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835A - 주방용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35A
KR20220028835A KR1020200110388A KR20200110388A KR20220028835A KR 20220028835 A KR20220028835 A KR 20220028835A KR 1020200110388 A KR1020200110388 A KR 1020200110388A KR 20200110388 A KR20200110388 A KR 20200110388A KR 20220028835 A KR20220028835 A KR 2022002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xternal
hole
air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아
권기섭
김현기
이지혜
이창언
김대웅
현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835A/ko
Publication of KR2022002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주방용 후드(1)는 주변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500)를 가진다.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다수개의 센서(500a,500b.50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다수개의 센서(500a,500b.500c)가 배치된 내측에는 소리신호발생기(550)가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센서(500a,500b.500c)와 소리신호발생기(550)는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110)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형성된 외부슬릿(510)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을 통해 상기 센서(500a,500b.500c)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외부통공(511,512,513,514)이 형성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550)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제5외부통공(515)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Kitchen hood}
본 개시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요리는 종종 실내 공기로 유해한 연기, 가스, 오일 또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야기한다. 많은 주방은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스토브 위에 설치된 주방용 후드를 가지는데,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주방용 후드의 효율이 떨어져서, 주방 내에 잔류하는 유해한 오염물의 양을 증가시킨다.
최근의 연구는 대부분의 주방용 후드의 소유자는 그들의 주방용 후드를 정기적으로 유지보수하거나 청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였다. 하지만,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았을 때 주방용 후드 하부에 축적되거나 또는 공기중에 남아 있는 오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스태프"(staph)), 대장균(Escherichia coli)("대장균"(E. coli), 그리고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수막염, 폐렴, 축농증 및 기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과 같은 박테리아의 번식지이다. 추가로, 주방용 후드가 적절하게 동작되지 않을 때, 미세 먼지, 오일 미스트,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그을음(Black Carbon), 그리고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s hydrocarbon)와 같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 주방 전체에 퍼질 수 있다. 이들 박테리아와 물질들은 건강에 위험을 줄 수 있고 또 주방용 후드의 효율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주방에서, 조리중에 발생한 15~40nm 입자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는 기름과 응축되어 1~10㎛의 미세먼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 1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예를 들어 가스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위험한 물질들을 나타낸다.
물질 원인 위험
미세 먼지 음식 표면에 형성된 초기 입자에 수분과 기름의 응축에 의해 발생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서 폐기능을 약화시키고 면역력을 약화시킴; 1군 발암물질
이산화질소 식품성분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능력 감소, 고농도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
포름 알데히드 유기물의 연소과정에서 불완전 연소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발생 눈, 코, 그리고 목과 같은 피부 자극; 장시간 노출시 두통, 구토 및 호흡곤란;발암물질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일이 가열될 때 발생 호흡기 손상, 눈 자극, 두통, 피부자극;만성혈액 장채, 빈혈
다환식 방향제 탄화수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탄화로 인해 야기되는 오일의 불완전 연소 호흡기 질환 및 DNA 변형; 1급 발암물질
블랙 카본(검댕) 식품성분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 호흡기 질환
약 15~40nm 크기의 초기 입자(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와 같은 유해물질)는 음식의 조리중에 생성되고, 또 수분, 오일 등과 결합하였을 때, 이들 입자들의 크기는 미세 먼지를 만들도록 증가한다.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한 가스들은 유증기 또는 미스트로 코팅된다. 유해한 가스를 함유한 증기는, 일단 실내에 축적되면, 쉽게 제거되지 않고 오랜 동안 실내에 머무른다. WO 201709534 A1은 스토브 뒤에 설치된 돌출부나 수도꼭지를 닮은 흡입구를 가지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주방용 후드를 개시한다. 열원을 감지하면, 상기 흡입구는 그 열원 위로 이동한다. 상기 흡입구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또 조리용기 하나만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후드는 벽 또는 천정 대신에 스토브 뒤쪽 바닥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어려울 수 있고, 또 유해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KR 10-0612464 B1은 승강가능한 배기 구동모터를 가지는 주방용 후드를 개시한다. 상기 후드와 흡입그릴은 쿡탑의 바로 위에 제공되어, 기름 찌꺼기가 다시 음식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증가하고 일측 사이드로부터 공기흡입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KR 10-1111077 B1은 주방용 후드가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후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센서를 활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주로 개시되어 있고, 센서를 어떤 구조로 주방용 후드에 설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KR 10-1721541 B1에는 스피커와 다양한 센서가 주방용 후드에서 사용되는데, 이들은 주방용 후드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별개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어, 주방용 후드의 외관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인용문헌들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세부사항, 특징 및/또는 기술적 배경의 적절한 교시를 위해 적절한 경우 이 명세서에 참조로서 일체로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에서 후드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에서 후드가 설치된 공간에 있는 사용자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주방용 후드에서 외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외부하우징의 일측에 외부슬릿을 두고 이 외부슬릿을 통해 공기질센서조립체의 동작을 위한 외부 공기가 외부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공기질센서조립체에 의한 공기질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동작과 관련된 내용을 소리신호로 제공하는 소리신호발생기가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로 소리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므로 사용자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공기질센서조립체와 소리신호발생기가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외부슬릿을 공유하므로 주방용 후드의 외관에 노출되는 구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정면, 배면, 상면, 그리고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정면, 배면, 상면 그리고 바닥면 사이에 좌측면과 우측면이 있고, 상기 배면이 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 외면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는 외부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을 둘러싸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슬릿이 상기 외부하우징을 관통하여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슬릿과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외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상기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내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내부하우징에 전면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로 소리신호를 전달하는 소리신호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슬릿과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외부로 소리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를 상기 외부통공과 연통되게 구획하는 구획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센서는 상기 외부슬릿을 공유하여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팬, 상기 출구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좌측 입구, 우측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하우징을 가지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는 제2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제2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제1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소리신호발생기; 상기 제1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 외면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소리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외부슬릿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외부통공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외부통공과 연통되는 각각의 내부통공이 상기 내부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와 소리신호발생기를 상기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 사이에는 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외부통공과 내부통공이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슬릿의 중간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외부슬릿의 양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외부슬릿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들은 상기 외부슬릿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들중 일부는 상기 외부슬릿의 양측 단부와 연통되는 각각의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는 적어도 일측면 외관을 구성하는 도어를 가지는 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소리신호발생기;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소리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외부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일측에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가 설치된 타측에는 상기 제3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외부슬릿은 2개가 상하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외부슬릿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슬릿의 중간부와 연통되게 제5외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슬릿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제1센서와 대응되는 제1외부통공, 제2센서와 대응되는 제2외부통공, 제3센서와 대응되는 제3외부통공과 제4외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5외부통공을 둘러서는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나온 소리신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구획벽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부통공을 둘러서는 상기 제3센서로 흡입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2구획벽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하우징에는 상기 제1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내부통공이, 제2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내부통공이, 상기 제3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내부통공이, 상기 제4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내부통공이, 상기 제5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5내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외부슬릿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내부하우징 내측에 공기질센서조립체를 두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로 전달되어 필요한 공기질이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질센서조립체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공기질을 측정하여 주방용 후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소리신호발생기를 내부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고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외부슬릿을 통해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발생된 소리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소리신호발생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주방용 후드에서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외부슬릿을 공기질센서조립체와 소리신호발생기가 공유하여 사용하므로,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 후드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으면서도, 주방용 후드의 동작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주방에 설치된 본 개시의 실시례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4a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보인 주방용 후드의 정면도.
도 4b는 주방용 후드의 내부와 공기흐름을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정단면도.
