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260B1 -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260B1
KR102520260B1 KR1020230003207A KR20230003207A KR102520260B1 KR 102520260 B1 KR102520260 B1 KR 102520260B1 KR 1020230003207 A KR1020230003207 A KR 1020230003207A KR 20230003207 A KR20230003207 A KR 20230003207A KR 102520260 B1 KR102520260 B1 KR 10252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paint
pair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23000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1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the excess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되, 상기 외벽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 레일과;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안내 프레임과;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들 중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 장치와;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도장 장치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EQUIPMENT FOR PAINTING OF EXTERNAL WALL FOR A MULTISTORIED BUILDING AND METHOD FOR PAIN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부착시켜 자동으로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함과 아울러 도장시 낙하되는 페인트를 재사용하여 페인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는 경우, 작업자가 고층 건물의 옥상에서 로프를 타고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도장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로프가 옥상의 벽 테두리에 반복적으로 마찰됨으로 인해 손상되면서 끊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고층 위치에서 낙하되는 안전 사고의 문제가 늘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물의 외벽에 위치되어 상하를 따라 이동되면서 도장을 실시하는 자동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자동화 장치는 옥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로프 및 브레이킹 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도장을 진행하지만, 고층 위치에서 바람이 심하게 불게되는 경우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페인트 비산물이 모두 대기 중으로 날아가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고, 또한 도장작업에 악영향을 주어 그만큼 페인트 비산물이 많아짐에 따라 도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페인트가 적당량 분사되지 못하여 그 부위에 반복해서 페인트를 분사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필요이상으로 페인트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서 도장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함으로 인해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고, 이에 따라 도장이 정확하게 진행되지 못하여 도장 품질이 하락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장 장치에서 분사되는 페인트는 대부분 외벽에 도장되지만, 나머지는 낙하되고 그만큼 손실이 발생되며, 페인트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경우 지상 오염을 비롯하여 행인의 신체에 위해를 가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9939호(등록일자: 2006년 05월 0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도장 장치를 고층 건물의 외벽에서 이동 후 들뜨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도장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도장 작업을 실시하되, 해당 도장 대상 영역이 지정되면, 지정된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을 에워싸도록 하여 도장 작업 시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도장 품질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도장 작업 시 발생되는 잔류 페인트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정의 진동을 가하여 잔류 페인트의 회수 효율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되, 상기 외벽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 레일;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안내 프레임;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들 중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 장치;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및,
상기 도장 장치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외벽에 대한 상기 도장 대상 영역들에 대한 위치좌표가 기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수평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를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좌표로 이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은,
상기 외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고정홈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제 1극성을 갖는 제 1자력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자화를 이루어 상기 제 1극성과 인력을 이루는 제 2극성으로 형성되는 제 2자력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를 통해 상기 도장 장치가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면,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자력 부재를 상기 제 1자력 부재와 자력을 통해 강제 부착시켜 상기 도장 장치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도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레일 고정홈의 내측부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장부로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시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을 포함한 내측 공간을 에워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강제 흡입하여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측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의 후단에 세워져 연결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의 하단과 상기 후방 몸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몸체를 구비하여, 전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페인트가 유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도장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공급부는,
상기 페인트가 저장되는 페인트 저장 용기와,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와 상기 내부 유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도장 몸체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와,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인트를 상기 내부 유로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
Figure 112023003202905-pat00001
'형상의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에는,
상기 커버 몸체가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장치는, 회전 중심을 갖는 제 1기어들과, 상기 제 1기어들을 회전시키는 제 2기어 갖는 기어 모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 모터들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및 상기 후방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기어들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및 상기 후방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기어들 각각과 기어 치 연결되고,
상기 제 1기어들의 일부는,
상기 삽입홈에 노출되어, 상기 커버 몸체의 둘레에 형성된 기어이와 기어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모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2기어들을 정역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상기 제 1기어들을 정역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고,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제 1기어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의 내부에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내측부에는, 상기 흡입 유로와 연결되며,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진 포집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포집 몸체와, 상기 포집 몸체와 상기 흡입 유로를 연결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형성하는 흡입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부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흡입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분진을 상기 흡입홀들 및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강제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으로 유동시켜 상기 포집 몸체의 내부 공간에 포집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건조부가 설치되되,
상기 건조부는,
외기를 유입시켜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공기 가열기와,
상기 공기 가열기와 연결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 라인과,
