 그릴접촉며
2231: 제1부재 2232: 제2부재
2233: 제3부재 2234: 제4부재
2240: 열전소자 2250: 방열핀
2252: 날개

Claims (21)

  1. 외관을 구성하고 고정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일측을 통하는 일측유로와 내부 타측을 통하는 타측 유로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흡입그릴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일측 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타측면에 형성되어 흡입그릴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타측 입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입구와 타측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흡입그릴에 설치되고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과 접촉되어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과 열교환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상기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에는 열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방열핀이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되는 소자안착부, 상기 소자안착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흡입그릴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가지, 상기 제1연장가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에 위치되는 제2연장가지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가지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연장가지가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가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9.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일측을 통하는 일측유로와 내부 타측을 통하는 타측 유로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일측 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타측 입구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유로와 타측 유로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과 접촉되어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전달하는 날개를 가지는 방열핀이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에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가 안착되는 소자안착부가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흡입그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16.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흡입그릴이 설치된 입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유증기포집조립체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포집조립체는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에 접촉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영역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출구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하는 방열핀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그릴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흡입그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주방용 후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표면은 상기 흡입그릴에 접촉되는 그릴접촉면이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은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되는 소자안착면인 주방용 후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안착면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 전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흡입그릴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의 하류부에 안착되는 주방용 후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가로질러 내면에 접촉되는 연결가지가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KR1020200133356A 2020-10-15 2020-10-15 주방용 후드 KR2022004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56A KR20220049799A (ko) 2020-10-15 2020-10-15 주방용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56A KR20220049799A (ko) 2020-10-15 2020-10-15 주방용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799A true KR20220049799A (ko) 2022-04-22

Family

ID=8145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356A KR20220049799A (ko) 2020-10-15 2020-10-15 주방용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260B1 (ko) * 2023-01-10 2023-04-11 (주)세정이에프씨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260B1 (ko) * 2023-01-10 2023-04-11 (주)세정이에프씨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866B2 (en) Kitchen hood with front facing vent
KR20210050429A (ko) 주방용 후드
US11236913B2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CN112361402B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20170121892A (ko) 전기 오븐
JP2001056142A (ja) 台所用換気システム
KR20220028833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49799A (ko) 주방용 후드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US20220154944A1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JP2007333358A (ja) 換気装置付き調理台
KR20060087209A (ko) 조리기구용 배기시스템
US20060070617A1 (en) Range hood fan having filter
KR20220040746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28834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0078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28835A (ko) 주방용 후드
US20220065463A1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JP3906093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20220029846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102641936B1 (ko) 음식물 구이기
JPH036428B2 (ko)
JP3906094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における廃棄用液体容器の貯液位確認方法及び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