도 5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이고 흡입그릴이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주방용 후드의 측방향 사시도.
도 6은 주방용 후드가 주방 벽에 설치되는 방법을 보이는 주방용 후드와 브라켓의 측방향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브라켓에 결합된 주방용 후드의 측면을 보인 확대도.
도 8은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사시도.
도 9는 외부케이스의 제1하우징이 개방되고 연장된 상태에서 주방용 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주방용 후드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케이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슬라이딩조립체와 스팀청소조립체를 보이는 주방용 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연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정단면도.
도 13은 슬라이딩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분해사시도.
도 15는 슬라이딩조립체의 기어들을 보인 확대 조립사시도.
도 16은 슬라이딩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7은 스팀청소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18은 스팀청소조립체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9는 스팀청소조립체와 높이감지조립체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20은 스팀청소조립체와 높이감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좌우 흡입경로를 개폐하는 댐퍼들을 보인 도면.
도 22는 댐퍼들과 기어들의 확대도.
도 23a는 좌측댐퍼가 개방되고 우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3b는 우측댐퍼가 개방되고 좌측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4는 연장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정단면사시도.
도 25는 주방용 후드의 타측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주방용 후드에서 일측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주방용 후드에서 사용되는 공기질센서조립체와 소리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A부분 확대도.
도 29는 주방용 후드에서 사용되는 공기질센서조립체중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에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방용 후드(1)는 주변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직사각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외관은 금속 또는 유리-코팅된 금속 물질(예를 들어, 유리-코팅된 스텐레스 스틸 또는 브러쉬된 스텐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주방용 후드(1)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은 제1하우징(100)으로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주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운동은 상기 흡입그릴(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은 다르게는 각각 외부 및 내부 하우징 또는 케이싱으로 또는 각각 암하우징 및 수하우징으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흡입그릴(210)이 스토브표면 또는 상기 스토브 표면에 위치하는 팬, 냄비, 또는 다른 그릇(이하, '요리도구'라 한다)에 근접하도록 하강되게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되거나 주방용 후드(1)에 의해 감지된 팬의 높이 또는 연기의 양 또는 다른 가스에 근거해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끓는 물을 가진 소스 팬 또는 냄비가 상기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스토브에 제공되었을 때, 공기 중에 오일미스트와 같은 많은 오염물질이 있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제1하우징(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것이다. 기름 또는 다른 향기있는 음식 재료를 가진 프라이팬이 상기 주방용 후드(1) 하부의 스토브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프라이팬으로부터 발산된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해가스, 오일미스트, 및/또는 미세먼지)을 더 잘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대부분이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도 금속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주방용 후드(1)를 향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정면, 배면, 좌측면, 그리고 우측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쉘(Shells)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 내부에 결합되도록 제1 하우징(100) 보다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제2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을 거르도록 구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200)으로부터 해제 및 분리될 수 있고, 또 상기 주방용 후드(1)는 상기 흡입그릴(210)을 청소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추가적인 오염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식기세척기로 세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표면에는 상기 흡입그릴(210)이 상기 제2 하우징(200)과 결합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통공 또는 개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10a)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바닥 표면에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흡입그릴(210)은 상기 개구(21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측면 표면으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된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자석결합을 통해 제2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윈도우 블라이드와 유사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다수개의 곡선 또는 반원통의 슬랫(slats) 또는 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통의 슬랫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층 또는 그릴이 좌우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반원통의 슬랫의 제1 또는 내부 그릴과 반원통 슬랫의 제2 또는 외부 그릴을 보인다.
외부에서 보면, 반원통 슬랫의 상기 외부 그릴은 볼록 곡률을 가진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반원통 슬랫의 상기 내부 그릴은 반대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반원통 슬랫의 내부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반원통 슬랫의 외부 그릴의 전후 횡단면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은 상기 외부 그릴의 반원통 슬랫과 교대로 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210)의 형상은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오일 또는 미세먼지)을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3a 및 도 23b를 참고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에 위치된 상기 흡입그릴(210)은 좌측 흡입그릴(210L)로 불리워질 수 있고 또 상기 제2하우징(200)의 우측면에 위치된 흡입그릴(210)은 우측 흡입그릴(210R)로 불리워질 수 있다. 각각의 좌측 곡면부(652L)와 우측 곡면부(652R)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형성된 홈 또는 내부 공간(652a)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홈(652a)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 표면에 형성된 개구(210a)와 연통될 수 있다. 좌측 흡입그릴(210L)의 상부는, 좌측 곡면부(652L)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좌측 곡면부(652L)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우측 흡입그릴(210R)의 상부는 상기 우측 곡면부(652R)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는 우측 곡면부(652R)의 홈(652a)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a에서 도 5를 참고하면, 팬(300)이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에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부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의 형태, 위치 및 방향은 상기 흡입그릴(21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팬(300)을 향해 상승되고, 그리고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상부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또는, 만약 상부 배출이 불가능하다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주방용 후드(1)의 배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흡입그릴(210)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주방용 후드(1)는 브라켓(2)을 통해 주방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벽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10)의 배면은 상기 판(10)이 벽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벽에서 상기 판(10)이 이격되도록 공간을 구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또는 돌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0)는 상기 판(10)의 전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벽에 있는 비정상적인 곡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판(1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0)도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판(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통공이 상기 판(10)과 스페이서(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스페이서(40)는 다르게는 마운트라고 할 수 있다. 나사 또는 볼트가 상기 판(10)을 벽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통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수개의 스페이서(40)가 상기 판(10)이 다수개의 위치에서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 후크(30)가 상기 판(10)의 정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30)는, 상기 판(10)과 상기 브라켓 후크(30)가 일체로 되도록 상기 판(10)의 일부를 절단하고, 선택적으로 그 부분을 가열하고, 그리고 그 부분을 상부로 절곡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브라켓 후크(30)는 별도로 만들어지고 이 후에 상기 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의 후크(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20)는 상기 브라켓(2)의 브라켓 후크(30)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30)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되지만, 상기 제1하우징(100)에 장착된 상기 후크(20)는 상기 브라켓 후크(30)에 걸어지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향될 수 있다. 상기 후크(20)는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좌우방향으로 대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수개의 후크(20)가 다수개의 상기 브라켓 후크(30)에 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면 대신에 상기 제1하우징(100)의 배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에 흡입된 공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제공하도록 브라켓 후크(30)들 사이의 판(10)에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판(10)은, 브라켓 후크(30)가 아닌 개구들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후크(20)는 상기 개구들에 걸어질 수 있다.