상기 열풍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을 유동시키는 공기 펌프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부의 구동이 중지되면,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상기 건조부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깔대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 몸체는, 테두리에서 상기 깔대기를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깔대기의 배출구는,
회수 라인을 통해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회수 라인에는, 도장 시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깔대기의 배출구로 유동되는 잔류 페인트를 펌핑하여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의 외면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 취득기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취득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크랙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기와,
상기 판단기를 통해 상기 크랙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보수재 분사기를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일정량의 크랙 보수재를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분사시켜 메꾸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도장 장치를 고층 건물의 외벽에서 이동 후 들뜨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도장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도장 작업을 실시하되, 해당 도장 대상 영역이 지정되면, 지정된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을 에워싸도록 하여 도장 작업 시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도장 품질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장 작업 시 발생되는 잔류 페인트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정의 진동을 가하여 잔류 페인트의 회수 효율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가 배치되는 고층건물의 외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장 장치가 외벽에 설치된 승강레일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장 장치가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장치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도장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분진 포집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건조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페인트가 회수되는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에 도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건물의 외벽에 크랙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크랙이 발생된 위치에 크랙 보수재가 분사되어 메꿔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가 배치되는 고층건물의 외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장 장치가 외벽에 설치된 승강레일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장 장치가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는 고층 건물의 외벽(10)에 설치되되, 상기 외벽(10)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 레일(100)과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100)에 연결되는 이동 안내 프레임(200)과,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3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설비는 상기 이동체(300)에 고정되며, 기설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들 중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 장치(400)와,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200)을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100)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500)와, 상기 도장 장치(400)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600)와, 상기 도장 장치(400)와 상기 승강부(500) 및 상기 수평 이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외벽(100)에 대한 상기 도장 대상 영역들에 대한 위치좌표가 기설정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승강부(500)와 상기 수평 이동부(600)를 구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400)를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좌표로 이동킨다.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100)은 상기 외벽(1)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고정홈(미도시)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100)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제 1극성을 갖는 제 1자력 부재들(11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200)의 양측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자화를 이루어 상기 제 1극성과 인력을 이루는 제 2극성으로 형성되는 제 2자력 부재들(21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승강부(500) 및 상기 수평 이동부(600)를 통해 상기 도장 장치(400)가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면, 전류 제공기(710)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자력 부재(210)를 상기 제 1자력 부재(110)와 자력을 통해 강제 부착시켜 상기 도장 장치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장 장치(400)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레일 고정홈의 내측부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장치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도장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분진 포집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건조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도장 장치(400)는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에 설치되며,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부(420)와, 상기 본체부(410)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장부(420)로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부(430)와, 상기 본체부(41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시 상기 본체부(410)의 테두리에서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을 포함한 내측 공간을 에워싸는 커버부(440)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강제 흡입하여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4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10)는 한 쌍의 측부 몸체(411)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의 후단에 세워져 연결되는 후방 몸체(412)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의 하단과 상기 후방 몸체(41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몸체(413)를 구비하여, 전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장부(420)는 상기 본체부(410)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 몸체(412)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기들(422)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들(422)과 연결되어 상기 페인트가 유동되는 내부 유로(421a)가 형성된 도장 몸체(421)를 포함한다.
상기 페인트 공급부(430)는 상기 페인트가 저장되는 페인트 저장 용기(431)와,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431)와 상기 내부 유로(421a)와 연결되도록 상기 도장 몸체(421)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432)와,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43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인트를 상기 내부 유로(421a)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4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440)는 '
Figure 112023003202905-pat00002
'형상의 커버 몸체(441)와, 상기 커버 몸체(441)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442)와, 상기 커버 몸체(441)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443)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와 상기 후방 몸체(412)에는 상기 커버 몸체(441)가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홈(h)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장치(443)는 회전 중심을 갖는 제 1기어들(443a)을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들(443b)을 구비한다.
상기 기어 모터들(443b)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 및 상기 후방 몸체(412)에 설치된다.
상기 제 1기어들(443a)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 및 상기 후방 몸체(4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h)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기어들(443a)의 일부는 상기 삽입홈에 노출되어, 상기 커버 몸체의 둘레에 형성된 기어이와 기어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기어 모터들(443b)을 사용하여 제 1기어들을 정역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상기 커버 몸체(441)는, 상기 제 1기어들(443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의 내부에는 흡입 유로(411a)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411) 내측부에는, 상기 흡입 유로(411a)와 연결되며,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홀들(411b)이 형성된다.
