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874A -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 Google Patents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874A
KR20170135874A KR1020177030591A KR20177030591A KR20170135874A KR 20170135874 A KR20170135874 A KR 20170135874A KR 1020177030591 A KR1020177030591 A KR 1020177030591A KR 20177030591 A KR20177030591 A KR 20177030591A KR 20170135874 A KR20170135874 A KR 2017013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theter
base plate
knob
needl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르 크누트손
Original Assignee
비그메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그메드 아베 filed Critical 비그메드 아베
Publication of KR2017013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5/1626Needle protec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6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with means obstructing or blocking the needle mounting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61M2005/325Means obstructing the needle passage at distal end of a needle protection slee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근위 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위 측으로 연장되는 홀(102)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부착 지점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을 포함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가 개시된다. 탄성 아암(103)은, 탄성 아암(103)의 원위 후크(104)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과 일치하는 휴지 상태를 갖는다. 탄성 아암(103)은 원위 단부에서 노브(105)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105)는 탄성 아암(103)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노브(105)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횡단면(106)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노브(105)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정중시상면(107)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된다.

Description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본 발명은 바늘 끝 차폐 장치, 바늘 허브 및 카테터 허브를 포함하는 카테터 기구용 바늘 끝 차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늘 끝 차폐 장치는 환자의 혈관계에 카테터 튜브를 도입하기 위해 채용된 후 바늘의 자동 안전 차폐를 위해 바늘 상에 그리고 카테터 허브 내에 배치된다
유연한 카테터 튜브 내부에 장착되는 날카로운 중공 바늘의 임상적 활용이 카테터의 도입을 위해 의료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의료 기구에서, 카테터 튜브는 바늘이 카테터 튜브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짧아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바늘 주위에 단단히 위치된다. 사용 전에, 바늘의 끝은 피부의 용이한 관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카테터 튜브의 개구부를 통해 약간 돌출된다. 피부의 천공 및 바늘의 도입 시, 카테터 튜브의 원위 단부(distal end)는 혈관의 안쪽, 예를 들어 정맥과 같은, 환자의 원하는 목표 체강(body cavity) 내부의 자리로 동시에 이동된다 이후 바늘은 카테터의 도입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카테터를 통해 뒤로 끌어당김으로써 빠져 나온다. 바늘의 해제 시, 카테터는 긴 시간 동안 연장된, 예를 들어, 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약물의 정기적인 투여 또는 주입, 혈액 샘플의 채취 등을 포함하는, 의도된 작업 모드로 설정된다.
보호되지 않은 채 해제되는 바늘은, 그러나, 쉽게 피부에 관통하는 바늘 끝의 고유의 능력과 함께, 예를 들어 환자의 혈액이나 기타 체액에서 비롯되는 감염원에 오염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심각한 건강상의 위험을 야기한다. 따라서, 해제되는 바늘을 처리하는 의료인은 바늘이 우연히 자신의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HIV 또는 간염과 같은 해당 질병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해제되는 바늘과 관련된 건강상의 위험을 회피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실패할 염려가 없는(foolproof)" 것으로 불릴 수 있는 유형의 자동 변형(automatic variant)에 특별한 초점을 둔 다양한 종류의 바늘 끝 보호장치의 개발에 전념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다.
EP 1 003 588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허브 내에 배치된 탄성 스프링 클립을 포함하는 안전 IV 카테터를 개시하고 있다. 안전 IV 카테터의 바늘은 바늘의 축 방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클립의 홀을 통과한다. 바늘이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즉 안전 IV 카테터가 사용될 준비가 되었을 때, 바늘의 존재는 스프링 클립의 일부를 이들 부분이 카테터 허브의 안쪽에 고정되는 위치로 가압함으로써, 카테터 허브에 대한 스프링 클립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바늘의 끝이 이들 부분을 통과하는 지점으로 바늘이 빠져나올 때 스프링 클립은 바늘의 끝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위치로 끼워진다. 동시에, 이전에 카테터 허브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 클립의 일부분이 이 위치에서 빠져 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카테터 허브에 대해 스프링 클립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바늘이 더 빠지게 되, 스프링 클립을 바늘에 고정하는 수단, 예를 들어, 슬롯 또는 크림프(crimp)가 바늘 상에 구비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클립이 바늘과 함께 카테터 허브에서 빠져 나와 바늘 상에 위치한다.
