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983A -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 Google Patents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983A
KR20170136983A KR1020170063833A KR20170063833A KR20170136983A KR 20170136983 A KR20170136983 A KR 20170136983A KR 1020170063833 A KR1020170063833 A KR 1020170063833A KR 20170063833 A KR20170063833 A KR 20170063833A KR 20170136983 A KR20170136983 A KR 2017013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inge
shaft
case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867B1 (ko
Inventor
구라모치 류타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 E05Y2900/6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for electronic devices

Abstract

개폐 가능한 제1 및 제2케이스의 축간 거리의 상이한 각종 노트북 PC 등에 간단한 부품 교환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 2축 힌지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스에 고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에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케이스 측에 고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에 같이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2A 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를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을 갖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반경 방향 연결 수단과,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갖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각 자유 단측을 서로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계지하는 조인트 홀더와, 상기 조인트 홀더에 유지되고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의 축간 거리의 변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을 갖는 축 방향 연결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써 해결했다.

Description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Biaxial hinge and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트북이나 모바일 PC, PDA 등의 단말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상대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어, 두 케이스의 개폐 축간거리가 다양한 기종 대해 적은 부품 교체만으로 장착 가능한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부를 설치한 제1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부를 설치한 제2케이스를 갖는 노트북이나 모바일 PC, PDA,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2축 힌지가 공지되어있다.
종래 이러한 2축 힌지로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일본국 특개 2016-1052호 공개특허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2축 힌지는 제1 및 제2케이스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힌지 샤프트를 복수의 연결 부재를 통해 서로 평행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는 것과 함께, 상기 제1힌지 샤프트와 제2힌지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기 회전 수단과 마찰 토크 발생 수단과, 흡입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이며, 이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제1힌지샤프트와 제2힌지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지만, 제1힌지 샤프트와 제2힌지 샤프트 사이의 2축간 거리의 조정은 할 수 없는 구성의 것이었다.
한편, 노트북과 휴대 전화 등의 단말기기에서는 해마다 그 박형화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2축 힌지를 이용한 경우, 힌지 자체가 필요로 하는 2축 간 거리에 의해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두께가 결정되어 버리는 것으로부터, 단말기기의 박형화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말기기의 두께는 각 기업마다 달라, 그때마다 각각 두께가 다른 단말기기용 2축 힌지를 제조하는 필요가 있어 번잡했다.
일본국 특개 2016-105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게 두께가 다른 단말기기에 1종류의 것으로 대응하는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2축 힌지는 단말기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4축으로 이루어진 2축 힌지이며, 상기 제1케이스에 고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에 그 끝부측을 장착되는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케이스에 고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에 같이 그 끝부측에 취부되는 제2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를 서로 평행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호 축간 거리를 조절하고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을 갖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각 방향으로 배치된 제2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제2반경 방향 연결 수단과,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갖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각 자유 단측을 서로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계지하는 조인트 홀더와, 상기 조인트 홀더에 유지되고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의 축간 거리의 변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를 갖는 축 방향 연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때 본 발명은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을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 조인트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 조인트를 회전 가능하게 삽통유지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축부유지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제어 수단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 및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제어 수단을 제 1B 힌지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1흡입 수단 및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2흡입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는 각 주체부의 단부측에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1A가이드 凸부 및 제1A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1계합구와 마찬가지로 그 상기 각 주체부의 타단부 측에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 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1B가이드 凸부 및 제2B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2계합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는 상기 제1A 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각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 측에 그 제1B힌지 샤프트와 그 제2B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1B가이드 凸부 및 제2B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2계합구을 마련한 것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1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축 방향 연결 수단은 힌지 케이스 내에 수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축부 유지부재는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를 반경 방향에서 관입시키는 한 쌍의 유지홈을 가지며,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기는 상기 각 기재의 2축 힌지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제1힌지부의 제1A 힌지 샤프트와 제2A힌지 샤프트의 축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두께를 갖는 단말기기에 제2힌지부의 구성과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를 장착한, 예를 들어 단말기기의 한 예인 노트북을 나타내고, 도 1a는 제2케이스를 제1케이스에 대해 열린 상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의 일 실시 예의 일부 파단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2축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2축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제1A힌지 샤프트(제2A힌지 샤프트도 같다)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5a는 그 축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5b는 그 확대 평면도, 도 5c는 그 확대 정면도, 도 5d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5e는 그 확대 우측면도, 도 5f는 그 확대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에서 그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축부 유지부재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조인트 홀더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7a는 그 확대 정면도, 도 7b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7c는 그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제1조인트 피스(제2조인트 피스도 같다)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8a는 그 확대 정면도, 도 8b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8c는 그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제1B힌지 샤프트(제2B힌지 샤프트도 같다)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9a는 그 확대 정면도, 도 9b는 그 확대 평면도, 도 9c는 그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기어 지원 부재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0a는 그 확대 정면도, 도 10b는 그 확대 우측면도 도 10c는 확대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동기 회전 수단에 사용되는 중간 기어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1a는 그 확대 평면도, 도 11b는 그 확대 정면도, 도 11c는 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제1 및 제2흡입 수단으로 사용되는 캠 플레이트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2a는 그 확대 사시도, 도 12b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12c는 그 확대 정면도, 도 12d는 그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제1 및 제2흡입 수단으로 이용되는 제1캠 팔로워(제2캠 팔로워도 같다)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3a는 그 확대 사시도, 도 13b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13c는 그 확대 정면도, 도 13d는 그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취부 유지판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4a는 그 확대 우측면도, 도 14b는 그 확대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힌지 케이스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4a는 그 축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4b는 그 확대 좌측면도, 도 14c는 그 확대 D-D 단면도, 도 14b는 그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2축 힌지의 축 방향 연결 수단의 부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축 방향 연결 수단의 부분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낸 힌지 케이스에 제2힌지부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9a는 제1케이스에 대하여 제2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2축 힌지의 측면도, 도 19b는 그 상태에서 제1A 및 제2A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단면 위치는 도 2에서 나타낸 A-A 선에 따른 위치. 이하, 동일), 도 19c는 그 상태에서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그 단면 위치는 도 2에서 나타낸 B-B 선에 따른 위치. 이하 동일)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0a는 제1케이스에 대하여 제2케이스를 90 ° 열린 상태에서 2축 힌지의 측면도, 도 20b는 그 상태에서 제1A 및 제2A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c는 그 상태에서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1a는 제1케이스에 대해 제2케이스를 180 ° 열린 상태에서 2축 힌지의 측면도, 도 21b는 그 상태에서 제1A 및 제2A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c는 그 상태에서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2a는 제1케이스에 대해 제2케이스를 270 ° 열린 상태에서 2축 힌지의 측면도, 도 22b는 그 상태에서 제1A 및 제2A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c는 그 상태에서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3a는 제1케이스에 대해 제2케이스를 360 ° 열린 상태에서 2축 힌지의 측면도, 도 23b는 그 상태에서 제1A 및 제2A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c는 그 상태에서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와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를 단말기기의 일례인 노트북에 이용한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는 단말기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4축으로 이루어진 2축 힌지이며, 제1케이스(2) 측에 고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11)에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케이스(3) 측에 고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 (13)에 마찬가지로 그 단부측을 장착되는 제2A힌지 샤프트(12)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과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를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축간 거리를 조절하고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14)을 갖는 제1힌지부(A)와, 상기 제1힌지 샤프트(10)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B힌지 샤프트(15)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1)의 각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B힌지 샤프트(16)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면 특히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제2반경 방향 연결수단(D)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회전을 제어하는 특히 도 3과 도 4에 나타낸 회전 제어 수단(E)를 갖는 제2힌지부(B)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 및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각 자유단측을 서로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계지하는 조인트 홀더(24)와, 상기 조인트 홀더(24)에 유지되고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거리의 변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 (16)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22, 23)을 갖는 축 방향 연결 수단(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를 사용하여 얻을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노트북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갖는 모바일 PC, PDA 등 각종 단말기기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제1마찰 토크 발생수단과 제2마찰 토크 발생수단을 맞춰 단순히 마찰 토크 발생수단이라고 하여, 제1흡입 수단 및 제2흡입 수단을 맞춰 단순히 흡입 수단이라고 한다. 또한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을 맞춰 단순히 탄성 수단이라고 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의 일례로 노트북(1)을 나타낸다. 이 노트북(1)은 키보드부(2A)를 설치한 제1케이스(2)와 디스플레이부(3a)를 설치한 제2케이스(3)을 각각의 후단 부의 좌우 부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2축 힌지(4, 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경우의 2축 힌지(4, 5)는 설치 방향이 다를 뿐 양자 모두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그 한쪽 지시 기호 4에서 보여주는 것만을 설명하고 다른 지시 기호 5로 나타낸 것의 설명은 특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생략한다.