상기 분진 포집부(450)는 상기 본체부(410)에 설치되는 포집 몸체(451)와, 상기 포집 몸체(451)와 상기 흡입 유로(411a)를 연결하는 흡입관(452)과, 상기 흡입관(452) 상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형성하는 흡입 펌프(453)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장부(420)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흡입 펌프(453)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부(4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분진을 상기 흡입홀들(411b) 및 상기 흡입 유로(411a)를 통해 강제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452)으로 유동시켜 상기 포집 몸체(451)의 내부 공간에 포집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에는, 건조부(80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부(800)는 외기를 유입시켜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공기 가열기(810)와, 상기 공기 가열기(810)와 연결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본체부(4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 라인(820)과, 상기 열풍 공급 라인(8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을 유동시키는 공기 펌프(8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장부(420)의 구동이 중지되면,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상기 건조부(800)를 구동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서 페인트가 회수되는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 몸체(413)의 중앙부에는 배출구(414a)가 형성되는 깔대기(41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 몸체(413)는, 테두리에서 상기 깔대기(414)를 향해 하향 경사진다.
상기 깔대기(414)의 배출구(414a)는 회수 라인(461)을 통해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460)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 라인(461)에는, 도장 시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깔대기(414)의 배출구(414a)로 유동되는 잔류 페인트를 펌핑하여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460)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펌프(462)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몸체(413)에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기(463)가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에 도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도장 장치(400)는 기설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서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장 장치(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바람이 불어도 도장 장치(400)는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어 도 11을 참조 하면 커버부(440)는 상승하여 본체부(410)의 상부를 커버한다. 이에 페인트 분사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도장부(420)는 페인트를 도장 대상 영역에 분사하여 도장을 이룬다.
도 12를 참조 하면 이와 동시에 분진 포집부(450)는 도장시 발생되는 분진을 강제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을 참조 하면 도장이 완료된 이후 건조부(800)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분사하여 도장면이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페인트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몸체는 진동 발생기에 의해 일정 수즌으로 진동되고, 이에 도장시 발생되는 잔류 페인트는 경사진 하부 몸체 상면을 따라 배출구로 용이하게 흘러 회수될 수 있다.
도 14는 건물의 외벽에 크랙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크랙이 발생된 위치에 크랙 보수재가 분사되어 메꿔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410)에는,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의 외면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영상 취득기(900)와, 상기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취득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크랙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기(910)와, 상기 판단기(910)를 통해 상기 크랙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본체부(4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보수재 분사기(920)를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일정량의 크랙 보수재를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분사시켜 메꾸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몸체(440)에는 수평 레일(930)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레일(930)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94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블록(940)은 수평 레일과 연결되는 리니어 모터(95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이동 블록(940)에는 승강되는 승강축(961)을 갖는 승강모듈(96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961)에는 상기 보수재 분사기(92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410)에는 보수재를 공급하는 보수재 공급기(970)가 설치된다.
상기 보수재 공급기(970)는 보수재 공급 라인(971)을 통해 상기 보수재 분사기(92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리니어 모터(950) 및 승강 모듈(960)을 구동시켜 상기 보수재 분사기(920)를 상기 크랙 존재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수재 공급기(970)를 사용하여 보수재를 일정량 보수재 분사기(920)를 통해 분사시켜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도장 공정 전에 수작업으로 크랙 보수가 이루이진 경우에도 추가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도장 공정 진행시 즉시 발견하여 메꾸도록 한 이후에 도장 공정을 진행시킴에 따라 건물의 외벽 도장 품질을 더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도장 장치를 고층 건물의 외벽에서 이동 후 들뜨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도장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도장 작업을 실시하되, 해당 도장 대상 영역이 지정되면, 지정된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을 에워싸도록 하여 도장 작업 시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도장 품질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장 작업 시 발생되는 잔류 페인트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정의 진동을 가하여 잔류 페인트의 회수 효율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이동 레일
200 : 이동 안내 프레임
300 : 이동체
400 : 도장 장치
410 : 본체부
411 : 측부 몸체
411a : 흡입 유로
411b : 흡입홀
412 : 후방 몸체
413 : 하부 몸체
420 : 도장부
421 : 도장 몸체
421a : 내부 유로
422 : 분사기
430 : 페인트 공급부
431 : 페인트 저장 용기
432 : 페인트 공급 튜브
433 : 공급 펌프
440 : 커버부
441 : 커버 몸체
442 : 상부 커버 몸체
443 : 승강 장치
443a : 제 1기어
443b : 기어 모터
444 : h
450 : 분진 포집부
451 : 포집 몸체
452 : 흡입관
453 : 흡입펌프
500 : 승강부
600 : 이동부
700 : 제어부
710 : 전류 제공기

Claims (4)

  1. 고층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되, 상기 외벽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 레일;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안내 프레임;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며, 기설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들 중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 장치;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도장 장치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외벽에 대한 상기 도장 대상영역들에 대한 위치좌표가 기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수평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도장 장치를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좌표로 이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은,
    상기 외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고정홈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제 1극성을 갖는 제 1자력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자화를 이루어 상기 제 1극성과 인력을 이루는 제 2극성으로 형성되는 제 2자력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를 통해 상기 도장 장치가 상기 선정되는 도장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면,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자력 부재를 상기 제 1자력 부재와 자력을 통해 강제 부착시켜 상기 도장 장치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도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한 쌍의 레일 고정홈의 내측부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이동 안내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을 이루는 도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장부로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시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선정된 도장 대상 영역을 포함한 내측 공간을 에워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강제 흡입하여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측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의 후단에 세워져 연결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의 하단과 상기 후방 몸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몸체를 구비하여, 전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페인트가 유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도장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공급부는,
    상기 페인트가 저장되는 페인트 저장 용기와,
    상기 페인트 저장 용기와 상기 내부 유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도장 몸체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와,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인트를 상기 내부 유로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
    Figure 112023037073177-pat00003
    '형상의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에는,
    상기 커버 몸체가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장치는, 회전 중심을 갖는 제 1기어들과, 상기 제 1기어들을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 모터들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및 상기 후방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기어들의 일부는,
    상기 삽입홈에 노출되어, 상기 커버 몸체의 둘레에 형성된 기어이와 기어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모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어들을 정역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고,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제 1기어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도장 설비를 사용하여 고층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법.