다양한 이유, 예를 들어. 실용적이고 경제적이고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위에서 언급한 스프링 클립 및 이와 유사한 판매되는 변형 제품은 오늘날 금속으로 제조되고 카테터 허브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응용에서 이들 물질의 조합의 단점은, 바늘의 회수 시, 금속 스프링 클립이 플라스틱 카테터 허브에서 빠져나올 때, 금속 스프링 클립이 플라스틱 카테터 내부를 긁음에 따라, 예를 들어,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 및 금속 입자가 방출된다는 것이다. 이들 조각 및 입자는 해당 카테터의 정상적인 사용시 환자의 혈류로 쉽게 유입되기 때문에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 이는 스프링 클립이 카테터 허브의 공동 내에서 돌출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넘어야 할 때 특히 그러하며, 이 돌출부에 의해, 바늘 끝이 금속 스프링 클립의 원위 부분을 통과하여 해제될 때까지, 금속 스프링 클립이 유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안전 IV 카테터 및 이와 유사한 안전 IV 카테터의 스프링 클립의 또 다른 단점은 바늘이 빠져 나오는 동안 바늘이 스프링 클립을 통해 그 위를 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긁힘 진동이다. 금속 위를 미끄러지는 금속으로 인해 발생하고 명확하게 들리고 느껴지는 이러한 스크래핑 진동은, 이미 불편하고 노출된 상황에 처해있고 매우 불안해 할 수 있는 환자를 더욱 불편하고 걱정스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카테터 허브의 내강(lumen)을 파괴하지 않는 재료로 스프링 클립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WO2013162461은 플라스틱 재료의 스프링 클립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클립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카테터 허브의 내강과 상호 작용한다. 그러나, 스프링 클립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부(tongue)는 카테터 허브 내에 배치될 때 장력 상태에 있게 될 것이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카테터 허브 내강과 너무 많이 상호 작용할 위험이 있다.
그 대신, 카테터 허브의 내강과 스프링 클립의 상호 작용이 너무 느슨한 경우, 스프링 클립 상에서 바늘 축으로부터의 끌림은, 바늘 끝이 스프링 클립의 원위 부분을 지나기 전에, 너무 이른 스프링 클립의 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스프링 클립은 바늘 끝 부분을 보호하지 못하게 되고,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하는데 이는 해당 의료인이 바늘 끝 부분이 보호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의 방출을 피하면서 높은 제품 신뢰성을 보장하는 바늘 보호 시스템을 갖는 카테터 기구를 개발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바늘 끝 차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 분야의 하나 이상의 상기한 결점 및 단점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경감, 완화 또는 제거하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상기 바늘 끝 차폐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 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위 측으로 연장되는 홀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착 지점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은, 탄성 아암의 원위 후크(hook)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과 일치하는 휴지 상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은 원위 단부에서 노브(knob)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탄성 아암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노브는 바늘 끝 차폐 장치의 중심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횡단면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노브는 바늘 끝 차폐 장치의 중심 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정중시상면(midsagittal plane)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된다
이러한 바늘 끝 차폐 장치를 포함하는 카테터 기구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첨부한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할 수 있는 이들 및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카테터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원주 홈을 갖는 카테터 유닛 및 장착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원주 홈을 갖는 카테터 유닛 및 바늘 끝을 보호하는 이완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원주 돌출부를 갖는 카테터 유닛 및 장착되지 않고 이완되지 않은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원주 돌출부를 갖는 카테터 유닛 및 장착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원주 돌출부를 갖는 카테터 유닛 및 바늘 끝을 보호하는 이완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두 개의 원주 홈을 갖는 카테터 유닛의 일부분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두 개의 원주 홈을 갖는 카테터 유닛 및 바늘 끝을 보호하는 이완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두 개의 원주 홈을 갖는 카테터 유닛 및 장착된 상태의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갖는 바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바늘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바늘 유닛 및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를 포함하는 바늘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 카테터 유닛 및 바늘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기구의 단면도이고, 및
도 17은 카테터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설명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한 것이 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근위(proximal)"라는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IV 카테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 사용자, 즉 의료인에게는 가장 가깝고 IV 카테터 시스템을 수용하는 환자로부터는 가장 먼, 부품 또는 부품들의 일부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IV 카테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 환자에게는 가장 가깝고 의료인으로부터는 가장 먼, 부품 또는 부품들의 일부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측 방향으로(laterally)"라는 용어는 적어도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에 수직인 벡터 성분으로서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여기서 조립된 IV 카테터 시스템의 바늘과 카테터는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과 일치한다. 