<제1힌지부의 구성>
제1힌지부(A)는 도 2 ~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케이스측(2)에 고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11)에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케이스(3) 측에 고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13)에 마찬가지로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2A힌지 샤프트(12)와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를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고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14)으로 구성되어있다.
제1A힌지 샤프트(10)는 특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부 측에서 단면 편평 형상을 나타내고 그 표면에 부착 구멍(10b, 10b)를 마련한 설치판부(10a)와 이 설치판부(10a)에 이어 마련된 중간 플랜지부(10c)와 이 중간 플랜지부(10c)에 이어 마련된 대경원형축부(10d)와 이 대경원형축부(10d)에 이어 마련된 소경원형축부(10e)와 이 소경원형축부(10e)에 이어 설치된 곳의 선단측 플랜지부(10f)과 이 선단 측 플랜지부(10f)의 선단측 단면에 마련된 제1A가이드 凸부(10g)로 구성되어있다. 제2A힌지 샤프트(12)는 제1A힌지 샤프트(10)과 구성이 같고, 동일한 도 5에 지시 기호를 괄호 쓰기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 부 측에서 단면 편평 형상을 나타내고 그 표면에 부착 구멍(12B, 12B)를 마련한 부착판부(12A)와, 이 부착 판부(12A)에 이어 마련된 중간 플랜지부(12c)와 이 중간 플랜지부(12c)에 이어 마련된 대경원형축부(12d)와 이 대경원형축부(12d)에 이어 마련된 소경원형축부(12e)와 이 소경원형축부(12e)에 이어서 설치된 곳의 선단 측 플랜지부(12f)와 이 선단 측 플랜지부 (10f)의 선단측 단면에 마련된 제2A가이드 凸부(12g)로 구성되어있다.
도 2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A힌지 샤프트(10)의 상기 설치 판부 (10a)에는 제1장착 브라켓(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부(10a)에 이 제1장착 브라켓(11)의 설치 방법은 제1A힌지 샤프트(10)의 2개의 장착 구멍(10b, 10b)와 제 1장착 브라켓(11)의 2개의 장착 구멍(11A, 11A)에 각각 통한 설치핀(10h, 10i)의 각 단부를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1장착 브라켓(11)은 그 제1장착 브라켓(11)에 설치한 3개의 장착 구멍(11B, 11B, 11B)를 통해 도면에서는 생략한 유지 나사를 이용하여 제1케이스(2)의 상면 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장착핀(10h, 10i)은 이것을 유지나사로 해도 좋다.
제2A힌지 샤프트(12)의 상기 부착판부(12A)에는 제2장착 브라켓(13)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장착판부(12A)에 이 제1장착 브라켓(13)의 설치 방법은 제2A힌지 샤프트(12)의 2개의 장착 구멍(12B, 12B) 및 제2장착 브라켓(13)의 2개의 장착 구멍(13a, 13a)에 각각 통한 설치핀(12h, 12i)의 각 단부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2장착 브라켓(13)은 그 제2장착 브라켓(13)에 설치한 3개의 장착 구멍(13b, 13b, 13b)를 통해, 도면에서는 생략한 유지 나사를 이용하여 제2 케이스(3)의 상면 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장착핀(12h, 12i)은 이것을 유지나사로 하여도 좋다.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
다음으로,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를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며 그 축간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14)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14)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를 장착 대상 단말기기의 두께 및 사양에 따라 변경하기 위해 단말기기에 따라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1반경 방향 연결수단(14)는 4개의 축부 유지부재(141 ~ 144)로 구성되어, 이 4개의 축부 유지부재(141 ~ 144)를 제1A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부(12e)에 설치 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4개의 축부 유지부재(141 ~ 144)는 모두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부재이다. 축부 유지부재 (141 ~ 144)는 도시(도 6에 축부 유지부재(141)를 단품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주체부(141A ~ 144a)와 제1구부(141B ~ 144b)와, 제1유지홈(141c ~ 144c)와 삽입구(141d ~ 144d)와, 협폭부(141e ~ 144e)와 제 2구부(141f ~ 144f) 및 제2유지홈(141g ~ 144g)과 삽입구(141h ~ 144h)와 협폭부 (141i ~ 144i)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아래쪽의 제1유지홈(141c ~ 144c)은 아래의 삽입구(141d ~ 144d)를 통해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가 끼워 넣어져 위쪽의 제2유지 홈(141g ~ 144g)에는 위쪽의 삽입구(141h ~ 144h)를 통해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부(12e)가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지홈(141c ~ 144c)과 제2유지홈(141g ~ 144g)의 중심 사이의 거리 s에 의하여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 s(예 : 5.05mm )가 결정되는 것이며, 이 거리의 다른 축부 유지부재를 사용하여, 다른 기종의 단말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도시한 실시 예에서, 특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지홈 (141c ~ 144c) 및 제2유지홈(141g ~ 144g)의 각 폭은 상기 제1A 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12e)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는데, 상기 삽입구(141d ~ 144d, 141h ~ 144h)의 개구폭은 상기 제1유지홈(141c ~ 144c) 및 제2유지홈(141g ~ 144g)의 직경보다 약간 좁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각 소경원형축부(10e, 12e)를 상기 삽입구(141d ~ 144d, 141h ~ 144h)에서 끼워 넣을 때, 상기 협폭부(141e ~ 144e, 141i ~ 144i)가 약간 밀려 제1구부(141B ~ 144b)가 외부로 확산하여, 삽입구(141d ~ 144d, 141h ~ 144h)를 통과하고, 제1유지홈(141c ~ 144c, 141g ~ 144g)에 도달할 때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도 3(도 2도 아울러 참조)와 같이 다음 축부 유지부재(142)를 상기 축부 유지부재(141)와는 반대 방향으로 하여 끼워 넣고, 더욱이 축부 유지부재(143, 144)를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제1A힌지축(10) 및 제2A힌지 샤프트(12)에 대하여 축부 유지부재(141 ~ 144)을 설치하는 경우, 미리 제1A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의 선단 측 플랜지부(10f)에 가까운 부분은 조인트 홀더(24)의 유지홈(24c)에 끼워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부(12e)의 선단 측 플랜지부(12f)에 가까운 부분은 조인트 홀더(24)의 유지홈(24f)에 끼워 넣어 두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축부 유지부재(141 ~ 144)의 각 제1유지홈(141c ~ 144c)과 제2유지홈(141g ~ 144g)은 이것을 제1유지구멍 및 제2유지 구멍으로, 이 각축 유지부재마다 설치한 제1유지구멍과 제2유지구멍 사이의 폭을 같은 폭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 사이의 축간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무엇보다도 이 경우에는 선단 측 플랜지 부의 외경을 바꿀 필요가 있다. 또한 축부 유지부재의 매수는 실시 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힌지부(B)의 구성>
다음으로, 제2힌지부(B)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2힌지부(B)는 제1A힌지 샤프트(10)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B힌지 샤프트(16)와,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 (16)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제2반경 방향 연결수단(D)와,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E)를 갖는다.