도 8에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외부 케이스 또는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케이스 또는 내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최외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기 브라켓(2)에 장착되는 후크(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주변 공기에 있는 오염물(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연기, 먼지, 오일 또는 다른 유해한 물질과 가스들)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질센서조립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질 정보, 조명정보, 청소정보, 온도정보, 다른 동작 정보, 또는 사용자의 스팀청소 또는 흡입그릴(210) 분리를 위한 제안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디스플레이(130)에 대한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30)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마운트 또는 디스플레이 공간(130a)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에 힌지결합된 도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장착된 4개의 직사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114)를 통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된 패널(예를 들어 좌측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도어(111)를 폐쇄상태로 고정하는 후크 또는 레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113)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 모서리 및/또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외측 모서리에 있는 대응되는 홈이나 레치에 걸어지거나 클립핑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도어(111)는 자석결합을 통해 닫힘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을 형성하는 패널들은 곡면으로 된 모서리 부분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을 둘러싸도록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보다 약간 더 길고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서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외부 하우징(110)의 패널들은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대신에 힌지구조(114) 또는 힌지를 통해 외부 하우징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도어(111)는 내부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대신에 외부 하우징(110)의 다른 패널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런 힌지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112a)와 상기 개구(112a)에 인접하는 공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 내측의 장치들(예를 들어 상기 팬(300))은 외부 하우징(110) 상의 도어(111)를 개방함과 상기 개구(112a)를 통한 작업에 의해 수리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면은 상기 개구(112a)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12a) 주위에 형성된 공간(112b)을 밀봉하고 상기 개구(112a)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 또는 시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부 표면, 또는 적어도 상기 시일(112)은 고무, 쿠션, 또는 다른 소프트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돌출부(112)의 길이, 폭, 및 깊이치수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기 공간(112b) 및/또는 개구(112a)의 길이, 폭, 그리고 깊이치수와 같거나 약간 작다. 상기 도어(111)가 닫힐 때,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개구(112a)를 덮을 수 있고, 또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이 상기 개구(112a)를 통해 스며드는 것과 상기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잡혀 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측면들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 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 또는 압입)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41,142)은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41)은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된 금속 또는 딱딱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2상부프레임(142)은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의 바닥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결합된 고무 또는 다른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부 프레임(142)은 제2 하우징(200)의 상부를 위한 시일, 가스켓 또는 쿠션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은 통공 또는 개구(141a)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상부프레임(142)은 통공 또는 개구(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141,142)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의 상기 개구(141a,142a)는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통해 버려지거나 배출될 수 있다. 외부 배출 덕트나 튜브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140a)와 연통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배출 그릴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가 상기 개구(141a)(142a)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전선 통공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41)과 제2 상부프레임(142)에 형성되어 전선을 통해 상기 팬(300), 공기질 센서조립체(500), 디스플레이(130), 센서조립체(700), 슬라이딩 조립체(400), 그리고 스팀청소조립체(600)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위치된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부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241,242)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예를 들어, 압입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241,242)은 제2 하우징 상부 프레임(240)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42)은 상기 제2 하우징(200)에게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림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41)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42)의 상부에 위치된 홈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41)은 상기 제1 하우징(100)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쿠션, 시일, 또는 가스켓으로 역할하도록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 또는 쿠션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하우징 상부 프레임(240)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 프레임(140)에 접촉할 수 있고, 또 충돌 또는 접촉 중에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제2 상부프레임(142)은, 밀봉을 형성하고 또 공기, 스팀, 먼지, 또는 다른 이물질이 상기 제1과 제2하우징(1000,2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흡입된 공기 또는 스팀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상부 하우징(241)의 림이 위치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상부 프레임(241,242)은, 팬하우징(310)이 상기 상부 프레임(241,242)을 통과하도록 하고 또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41,142)의 개구(141a,142a)의 외부로 팬(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큰 통공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방사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팬(300)은 직선 방사형 팬, 전방 곡선팬 또는 후방 곡선팬일 수 있다. 상기 팬(300)은 상기 팬(300)의 축방향이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팬(300)은 팬하우징(3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은 공기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 상기 팬(3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에서 상기 제2 상부프레임(14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 상부프레임(141)은 상기 상부를 더 밀봉하기 위해 제2 상부프레임(142)의 상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300)과 팬하우징(310)의 방향은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개구(141a,142a)를 통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부 배출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상부 개구(140a)를 폐쇄하도록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고, 또 배면 어댑터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후방을 통한 배출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팬을 보호하고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팬(3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 상부 프레임(140)의 제1 및 제2 개구(141a,142a)의 좌우길이와 전후 길이보다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길이에서 더 클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슬라이딩조립체(400)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4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외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과 제1레일(420) 쌍의 위치와 갯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 슬롯 또는 가이드 내외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 및 제2 레일(410,420)은 다르게는 각각 암,수레일로 불리워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410) 주변을 슬라이드 하는 홈, 슬롯 또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상기 제1 하우징(100)에 대해 상기 제2하우징(200)을 자동적으로 승강하기 위한 구동조립체(450)(예를 들어, 모터, 엑츄에이터, 공압 또는 유압 펌프, 또는 랙과 피니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는 구동조립체(450)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조립체(450)의 동작은 공기질센서조립체(500) 또는 센서조립체(700)(도 11)에 의해 감지된 것, 스팀청소동작의 시작에 근거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근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일(410)의 상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너무 많이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하우징 상단 프레임이 부딪힐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또는 상기 팬하우징(310)과 응축수가이드(65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턱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단단한 바아(solid bar)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추가의 상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레일(410)의 스톱퍼와 충돌하도록 구성된 단단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10)의 하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을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은 상기 제2레일(420)(예를 들어 측면에서)의 상방향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의 상부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420)의 하부에 위치된 턱에 걸어지도록 구성된 후크 또는 돌출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조립체(450)는 상기 제1레일(410)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인 상기 내부케이스(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제1레일(410) 사이의 배면에 또는, 다른 예로서,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제1레일(410)의 근처에) 상기 구동조립체(450)는 상기 제1레일(410)의 측면에 결합된 하우징(45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여기에 추가로, 구동조립체(450)는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측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제2하우징(200)을 승강하도록 구성된 구동원(453)(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터, 엑츄에이터, 또는 유압 또는 공기압 펌프)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동원(453)은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모터(453)는 상기 기어(452)에 결합된 축 또는 피니언을 회전할 수 있다. 