또한, "내측으로(medially)"라는 용어는 적어도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에 수직인 벡터 성분으로서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여기서 조립된 IV 카테터 시스템의 바늘과 카테터는 IV 카테터 시스템의 중심 축과 일치한다. "횡단면(transversal plane)"이라는 용어는 카테터 시스템을 측 방향 축과 카테터의 중심 축에 수직인 축에 의해 정의되는 근위 및 원위 부분으로 분할하는 평면을 지칭한다. "정중시상면(midsagittal plane)"이라는 용어는 카테터의 중심 축과 측 방향 축에 의해 정의되는 카테터 시스템의 중간선을 관통하는 수직면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1 내지 도 4는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와 같은 바늘 끝 차폐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1)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1)는 이를 통과하는, 즉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 측으로부터 원위 측으로 연장되는 홀(10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바늘(302)이 카테터 기구(1000)의 준비 위치에 따라 배열될 때 상기 홀(102)을 통한 바늘(302)의 배열이 용이해지도록 홀(102)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 1 탄성 아암(103)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에서 부착 지점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조상의 이유로, 부착 지점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은 휴지 상태를 가지며, 이로부터 장력 상태로 밀리게 되고,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한 바늘(302)의 자유로운 통과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 아암(103)은 카테터 기구(1000)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장력 상태에 있다. 탄성 아암(103)은 탄성 아암(103)이 상기 휴지 상태에 있을 때 홀(102)을 통해 연장되는 바늘(302)의 바늘 끝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은 상기 탄성 아암(103)이 상기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과 일치한다. 이는 탄성 아암(103)의 원위 단부에 원위 후크 요소(104)를 갖는 탄성 아암(103)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해진다.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따라서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 아암(103)이 상기 바늘 축에 의해 장력 상태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바늘은 상기 홀(102)을 통해 배치된다.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면을 찢지 않도록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양호한 유연성 및 장력 유지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식으로 제조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은 카테터 기구(1000)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장력 상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에는 차례로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가 구비된다. 노브(105)는 탄성 아암(103)으로부터 측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노브(105)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의 원위 단부에 또는 이에 가깝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브(105)는 탄성 아암(103) 및 이에 따른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 및 카테터 허브(201) 사이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의 형상의 불일치를 보상하도록 다소 구부러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를 탄성 아암(103)의 원위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이 장력 상태에 있는 동안 카테터 유닛(200) 내의 노브(105) 및 홈(205) 또는 돌출부(206)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카테터 유닛(200) 내의 제 자리에서 가역적으로 고정될 것이다. 아암(103)이 휴지 상태로 되돌아가고 나면, 즉 바늘 끝(305)이 카테터(202)로부터 바늘 끝 차폐 장치(100) 내로 당겨지면, 바늘 보호대(needle shield, 100)는 바늘 끝(305)을 중심으로 클램핑할 것이고, 이에 따라 바늘 보호대(100)의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은 휴지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이러한 경우, 노브(105)는 카테터 유닛(200) 내의 홈(205) 또는 돌출부(206)와의 접촉을 해제할 것이고, 따라서 바늘 끝(305)이 안전하게 보호될 때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먼저 해제된다.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는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횡단면(106)에서 외측 곡선 형태, 즉 외측 곡률을 갖는다. 횡단면(106)의 외측 곡률은 노브(105) 및 카테터 허브(201) 내의 홈 또는 돌출부와 같은 기능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이, 노브(105), 카테터 허브(201) 또는 홈(205) 또는 돌출부(206)의 과도한 변형 또는 긁힘 없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또한 바늘 끝 차폐 장치의 더욱 원활하고 일관된 기능을 보장한다. 노브(105)가 횡단면에 날카로운 모서리를 포함하는 경우, 작동 중에 몇몇 단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카테터 허브로부터 바늘 보호대를 해제하는 동안의 힘은 카테터 허브(201)와 상호 작용하는 노브(105) 상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집중될 것이다. 낮은 탄성 계수(고분자 (PC) 2300 MPa 또는 (LCP) 7000 MPa)로 인해, 노브(105)의 날카로운 모서리는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많은 힘을 필요로 함) 또는 구부러질(적은 힘을 필요로 함) 때까지 후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순된 행동은 따라서 안전 기능을 위태롭게 할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는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정중시상면(107)에서 외측 곡선 형태, 즉 외측 곡률을 갖는다.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는 정중시상면에서 원형이고, 노브(105)의 정중시상면(107)에서 대응하는 곡선 형상은 상호 작용력을 더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킨다. 탄성 계수(고분자 (PC) 2300 MPa 또는 (LCP) 7000 MPa)를 갖는 고분자로 제조된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 및 카테터 허브(201) 모두에 의해, 더욱 큰 면적의 상호 작용은 지속적인 변형이나 긁힘 없이 재료의 굽힘을 유발한다.