제1B힌지 샤프트(15)는 도 9에 제1B힌지 샤프트(15)를 단품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대경원형축부(15a)와 계합 플랜지부(15b)와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1이형축부(15d)와 또 다른 제2이형축부(15e)와 나사부(15f)와, 소경원형축부(15g)와, 선단측 계합 플랜지부(15h)를 갖는다. 제2B힌지 샤프트(16)는 제1B힌지 샤프트(15)와 동일한 구성이며, 대경원형축부(16a)와 계합 플랜지부(16b)와 제2B가이드 凸부(16c)와 제1이형축부(16d)와, 다른 하나의 제2이형축부(16e)와 나사부(16f)와 소경원형축부(16g)과 선단 측 계합 플랜지부(16h)를 갖는다.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와의 사이에는 서로 평행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반경 방향 연결 수단(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반경 방향 연결 수단(D)는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는 회전 제어 수단(E)의 동기 회전 수단(17)의 기어 서포트 부재(18)와 제1 및 제2 마찰 토크 발생 수단(25, 26)의 제1마찰 플레이트(27)와 제2마찰 플레이트(30)와 제1흡입수단(33)과 제2흡입수단(34)의 캠 플레이트(35)와 설치 유지판(44)에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를 평행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다음으로 회전 제어 수단(E)의 동기 회전 수단(17)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동기 회전 수단(17)은 특히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서포트 부재(18)과 중간 기어(19)와 제1기어(20)와 제2기어(21)에서 구성된다. 그중 기어 지원 부재(18)는 특히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凸부(18a)와 상부 凸부(18b)를 가지며, 그 각각 제1베어링 구멍(18c) 및 제2베어링 구멍(18d)이 설치되고, 각 제1 베어링 구멍(18c) 및 제2 베어링 구멍(18d)에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 대경원형 축(15a)와 제2B힌지 샤프트(16) 대경원형 축부(16a)를 각각 삽입 통과시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베어링 구멍(18c) 및 제2베어링 구멍(18d)의 중심 거리가 상기 제1 및 제2B힌지 샤프트(15, 16) 상기 축간거리 t(예 : 4.10mm)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기어(20)는 베벨기어(bevel gear)부(20b)를 가지며, 그 중심축에 설치 한 이형 삽통공(20a)에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이형 축부(15d)를 삽통 계합하여 베벨 기어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기어(21)는 베벨기어(bevel gear)부(21b)를 가지며, 그 중심축에 설치한 이형 삽통공(21a)에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1이형축부(16d)를 삽통 계합하여 베벨기어(bevel gear)바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 기어(19)(도 11을 함께 참조)는 상기 기어 서포트 부재(18)의 하부 돌출부 (18a)의 상부와 상부 돌출부(18b)의 하단에 각각 설치한 제1축지구(18e) 및 제2축지구(18f)에 축심을 공통으로 마련한 하부 지지축(19a) 및 상부지지축(19b)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한 하부 베벨기어(bevel gear)부(19c)와 상부 베벨기어(bevel gear)부(19d)에 상기 제1기어(20)와 제2기어(21)를 맞물림 시키도록 구성되어있다.
다음으로 회전 제어 수단(E)의 탄성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이 탄성 수단은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B힌지 샤프트(15) 측의 제1탄성수단(38)과, 제2B힌지 샤프트(16) 측의 제2탄성수단(39)에서 이루어진다. 제1탄성수단(38)은 각 원형 삽통공(381A ~ 387a)에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2이형축부(15e)를 삽입 통과시키면서 겹쳐 마련한 복수의 탄성 부재의 일례인 접시 스프링(381 ~ 387)과 이 접시 스프링(387)에 인접하여 설치했는데 그 이형 삽통공(40a)에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2이형축부(15e)를 삽통 계합시켜 설치한 제1누름와셔(40)과, 이 제1누름와셔(40)에 인접하여 제1B힌지 샤프트(15)의 나사부(15f)에 그 암나사 구멍(42A)를 나사 부착하여 설치한 제1체결너트(42)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접시 스프링은 그 전부 혹은 1부를 스프링 와셔, 압축 코일 스프링, 경질 수지 등의 공지의 탄성 부재를 대신하여도 좋고, 그 매수에 제한은 없다.
마찬가지로, 제2탄성 수단(39)은 각 원형 삽통공(391A ~ 397a)에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이형축부(16e)를 삽입 통과시키면서 겹쳐 마련한 복수의 접시 스프링(391 ~ 397)과 이 접시 스프링(397)에 인접하여 설치했는데 그 이형 삽통공(41A)에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이형축부(16e)를 삽통 계합시켜 설치한 제2누름와셔(41)과 이 제2누름와셔(41)에 인접하여 제2B힌지 샤프트(16)의 나사부(16f)에 그 암나사 구멍(43a)를 나사 마련한 제2체결너트(43)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제1탄성 수단(38)과 제2탄성수단(3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 토크 발생 수단(25, 26)(도 3, 도 4 참조)과, 제1 및 제2흡입 수단(33, 34)에 압접력을 작용시켜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개폐 조작시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회전시 마찰 기능과 흡입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 제어 수단(E)의 마찰 토크 발생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이 마찰 토크 발생 수단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기 회전 수단(17)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1B힌지 샤프트(15) 측의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25)와, 제2B힌지 샤프트(16) 측의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25)은 제1마찰 플레이트(27)와 제1마찰 와셔(28)과 제2마찰 플레이트(30)와 제2마찰 와셔(31)와, 상기 한 구성의 제1탄성수단(38)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6)은 제1마찰 플레이트 (27)과 제3마찰 와셔(29)와 제2마찰 플레이트(30)와 제4마찰 와셔(32)와, 상기 한 구성의 제2탄성 수단(39)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마찰 플레이트(27) (제2마찰 플레이트(3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지시 기호를 괄호로 표시)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이형축부(15d)가 삽통되는 제1원형축공(27a)(30a)과, 상기 제2B힌지 샤프트 (16)의 제1이형축부(16d)가 삽통되는 제2원형축공(27b)(30b)을 갖고, 그 양면의 이러한 제1원형축공(27a)(30a) 및 제2원형축공(27b)(30b)의 주위에는 각각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빗금무늬 가공부(27c ~ 27f)(30c ~ 30f)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제1 ~ 제4마찰 와셔(28, 29, 31, 32)은 상기 제1 및 제2마찰 플레이트(27, 30)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 수단(38, 39)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및 제2마찰 플레이트(27, 30)에 압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1마찰 와셔(28)(다른 제2 ~ 제4마찰 와셔(29, 31, 32)도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지시 기호를 괄호로 표시)은 그 중심부에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이형축부(15d)를 삽통 계합시키는 이형 삽통공(28a)(29a, 31a, 32a)을 가지며, 그 양면에는 각각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빗금무늬 가공부(28b, 28c)(29b, 29c, 31b, 31c, 32b, 32c)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러한 제1 ~ 제4 마찰 와셔(28, 29, 31, 32)는 상기 이형 삽통공(28a, 29a, 31a, 32a)의해 각각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에 대하여 회전을 구속되어 있지만 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드 가능하다.