KR1020230003207A 2023-01-10 2023-01-10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KR10252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07A KR102520260B1 (ko) 2023-01-10 2023-01-10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07A KR102520260B1 (ko) 2023-01-10 2023-01-10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260B1 true KR102520260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207A KR102520260B1 (ko) 2023-01-10 2023-01-10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2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39B1 (ko) 2005-12-26 2006-05-15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 및 도장공법
KR20070107231A (ko) * 2006-05-02 2007-11-07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노즐 이송장치
KR100838401B1 (ko) * 2007-02-03 2008-06-13 대한중공업(주) 벽면 자동도장 장치
JP2010194469A (ja) * 2009-02-25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飛散防止用フードの取り付け構造
KR101561878B1 (ko) * 2015-05-29 2015-10-2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2022004979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
KR20220137335A (ko) * 2021-04-02 2022-10-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39B1 (ko) 2005-12-26 2006-05-15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 및 도장공법
KR20070107231A (ko) * 2006-05-02 2007-11-07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노즐 이송장치
KR100838401B1 (ko) * 2007-02-03 2008-06-13 대한중공업(주) 벽면 자동도장 장치
JP2010194469A (ja) * 2009-02-25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飛散防止用フードの取り付け構造
KR101561878B1 (ko) * 2015-05-29 2015-10-2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2022004979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
KR20220137335A (ko) * 2021-04-02 2022-10-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948B2 (ja) 移動式メンテナンス倉庫
CN105170528A (zh) 一种移动式扶梯梯级自动清洗方法及装置
KR102520260B1 (ko)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공법
KR101561878B1 (ko)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CN108043645A (zh) 一种基于巡逻检测的智能喷漆修补系统
CN106214075A (zh) 一种用于地面清洁的自动清洁装置
JP2009078210A (ja) 自走型洗浄・塗装方法及び自走型の洗浄・塗装機
CN114130568B (zh) 一种变电站绝缘子喷涂装置及其施工方法
CN206996928U (zh) 轮对喷涂系统
CN117306341A (zh) 一种高强度聚氨酯防水涂料用喷涂装置及喷涂方法
CN113720762B (zh) 一种自动防水测试与风干的设备及测试方法
US20130136858A1 (en) Adhesive recycling during spin coating
JP6835640B2 (ja) タンク内吹付け装置及びタンクの内面に吹付け剤を吹付ける方法
CN106593788B (zh) 设备维护装置、系统及设备维护方法
CN106423621A (zh) 一种建筑施工用升降式静电喷涂设备
CN220532023U (zh) 一种用于杆件自动化喷漆设备
JPH1177543A (ja) 大型構造物の壁面素地調整装置
CN111794469A (zh) 一种仿古木构件外表面做旧结构
CN212836534U (zh) 一种仿古木构件外表面做旧结构
CN216173455U (zh) 一种自动喷漆流水线装置
CN217314252U (zh) 一种光学玻璃自动旋涂设备
CN219560172U (zh) 一种矿山机械配件铸件喷涂装置
CN215235257U (zh) 一种散热片加工用喷漆装置
CN113250481B (zh) 古建筑修缮保护漆喷涂系统及古建筑修缮保护漆喷涂方法
CN219012042U (zh) 一种混凝土结构危房的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