이는 EP 1 003 588에서와 같이 절곡된 금속 시트로 제조된 바늘 가드에서 더욱 명백해지는데, 여기서 금속 시트는 클립으로 구부러지고, 이는 본질적으로 굴곡 지점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는 평평한 표면을 초래한다. 카테터 유닛(200)의 고분자 몸체는 금속 클립의 탄성 계수(210000 MPa)와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더욱 낮은 탄성 계수(고분자 (PC) 2300 MPa 또는 (LCP) 7000 MPa)를 갖는다. 이와 같이, 날카로운 금속 모서리는 변형되지 않고, 대신 카테터 허브의 표면은 상호 작용 중에 경질 금속 클립에 의해 긁힐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카테터 허브(201) 및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테터(202)를 포함하는 카테터 유닛(2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카테터(202)는 중공이고 관형이며, 내부에 바늘(302) 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카테터 유닛(200)은 또한 개방형 또는 폐쇄형 카테터 시스템용 카테터 유닛일 수 있다.
카테터(202)는 적절한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다. 카테터 허브(201)는 또한 양호한 사출 성형 특성을 갖는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다. 카테터(202)의 중공 및 관형 구성은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과 유체 연통하는 내강(203)을 제공한다. 내부 공동(204)은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단부에 위치되고, 내부 공동(204) 내의 근위 개구는 공지된 방식으로 정맥 주사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튜브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루어 락(luer lock) 또는 루어 슬립(luer slip)과 같은 루어 피팅(luer fitting)으로 종료될 수 있다. 카테터 유닛(200)은 따라서 카테터 허브(201) 및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테터(202)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202)는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과 유동 연통하는 내강(203)을 갖는다. 카테터(202)는 카테터(202)의 근위 단부와 결합하는, 통로 내부에 수용된 슬리브에 의해 원위 허브 섹션의 축 방향 통로 내에 고정된다. 이 통로는 근위 단부에서 내부 공동(204)과 연통하며, 또한 카테터 허브(201) 내에 형성된 플래시 챔버(flash chamber)의 역할을 한다. 카테터(202)의 원위 단부는 환자의 정맥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늘어질 수 있다.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은 카테터 유닛(200)의 내부 공동(204) 벽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 홈(205) 또는 돌출부(20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원주 홈(205)은 내부 공동(204)으로부터 카테터 유닛(200)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카테터 허브(201)의 벽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홈(205)의 깊이는 0.05 내지 0.1 mm이다. 홈(205)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근위 측으로부터 바늘 보호대의 노브(105)까지의 거리만큼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측으로부터 동일한 원위 거리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206)의 경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6)는 카테터 허브(201)의 벽으로부터 내부 공동(204) 내로 중심 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연장된다. 원주 돌출부(206)의 높이는 0.05 내지 0.1 mm이다. 돌출부(206)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근위 측으로부터 바늘 보호대의 노브(105)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0.1 내지 1 mm와 같은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측으로부터 원위 거리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홈(205) 또는 돌출부(206)는 바늘 보호대(100)의 하나 이상의 노브(105)와 상호 작용한다. 노브(105)의 횡단면(106)의 외측 곡률은 노브(105)와 홈(205) 또는 돌출부(206) 간의 상호 작용이, 노브(105), 카테터 허브(201) 또는 홈(205) 또는 돌출부(206)의 과도한 변형 또는 긁힘 없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또한 바늘 끝 차폐 장치의 더욱 원활하고 일관된 기능을 보장한다.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에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를 수용할 때,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는 중앙 및 원위 방향으로 카테터 허브(201) 내로 밀릴 것이다. 