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333A - 주방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333A
KR20060026333A KR1020040075211A KR20040075211A KR20060026333A KR 20060026333 A KR20060026333 A KR 20060026333A KR 1020040075211 A KR1020040075211 A KR 1020040075211A KR 20040075211 A KR20040075211 A KR 20040075211A KR 20060026333 A KR20060026333 A KR 2006002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od
guide member
air curtai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573B1 (ko
Inventor
송성배
손상범
이제준
백승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573B1/ko
Priority to EP04106777A priority patent/EP1637810A1/en
Publication of KR2006002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소 가스, 연기, 미세 오일, 에어로졸 등의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는 주방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인지의 상측에 설치되며 오염공기가 흡입/유출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내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후드의 공기 흡입측에 장착되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여과수단과, 상기 후드에 구비되며 상기 후드의 흡입측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측으로 유도하도록 공기를 분사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를 제공한다.
후드, 유도, 에어 커튼 분사수단, 에어 커튼 유로, 공기 방향 안내부재

Description

주방용 배기장치{EXHAUST DEVICE FOR KITCHEN}
도 1은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의 설치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로서,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여과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레인지 200 : 후드
230,240 : 에어 커튼 유로 400 : 송풍수단
600 : 여과수단 700 : 공기분사수단
800 : 공기 방향 안내부재 810 : 원통체
811 : 분사 슬릿 900 : 구동모터
본 발명은 주방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소 가스, 냄새, 미세 오일 등의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레인지(range) 상부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포함한 각종 냄새 및 수증기와 레인지(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사용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배기장치는 나쁜 가스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의 흡입을 도울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악취방지 및 온도조절의 효과가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의 설치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는, 가스 레인지나 쿡 탑 등의 레인지(1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레인지(1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 벽(mounting wall)(W1) 등에 설치되는 후드(hood)(200)와, 상기 레인지(100)의 상면과 대면되는 후드(200)의 입구측, 즉 흡입측에 장착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입자와 에어로졸 상태의 입자를 제거시키는 그리이스 필터(grease filter)(300)와, 상기 후드(200)의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흡입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400)과, 상기 후드(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후드(20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드(200)는 하부 면적이 크고 상부 면적이 작으며 내부가 관통된 포집 케이스부(210)와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송풍수단(400)이 장착되는 장착 케이스부(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211)과, 그 전면(211)의 양측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양측면(212)과, 그 양측면(212)을 연결하는 후면(213)과, 내부에 관통구멍(215)이 형성된 하면(2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의 하면(214)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측이 되고 상부는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측이 된다.
상기 그리이스 필터(300)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포집 케이스부(210)의 하면(214) 관통구멍(215)을 차단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송풍수단(400)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그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그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송풍팬(410)으로서는 원심 팬이 사용된다.
