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230A -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 Google Patents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230A
KR20170136230A KR1020160068046A KR20160068046A KR20170136230A KR 20170136230 A KR20170136230 A KR 20170136230A KR 1020160068046 A KR1020160068046 A KR 1020160068046A KR 20160068046 A KR20160068046 A KR 20160068046A KR 20170136230 A KR20170136230 A KR 2017013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module
housing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674B1 (ko
Inventor
이성희
진성월
이현강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6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5For medical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85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광을 사용자의 국부에 조사하는 램프 모듈,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발광위치와 내부로 삽입되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램프가 비데의 본체 내부로 복귀하는 경우 램프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이 비데의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램프 주위의 부품이 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LAMP ASSEMBLY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열 찜질기는 온열 또는 적외선을 사용자의 국부에 방사하여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최근 이러한 온열 찜질기의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로 인해 온열 찜질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항문 질환 및 산후 환부 등의 치료 및 수술 후 온열 찜질을 수행하는 경우, 통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액 순환이 증가해 회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둔부에 용이하게 온열 찜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비데에 이러한 온열 찜질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비데에 구비되는 온열 찜질장치의 일환으로 램프를 이용한 온열 찜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비데에 램프를 이용한 온열 찜질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온열 찜질 동작시에는 램프가 신장되어 사용자의 국부를 온열 찜질하게 되고, 온열 찜질 동작이 끝나면 램프를 끈 후 비데의 본체 내부로 램프를 복귀 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온열 찜질 동작시 램프의 온도가 약 3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램프를 끈 후 비데의 본체 내부로 램프를 복귀 시키면 램프에 발산되는 고온의 본체 내부로 전달되어 비교적 열에 약한 구성 부품에 열 변형 또는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램프가 비데의 본체 내부에서 동작하는 경우 비데의 구성 부품을 파손시킬 뿐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램프가 비데의 본체 내부로 복귀하는 경우 램프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램프의 열이 비데의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광을 사용자의 국부에 조사하는 램프 모듈; 및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발광위치와 내부로 삽입되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램프 모듈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지 않도록 단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램프 모듈이 배치되게 중공부를 가지고,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램프 모듈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램프 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램프 모듈은, 양단에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광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극단자가 지지되도록 상기 램프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부; 상기 램프 및 상기 브라켓부가 삽입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 글라스; 및 상기 브라켓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글라스의 개방된 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글라스를 폐쇄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는 상기 램프 모듈을 슬라이드 이동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외부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램프 모듈의 램프가 꺼지면 상기 램프 모듈의 커버 글라스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변기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세정수를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하는 세정노즐이 구비된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따르면, 램프가 비데의 본체 내부로 복귀하는 경우 램프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이 비데의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램프 주위의 부품이 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비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이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냉각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이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이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전원차단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와 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서 램프 어셈블리 동작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비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데(10)는 변기(미도시)에 배치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배치되는 램프 어셈블리(100), 그리고 상기 본체(20)에 배치되고 세정수를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하는 세정노즐(30)이 구비된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세정수를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하는 세정노즐(30)이 형성된 노즐 어셈블리와, 세척 후 온풍을 공급하여 물기를 건조하는 건조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과 건조 기능뿐만 아니라, 수압 조절, 수온 조절, 변좌 온도 조절 및 무선통신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 내부에 회로기판, 전자 소자, 바이메탈, 무선통신 수신부 등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변좌(50)와, 변기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변기 커버(미도시)가 회전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세정노즐(3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세정노즐(3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40)는 상기 세정노즐(30) 구동 후 동작되어 사용자의 국부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국부에 온열 및 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국부를 온열 찜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비데(10)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 센서(820)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100)를 동작시키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온열 입력부(810), 그리고 상기 온열 입력부(810)의 입력 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입력부(810)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잘못 온열 입력부(810)를 눌러서 램프 어셈블리(10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온열 입력부(810)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착좌 센서(820)는 상기 변좌(50)에 구비되고, 상기 변좌(50)에 사용자가 앉거나 상기 변좌(50)에서 일어서는 경우 하중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변좌(50)에 사용자가 착좌 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착좌 센서는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신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앉은 키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몸무게 또는 앉은 키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온열 입력부(810)가 눌려져 동작 명령이 입력되어도 램프 어셈블리(10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몸무게 또는 앉은 키는 어린아이의 평균 몸무게 또는 앉은 키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몸무게 또는 앉은 키 값을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이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냉각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램프 모듈이 복귀 및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전원차단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100)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광을 사용자의 국부에 조사하는 램프 모듈(300),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발광위치와 내부로 삽입되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비데의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램프 모듈(300)이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램프 모듈(300)이 내부로 복귀한 후 상기 램프 모듈(300)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지 않도록 단열 소재로 마련된다.