랙(451)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 모터(453), 기어(452), 그리고 랙(451)의 위치는 상기 기어(452)가 상기 랙(451)과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452)는 외부 원주면에 형성된 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랙(451)은 상기 기어(452)의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홈 또는 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453)가 제1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상기 기어(452)를 회전할 때, 상기 기어(452)의 치는 상기 랙(451)의 치를 아랫방향으로 누를 수 있고, 또 상기 제2 하우징(200)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모터(453)가 상기 기어(452)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기어(452)의 치는 상기 랙(451)의 치를 상방향으로 밀고, 또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승 또는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랙(451)의 상부 또는 하부단부는 상기 랙(451)이 상기 기어(452)와 결합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추가의 턱 또는 스톱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상승과 하강이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되도록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기어(45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2개의 모터(453)가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기어(452)의 속도가 일치하고 상기 구동조립체(450)의 무게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상기 모터(453)가 각 기어(452)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2개의 기어(452)와 2개의 랙(451)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수개의 기어(452), 랙(451) 및/또는 모터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더 나은 고정과 지지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단지 하나의 랙(451), 하나의 기어(452) 및 하나의 모터(453)만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은 직사각형의 바아 또는 돌출부(231)와 상부 턱(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의 좌측과 우측 면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바아(231)와 상기 2개의 바아(231)의 상부에 2개의 상부 턱(23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아(231)와 상부 턱(232)의 숫자는 상기 제2레일(420)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20)은 상기 제2레일(420)의 상부가 상기 상부 턱(23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턱(232)의 하부에서 상기 바아(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레일(410)의 상부에 스톱퍼 또는 턱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레일(410)의 스톱퍼 또는 턱은 상기 주방용 후드(1)가 완전히 짧아지거나 작아진 상태일 때 상기 상부 턱(23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턱(232)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레일(420)의 전후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턱(232)의 좌우 길이는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레일(410)에 형성된 홈의 좌우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랙(451)은 상기 바아(231)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랙(4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452)는 상기 랙(451)과 정렬하도록 상기 하우징(454)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기어(452)를 덮을 수 있고 또 상기 제1레일(410)과 결합하도록 상기 바아(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54)은 상기 기어(452)가 상기 랙(451)과 결합하게 노출되는 선단 개구 또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4)은 추가적으로 좌측면과 우측면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추가의 기어커버(452a)가 상기 기어(452)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어(452)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기어(45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지 않아서 상기 바아(231) 및/또는 제1 레일(410)이 상기 기어(452)와 기어커버(452a)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는다. 다르게는, 만약 상기 하우징(454)이 내부 케이스(120)의 배면 내부에 주로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바아(231)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일(410)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상기 기어커버(452a)는 상기 하우징(454)의 측면과 동일평면으로 된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조립체(400)의 하우징(454)은 추가된 지지를 위해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설치브라켓에 더 밀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 케이스(110)의 내면에 고정되게 상기 내부케이스(12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20)는 상기 제2하우징(200)에 고정된 랙(451)과 상기 기어(452)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454)이 돌출하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6이 상기 하우징(454)의 아래에 위치된 후크(20)를 보이지만,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후크(20)는 상기 하우징(454)을 보다 잘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454)의 무게중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 또는 외부 하우징(110)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표면 또는 우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5와 도 26에는 내부하우징(120)의 우측면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공기중에 있는 먼지, 오일, 연기, 냄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그리고 다른 유해한 가스 또는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높이 조절, 팬(300)의 동작, 및/또는 스팀청소동작은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 먼지, 연기, 오일, 등이 상기 공기질 센서조립체(500)에 도달하도록 개구 또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일측 외면에 외부슬릿(5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은 외부하우징(110)의 관통하여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외면으로 외부의 공기 등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좌측과 우측면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좌측과 우측에서의 오염수준을 비교함에 의해 스토브 상에 요리도구의 어느 쪽이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조립체(700) 및/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로부터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요리도구에 가장 인접한 댐퍼(660)는 개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요리도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댐퍼(660)는 상기 요리도구에 더 밀접한 흡입동작을 증가시키기 위해 폐쇄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가 설치되는 구조는 도 25에서 도 29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상기 제2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물, 세제, 화학물질, 또는 다른 세정액이 삽입될 수 있는 액체저장용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정기적인 시간간격으로, 조리 후,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바닥에 형성된 용기가이드(611) 내에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인 용기통로(220a)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선단프레임 또는 플레이트(613)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선단프레임(613)은 상기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고 또 폐기될 액체저장용기(610)로 응축수를 복귀시키는 것을 안내하게 구성된 응축수 가이드 또는 수집기(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 도 20을 참고하면, 액체저장용기(610)는 상기 용기가이드(611) 내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좌우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좌우 길이를 가지는 통로를 정의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자 형(또는 다르게는 U-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상부개구를 가지는 직사각형 용기(또는 다르게는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리드(614)가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상부 개구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614)는 스팀청소중에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614)는 상기 리드(614)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경사진 경사부일 수 있는 가이드(614a)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614a)의 하부 또는 이에 인접하여 형성된 개구(614b)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614b)는 상기 가이드(614a)의 하부와 상기 리드(614)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14a)는 제2응축수통로(663a)의 하부와 연통될 수 있다(또 다르게는, 만약 액체가이드(663)가 분리되면, 제1 응축수통로(662a)의 하부와) 응축수 수집기(650)와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안내되고 모여진 응축수는 상기 가이드(614a)와 상기 리드(614)의 개구(614b)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전체 전면의 좌우길이 및/또는 상기 흡입그릴(21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 또는 우측면)은 공기가 흡입그릴(210)을 통해 효율적으로 흡입되고 제1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1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선단프레임(613) 및 커버(220)는 용기가이드(611)의 좌우길이보다 더 큰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손잡이(221)(예를 들어, 버튼 또는 홈)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선단프레임(613)은 상기 손잡이(221)의 배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가이드(611)로부터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221)를 당길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된 액체 저장용기(610)가 삽입되는 개구 또는 용기통로(220a)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제2하우징(200)이 하강되었을 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액체저장용기(610)를 2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하도록 추가의 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는 제1통 또는 액체분배기(610a)와 제2통 또는 응축수수집기(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610a)은 상기 스팀발생기(612)에 인접한 위치(즉, 후단에)에 제공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2통(610b)은 상기 리드의 가이드(641a)와 정렬되는 위치(즉, 선단에)에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은 상기 제1통(610a)에 채워질 수 있고, 반면에 응축수는 아래로 안내되어 상기 제2통(610b)에 모아질 수 있다.
상기 용기가이드(611) 또는 액체저장용기(61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 내에 위치된 액체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의 수위센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가이드(611)는 중량센서를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의 동작은 추가의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의 양에 근거할 수 있다. 스팀청소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에 충분한 양의 액체가 위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댐퍼(660)가 폐쇄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통(610a)의 후단은 개폐되도록 구성된 시일 또는 노즐(615)을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기(612)(예를 들어, 히터)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뒤에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의 뒤에 있는 용기가이드(6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612)는 상기 시일(61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개구(617a)를 가지는 돌출부(617)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일(615)은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초기 상태 또는 휴식상태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617)는 상기 시일(615)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시일(615)의 개구로 압입될 수 있고 또 상기 개구(617a)를 통해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부터 스팀발생기(612)로 액체가 들어가도록 한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시일(615) 또는 상기 개구(617)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되도록 구성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스팀청소 동안, 상기 스팀발생기(612)로 들어간 액체는 가열된다. 상기 스팀발생기(612)는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612)에서 발생된 스팀은 상기 튜브(671)로 올라가서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튜브(671)는 스팀이 상기 스팀분배기(670)로 들어갈 때 분산될 수 있도록 전후길이보다 긴 좌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는 다수개의 탭(651), 정면 및 배면 플레이트(653), 그리고 상부 개구에 의해 정의된 경사진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지는 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응축수 수집기(650)의 상부는 낙하하는 먼지, 오일, 또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를 통과하지 않도록 제2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의, 각각의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약간 작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수집기(650)는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응축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안내되는 개구(650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650a)는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도 21)의 개구와 연통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의 좌우 길이 및 전후길이와 같거나 짧은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 각각의 내부의 제1 응축수통로(662a)와 제2응축수통로(663a)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들어가게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수집된 응축수와 다른 액체를 안내하도록 선택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후단에서 선단으로 아래로 경사지거나, 및/또는 상기 개구(650a)가 위치된 곳에서 좌우측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의 정면과 배면은 직사각형 및/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각각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a, 653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의 정면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정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정면플레이트(653a)의 측면들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의 배면은 튜브 또는 파이프(671)를 위한 공간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제2하우징(2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파이프(671)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의 측면들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상부 