이하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는 레인지(10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수단(400)을 구성하는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가 작동하게 되 고 그 모터의 작동에 의해 송풍팬(41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 즉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레인지(10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대류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송풍팬(41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후드의 포집 케이스부 하면(214)에 장착된 그리이스 필터(300)를 거쳐 그 포집 케이스부(210)내로 흡입된다.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내에 흡입된 오염공기는 송풍팬(410)과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이때 상기 오염공기가 그리이스 필터(3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입자와 에어로졸 상태의 입자 등이 그리이스 필터(30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주방용 배기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흡입면 근처에 위치하는 오염공기만이 쉽게 흡입면을 통해 흡입되어 배기관(50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지만, 그 흡입면에서 멀리 위치하는 오염공기는 후드(200)의 흡입면을 통해 흡입되지 못하고 실내에 잔류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송풍팬(41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상기 흡입면을 기준으로 하여 레인지(100)까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게 저하되므로 흡입면에서의 흡입력이 크게 작용하여도 레인지(100)까지의 거리가 멀게 되면 레인지(100)측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면으로 흡입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후드(200)로 흡입되지 못한 오염공기가 후드(200)의 하면(214) 주연부측 을 따라 전방 사용자 측으로 확산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오염공기가 실내에 잔류됨에 따라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소 가스, 냄새, 미세 오일 등의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인지의 상측에 설치되며 오염공기가 흡입/유출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내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후드의 공기 흡입측에 장착되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여과수단; 상기 후드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의 흡입측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측으로 유도하도록 공기를 분사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 커튼은 일정 범위에서 각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후드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와; 상기 에어 커튼 유로에 연결되게 장착되어 상기 에어 커튼 유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수단과;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 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에어 커튼 유로내에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가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두개의 곡면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커튼 유로는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를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환봉체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분사 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수단은 후드의 하면인 흡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의 배출측의 일부와 상기 후드의 흡입측을 테두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수단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와;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에어 커튼 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로서,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여과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배기장치는, 레인지(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후드(200)와, 상기 후드(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그 후드(200)내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400)과, 상기 후드(200)에 구비되며 그 후드(200)의 흡입측 외부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측으로 유도하도록 공기를 분사시켜 에어 커튼(air-curtain)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과, 상기 후드(200)의 공기 흡입측에 장착되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여과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후드(200)의 상부에는 후드(20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500)이 연결된다.
상기 후드(200)는 하부 면적이 크고 상부 면적이 작으며 내부가 관통된 포집 케이스부(210)와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송풍수단(400)이 장착되는 장착 케이스부(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와 장착 케이스부(220)는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211)과, 그 전면(211)의 양측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양측면(도시하지 않음)과, 그 양측면을 연결하는 후면(213)과, 내부에 관통구멍(215)이 형성된 하면(2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의 하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측이 되고 상부는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측이 된다.
아울러 상기 후드(200)의 형상은 원뿔형태, 직사각형(chimney)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송풍수단(400)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송풍팬(410)으로서는 원심 팬이 사용된다.
상기 여과수단(600)은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그리이스 필터로서, 상기 그리이스 필터는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의 하면(214) 관통구멍(215)을 차단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후드(200)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가 후드(200)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230)와, 상기 에어 커튼 유로(230)에 연결되게 장착되어 에어 커튼 유로(23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후드(200)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수단(700)과, 상기 후드(200)의 흡입측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230)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 커튼 유로(230)는 후드(200)의 포집 케이스부(210)의 내부에 전면(211) 벽 내부와 양측면 벽 내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포집 케이스부(210)의 전면(211) 벽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튼 유로(230)의 유입측은 외부와 연통되고 분사측은 후드 포집 케이스부(210)의 