다음으로 회전 제어 수단(E)의 흡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흡입 수단은 제1 및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5, 26)과 상기 제1 및 제2탄성 수단(38, 39) 사이에 설치된 제1흡입 수단(33)과 제2흡입 수단(34)으로부터 구성된다. 먼저 아래의 제1B힌지 샤프트(15) 측의 제1흡입 수단(33)은 캠 플레이트(35)(도 12 참조)와, 제1캠 팔로워(36)(도 13 참조)과, 그 제1캠 팔로워(36)를 캠 플레이트(35)에 압접시키는 상기 제1탄성 수단(38)으로 구성되어있다. 캠 플레이트(35)의 주체부(35a)의 일 측부에서 아래쪽의 제1축수공(35b)의 주위에 설치한 대경 제1캠 凸부(35d), 대경 제2캠 凸부(35e), 소경 제1캠 凸부(35h), 소경 제2캠 凸부(35i)와, 상기 제1캠 팔로워(36)의 주체부(36a)의 일측부에서 이형 축수공(36b)의 주위에 설치한 대경 캠 凸부(36c), 소경 캠凸부(36d)가 맞물리면서 상호 회전하는 것에 의해 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1캠 팔로워(36)는 제1B힌지 샤프트(15)에 회전을 구속되어 있지만, 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 상단 제2B 힌지 샤프트(16) 측 제2흡입 수단(34)은 캠 플레이트(35((도 12 참조)와, 제2캠 팔로워(37)(도 13 참조)과 그 제2캠 팔로워(37)를 캠 플레이트(35)에 압접시키는 제2 탄성 수단(39)으로 구성되어있다. 캠 플레이트(35)의 주체부(35a)의 일측부에서 위쪽의 제2축수공(35c)의 주위에 설치 한 대경 제3캠 凸부(35f) 대경 제4캠 凸부(35g), 소경 제3캠 凸부(35j), 소경 제4캠 凸부(35k)와, 상기 제2캠 팔로워(37)의 주체부(37a)의 일측부에서 이형 축수공(37b)의 주위에 설치 한 대경 캠 凸부(37c), 소경 캠凸부(37d)가 맞물리면서 상호 회전하는 것에 의해 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2캠 팔로워(37)는 제2B힌지 샤프트(16)에 회전을 구속되어 있지만, 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캠 플레이트(35)의 상기 각 캠 凸부(35d ~ 35k) 이외의 각도 범위는 캠 凹부(35l ~ 35s)가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캠 凹부(35l ~ 35s)는 모두 동일 평면 내에 형성된다. 또한, 캠 플레이트(35)의 상기 각 캠 凸부(35d ~ 35k)의 상면과 그 캠 플레이트(35)의 뒷면 전체에 빗금무늬 가공을 실시, 또한, 상기 제1캠 팔로워(36)의 대경 캠 凸부(36c) 및 소경 캠 凸부(36d)의 상면과 그 제1캠 팔로워(36)의 뒷면 전체 및 상기 제2캠 팔로워(37)의 대경 캠 凸부(37c) 및 소경 캠 凸부(37d)의 상면과 그 제2캠 팔로워(37)의 뒷면 전체에도 빗금무늬 가공을 실시하고, 그 빗금무늬 가공 부분이 접촉하는 대향 상대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제1B힌지 샤프트(15)의 선단 측의 소경원형축부(15g) 및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선단 측의 소경원형축부(16g) 사이에 걸려 전달하도록 설치 유지판(44)(도 14를 함께 참조 )를 설치한다. 이 설치 유지판(44)은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주체부(44a) 및 제1구부(44b)와 제1유지홈(44c)와 삽입구(44d)와 협폭부(44e)와 절삭부(44f)와 제2구부(44g)과 제2유지홈(44h)와 삽입구(44i)와 협폭부(44j)와 절삭부(44k)와 나사 구멍(44l)를 갖고 있으며, 그 아래쪽의 제1유지 홈(44c)는 아래 측면의 삽입구(44d)를 통해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소경원형 축부(15g)이 끼워 넣어 져, 위쪽의 제2유지홈(44h)에는 위쪽의 삽입구(44i)를 통해 제2B힌지 샤프트(16)의 소경원형축부(16g)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홈(44c) 및 제2유지홈(44h)의 직경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소경원형축부(15g) 및 제2B힌지 샤프트(16)의 소경원형축부(16g)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는데, 상기 삽입구(44d)와 (44i)의 개구폭은 상기 제1유지홈(44c) 및 제2유지홈(44h)의 직경보다 약간 좁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소경원형축부(15g)을 상기 삽입구(44d)에서 끼워 넣을 때, 상기 절삭부(44f)를 설치함으로써 좁아진 상기 협폭부(44e)가 약간 밀려 제1구부(44b)가 아래쪽으로 확산하여 삽입구(44d)를 통과하여 제1유지홈(44c)에 도달할 때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소경원형축부(16g)을 상기 삽입구(44i)에서 제2유지홈(44h)에 끼워 넣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축 방향 연결 수단>
다음으로, 축 방향 연결 수단(C)에 대해 설명한다. 이 축 방향 연결 수단(C)는 특히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 및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을 각각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홀더(24)와, 이 조인트 홀더(24)에 담긴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의 변동을 흡수하고,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회전 구동력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에 전달하는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인트 홀더(24)는 특히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되어, 주체부(24a) 및 제1A힌지 샤프트 유지부(24b)와 유지홈(24c)과 삽입구(24d)와 제2A힌지 샤프트 유지부(24e)와 유지홈(24f)와 삽입구(24g) 및 제1B힌지 샤프트 유지부(24h)와 유지 홈(24i)와 삽입구(24j)와 제2B힌지 샤프트 유지부(24k)와 유지홈(24l)과 삽입구(24m)와 제1조인트 피스 수용부(24n) 및 제2조인트 피스 수용부(24o)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조인트 피스 수용부(24n, 24o)에는 제1A힌지 샤프트(10)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회전 동작을 각각 제1B힌지 샤프트(15) 및 제2B힌지 샤프트(16)에 전달하기 위한 제1조인트 피스(22) 및 제2조인트 피스(23)를 각각 수용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도 2를 함께 참조).