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우길이가 감소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면과 배면플레이트(653)의 하부 단부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상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653b)는 상기 튜브(671)의 상단부가 상기 스팀분배기(670)에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의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스팀분배기(670)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부분의 하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654)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과 우측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좌측면 플레이트와 우측면플레이트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또는 사다리꼴 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좌우길이는 거꾸로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을 가져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줄어들므로, 가장 낮은 위치의 탭(651)은 가장 높은 탭(651)보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중앙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상기 탭(651)은 계단과 유사할 수 있고 또 상기 응축수가이드(650)의 정면 또는 배면 플레이트(65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또 상기 탭(651)들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서로 수직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상기 탭(651)들은 응축수를 아래로 안내하기 위해 약간의 하방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탭(651)들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바아들 또는 플레이트(653c)들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정면플레이트(653a)와 배면플레이트(653b)의 하부 부분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탭(651) 들은 상기 사이드바아(653c)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어, 상기 탭(651)들과 전체 응축수 가이드 또는 응축수 수집기(650)에도 견고성과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탭(651)의 상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65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탭(651)은 상기 응축수가이드(650) 및/또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바닥플레이트(655)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와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탭(651)들의 중앙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바아가 있을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가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댐퍼(660)와, 상기 댐퍼(660)를 회전하는 기어(6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축수통로(662a)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측에 위치한다.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655)는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된 통공 또는 개구(65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655)는 응축수가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로 낙하하고 결국 상기 액체저장용기(610)로 가도록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650a)를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추가의 액체가이드(663)가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용기가이드(6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추가의 제2 응축수통로(663a)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제1 응축수통로(662a)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액체가이드(66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와 응축수통로(662a)의 높이는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로부터 상기 용기가이드(611)에 삽입된 액체저장용기(610)로 연속적인 통로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는 댐퍼조립체(662) 하부에 위치된 상부 개구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하부는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액체가이드(66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면은 상기 댐퍼(660)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댐퍼(66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응축수통로(663a)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만약 상기 액체가이드(663)가 생략된다면,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는 상기 용기가이드(6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응축수는 폐기를 위해 액체저장용기(610)로 다시 들어가도록 상기 응축수가이드(650)의 개구(650a) 그리고 상기 댐퍼조립체(662) 및 액체가이드(630) 내부의 상기 제1 및 제2 응축수통로(662a,663a)를 통해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 액체가이드(663) 그리고 용기가이드(611)는 모두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내부표면은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응축수 가이드(650)의 하부에 내측으로 곡면으로 되는 곡면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652)는 잘못 전달된 응축수가 아래로 안내되도록 내측으로의 곡면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부(652)의 하부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곡면부(652)는 상기 흡입그릴(2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길러틴(guillotine), 루버, 또는 베인 타입)는 상기 곡면부(652)의 하부 부분과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와 제2하우징(2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정의된 흡입통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닫혔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기어(661)가 댐퍼(660)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할 수 있도록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661)를 둘러싸고 보호하기 위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추가의 벽 또는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댐퍼(660)의 개방정도는 스팀청소 동안 조절될 수 있고 또 상기 팬(300)은 스팀청소과정의 종료를 향해 상기 팬(300), 팬하우징(310), 그리고 내부 케이스(120)와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 상부로 스팀을 흡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댐퍼(660)는 흡입그릴(210)상의 잔류하는 오일과 먼지가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탭(651)을 통해 낙하는 잘못된 잔류물을 포획하도록 스팀청소 동안에 폐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댐퍼(660)는 상기 팬(300)이 작동되고 있을 때 공기 청소 또는 정화 동안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댐퍼(660)(도 21과 도 22)를 회전하는 모터와 기어(661)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외부 벽(666,667)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응축수가이드(662a)(도 21과 도 22)는 상기 기어(661)와 모터와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외부벽(666,667)의 내측 위치에서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벽(664,665)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벽(664,665)은 응축수가이드(650)의 바닥플레이트(655)의 선단과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하부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고, 또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는 상기 내부벽(664, 66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내부벽(664,665)은 상기 기어(661)와 모터를 낙하하는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댐퍼조립체(662)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17이 단면도를 보이지만, 도 18과 도 19는 상기 댐퍼조립체가 선단벽(662F)과 후단벽(662R)을 가져 상기 외부벽(666,667)과 상기 선단 및 후단벽(662F, 662R)이 직사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다. 상기 선단벽(662F)은 상기 내부벽(664,665)과 제1응축수통로(662a)(도 21)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도 21)는 상기 응축수수집기(650)의 바닥플레이트(655)에 있는 개구(650a) 하부의 댐퍼조립체(66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개구(650a)와 상기 제1응축수통로(662a)와 연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추가적인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낙하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1응축수 통로(662a)를 통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와 액체가이드(663)를 관통해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벽(666.667)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외부 좌측과 우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들은 닫혔을 때 상기 댐퍼(660)들의 상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측면의 곡면부(652)에 접촉하도록 상기 외부벽(666,667)의 하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을 도 21과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상기 흡입그릴(210)에서 팬(300)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개방, 부분적으로 개방, 그리고 폐쇄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동작중에, 상기 댐퍼(660)중 적어도 하나가 공기가 상기 팬(300)을 향해 상방으로 흡입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140)의 외부로 배출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스팀청소동작 동안, 상기 댐퍼(66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내부의 스팀을 고립시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상부 부분에 상기 스팀발생기(670)로부터 분배된 스팀을 유지하도록 처음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나중에 상기 팬(300)이 동작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는 힌지 또는 힌지구조(660a)를 통해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외부벽(666,66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는 상기 댐퍼(66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결합된 축일 수 있고, 또 상기 외부벽(666,667)의 선단과 후단 하부단부에 의해 정의된 브라켓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힌지(660a)는 상기 외부벽(666,667)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축 또는 핀 주위를 회전하는 중공 힌지 너클(knuckle)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조립체(662)에의 상기 댐퍼(660)의 결합은 힌지 구조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댐퍼(660)는 랙 또는 기어(668)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둥근호 모양(예를 들면, 반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랙(668)은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내부에 위치된 기어(661)의 외주에 위치된 치와 결합하는 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벽(666,667)은 상기 랙(668)이 삽입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661)는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는 댐퍼조립체(662)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된 좌측과 우측 기어(661)를 가질 수 있고, 또 각각의 기어(661)는 좌측기어와 우측기어(661)가 서로로 부터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그 자신의 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조립체(662)는 상기 모터를 스팀과 응축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터하우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모터하우징(예를 들어 도 17의 내부 벽(664,665)에 의해 형성된)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 또는 가이드가 상기 댐퍼(660)를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와 다른 잔류물을 모으기 위해 상기 힌지(660a) 아래의 위치에서 액체가이드(66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가이드(663)는 상기 댐퍼조립체(662)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댐퍼조립체의 좌우길이보다 약간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개구가 상기 힌지에 인접한 위치의 댐퍼(660)에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 및 우측벽은 상기 댐퍼(660)에 있는 슬릿의 위치보다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좌측과 우측벽의 내면은 상기 액체가이드(663)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돌출부, 경사면, 또는 터널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댐퍼(660)의 슬릿을 통해 낙하하는 응축수는 이들 가이드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들은 제2응축수통로(663a) 및/또는 리드(614)의 가이드(614a)로 연장되거나 및/또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댐퍼(660)의 상부면은 상기 슬릿을 향해 약간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될 수 있으며, 이는 배출구(drain)로도 불리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660)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도 23a와 도 23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좌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좌측기어(661L)로 불리울 수 있고, 우측에 위치된 기어(661)는 우측기어(661R)로 불리울 수 있으며, 좌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좌측댐퍼(660L)로 불리울 수 있고, 또 우측에 위치된 댐퍼(660)는 우측댐퍼(660R)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좌측댐퍼(660L)에 결합된 랙(668)은 좌측랙(668L)으로 불리울 수 있고, 상기 우측댐퍼(660R)에 결합된 랙(668)은 우측랙(668R)으로 불리울 수 있다.