바늘 보호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는 삽입 위치에 도달한다. 바늘 보호대(100)가 완전히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 상의 노브(105)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원주 홈(205)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유사하게,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이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206)를 구비할 때,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 상의 노브(105)는 바늘 보호대(100)가 완전히 삽입될 때 카테터 허브(201)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를 탄성 아암(103)의 원위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이 장력 상태에 있는 동안 카테터 유닛(200) 내의 제자리에서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노브(105)가 카테터 유닛(200) 내의 홈(205) 또는 돌출부(206)와 접촉하도록 강제할 것이다.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를 통해 장착된 바늘 축(303)은, 카테터 허브(201) 내에 장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에 측 방향 압력을 가하여 카테터 벽을 향해 바깥쪽으로 밀어 낸다. 따라서, 노브(105)는 원주 홈(205) 내에 또는 돌출부(206) 뒤에 끼워질 것이다. 이는 바늘 끝(305)이 바늘 보호대(100)의 안전한 곳에 도달할 때까지 바늘 보호대(100)가 카테터 유닛(200)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바늘 끝(305)이 카테터(202)로부터 바늘 끝 차폐 장치(100) 내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면, 바늘 보호대(100)는 바늘 끝(305)을 중심으로 스스로를 클램핑하고, 따라서 바늘 보호대(100)의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이 휴지 상태로 되돌아 갈 것이다. 이러한 경우, 노브(105)는 카테터 유닛(200)의 홈(205) 또는 돌출부(206)와의 접촉을 해제할 것이고, 따라서 바늘 끝(305)이 안전하게 보호될 때 바늘 보호대(100)가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먼저 해제될 것이고, 카테터 허브로부터의 보호된 바늘의 용이한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바늘 보호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노브(105)는 카테터 허브(201)의 대응 홈에 끼워진다. 홈(205)과 노브(105) 간의 상호 작용은 바늘 보호대(100)를 장착 위치에 안전하게 유지시킨다.
도 7은 삽입 위치에서의 바늘 보호대를 도시하며, 여기서 바늘(302)은 탄성 아암(103)의 후크(104)에 인접한 위치로 후퇴되고, 따라서 바늘로부터의 탄성 아암 상의 압력이 해제되어, 탄성 아암이 이완된 위치에 있게 한다.
바늘 유닛(300)은 바늘 허브(301) 및 바늘(302)을 포함하며, 바늘(302)은 바늘 허브(301)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늘 허브(301)는 바늘(302)의 근위 단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축 방향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바늘(302)은 바늘 축(303) 및 바늘 끝(305)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끝(305)은 바늘 유닛(300)의 원위 단부 지점을 형성한다. 통상적인 것처럼, 바늘 허브(301)는 중공일 수 있고 근위 단부에서 플래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것처럼, 바늘(302)은 중공 관형 카테터(202) 내에 수용되고, 이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 허브(201)의 원위 단부 내에서 동심원으로 부착된다. 바늘 축(303)의 원위 단부 영역에서, 바늘(302)은 돌출부(304) 및 바늘 끝(305)을 구비한다. 바늘 유닛(300)은 바늘 허브(301), 및 바늘 축(303), 돌출부(304) 및 바늘 허브(301)에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늘 끝(305)을 갖는 바늘(302)을 포함한다.
바늘 시스템(40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늘 허브(301), 바늘(302) 및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를 포함한다. 스프링 클립 차폐 장치(100)는 바늘 축(303)에 장착되고 바늘 허브(301)와 바늘 돌출부(304) 사이에 위치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 카테터 유닛(200) 및 바늘 유닛(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안전 IV 카테터 기구(1000)를 도시하고 있다. 안전 IV 카테터 기구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카테터 시스템일 수도 있다.