즉, 상기 램프 모듈(300)은 발광위치에서 광을 발산하며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광 발산을 멈추고 대기위치로 복귀한 경우에도 일정 시간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0)이 단열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램프 모듈(30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최종적으로 고온의 열이 비데의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배치되게 중공부(220)를 가지고,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램프 모듈(3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램프 모듈(300)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된 캡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24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몸체(210)는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램프 모듈(3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수분 또는 증기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00)의 중공부(220)를 통하여 비데의 본체 내부로 수분 또는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또는 증기가 비데의 본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타측에 캡부(230)를 구비하였다.
상기 램프 모듈(300)은 양단에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광을 조사하는 램프(310)와, 상기 램프(310)의 전극단자(311)가 지지되도록 상기 램프(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부(320)와, 상기 램프(310) 및 상기 브라켓부(320)가 삽입되게 중공부(331)가 형성된 커버 글라스(330),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320)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글라스(330)의 개방된 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글라스(330)를 폐쇄하는 체결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310)는 사용자의 국부에 온열 및 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해 구비되고, 양단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320)는 상기 전극단자(311)가 지지되도록 상기 램프(3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320)는 상기 램프(310)를 상기 커버 글라스(330) 내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램프(310)의 전극단자(311)와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의 용이한 배선정리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라스(330)는 상기 램프(310)와 브라켓부(320)가 삽입되게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331)를 가지고, 상기 램프(310)와 브라켓부(320)가 중공부(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부(320)에 구비된 체결부(340)가 상기 커버 글라스(33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커버 글라스(330)는 상기 램프(310)에서 발생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340)는 상기 커버 글라스(330)에 체결되어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되, 상기 램프(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이 통과하도록 관통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40)에 배치되는 상기 램프 모듈(300)을 발광위치 또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구동부(400)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와 상기 램프 모듈(300) 간을 연결하고 상기 모터(410)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 모듈(300)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부(4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램프 모듈(3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100)는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고, 외부 냉각수 공급라인(510)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모듈(30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500)는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램프 모듈(300)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냉각부(500)는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상기 램프(310)에 전원이 공급되어 광을 조사한 후, 상기 램프(31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램프(310)가 꺼지면 상기 램프 모듈(300)이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램프 모듈(300)의 커버 글라스(330)에 냉각수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램프 모듈(300)이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보다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램프 모듈(300)의 램프(310)가 상기 냉각부(500) 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램프 모듈(300)의 이동을 멈추어 일정 시간 냉각 후 대기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100)는 상기 램프 모듈(300)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부(600)와, 상기 램프 모듈(300)이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상기 램프 모듈(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60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는 스위치 몸체(610)와, 상기 스위치 몸체(610)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단자(620),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몸체(610)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63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단자(620)와 가동단자(63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램프(310)의 전극단자(311)와 연결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가동단자(630)가 상기 고정단자(620)와 접촉하면 상기 램프(3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부(600)는 상기 하우징(200)에서 램프 모듈(300)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모듈(300)과 함께 이동하는 가압부재(350)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가압부재(350)가 상기 가동단자(630)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단자(630)를 상기 고정단자(620)에 접촉하여 상기 램프(3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350)가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가동단자(630)가 상기 고정단자(6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램프(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단자(630)는 상기 고정단자(6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램프(310)에 전원이 공급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램프 모듈(300)의 대기위치 즉, 비데의 본체 내부에서 램프(31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위치부(6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램프(3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어떠한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70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에서 발생하는 온도 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램프 모듈(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전원차단부(700)는 온도 퓨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600)의 오작동 등에 의하여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대기위치에서 상기 램프(3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램프(310)가 장시간 동작하여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700)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모듈(300)에서 발생하는 온도 