흡입측인 하면(214) 테두리에 형성되는 바, 상기 에어 커튼 유로(230)의 분사측은 포집 케이스부(210)의 흡입측인 하면(214)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포집 케이스부(210)의 하면 앞측 테두리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200)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에어 커튼 유로(230)의 내부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 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공간(231)의 내벽에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두개의 곡면벽(23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환봉체(810)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분사 슬릿(811)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분사 슬릿(81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231)의 내벽에 형성된 곡면벽(232)의 곡률은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환봉체(810) 외주면 곡률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각의 범위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환봉체(810)를 감싸는 곡면벽(232)의 면적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일측에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바,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기키는 구동모터(900)와, 이 구동모터(900)의 구동력을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두개의 피니언기어(910)가 사용되었지만 벨트 및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모터(900)의 동력이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에 직결식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 며 형성되는 에어 커튼이 일정 범위에서 각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 커튼은 70도(후드 저면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바깥측으로 30도, 흡입측으로 40도) 범위 내에서 각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레인지(100)의 폭 및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수용공간(231)내에 일정 각도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분사 슬릿(811)을 통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을 일정 각도로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기분사수단(700)은 송풍팬(710)과, 이 송풍팬(710)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여과수단(600)의 변형예로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수단(600)은 후드(200)의 하면(214)인 흡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수단(600)은 일정 면적을 갖는 그리이스 필터로서, 이 그리이스 필터와 함께 후드의 흡입면을 형성하는 하면은 그리이스 필터와 경사지게 결합되며, 이와 같이 상기 여과수단(600)이 흡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됨에 따라 오염공기가 효과적으로 후드(200)의 흡입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의 변형예로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송풍수단(400)의 배출측의 일부와 상기 후드(200)의 흡입측인 하면(214) 테두리를 연통시켜 그 송풍수단(400)의 배출측으로 배 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후드(200)의 하면(214)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240)와, 상기 후드(200)의 흡입측인 하면(214)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240)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어 에어 커튼 유로(24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 커튼 유로(240)는 후드(200)를 형성하는 전면(211) 벽과 양측면 벽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배관을 통해 후드(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200)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에어 커튼 유로(24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공간(241)의 내벽에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두개의 곡면벽(24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환봉체(810)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분사 슬릿(811)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분사 슬릿(81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241)의 내벽에 형성된 곡면벽(242)의 곡률은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환봉체(810) 외주면 곡률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각의 범위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환봉체(810)를 감싸는 곡면벽(242)의 면적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일측에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바,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기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서는 피니언기어 또는 벨트 및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모터의 동력이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에 직결식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며 형성되는 에어 커튼이 일정 범위에서 각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 커튼은 70도(후드 저면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바깥측으로 30도 흡입측으로 40도) 범위 내에서 각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레인지(100)의 폭 및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를 수용공간(241)내에 일정 각도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분사 슬릿(811)을 통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을 일정 각도로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배기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는 레인지(10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작동시 키게 된다.