카테터 기구(1000)의 준비 위치에서,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301)의 원위 단부에 안락하고 해제 가능하게 수용되고, 따라서 바늘(302)이 공동(204), 통로 및 원위 방향으로 카테터 허브(201) 및 카테터(202)를 통과하고, 그 결과 바늘 끝은 카테터(202)의 원위 단부를 넘어 연장하게 된다. 따라서, 바늘 허브(301)는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 축은 상기 카테터 기구(1000)의 준비 위치에서 카테터(202)의 내강(203) 내에 배치된다. 바늘 허브(301)는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바늘 축은 상기 카테터 기구(1000)의 준비 위치에서 카테터(202)의 내강(203) 내에 배치된다.
사용시, 바늘(302) 및 카테터(202)의 원위 끝이 환자의 정맥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의료인은 수동으로 카테터(202)를 정맥 내로 더 배치한 다음, 바늘 유닛(300)의 근위 단부를 손으로 쥐고 움직이면서 바늘을 빼낸다. 예시적인 안전 IV 카테터 기구(1000)에서, 카테터 허브의 루어(200)는 공동(204)의 근위 단부에서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될 유체의 공급원과 결합된다.
바늘(302) 및 카테터(202)의 원위 끝이 환자의 정맥 내로 삽입된 후, 바늘 유닛(300)은 카테터 유닛(200) 및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빼내어진다.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카테터 유닛(200)의 카테터 허브(201) 내에 유지된다. 바늘 유닛(300)이 카테터 유닛(200) 및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빼내어질 때, 바늘(302)이 또한 이들 둘에 대하여 근위 방향으로 빼내어진다. 바늘 끝이 후크 요소(104)와 같은 탄성 아암(103)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근위 방향으로 통과할 때, 탄성 아암(103)의 원위 단부는 바늘 끝의 앞쪽에 끼워진다. 바늘 축 상의 돌출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에 부딪히는데, 이는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관통 홀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치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돌출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탄성 아암(103)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상응하는, 바늘 끝으로부터의 거리에서 바늘 축 상에 배치되었고, 따라서 바늘 끝이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후크 요소(104)와 같은 원위 단부를 넘어 근위 방향으로 빼내어지고 나면,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바늘(302)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카테터 허브(201)의 내벽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것을 통해 카테터 유닛(200)으로부터 해제된다. 노브(105)와 카테터 유닛(200)의 홈(205) 또는 돌출부(206) 간의 상호 작용의 가역적인 상호 맞물림은, 도 7, 도 10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우발적인 바늘 찔림(needle stick)을 억제하고 방지하기 위해 바늘 보호대(300)가 바늘(302)의 끝에 단단히 배치될 때까지 바늘 보호대가 해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바늘 보호대(100)가 바늘 상에 장착되고, 바늘 축(303)은 바늘 보호대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연장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근위 단부에 있으며, 두 개의 탄성 아암(103)이 원위 단부에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늘 보호대(100)의 각각의 탄성 아암(103)은 탄성 아암(103)의 원위 측에 측 방향으로 연장된 노브(105)를 갖는다. 두 개의 대응하는 홈(205)은 바늘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의 내부 반경을 따라 바늘(302)의 연장부에 측 방향으로 이어진다. 노브(105)는 바늘 보호대(100)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있고, 이들 거리는 두 개의 홈(205)과 카테터 허브(201)의 근위 단부 사이의 거리에 각각 해당한다.
도 12는 삽입 위치에서의 보호대를 도시하며, 여기서 바늘은 탄성 아암(103)의 후크(104)에 인접한 위치로 후퇴되고, 따라서 바늘(302)로부터의 탄성 아암(103) 상의 압력이 해제되어, 탄성 아암(103)이 이완된 위치에 있게 한다.