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램프(3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와 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광을 사용자의 국부에 조사하는 램프 모듈(300),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발광위치와 내부로 삽입되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 모듈(300)은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조사하는 램프(310)와 상기 램프(310)가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 글라스(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는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 모듈(30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500)와, 상기 램프 모듈(300)이 발광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부(600),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300)이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상기 램프 모듈(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동작하도록 마련된 온열 입력부(810)의 입력 동작을 감지하고, 착좌 센서(820)로부터 사용자의 착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에 마련되거나, 비데(10)의 본체(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은 온열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감지하는 온열입력 감지단계(S100)와, 착좌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 감지단계(S200), 그리고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S200의 예)되면, 램프 어셈블리를 동작하여 사용자의 국부를 온열하는 램프 어셈블리 동작단계(S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상기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여 온열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온열 입력부의 잠금 상태가 복귀되는 잠금 상태 복귀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열입력 감지단계(S100)는 상기 온열 입력부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 상기 온열 입력부의 잠금 상태 해제를 감지하는 잠금해제 감지공정(S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열 입력부가 버튼으로 마련되어 일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 상기 온열 입력부의 잠금 상태가 해제(S110의 예)되고, 온열 입력부의 입력 동작이 감지(S120)되어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동작(S300)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온열 입력부를 한번 눌러서는 동작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어야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열 입력부를 약 2~3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온열 입력부의 명령이 제어부로 전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잘못 온열 입력부를 눌러서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손쉽게 동작할 수 없어 고온의 램프 모듈에 의하여 어린아이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열 입력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온열 입력부 잠금 버튼을 구비하여 잠금 버튼을 약 2~3초 동안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거나,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입력부의 동작으로 입력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파악한 후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에서만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여 램프가 발광하면 광이 실내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유발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좌 파악단계(S200)는 상기 착좌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신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사용자 파악공정을 더 포함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신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정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어린아이가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온열 입력부의 동작 명령을 실행한 경우에도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변기에 착좌한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앉은 키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몸무게 또는 앉은 키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동작 명령이 입력되어도 램프 어셈블리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몸무게 또는 앉은 키는 어린아이의 평균 몸무게 또는 앉은 키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몸무게 또는 앉은 키 값을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서 램프 어셈블리 동작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 어셈블리 동작단계(S300)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램프 모듈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발광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램프 모듈 신장공정(S310)과, 램프가 일정 시간 발광 후(S330의 예)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램프 모듈 복귀공정(S3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이 발광위치에서 상기 램프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착좌 해제를 감지(S320의 아니오)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이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변기에서 사용자가 일어서는 경우 광이 실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램프 모듈 신장공정(S310)은 상기 램프 모듈이 발광위치로 이동하면서 스위치부를 온 동작시켜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발광공정(S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 복귀공정(S340)은 상기 램프 모듈이 대기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 동작시켜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공정(S3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 모듈이 신장 또는 복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별도로 제어하여 상기 램프 모듈이 이동하여 발광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램프 모듈이 발광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을 시작하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모듈 복귀공정(S340)은 상기 램프 모듈이 발광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냉각부를 동작시켜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하는 냉각공정(S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차단공정(S342) 후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 동작단계(S300)를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온열 입력부의 입력 동작이 감지되고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으면, 램프 모듈이 발광위치로 이동을 시작(S311)하게 되고, 상기 램프 모듈이 스위치부를 온 동작시켜 램프에 전원을 인가(S312)하게 되어 사용자의 국부를 온열하게 된다.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분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S330의 예) 램프 모듈이 대기위치로 이동을 시작(S341)하게 되고, 상기 램프 모듈이 스위치부를 오프 동작시켜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S342)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가 꺼지면 냉각부가 동작하여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S343)하여 램프 모듈을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램프에 전원이 인가(S312)되어 온열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착좌 해제가 감지(S320의 아니오)되면 즉, 사용자가 변좌에서 일어서면 램프 모듈이 대기위치로 이동을 시작(S341)하도록 동작시킨다.