이 조인트 홀더(24)의 제1A힌지 샤프트 유지부(24b)에는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유지홈(24c)가 형성되고, 그 유지홈(24c)의 직경보다 약간 좁은 개구 폭의 삽입구(24d)에서 밀어넣어진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소경원형축부(10e)를 회전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조인트 홀더(24) 제2A힌지 샤프트 유지부(24e)에는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부(12e)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유지홈(24f)이 설치되어, 그 유지홈(24f)의 직경보다도 약간 좁은 개구폭의 삽입구(24g)에서 밀어넣어진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의 소경원형축부(12e)를 회전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지홈(24c) 및 유지홈(24f)의 중심 간 거리 s[도 7c 참조]는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 s(예 : 5.05mm) 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부착 대상인 각종 단말기기에 따라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14)를 그 축간 거리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부 유지부재(141 ~ 144)과 조인트 홀더(24)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조인트 홀더(24)의 상기 유지홈(24c, 24f)를 더 깊은 위치까지 파 두고, 즉 이 유지홈(24c, 24f)의 축간 거리 s에 관하여는 상기 축 유지 부재(141 ~ 144)의 축간 거리 s보다 짧은 값으로 두고, 이 조인트 홀더(24)는 교환하지 않고 다양한 축간 거리의 축 유지 부재(141 ~ 144)에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해 두는 것도 권장된다. 즉, 설치 대상인 각종 단말기기에 따라 상기 축 유지 부재(141 ~ 144)를 축간 거리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은 필수이지만, 조인트 홀더(24)에 대해서는 그 구성에 따라 반드시 교환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14)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시 한 형태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1A힌지 샤프트(10)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 s를 설치 대상인 각종 단말기기에 맞게 특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그 형태를 불문한다
한편, 조인트 홀더(24)의 제1B힌지 샤프트 유지부(24h)는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 대경원형축부(15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유지홈(24i)가 설치되고, 그 유지홈(24i)의 직경보다도 약간 좁은 개구폭의 삽입구(24j)에서 밀어넣어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 대경원형축부(15a)를 회전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조인트 홀더(24)의 제2B힌지 샤프트 유지부(24k)는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대경원형축부(16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유지홈(24l)이 설치되어, 그 유지홈(24l) 직경 보다 약간 좁은 개구폭의 삽입구(24m)에서 밀어넣어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6)의 대경원형축부(16a)를 회전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유지홈(24i) 및 유지홈(24l) 중심 거리가 상기 제1B 및 제2B힌지 샤프트(15, 16)의 축간 거리 t(예 : 4.10mm)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재이다. 제1조인트 피스(22)는 도시(도 8에 제1조인트 피스(22)을 단품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짧은 원기둥 모양의 주체부(22A)와 그 한쪽 면에 형성된 가이드 凹로 이루어지는 제1계합구(22B)와 반대쪽면에 형성된 유사한 가이드 凹로 이루어지는 제2계합구(22c)를 갖고 있다. 제2조인트 피스(23)는 짧은 원통형의 주체부(23a)와 그 한쪽 면에 형성된 가이드 凹로 이루어지는 제1계합구(23b)와 반대쪽면에 형성된 유사한 가이드 凹부로부터 이루어진 제2계합구(23c)를 갖고 있다. 제1계합구(22B) 및 제2계합구(23b)로서 가이드 凹와 제2계합구(22c) 및 제2계합구(23c)로서 가이드 凹부와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방향 이외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축단에 설치한 상기 제1A가이드 凸부(10g)는 상기 제1조인트 피스(22)의 제1계합구(22B)로서의 가이드 凹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축단에 설치된 상기 제1B가이드 凸부(15c)는 상기 제1조인트 피스(22)의 제2계합구(22c)로서 가이드 凹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조인트 피스(22)를 통해 제1A힌지 샤프트(10)의 회전 구동력이 제1B힌지 샤프트(15)에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단에 설치된 상기 제2A가이드 凸부(12g)는 상기 제2조인트 피스(23)의 제1계합구(23b)로 가이드 凹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 넣어, 상기 제2B힌지 샤프트(16)의 축단에 설치된 상기 제2B가이드 凸부(16c)는 상기 제2조인트 피스(23)의 제2계합구(23c)로 가이드 凹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 넣어, 이에 따라 제2조인트 피스(23)를 통해 제2A힌지 샤프트(12)의 회전 동작이 제2B힌지 샤프트(16)에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축 힌지(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힌지부(A)와 제2힌지부(B)를 축 방향 연결 수단(C)를 내부에 수용하여 유지하는 힌지 케이스(6)가 장착된다. 이 힌지 케이스(6)은 특히 도 2 ~ 도 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길이 구멍 모양의 원통형 주체부(6a)의 내부에 수용부(6b)와 설치 작업 공간(6c)와 부착판(6d)와 장착 구멍(6e)와 관통 구멍(6f, 6g)과 보강 凸부(6h, 6i)와 보강 凸조(6j, 6k)를 마련한 것이며, 특히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구멍(6e)에 삽통되는 나사(7)를 상기 설치 유지판(44)의 나사 구멍(44l)에 틀어넣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14)으로부터 상기 설치 유지판(44)에 이르기까지 영역을 상기 수용부(6b)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힌지 케이스(6)의 부착판(6d)에 마련한 관통 구멍(6f, 6g)는 상기 제1 및 제2B힌지 샤프트(15, 16)의 선단 측 계합 플랜지부(15h, 16h)를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멍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4)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4)는 단말기기의 일례인 노트북(1)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상대적으로 360도에 걸쳐 개폐시킬 수 있는 2축 힌지이며, 그 특징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2) 축간 거리가 다양하게 다른 각종기종에 대해 적은 부품 (축부 유지 부재(141 ~ 144))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대응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이것을 도 19 ~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4)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9a는 제1케이스(2)에 대하여 제2케이스(3)를 닫은 상태에서 2축 힌지(4)의 측면도이며, 도 19b는 그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과 제1조인트 피스(22) 및 제2조인트 피스(23)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그 단면 위치는 도 2에서 나타낸 A-A 선에 따른 위치. 이하 마찬가지), 도 19c는 그 상태에서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 및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와 제1조인트 피스(22) 및 제2조인트 피스(23)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그 단면 위치는 도 2에서 나타낸 B-B 선에 따른 위치. 이하 마찬가지)이다.
이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는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수평으로 되어있으며(도 2 ~ 도 4를 함께 참조), 축간 거리 s(예 : 5.05mm)이다. 한편,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 및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는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도 2 ~ 도 4 아울러 참조), 축간 거리는 t(예 : 4.10mm)이다.