도 13은 카테터 허브(201)의 내부 공동(204)에 완전히 삽입된 바늘 보호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노브는 카테터 허브(201)의 대응 홈에 끼워져 있다. 홈(108)과 노브(105) 간의 상호 작용은 바늘 보호대(100)를 삽입 위치에 안전하게 유지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바늘 보호대(100)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는 의도된 목적을 위해 점성, 강성, 내피로성, 탄성 및 크리프 변형 저항성의 적절한 조합을 갖는다.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는 높은 크리프 변형 저항성을 갖는다, 즉 인가된 외부 압력의 영향 하에서 천천히 움직이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경향이 낮다. 따라서, 바늘 보호대(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1000)은 아암(103) 또는 노브(105)의 광범위한 크리프 변형 없이 장기간 동안 조립된 준비 모드로 저장될 수 있다. 플라스틱 바늘 보호대(100)의 장점은 금속과 비교할 때, 바늘(302)의 회수 시 바늘 보호대(100)가 플라스틱 카테터 허브(201)에서 빠져나올 때, 플라스틱 카테터 허브(201)의 긁힘에 의해, 예를 들어,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의 방출이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의 영향을 받는 커넥터를 통한 누출을 초래할 수 있는 긁힌 흔적을 형성하는 경향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플라스틱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이의 특정 응용에 따라 쉽게 컬러 코딩되거나 투명할 수 있다.
바늘 보호대(100)는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일체형 또는 균일한 사출 성형된 바늘 보호대(100)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늘 보호대(100)의 상이한 부분의 특정 구성으로 인하여, 바늘 보호대(100)는 이들 상이한 부분들 간의 접점이 없는 하나의 균일한, 즉, 일체형 피스 및/또는 하나의 일체형 유닛으로 사출 성형과 같이 성형될 수 있다. 일체형 바늘 보호대(100)의 장점은 조립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제조된 다른 장치와 비교하여 낮은 제조 비용을 포함한다. 바늘 보호대(100)는 이와 관련하여 열가소성 고분자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고분자는 결정질, 비정질이거나, 또는 결정질 및 비정질의 교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의 크리프 저항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0 MPa(ISO 527, ASTM D638)일 수 있다. 바늘 보호대(100)에 적합한 플라스틱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P),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스티렌 아크릴로 니트릴(SAN), 아크릴로 니트릴 스티렌 아크릴 레이트, AS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스티렌 부타디엔(styrene butadiene, SB), 액정 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설폰(polysulfone, PSU),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 PPO) 및/또는 PPO/SB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고분자는 변형된 상태에서도 향상된 저장 용량을 제공하고, 이러한 고분자의 우수한 구조적 기억으로 인해 카테터 허브와 관련하여 뛰어난 협력 능력을 제공하는 장점을 특히 가지고 있다.
카테터 허브(201)에 장착된 바늘 보호대(100)와 같은 두 개의 몸체의 부드러운 형상의 접촉은, 특히 접촉 영역이 크고 이들이 함께 가압되는 경우, 이들 몸체 사이에 상당한 인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력에 대한 기본적인 기준은, 두 몸체의 반 데르 발스 상호 작용(molecular van der Waals interaction)과 표면 장력이 중요한 요소인, 두 개의 몸체의 분자들 간의 분자간 인력(intermolecular attraction)을 포함한다. 긴밀하게 상호 작용하는 표면 사이의 공유 결합 형성은 또한 인력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결합 형성 및 두 개의 표면 사이의 다른 유형의 인력 형성은 또한 방사선 처리, 예를 들어, 이들을 소독하기 위한 카테터 기구의 방사선 처리 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력은 바늘 보호대(100)가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해제되려는 순간 때 뚜렷해질 것이다. 그리고 나서, 바늘 보호대(300)를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해제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예상보다 상당히 커진다. "인력 효과"라 할 수 있는 이러한 효과는, 카테터 허브의 일부로부터, 예를 들어, 스프링 편향된 아암 등과 같은 장치의 일부의 자동 해제에 의존하는 경우, 스프링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의도된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바늘 보호대(100)와 카테터 허브(201) 간의 적어도 하나의 계면을 통해 바늘 보호대(100)는 조립된 상태에서 카테터 허브(201)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카테터 허브의 내부 내강과 접촉하는 바늘 보호대(100)의 표면은 카테터 허브의 고분자 재료와는 다른 고분자 재료로 되어 있다.