나아가,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램프 모듈이 대기위치에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차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차단부는 온도 퓨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의 오작동 등에 의하여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대기위치에서 상기 램프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램프가 장시간 동작하여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모듈에서 발생하는 온도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비데 20 : 본체
30 : 세정노즐 40 : 건조부
100 : 램프 어셈블리 200 : 하우징
210 : 몸체 230 : 캡부
240 : 가이드 레일 300 : 램프 모듈
310 : 램프 320 : 브라켓부
330 : 커버 글라스 340 : 체결부
350 : 가압부재 400 : 구동부
410 : 모터 500 : 냉각부
600 : 스위치부 610 : 스위치 몸체
620 : 고정단자 630 : 가동단자
700 : 전원차단부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광을 사용자의 국부에 조사하는 램프 모듈; 및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발광위치와 내부로 삽입되는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램프 모듈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지 않도록 단열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램프 모듈이 배치되게 중공부를 가지고,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램프 모듈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램프 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양단에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광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극단자가 지지되도록 상기 램프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부;
    상기 램프 및 상기 브라켓부가 삽입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 글라스; 및
    상기 브라켓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글라스의 개방된 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글라스를 폐쇄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는 상기 램프 모듈을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외부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램프 모듈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발광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램프 모듈의 램프가 꺼지면 상기 램프 모듈의 커버 글라스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9. 변기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램프 어셈블리;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세정수를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하는 세정노즐이 구비된 노즐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비데.
KR1020160068046A 2016-06-01 2016-06-01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2547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46A KR102547674B1 (ko) 2016-06-01 2016-06-01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46A KR102547674B1 (ko) 2016-06-01 2016-06-01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230A true KR20170136230A (ko) 2017-12-11
KR102547674B1 KR102547674B1 (ko) 2023-06-26

Family

ID=6094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46A KR102547674B1 (ko) 2016-06-01 2016-06-01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6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27Y1 (ko) * 2001-09-28 2002-03-20 권순재 치료용 좌변기
KR200385533Y1 (ko) * 2005-03-02 2005-05-30 동양매직 주식회사 위생 세정기
JP2006316607A (ja) * 2005-04-13 2006-11-24 Inax Corp 防汚設備及び紫外線照射装置
KR20060119496A (ko) * 2005-05-20 2006-11-24 김원덕 좌변기의 온열 좌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27Y1 (ko) * 2001-09-28 2002-03-20 권순재 치료용 좌변기
KR200385533Y1 (ko) * 2005-03-02 2005-05-30 동양매직 주식회사 위생 세정기
JP2006316607A (ja) * 2005-04-13 2006-11-24 Inax Corp 防汚設備及び紫外線照射装置
KR20060119496A (ko) * 2005-05-20 2006-11-24 김원덕 좌변기의 온열 좌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674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6145B2 (ja) レーザ脱毛装置
JP2004538114A5 (ko)
KR20070083463A (ko) 온열 치료용 사우나 장치
JP2000210230A (ja) 暖房便座
US20100185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nopausal hot flashes
KR20120024495A (ko) 피부 광선 조사기
KR102547675B1 (ko)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0966187B1 (ko) 연막 소독기
KR101936745B1 (ko) 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및 비데
ES2346619B1 (es) Dispositivo electrico de planchado con sistema automatico de encendido y de apagado.
KR102547674B1 (ko)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WO2018214608A1 (zh) 一种助便装置及具有其的坐便器系统
KR200390321Y1 (ko) 변기용 착탈식 원적외선 방사 장치
JP2008012346A (ja) 暖房便座
KR101839593B1 (ko) 찜질방
KR101037687B1 (ko) 온열치료기의 열원에 관한 과열방지 회로
JPH07265447A (ja) 使用容易な遠赤外線治療器
JPH0712465Y2 (ja) 局部洗浄装置付便器のリモコンスイッチ
KR200264840Y1 (ko) 원적외선 방출용 좌대
KR20160001639U (ko) 비데의 원적외선 살균장치
JPH1028714A (ja) 電気温灸器
JP2003254623A5 (ko)
JP2008018025A (ja) 足浴器
JPH11315576A (ja) 局部洗浄装置
JPH04165264A (ja) 赤外線温風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