상기 도 19에 나타낸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닫은 상태에서, 도 20 a와 같이 양 케이스를 서로 90 ° 열린 상태까지 이동시키면,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와 제2A힌지 샤프트(12) 제2A가이드 凸부(12g)는 그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s를 유지하면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는 도 20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t를 유지하면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2A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에 대해서, 도 19에 나타낸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즉,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 도 19에 나타내는 닫힌 상태에서 도 20에 표시된 90 ° 열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와의 축간 거리 s는 일정한 상태에서 하고,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과의 축간 거리 t도 일정한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로부터 제1B힌지 샤프트(15)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1조인트 피스(22)를 통해 제2A힌지 샤프트(12)로부터 제2B힌지 샤프트(16)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2조인트 피스(23)을 통해 어느쪽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도 20a에 나타낸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90 ° 열린 상태에서, 도 2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케이스를 서로 180 ° 열린 상태까지 전환 시키면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와 제2A힌지 샤프트(12), 제2A가이드 凸부(12g)는 그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s를 유지한 채 모두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과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는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t를 유지하면서 어느 쪽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 상태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에 대해서 도 20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욱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즉,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도 20에 나타내는 90 ° 열린 상태에서 도 21에 나타내는 180 °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와의 축간 거리 s는 일정한 상태이며, 또한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 간의 축간 거리 t도 일정한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로부터 제1B힌지 샤프트(15)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1조인트 피스(22)를 통해 제2A힌지 샤프트(12)로부터 제2B힌지 샤프트(16)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2조인트 피스(23)을 통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도 21a에 나타낸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180 ° 열린 상태에서, 도 22a와 같이 양 케이스를 서로 270 ° 열린 상태까지 전환 시키면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은 그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s를 유지한 채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과 제2A힌지 샤프트 (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 (16c)는, 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t를 유지하면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와에 대해서 도 21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욱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즉,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 도 21에 나타내는 180 ° 열린 상태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270 °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과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 s는 일정한 상태이고,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와의 축간 거리 t도 일정한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로부터 제1B힌지 샤프트(15)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1조인트 피스(22)를 통해 제2A힌지 샤프트(12)로부터 제2B힌지 샤프트(16)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2조인트 피스(23)를 통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 22a에 나타낸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270 ° 열린 상태에서, 도 23a와 같이 양 케이스를 서로 360 ° 열린 상태까지 전환 시키면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과 제2A힌지 샤프트(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은 그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s를 유지한 채 모두 수평 상태에서 서로 평행이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의 제1A가이드 凸부(10g)과 제2A힌지 샤프트 (12)의 제2A가이드 凸부(12g)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는 도 2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간 거리 t를 유지하면서 어느 쪽도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 피스(22)와 제2조인트 피스(23)는 각각 상기 제1B힌지 샤프트(15)의 제1B가이드 凸부(15c)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제2B가이드 凸부(16c)에 대해서, 도 22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욱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즉,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도 22에 나타내는 270 ° 열린 상태에서, 도 23에 나타내는 360 °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와의 축간 거리 s는 일정한 상태에서 하고,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와의 축간 거리 t도 일정한 상태에서 제1A힌지 샤프트(10)로부터 제1B힌지 샤프트(15)에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1조인트 피스(22)를 통해 제2A힌지 샤프트(12)로부터 제2B힌지 샤프트(16)에의 회전 전달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2조인트 피스(23)를 통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4)에서는 개폐식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갖는 단말기기로서 두 케이스의 회전축의 축간 거리를 예를 들어 상기 값 s 로 삼아 단말기기에서 이를 사용하는 2축 힌지의 2개의 힌지 샤프트에 대한 최적의 축간 거리가 상기 s와 다른 값 t인 경우에도 그 2축 힌지의 상기 2개의 제1 및 제2B힌지 샤프트(15, 16)의 축간 거리 그 최적 값 t를 채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를 부착 대상이 되는 단말기기의 두 케이스의 회전축의 상기 축간 거리 s에 맞춘 값 s로 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장착 샤프트(10, 12)와 제1 및 제2B힌지 샤프트(15, 16)와의 사이의 회전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동기 회전 수단(17), 제1 및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5, 26) 및 제1 및 제2흡입 수단(33, 34)의 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동기 회전 수단(17)은 단말기기의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 중 어느 한 쪽을 상대방에 개폐시키면 이 동기 회전 수단(17)에 의해 다른 물건도 동시에 열리는 것에서 개폐 조작이 빠르고 쉽게 된다. 즉, 제1케이스(2)에 대하여 제2케이스(3)를 닫은 상태 (도 19)에서 예를 들어 제1케이스(2)를 한 손에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제2케 이스(3)를 시계 방향으로 열어가면(도 20 ~ 도 23), 상기 제2조인트 피스(23)를 통해 상기 제2A힌지 샤프트(12)에 연결된 제2B힌지 샤프트(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제2B힌지 샤프트(16) 위에 회전이 구속되어 설치된 상기 제2기어(21)가 동일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2기어(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벨기어(bevel gear)부(21b)가 맞물려있는 중간 기어(19)의 상부 베벨기어(bevel gear)부(19d)를 통해 그 중간 기어(19)가 위에서 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중간 기어(19)의 하부 베벨기어(bevel gear)부(19c)와 그 베벨기어(bevel gear)부(20b)를 맞물리게 하는 제1B힌지 샤프트(15)에 설치된 제1기어(2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서 제1B힌지 샤프트(15)가 제2B힌지 샤프트(16)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케이스(2)는 제2케이스(3)와 함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2축 힌지와 같이 제2B힌지 샤프트(16)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선택적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제1B힌지 샤프트(15)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개폐 조작이 용이 해져, 단시간에 개폐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상대적인 개폐 조작 중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25)은 상기 제1탄성수단(38)의 작용에서 제1B힌지 샤프트(15)와 함께 회전하는 제1마찰와셔(28) 및 제2마찰와셔(31)와, 상기 제1마찰 플레이트(27) 및 제2마찰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마찬가지로, 상기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6)은 상기 제2탄성수단(39)의 작용 하에서 제2B 힌지 샤프트(16)와 함께 회전하는 제3마찰 와셔(29) 및 제4마찰 와셔(32)와, 상기 제1마찰 플레이트(27) 및 제2마찰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 개폐 동작시의 각도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에서 안정 정지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흡입 수단(33, 34)에 있어 캠 플레이트(35)의 하단 상기 대경 제1캠 凸부(35d), 대경 제2캠 凸부(35e)에 상기 제1캠 팔로워(36), 대경 캠 凸부(36c)가 올라앉은 상태가 되는 각도 범위 및/또는 캠 플레이트(35)의 하단 상기 소경 제1캠 凸부(35h), 소경 제2캠 凸부(35i)에 상기 제1캠 팔로워(36), 소경 캠 凸부(36d)가 올라앉은 상태가 되는 각도 범위에 있어서는 상기 제1탄성 수단(38)가 압축되어 상기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25)에 대한 압압력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그 각도 범위 내에서 안정 정지 작용이 확보된다.