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송풍수단(400)을 구성하는 모터가 작동하게 되고, 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송풍팬(41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 즉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공기분사수단(700)을 구성하는 모터와 송풍팬(710)이 작동하게 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지(10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대류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송풍팬(41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후드(200)의 포집 케이스부 하면(214)에 장착된 여과수단(600)인 그리이스 필터(300)를 거쳐 그 포집 케이스부(210)내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수단(700)을 구성하는 모터와 송풍팬(71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에어 커튼 유로(230)와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를 통해 분사되면서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되며, 이 에어 커튼은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회전에 따라 후드(200)의 흡입면 외부에서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그 후드(200)의 흡입측, 즉 후드의 하면(214)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커튼은 후드의 하면(214) 테두리에서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 에어 커튼이 후드(200)의 하면(214) 테두리를 힌지 축으로 하여 일정 회전각 범위내에서 각 회전하며 후드의 하면(214), 즉 흡입면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후드(200)의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여과수단(600)인 그리이스 필터(300)를 거쳐 그 포집 케 이스부(21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고정되어 에어 커튼이 후드의 하면(214) 테두리에서 경사지게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후드의 하면(214), 즉 흡입면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가 에어 커튼에 의해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되며 그 후드(200)의 흡입면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를 그리이스 필터를 거쳐 포집 케이스부(2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포집 케이스부(210)내에 흡입된 오염공기는 송풍팬(410)과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이때 상기 오염공기가 여과수단(600)인 그리이스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입자와 에어로졸 상태의 입자 등이 그리이스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제거된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이 송풍수단(4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사용하게 될 경우, 이 송풍수단(400)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일부가 에어 커튼 유로(240)와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분사 슬릿(811)을 통해 분사되면서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 에어 커튼은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의 회전에 따라 후드(200)의 흡입면 외부에서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후드(200)의 흡입측, 즉 후드의 하면(214)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하게 되며, 이와 같이 후드(200)의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여과수단(600)인 그리이스 필터를 거쳐 그 포집 케이스부(21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800)가 고정되어 에어 커튼이 후드의 하면 (214) 테두리에서 경사지게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후드의 하면(214), 즉 흡입면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가 에어 커튼에 의해 흡입면 내측으로 유도되며, 이와 같이 후드(200)의 흡입면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그리이스 필터를 거쳐 포집 케이스부(2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배기장치에 의하면, 송풍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오염공기가 후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아울러 에어 커튼에 의해 후드의 흡입측 밖으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후드의 흡입측 내로 유도하여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오염공기가 실내로 퍼저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조리시 쾌적한 주방 및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부력 및 대류에 의해 작은 상승 속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에어 커튼의 움직임에 의해 그 오염공기에 운동량을 제공하게 되어 그 오염공기가 쉽게 후드측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송풍수단의 흡입력으로도 오염공기의 포집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 상기 송풍수단의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므로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켜 유동 저항에 따른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 커튼에 의해 오염공기가 후드의 흡입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자의 안면부로 뜨거운 오염공기가 유출되지 않아 조리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레인지의 상측에 설치되며 오염공기가 흡입/유출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내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후드의 공기 흡입측에 장착되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여과수단;
    상기 후드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의 흡입측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오염공기를 흡입측으로 유도하도록 공기를 분사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 커튼은 일정 범위에서 각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후드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와; 상기 에어 커튼 유로에 연결되게 장착되어 상기 에어 커튼 유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수단과;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에어 커튼 유로내에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가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두개의 곡면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7.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유로는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를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향 안내부재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환봉체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분사 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후드의 하면인 흡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분사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의 배출측의 일부와 상기 후드의 흡입측을 테두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수단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커튼 유로와; 상기 후드의 흡입측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로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에어 커튼 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KR1020040075211A 2004-09-20 2004-09-20 주방용 배기장치 KR10059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11A KR100595573B1 (ko) 2004-09-20 2004-09-20 주방용 배기장치
EP04106777A EP1637810A1 (en) 2004-09-20 2004-12-21 Kitchen exhau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11A KR100595573B1 (ko) 2004-09-20 2004-09-20 주방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33A true KR20060026333A (ko) 2006-03-23
KR100595573B1 KR100595573B1 (ko) 2006-07-03

Family