댐퍼조립체(662)의 좌측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6)은 좌측 외부벽(666)으로 불리울 수 있고, 반면에 댐퍼조립체(662)의 우측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외부벽(667)은 우측 외부벽(667)으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좌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곡면부(652)는 좌측 곡면부(652L)로 불리울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우측 내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곡면부(652)는 우측 곡면부(652R)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동작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좌측랙(668L)은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배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우측랙(668R)은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정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와 우측기어(661R)는 상기 센서조립체(700) 및/또는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좌측모터에 결합된 좌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좌측 축과 좌측모터는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응축수통로(662a)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기어(661L)는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외부벽(666)은 상기 좌측 랙(668L)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 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랙(668L)은 상기 좌측 댐퍼(660L)를 회전하기 위한 좌측 기어(661L)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는 좌측댐퍼(660L)의 내면이 좌측 외부벽(666)의 외면을 보도록 상기 좌측 외부벽(666)에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도 21)에 대한 상기 좌측 댐퍼(660L)의 각도는,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상기 좌측 외부벽(666)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좌측 흡입통로가 제1 및 제2 하우징(100,200)의 좌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그 상부 부분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좌우길이는, 상기 좌측 댐퍼(660L)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외부 단부가 상기 좌측 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좌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댐퍼(660L)의 전후길이는 상기 좌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 및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후단에 위치된 우측모터에 결합된 우측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축은 상기 좌측 축보다 더 길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우측 축과 우측 모터는 상기 댐퍼조립체(662)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응축수 통로(662a)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우측 외부벽(667)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외부벽(667)은 상기 우측 랙(668R)이 삽입되는 선단측에 위치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우측랙(668R)은 상기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하기 위한 우측 기어(661R)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는 우측 댐퍼(660R)의 내부 표면이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우측 외부 벽(667)에 평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힌지(660a)(도 21)에 대한 상기 우측 댐퍼(660R)의 각도는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상기 우측 외부벽(667)의 외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우측 흡입통로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의 우측 내부 표면 사이와 중앙에 위치된 스팀청소조립체(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기어(661R)는 상기 우측 댐퍼(660R)를 닫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우측 곡면부(652L)를 향해 상기 우측 댐퍼(660r)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좌우길이보다 더 긴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우측 댐퍼(660R)의 좌우길이는, 상기 우측 댐퍼(660R)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우측 댐퍼(660R)의 외부 단부가 상기 우측흡입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우측 곡면부(652L)의 하부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댐퍼(660R)의 전후길이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과 후단 내부 표면 사이에서 상기 우측 흡입통로에 더 근접하도록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9, 도 23a 및 도 23b를 참고하여 스팀분배기(670)를 설명한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수평 횡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수평 횡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프레임과 유사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링(ring)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는 중공일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흡입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응축수가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것과의 간섭을 줄이도록 중앙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의 주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팬(300) 하부의 응축수수집기(650)의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65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응축수수집기(650)에 인접한 제2하우징(2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U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개구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정면을 향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 또는 샤워헤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형상과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소정 형상의 튜브 또는 채널(671)(도 13)은 상기 스팀분배기를 상기 스팀발생기(612)(도 19)에 연결할 수 있어 스팀이 상기 튜브(671)를 통해 스팀분배기(67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스팀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 또는 노즐(672)(도 16)을 가질 수 있다.
스팀은 상기 튜브(671)를 통해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스팀분배기(670)와 튜브(671)는 하나의 튜브 또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 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스팀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스팀을 모으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좌측과 우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선단 및 후단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측의 압력에 근거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탄성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노즐(672)들은 상기 스팀분배기(670)에 위치된 추가의 압력센서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밸브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스팀분배기(670)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수준이거나 더 높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노즐(672)들은 자동적으로 상기 스팀을 배출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스팀의 일부는 상기 팬(300), 팬하우징(310),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상승할 수 있고, 또 스팀의 일부는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 및/또는 제2하우징(200)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낙하할 수 있다.
스팀은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다른 낙하물(예를 들어, 먼지 또는 오일)은 제2하우징(200) 및/또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떨어지거나 또는 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응축수 수집기(65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는 상기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스토브 상에 있는 조리기구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의 높이조절 및/또는 상기 팬(300)의 동작은 상기 센서조립체(700)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주방용 후드(1)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 지도 감지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에 근거하여 광을 발산하거나 상기 팬(300)을 동작할 수 있다.
센서조립체(70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면은 상기 센서조립체(7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01)는 상기 주방용 후드(1)로부터 사용자 또는 다른 이동하는 물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702)는 상기 스토브 상에 놓여 있는 요리기구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는 카메라, 레이저센서, 레이다 센서, 열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조명(703)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703)은 다수개의 광발산다이오드(703a)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실시될 수 있다.(도 27) 상기 조명(703)의 동작은 상기 근접센서(701)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방용 후드(1)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근접센서(701)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주방용 후드(1)의 주변영역 또는 스토브를 비추기 위해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하여, 상기 조명(703)은 상기 높이센서(702)에 근거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높이센서(702)가 스토브 상에 위치된 요리기구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조명(703)은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상기 조명(703)은 스토브를 소독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광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살균조명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700)는 케이스 또는 커버(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704)의 바닥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고 또는 광확산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조명(703)에 의한 광이 상기 바닥면을 통해 나갈 수 있도록 배향되어 위치된다. 다르게는, 상기 커버(704)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조명(703)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투명, 반투명, 또는 확산렌즈가 상기 조명(703)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조명(703) 아래의 상기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704)의 후단 부분은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가 위치되는 센서마운트(7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경사질 수 있고, 상기 근접센서(701)는 수평방향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702)는 상기 주방용 후드(1) 아래의 스토브에 있는 요리도구를 감지하도록 아래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0는 레이더센서일 수 있고, 또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불투명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센서마운트(705)는 상기 근접센서(701)와 높이센서(702)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선택적인 투명커버가 상기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704)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화재비상조립체(80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바닥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재비상조립체(800)는 화재감지기(820)와 액체 또는 폼 호스 또는 노즐(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820)는 연기감지기, 가스감지기(예를 들어, 광이온화 검출기(photoionization detector) 또는 PID)), 또는 열감지기일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820)에 의해 감지된 연기 또는 열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을 때, 물, 폼, 또는 다른 소화제(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건조화학제, 습식화학제, 할로겐 또는 청정제, 또는 건조분말)가 상기 폼노즐(810)을 통해 아래에 분출될 수 있다. 상기 폼노즐(810)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후단 내측에 제공된 선택적인 액체대야(basin) 또는 폼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25에서 도 29를 참고하여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소리신호발생기 또는 스피커(550)가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스피커(550)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을 구성하는 도어(111)에는 단지 외부슬릿(5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은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상기 스피커(550)가 제1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은 상기 도어(111)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은 상기 도어(111)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길고 상하 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은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에서 여러 종류의 감지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외부슬릿(510)을 두고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미세먼지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미세먼지가 공기질센서조립체(500)로 들어가는 경로와 공기질센서조립체(500)를 지나서 나오는 경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외부슬릿(510)을 2개를 둘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슬릿(510)을 통한 외부와의 연통을 위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28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도어(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로 만들어져 도어(11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는 제1외부통공(51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외부통공(511)은 상기 외부슬릿(510)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것의 좌측(도어(111) 외면 기준) 부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외부통공(5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내부통공(521)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외부통공(511)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제2외부통공(51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외부통공(512)은 상기 외부슬릿(510)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의 좌측(도어(111) 외면 기준) 부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외부통공(5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내부통공(522)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의 우측(도어(111) 외면 기준)부분과 연통되도록 