이와 동시에 캠 플레이트(35)의 상측의 상기 대경 제3캠 凸부(35f), 대경 제4캠 凸부(35g) 상에, 상기 제2캠 팔로워(37)의 대경 캠 凸부(37c)가 올라앉은 상태가 되는 각도 범위 및/또는 캠 플레이트(35)의 상측의 상기 소경 제3캠 凸부(35j), 소경 제4캠 凸부(35k) 상에, 상기 제2캠 팔로워(37)의 소경 캠 凸부(37d)가 올라앉은 상태가 되는 각도 범위에 있어서는, 상기 제2탄성 수단(39)가 압축되어 상기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6)에 대한 압압력이 증대하는 것에 의해,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그 각도 범위 내에서 안정 정지 작용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2축 힌지(4)에 있어 제1 흡입 수단(33)은 제1캠 팔로워(36)의 대경 캠 凸부(36c)와 소경 캠 凸부(36d)가 각각 캠 플레이트(35)의 하부 캠 凹부(35l, 35m) 와 캠 凹부(35p, 35q)에 떨어질 때 흡입 기능을 발휘하여, 제1케이스 (2)와 제2케이스(3)를 자동적으로 열림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흡입 수단(34)은 제2캠 팔로워(37)의 대경 캠 凸부(37c)와 소경 캠 凸부(37d)가 캠 플레이트(35)의 상부 캠 凹부(35n, 35o)와 상부 캠 凹부(35r, 35s)에 떨어질 때 흡입 기능을 발휘하여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자동으로 닫힘 방향과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실시 예 에서는 이 흡입 기능이 발휘되는 것은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의 개폐 각도가 0도 및 180도에 이르기 직전이다. 그 이외의 개폐 각도에서는 각 대경 캠 凸부(36c, 37c)와 소경 캠 凸부(36d, 37d)가 서로 압접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25)와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26)와의 협동 작용에 의해, 강한 마찰 토크가 발생하여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를 임의의 개폐 각도에서 안정 정지시킬 수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실시 예로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 제1힌지 샤프트(10) 및 제2A힌지 샤프트(12)의 축간 거리를 부착 대상인 단말기기의 축간 거리에 대응하는 값에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14)의 구성은 상술 한 바와 같이, 상기 축부 유지 부재(141 ~ 14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축부 유지 부재(141 ~ 144)에 마련한 각 제1유지 홈(141c ~ 144c)과 제2유지 홈(141g ~ 144g)을 제1유지 구멍과 제2유지 구멍으로 이 각 유지 구멍의 축간 거리가 다른 것을 준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피스(22, 23)는 실시상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계합구(22B)와 제2계합구(22c) 및 제1계합구(23b)와 제2계합구(23c)를 가이드 凹부로 하지 않고, 그 한쪽 혹은 양쪽을 가이드 凸부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각 가이드 凹의 설치 방향은 실시 예의 것과 반대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조인트 피스(22, 23)을 제1A힌지 샤프트(10)와 제2A힌지 샤프트(12), 혹은 제1B힌지 샤프트(15)와 제2B힌지 샤프트(16)의 각 한쪽의 단부에 일체로 조인트 가이드 피스부로서 마련해 다른 끝 부분이 이 조인트 가이드 피스부와 계합하는 凸부 혹은 凹부를 마련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1기어(20)와 제2기어(21)를 평기어로하여 서로 중간 기어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로 맞물리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탄성 수단(38, 39)에 사용하는 접시 스프링 대신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위의 설명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변경 실시 예를 포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는 단말기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종래와 같이 2축 힌지 제1B힌지 샤프트와 제2B힌지 샤프트에 각각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B힌지 샤프트는 제1조인트 피스를 개재시켜 제1A힌지 샤프트와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B힌지 샤프트는 제2조인트 피스를 개재시켜 제2A힌지 샤프트와 연결되고, 이 제1A힌지 샤프트와 제2A힌지 샤프트가 각각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단말기기의 개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의 회전조작을 하면,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의 회전 동작이 상기 제1조인트 피스를 통해 제1B힌지 샤프트에 전달된다. 그때, 상기 제1 및 제2A힌지 샤프트 간의 축간 거리와 제1 및 제2B힌지 샤프트 간의 축간 거리가 상이하고 있어도, 상기 제1조인트 피스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 및 제1B힌지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제1A힌지 샤프트와 제1B힌지 샤프트 사이의 회전 전달을 차질없이 달성한다.
제2A힌지 샤프트와 제2B힌지 샤프트와의 사이의 회전 전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조인트 피스의 반경 방향에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차질없이 달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A힌지 샤프트 간의 축간 거리를 부착 대상인 단말기기의 제1 및 제2케이스 사이의 최적의 축간 거리로 설정해두면, 본 발명의 2축 힌지에 의한 개폐 조작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A힌지 샤프트 간의 축간 거리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에 의한 축간 거리를 축간 거리가 다른 단말기기마다 변경하는 것만으로, 각종 단말기기에 대응한 것을 제조 가능하며, 현재의 단말기기의 박형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A : 제1 힌지부
B : 제2 힌지부
C : 축 방향 연결수단
D : 제2 반경 방향 연결수단
E : 회전 제어 수단
1 : 노트북
2A : 키보드부
2 : 제1케이스
3a : 디스플레이부
3 : 제2케이스
4, 5 : 2축 힌지
6 : 힌지케이스
10 : 제1A 힌지 샤프트
11 : 제1 장착 브라켓
13 : 제2 장착 브라켓
14 : 제1 반경 방향 연결 수단
15 : 제1B 힌지 샤르트
16 : 제2B 힌지 샤르트
17 : 동기회전 수단
18 : 기어 서포트 부재
19 : 중간기어
20 : 제1기어
21 : 제2기어
22 : 제1조인트 피스
23 : 제2조인트 피스
24 : 조인트 홀더
25 : 제1 마찰 토크 발생수단
26 : 제2 마찰 토크 발생수단
27 : 제1 마찰 플레이트
28 : 제1 마찰 와셔
29 : 제2 마찰 와셔
30 : 제2 마찰 플레이트
31 : 제3 마찰 와셔
32 : 제4 마찰 와셔
33 : 제1 흡입수단
34 : 제2 흡입수단
35 : 캠 플레이트
36 : 제1 캠 팔로워
37 : 제2 캠 팔로워
38 : 제1 탄성 수단
39 : 제2 탄성 수단
40 : 제1 누름 와셔
42 : 제1 체결 너트
43 : 제2 체결 너트
44 : 설치유지판

Claims (9)

  1. 단말기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4축으로 이루어진 2축 힌지이며,
    상기 제1케이스 측에 고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에 그 일단부 측을 장착되는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케이스 측에 고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에 같이 그 일단 부측을 장착되는 제2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를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을 갖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각 방향에 배치된 제2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반경 방향 연결 수단과,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갖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각 자유 단 측을 서로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계지하는 조인트 홀더와, 상기 조인트 홀더에 유지하면서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의 축간 거리의 변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를 갖는 축 방향 연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경 방향 연결 수단은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 조인트로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 조인트를 회전 가능하게 삽통 유지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축부 유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수단은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1마찰 토크 발생 수단 및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2마찰 토크 발생 수단인 2축 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수단은 제1B힌지 샤프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1흡입 수단 및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2흡입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는 각 주체 부의 일단부 측에 상기 제1A 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 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1A 가이드 凸부 및 제2A 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1계합구와 마찬가지로 그 상기 각 주체 부의 타단부 측에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1B가이드 凸부 및 제2B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2계합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 피스는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의 각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기 제1B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B힌지 샤프트 측에 그 제1B힌지 샤프트 와 그 제2B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한 제2B가이드 凸부 및 제2B가이드 凸부와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제2계합구를 마련한 것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축 방향 연결 수단은 힌지케이스 내에 수용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힌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 유지부재는 상기 제1A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2A힌지 샤프트를 반경 방향에서 감입시키는 한 쌍의 유지 홈을 가지며,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축 경힌지.
  9. 상기 청구항 1 ~ 8에 각 기재된 2축 힌지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말기기.