ID=3546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211A KR100595573B1 (ko) 2004-09-20 2004-09-20 주방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637810A1 (ko)
KR (1) KR100595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0889A (zh) * 2015-10-03 2016-01-13 浙江亿田电器有限公司 一种带高效吸气功能的集成灶
KR20190014348A (ko) * 2017-08-02 2019-02-12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CN114110691A (zh) * 2021-11-26 2022-03-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厨房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2075633A1 (en) * 2020-10-08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ntilation ho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8515B2 (en) 2004-07-23 2011-10-18 Oy Halton Group Ltd. Control of exhaust systems
US20080274683A1 (en) 2007-05-04 2008-11-06 Current Energy Controls, Lp Autonomous Ventilation System
DE102007039633A1 (de) * 2007-08-22 2009-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 einer Dunstabzugshaube mit einem Luftaustrittsspalt
US20090061752A1 (en) 2007-08-28 2009-03-05 Current Energy Controls, Lp Autonomous Ventilation System
PL2240726T3 (pl) * 2008-01-18 2019-11-29 Oy Halton Group Ltd Okap wyciągowy z urządzeniem poprawiającym wyciąganie
KR101641389B1 (ko) 2008-04-18 2016-07-20 오와이 할튼 그룹 엘티디. 배기 장치, 시스템, 및 포획력과 봉쇄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EP2370744B1 (en) 2008-12-03 2019-02-20 OY Halton Group Ltd. Exhaust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1963368B (zh) * 2010-09-16 2012-07-04 天津康德利餐饮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免拆洗环保油烟机
CN102087033B (zh) * 2010-10-27 2013-05-01 周建达 循环用风灶具
CN102200313A (zh) * 2011-06-15 2011-09-2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油烟机的风幕装置
KR101300457B1 (ko) * 2011-11-16 2013-08-27 주식회사 엔텍 렌지후드의 에어커튼 장치
CN103277823B (zh) * 2013-06-15 2015-06-10 陈科 封闭式防油烟扩散装置
CN103398405B (zh) * 2013-07-31 2016-01-20 上海多环油烟净化设备有限公司 双制式内循环净化机
ES2646923B1 (es) * 2016-06-08 2018-10-15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Campana extractora de humos y procedimiento para la puesta en funcionamiento de una campana extractora de humos
CN110657519A (zh) * 2018-06-29 2020-01-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厨房空调系统
WO2020233679A1 (zh) * 2019-05-22 2020-11-26 Xu Jisheng 吸油烟机
CN110513729B (zh) * 2019-07-29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烟灶一体机
CN111006351A (zh) * 2019-12-27 2020-04-14 高长水 一种家用油烟隔断方便清洗清洁通风系统
CN113483372B (zh) * 2021-08-05 2023-07-21 浙江众士科技有限公司 电场下拉式一体净化烟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3333Y2 (ko) 1978-03-20 1982-11-18
DE2837543C2 (de) 1978-08-28 1984-03-15 Miguel 8131 Berg Kling Dunstabzugsvorrichtung
US4475534A (en) * 1978-11-30 1984-10-09 Moriarty Daniel J Ventilating system for kitchen stove
GB2132335A (en) * 1982-12-21 1984-07-04 Chung Tsung Cheng Apparatus for exhausting gaseous emissions during cooking
DE3404004A1 (de) 1983-04-19 1984-10-25 Friedrich 8000 München Bürcher Ab- und zuluftvorrichtung fuer eine kochstelle
JPH0442657Y2 (ko) * 1988-06-27 1992-10-08
CH682512A5 (de) * 1990-03-02 1993-09-30 Zurecon Ag Dampfabzugeinrichtung.
JPH04208341A (ja) * 1990-11-30 1992-07-30 Matsushita Seiko Co Ltd 同時給排気型厨房換気装置
DE4203916C1 (ko) * 1992-02-11 1993-04-29 Hannelore 8400 Regensburg De Roehl-Hager
DE19613513A1 (de) 1996-04-04 1997-10-09 Roehl Hager Hannelore Verfahren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Dunst, Staub oder dergleichen sowie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020736A1 (de) * 2000-04-27 2001-10-3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Dunstabzugshaube
FR2812933B1 (fr) 2000-08-09 2002-11-15 Aldes Aeraulique Hotte de cuisine motorisee
JP2002228222A (ja) 2001-02-01 2002-08-14 Yamazen:Kk レンジフード
KR100347959B1 (en) *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0889A (zh) * 2015-10-03 2016-01-13 浙江亿田电器有限公司 一种带高效吸气功能的集成灶
KR20190014348A (ko) * 2017-08-02 2019-02-12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WO2022075633A1 (en) * 2020-10-08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ntilation hood
CN114110691A (zh) * 2021-11-26 2022-03-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厨房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110691B (zh) * 2021-11-26 2023-12-0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厨房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7810A1 (en) 2006-03-22
KR100595573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573B1 (ko) 주방용 배기장치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107923631A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JP6790247B2 (ja) 空気取入れ口を有する換気装置
KR102060144B1 (ko) 국소 배기 장치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JP3898697B2 (ja)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
KR200487625Y1 (ko) 휴대용 흡기장치
KR100600731B1 (ko) 배기후드
CN109595630A (zh) 一种吸油烟机
KR100565253B1 (ko) 레인지용 후드
JP2009103454A (ja) レンジフード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215951522U (zh) 烟机、橱柜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JP4429402B2 (ja) レンジフード
KR20190014348A (ko)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KR200408483Y1 (ko) 숯불 로스터
JP2004077073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CN217274385U (zh) 一种吸油烟机
KR20230084684A (ko) 이동식 후드의 제어방법
CN216557286U (zh) 一种吸油烟机
KR102476778B1 (ko) 후드
JP7198974B2 (ja) レンジフード
KR20230084685A (ko) 이동식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