제3외부통공(513)이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외부통공(5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3내부통공(523)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것의 우측(도어(111) 외면 기준)부분과 연통되도록 제4외부통공(514)이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4외부통공(5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4내부통공(524)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슬릿(510)의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는 각각 제5외부통공(51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5외부통공(515)은 상부에 있는 외부슬릿(510)과 하부에 있는 외부슬릿(510) 모두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5외부통공(515)은 상기 제1 및 제2외부통공(511,512)과 제3 및 제4외부통공(513,514)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슬릿(51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5외부통공(515)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는 제1구획벽(5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벽(517)은 상기 제1 및 제2외부통공(511,512)과 제3 및 제4외부통공(513,514)의 사이에 해당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5외부통공(515)이 상기 제1에서 제4외부통공(511,512,513,514) 들과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제1구획벽(5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벽(517)의 선단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벽(517)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외면에 밀착됨에 의해 주변과 구획되어 상기 제5외부통공(515)을 통과하는 것이 주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3외부통공(513)을 둘러싸도록 제2구획벽(51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벽(519)도 상기 제1구획벽(517)과 같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제3외부통공(513)을 통과하는 것이 주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외부통공(513)외에 상기 제1외부통공(511), 제2외부통공(512), 제4외부통공(514)을 둘러싸도록 별도의 구획벽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구획벽(517,519)들은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나 스피커(550)의 동작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필요하고, 동작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6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에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슬릿(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에서 제5내부통공(521,522,523,524,5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통공(521)은 상기 제1외부통공(511)과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내부통공(521)이 원형으로 된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내부통공(521)은 상기 제1외부통공(5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통공(522)은 상기 제2외부통공(512)과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형으로 된 영역에 다수개의 제2내부통공(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통공(522)은 상기 제1내부통공(52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부통공(523)은 상기 제3외부통공(512)과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형으로 된 영역에 다수개의 제3내부통공(5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내부통공(524)은 상기 제4외부통공(514)과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형으로 된 영역에 다수개의 제4내부통공(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내부통공(524)은 상기 제3내부통공(523)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내부통공(525)은 상기 제5외부통공(515)과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형으로 된 영역에 다수개의 제5내부통공(5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는 공기질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가 제1센서(500a), 제2센서(500b)와 제3센서(50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500a)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iO2), 포름알데히드(CH2O 또는 HCH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블랙카본(BC) 또는 그을음, 및/또는 다순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의 양 또는 밀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500b)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가스의 양 또는 밀도(예를 들어, 백만분의 1 또는 PPM)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센서(500c)는 오일, 오일미스트, 먼지, 미세먼저 또는 다른 때(dirt) 또는 더께(grime)의 양 또는 밀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센서(500a)는 상기 제1내부통공(521)에 대응되는 내부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500b)는 상기 제2내부통공(522)에 대응되는 내부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500c)는 상기 제3내부통공(523)과 제4내부통공(524)에 대응되는 내부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센서(500c)는 상기 제3내부통공(52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감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4내부통공(52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흡입과 토출은 상기 제3센서(500c) 내에 팬이 있거나 상기 제3내부통공(523) 주변에 별도의 팬이 있어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5내부통공(525)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는 구획된 공간에 스피커(5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550)는 주방용 후드(1)의 동작과 관련하여 소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550)는 일반적인 스피커 외에 다양한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소리신호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550)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의 제1에서 제3센서(500a,500b,500c)들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스피커(500)의 배치는 상기 외부슬릿(510)을 스피커(550)와 공기질센서조립체(500)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하우징(120)에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스피커(500)가 노출되는 상기 제1에서 제5 내부통공(521,522,523,524,525)은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지 않고, 각각 하나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스피커(500)가 각각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에서 제5 내부통공(521,522,523,524,525)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에서 제5 내부통공(521,522,523,524,525)의 각각의 크기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의 제1에서 제3센서(500a,500b,500c) 및 상기 스피커(550)의 전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에서 제5 내부통공(521,522,523,524,525)과 관련된 구성은, 다르게는, 상기 제1에서 제3센서(500a,500b,500c)의 특성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서 제3센서(500a,500b,500c)가 감지하는 대상의 특징에 따라 상기 제1에서 제5 내부통공(521,522,523,524,525)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00a)는 상기 외부슬릿(510)중 상부의 것, 제1외부통공(511), 제1내부통공(521)과 연통되게 정렬되어,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슬릿(510)은 상기 스피커(550) 및 제3센서(500c)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500b)는 상기 외부슬릿(510)중 하부의 것, 제2외부통공(512), 제2내부통공(522)과 연통되게 정렬되어, 예를 들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500c)는 미세먼지 등을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하부의 외부슬릿(510), 제3외부통공(513), 제3내부통공(523)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제4내부통공(524), 제4외부통공(514), 상부의 외부슬릿(510)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3센서(500c)는 미세먼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센서(500c)에서의 감지를 위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부의 외부슬릿(510), 제3외부통공(513), 제3내부통공(523)을 통해 제3센서(500c)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외부통공(513)을 둘러서는 상기 제2구획벽(519)이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20)과 외부하우징(110) 사이의 틈새로 흡입된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제3센서(500c)로 직접 들어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센서(500c)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상기 제4외부통공(514)과 제4내부통공(5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구획벽(519)을 상기 제4외부통공(514)을 둘러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550)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상기 외부슬릿(510)을 공유하여 사용하지만, 상기 외부슬릿(510)에 연통되는 제5외부통공(515)과 상기 제5외부통공(515)과 연통되는 상기 제5내부통공(525)은 상기 제1구획벽(517)에 의해 주변과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스피커(550)에서 나온 소리신호는 상기 내부하우징(120)과 외부하우징(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지 않고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상기 외부슬릿(510)을 통해 외부로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550)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 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가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좌우와 후방이 둘러싸여 질 수 있다. 특히 스피커(550) 후방이 잘 폐쇄되어 있어서 저역대의 스피커 음압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획벽(517)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스피커(550)의 전방으로 나오는 소리신호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5내부통공(525)과 제5외부통공(515) 그리고 상기 외부슬릿(51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고역대의 스피커 음압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피커(55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스피커(550)의 일측에 제1센서와 제2센서(500a,500b)가 있고, 타측에 제3센서(500c)가 있도록 배치되고, 2개의 외부슬릿(510)을 스피커(550)와 공기질센서조립체(500)가 공유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외부슬릿(510)을 하나만 두고 중심에 스피커(550)를 설치하고 상기 스피커(550)를 기준으로 일측에 제1센서(500a)와 제2센서(500b)를 차례로 배치하고 타측에 제3센서(500c)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차례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외부슬릿(510)의 좌우로 연장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외부슬릿(510) 3개를 상하로 나란히 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외부슬릿(510)의 일측 단부를 스피커(550)와 연통되게 하고, 타측 단부를 제1센서(500a) 및 제2센서(500b)와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외부슬릿(510)의 일측 단부는 제3센서(500c)의 흡입측으로 타측 단부는 토출측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외부슬릿(510)은 갯수가 3개 이지만 좌우로 연장된 길이는 도시된 실시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공기질센서조립체(500)와 소리신호발생기인 스피커(550)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슬릿(510)을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의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들 만이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성의 주방용 후드(1)에서 상기 스피커(550)를 제거한 상태로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는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PCB)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어기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또는 제3센서(500a,500b,50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장치 또는 모바일 또는 웹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적인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스토브, 외부 공기정화기, 또는 다른 스마트 장비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로부터 정보를 받거나 및/또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500)의 통신모듈로 공기질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300)의 동작은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양들과 밀도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양 또는 밀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제2, 그리고 제3 양들과 밀도보다 각각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팬(300)이 켜지거나 또는 상기 팬(300)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팬속도 양 만큼씩 증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팬(300)의 속도는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에 의해 감지된 양 또는 밀도들에 비례해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의 양 또는 밀도는 총 오염수준을 계산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고, 또 팬(300)의 속도는 계산된 총 오염수준에 비례해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과 계산된 총 오염수준의 비교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팬(300)의 속도가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증가할 때, 상기 팬(300)은 공기정화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 제2, 그리고 제3센서(500a,500b,500c)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공기 유동을 최적화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가 완료된 이후이고 요리도구가 없을 때, 상기 제2하우징(200)은 하강할 수 있고 또 상기 팬(300)은 잔류하는 오염물을 줄이도록 미리 정해진 속도, 예를 들어 최대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만약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 주방에서 감지되었다면,(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조리 또는 구이 동안에) 상기 제2하우징(200)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하강할 수 있고(예를 들어 최대 량) 또는 상기 팬(300)은 주방에 있는 장치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배출하고 및/또는 집안의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속도(예를 들어 최대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0376) 비록 실시례들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많은 변경과 실시례들이 이 개시의 원리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도록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개시,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조합 구성의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추가로, 당업자에게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배열, 대안적인 사용에서 변형 및 수정이 명백할 것이다.