KR1020170063833A 2016-06-02 2017-05-24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KR102074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0594A JP6797393B2 (ja) 2016-06-02 2016-06-02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JPJP-P-2016-110594 2016-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983A true KR20170136983A (ko) 2017-12-12
KR102074867B1 KR102074867B1 (ko) 2020-03-17

Family

ID=6048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833A KR102074867B1 (ko) 2016-06-02 2017-05-24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21613B2 (ko)
JP (1) JP6797393B2 (ko)
KR (1) KR102074867B1 (ko)
CN (1) CN107461397B (ko)
TW (1) TWI64419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85A1 (ko) * 2020-07-08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493176B1 (ko) * 2021-11-02 2023-01-31 유아이엘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용 다단 토크 힌지 어셈블리
WO2024039118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8119B (zh) * 2016-03-25 2020-02-28 加藤电机(香港)有限公司 双轴铰链及使用此双轴铰链的终端机器
TWI652414B (zh) * 2016-11-03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樞軸模組及組裝方法
CN207005077U (zh) * 2017-04-27 2018-02-13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运用于移动终端上的双轴铰链机构及移动终端
JP6890829B2 (ja) * 2017-08-17 2021-06-1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平行2軸ヒンジ、及び電子機器
TWI643057B (zh) * 2017-10-06 2018-12-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樞轉組件
TWM558515U (zh) * 2017-11-13 2018-04-11 Fositek Corp 扭力裝置及電子設備
USD915394S1 (en) * 2017-11-22 2021-04-06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TWI699154B (zh) * 2017-11-29 2020-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電子裝置
USD917460S1 (en) * 2018-02-13 2021-04-27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USD915395S1 (en) * 2018-02-13 2021-04-06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USD890165S1 (en) * 2018-03-26 2020-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TWI727294B (zh) * 2018-04-13 2021-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樞軸模組及電子裝置
USD890167S1 (en) * 2018-05-07 2020-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CN109032263A (zh) * 2018-09-30 2018-12-1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JP7149580B2 (ja) * 2018-10-25 2022-10-0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2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10563438B1 (en) * 2018-12-11 2020-02-18 Lianhong Art Co., Ltd. Hinge device with helical gear
KR102375556B1 (ko) 2019-04-3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24918B (zh) * 2019-06-12 2021-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雙轉軸模組與折疊式電子裝置
CN112814992B (zh) * 2019-11-18 2022-04-26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双轴式枢轴机构与包括其的电子装置
CN113357257B (zh) * 2020-03-03 2022-05-1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转轴结构
KR20220008020A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전자 장치를 위한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55863A4 (en) 2020-07-13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20023521A (ko) * 2020-08-2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TWI746217B (zh) * 2020-10-20 2021-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用於可撓螢幕的轉軸結構與折疊式電子裝置
JP2022072199A (ja) * 2020-10-29 2022-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220068025A (ko) * 2020-11-18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토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9485A4 (en) 2020-11-18 2024-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RQUE STRUCTURE
KR20220067946A (ko) * 2020-11-18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토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4506546A (ja) * 2021-01-29 2024-02-1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ヒンジ構造物及びこれを含む電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9995A1 (en) * 2006-11-13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US20120096678A1 (en) * 2010-10-26 2012-04-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mechanism
US20120149438A1 (en) * 2010-12-10 2012-06-14 Prexco Co., Ltd.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JP2016001052A (ja) 2014-06-12 2016-01-07 加藤▲でん▼▲き▼(香港)有限公司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US20160102487A1 (en) * 2014-10-14 2016-04-14 Kem Hongkong Limited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0074B2 (en) * 2004-01-20 2006-11-28 Phoenix Korea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JP2008275139A (ja) * 2007-05-01 2008-11-13 Taiyo Kogyo Kk 平行二軸ヒンジモジュール
US8064970B2 (en) * 2008-08-15 2011-11-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assemblies for mobile terminals
JP2012057662A (ja) * 2010-09-06 2012-03-22 Sony Corp 電子機器
JP5896670B2 (ja) * 2011-09-29 2016-03-30 加藤電機株式会社 平行2軸ヒンジ並びにこの平行2軸ヒンジを備えた小型電子機器
CN102777486B (zh) * 2011-05-12 2014-11-12 加藤电机株式会社 平行双轴铰链及具有平行双轴铰链的小型电子装置
TWM422001U (en) * 2011-07-13 2012-02-01 Quanta Comp Inc Dual-axis hinge structure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99502B1 (ko) * 2012-05-31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컴퓨팅장치
TWM466285U (zh) * 2013-03-27 2013-11-21 First Dome Corp 雙軸式轉軸樞轉定位結構
TWM519265U (zh) * 2015-11-10 2016-03-21 Deda Metals Company Ltd 雙軸同步轉軸
US9677308B1 (en) * 2016-08-18 2017-06-13 Lianhong Art Co., Ltd. Hinge having movable shaf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9995A1 (en) * 2006-11-13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US20120096678A1 (en) * 2010-10-26 2012-04-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mechanism
US20120149438A1 (en) * 2010-12-10 2012-06-14 Prexco Co., Ltd.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JP2016001052A (ja) 2014-06-12 2016-01-07 加藤▲でん▼▲き▼(香港)有限公司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US20160102487A1 (en) * 2014-10-14 2016-04-14 Kem Hongkong Limited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85A1 (ko) * 2020-07-08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493176B1 (ko) * 2021-11-02 2023-01-31 유아이엘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용 다단 토크 힌지 어셈블리
WO2024039118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61397A (zh) 2017-12-12
JP2017215012A (ja) 2017-12-07
US9921613B2 (en) 2018-03-20
US20170351303A1 (en) 2017-12-07
TWI644198B (zh) 2018-12-11
CN107461397B (zh) 2020-01-10
TW201742990A (zh) 2017-12-16
JP6797393B2 (ja) 2020-12-09
KR102074867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6983A (ko)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TWI656429B (zh) 三軸鉸鏈及使用此三軸鉸鏈的電子機器
US10000955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11149479B2 (en) Refrigerator
US10520988B2 (en) Bendable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ing device
US10627873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2016001052A (ja)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US8959714B2 (en) Dual-shaft synchronous motion device
EP3767610A1 (en) Bendable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9309705B2 (en) Dual-shaft synchronous transmission fixing device
KR20130135091A (ko) 2축 힌지
CN112235439A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101406354B1 (ko) 평행2축 힌지 및 이 평행2축 힌지를 구비한 소형전자기기
CN107208746B (zh) 动力传输器件
JP2012237392A (ja) 平行2軸ヒンジ並びにこの平行2軸ヒンジを備えた小型電子機器
JP5896670B2 (ja) 平行2軸ヒンジ並びにこの平行2軸ヒンジを備えた小型電子機器
JP6401299B2 (ja) ハイブリッドアライメント
US20220412139A1 (en) Refrigerator
CN210377234U (zh) 一种笔记本电脑360°双转轴同步转动装置
CN108252601B (zh) 嵌入式铰链装置
CN116074419A (zh) 开阖装置及应用此开阖装置的终端机器
CN117527940A (zh) 折叠组件及电子设备
NZ758891B2 (en) Refrigerator
NZ759118B2 (en) Insu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