1: 주방용 후드 2: 브라켓
20: 후크 30: 브라켓후크
40: 돌출부 100: 제1하우징
110: 외부하우징 111: 도어
112: 돌출부(시일) 112a: 개구
112b: 공간 113: 레치
114: 힌지 116: 선단패널(선단판)
117: 상부패널(상부판) 118: 측패널(측판)
119: 하부패널(하부판 119a: 하부개구
120: 내부하우징 121: 외부벽
122: 내부벽 130: 디스플레이
131: 인쇄회로기판 132: 엘이디
133: 관통공 140: 제1하우징 상부프레임
140a: 상부개구 141: 제1상부프레임
141a: 개구 142: 제2상부프레임
142a: 개구 152: 플랜지
152a: 후크 160,160': 선단내부케이스
161: 지지턱 161a: 지지돌출부
162: 턱 165: 커버
165a: 스위퍼개구 165b: 개구
200: 제2하우징 210: 흡입그릴
210a: 개구 220: 전면플레이트
221: 손잡이 230: 도어
231: 바아 232: 상부턱
240: 제2하우징 상부프레임 241: 제1상부프레임
242: 제2상부프레임 250: 후면플레이트
260: 전면플레이트 300: 팬
300a: 팬통공 310: 팬하우징
400: 슬라이딩조립체 410,410': 제1레일
420,420': 제2레일 450: 슬라이딩조립체
451: 랙 452: 기어
452a: 기어커버 453: 모터
454: 하우징 500: 센서조립체
510: 외부슬릿 511: 제1외부통공
512: 제2외부통공 513: 제3외부통공
514: 제4외부통공 515: 제5외부통공
517: 제1구획벽 519: 제2구획벽
521: 제1내부통공 522: 제2내부통공
523: 제3내부통공 524: 제4내부통공
525: 제5내부통공 550: 스피커
600: 스팀청소조립체 610: 액체저장용기
610a: 제1통 610b: 제2통
611: 용기가이드 611": 용기프레임
612, 612': 스팀발생기(히터)
613: 선단프레임 614: 리드
614a: 가이드 614b: 개구
615,615': 시일 615": 시일
617: 개구 617a: 개구
650: 응축수수집기 650a: 개구
651: 탭(플레이트) 652: 곡면부
652R: 우측곡면부 652L: 좌측곡면부
652a: 홈 653: 정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
653a: 정면플레이트 653b: 배면플레이트
653c: 사이드바아 655: 바닥플레이트
654: 측면플레이트 660: 댐퍼
660L: 좌측댐퍼 660R: 우측댐퍼
660a: 힌지 661: 기어
661L: 좌측기어 661R: 우측기어
662: 댐퍼조립체 662F: 선단벽
662R: 후단벽 662a: 제1응축수통로
663: 액체가이드 663a: 제2응축수통로
664: 내부벽 665: 내부벽
666: 외부벽 667: 외부벽
668: 랙 668L: 좌측랙
668R: 우측랙 670: 스팀분배기
671: 튜브(파이프) 또는 채널
672: 노즐 680a: 레일
680b: 레일 700: 센서조립체
701: 근접센서 702: 높이센서
703: 조명 703a: 광발산다이오드
704: 커버 705: 센서마운트
800: 화재비상조립체 810: 노즐
820: 화재감지기

Claims (23)

  1. 정면, 배면, 상면, 그리고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정면, 배면, 상면 그리고 바닥면 사이에 좌측면과 우측면이 있고, 상기 배면이 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 외면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는 외부슬릿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을 둘러싸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슬릿이 상기 외부하우징을 관통하여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슬릿과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외부통공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상기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내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통공과 연통되는 주방용 후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에 전면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로 소리신호를 전달하는 소리신호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슬릿과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외부로 소리신호를 전달하는 주방용 후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를 상기 외부통공과 연통되게 구획하는 구획벽이 더 구비되는 주방용 후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센서는 상기 외부슬릿을 공유하여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받는 주방용 후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팬, 상기 출구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좌측 입구, 우측 입구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0.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하우징을 가지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입출되는 제2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제2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제2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제1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소리신호발생기;
    상기 제1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 외면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소리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슬릿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릿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릿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외부통공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외부통공과 연통되는 각각의 내부통공이 상기 내부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와 소리신호발생기를 상기 외부슬릿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는 주방용 후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 사이에는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통공과 내부통공이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주방용 후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외부슬릿의 중간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외부슬릿의 양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주방용 후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신호발생기는 상기 외부슬릿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들은 상기 외부슬릿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는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주방용 후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센서들중 일부는 상기 외부슬릿의 양측 단부와 연통되는 각각의 외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주방용 후드.
  17. 적어도 일측면 외관을 구성하는 도어를 가지는 하우징;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입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센서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소리신호발생기;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소리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외부슬릿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조립체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일측에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리신호발생기가 설치된 타측에는 상기 제3센서가 설치되는 주방용 후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릿은 2개가 상하로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외부슬릿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슬릿의 중간부와 연통되게 제5외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슬릿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제1센서와 대응되는 제1외부통공, 제2센서와 대응되는 제2외부통공, 제3센서와 대응되는 제3외부통공과 제4외부통공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외부통공을 둘러서는 상기 소리신호발생기에서 나온 소리신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구획벽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외부통공을 둘러서는 상기 제3센서로 흡입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2구획벽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하우징에는 상기 제1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내부통공이, 제2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내부통공이, 상기 제3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내부통공이, 상기 제4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내부통공이, 상기 제5외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5내부통공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릿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KR1020200110388A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KR20220028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88A KR20220028835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88A KR20220028835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35A true KR20220028835A (ko) 2022-03-08

Family

ID=8081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88A KR20220028835A (ko) 2020-08-31 2020-08-31 주방용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8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010B2 (en) Self-cleaning kitchen hood
KR20210050429A (ko) 주방용 후드
US10480798B2 (en) Recirculating downdraft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11236913B2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KR20140131626A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US20110146657A1 (en) Duct free re-circulating downdraft exhaust accessory
KR20220028833A (ko) 주방용 후드
CN112361402B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US20120083198A1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20060026333A (ko) 주방용 배기장치
KR101450558B1 (ko) 후드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US20220154944A1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KR20220028834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CN109780608B (zh) 吸油烟机
KR20220040746A (ko) 주방용 후드
CN205037364U (zh) 一种排烟口可调的集成灶
KR20220049799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28835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40078A (ko) 주방용 후드
KR20220029846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JP2005106374A (ja) オープンキッチン用の排気装置
US20220065463A1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KR20220029847A (ko) 주방용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2109A (ko) 배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