청구항에서, "포함하다/포함하는"이란 용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언급될지라도, 다수의 수단, 요소 또는 방법 단계는, 예를 들어, 하나의 장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기능들이 서로 다른 청구항에 포함될 수 있을지라도, 이들은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청구항에서의 포함은 기능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고 및/또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단수의 언급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하나의", "제 1의", "제 2의" 등과 같은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에서의 참조 부호는 단지 명확한 예로서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근위 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위 측으로 연장되는 홀(102)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부착 지점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을 포함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은, 탄성 아암(103)의 원위 후크(104)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과 일치하는 휴지 상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아암(103)은 원위 단부에서 노브(105)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105)는 탄성 아암(103)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노브(105)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횡단면(106)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05)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의 중심 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정중시상면(107)에서 외측 곡률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횡단면(106)의 외측 곡률의 반경은 횡단면(106)의 외측 곡률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까지의 내측 거리(medial distance)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106)의 외측 곡률의 내측 반경(medial radius)은 2 내지 0.1 mm, 바람직하게는 0.8 to 0.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중시상면(107)의 외측 곡률의 반경은 정중시상면(107)의 외측 곡률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홀(102)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가상선에 수직인 교차 축까지의 내측 거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중시상면(107)의 외측 곡률의 반경은 2 내지 0.1 mm, 바람직하게는 0.8 to 0.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브(105)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반구 또는 쐐기,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상과 같은 날카로운 돌출된 모서리가 없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클립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노브(105)를 가로지르는 횡단면에서의 외경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횡단면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아암의 수는 적어도 두 개이고, 이들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101)까지 동일한 인접 거리에 노브(10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아암의 수는 적어도 두 개이고, 이들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에서 떨어진 인접 거리에 노브(10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터의 공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끝 차폐 장치(10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끝 차폐 장치(100), 카테터 유닛(200) 및 바늘 유닛(300)을 포함하는 카테터 기구(1000)에 있어서,
    바늘 유닛(300)은, 바늘 유닛(300)의 바늘(302)이 카테터 유닛(200)의 카테터(202)의 내강(203)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카테터 허브(201) 내에 배치됨으로써, 바늘(302)이 카테터 유닛(200)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바늘 끝 차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이 바늘(302)의 바늘 축(303) 상에 안착되고 이에 의해 탄성 장착되도록, 단부 공동(204) 내에 그리고 바늘 축(303) 상에 배치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바늘(302)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관통 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늘 보호대(100)를 카테터 허브(201)로부터 해제하기 하기 위해 바늘 허브(301)가 카테터 허브(201)에서 빠져나올 때 바늘 돌출부(303)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상호 작용하고, 해제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103)은 바늘(302)의 끝(305)을 덮고;
    적어도 하나의 노브(105)는 카테터 유닛(2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 홈(205) 또는 돌출부(206)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카테터 유닛(200)의 상기 바늘 끝 차폐 장치(100)를 가역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기구(1000).
KR1020177030591A 2015-04-09 2016-04-07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KR20170135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419-4 2015-04-09
SE1550419 2015-04-09
PCT/SE2016/050295 WO2016163939A1 (en) 2015-04-09 2016-04-07 Needle tip shielding device and catheter hub theref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874A true KR20170135874A (ko) 2017-12-08

Family

ID=5707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591A KR20170135874A (ko) 2015-04-09 2016-04-07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02887B2 (ko)
EP (1) EP3283146B1 (ko)
JP (1) JP2018510722A (ko)
KR (1) KR20170135874A (ko)
CN (1) CN107530505A (ko)
AU (1) AU2016246366A1 (ko)
CA (1) CA2981463A1 (ko)
ES (1) ES2968791T3 (ko)
WO (1) WO2016163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1052A1 (en) * 2016-03-04 2017-09-08 Vigmed Ab Blood collection device
WO2018081632A1 (en) 2016-10-27 2018-05-03 C.R. Bard, Inc. Intraosseous access device
US10946176B2 (en) * 2017-04-06 2021-03-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safety clip
CN107929874B (zh) * 2017-12-15 2023-04-28 稳健平安医疗科技(湖南)有限公司 安全留置针的防针刺组件及安全留置针
EP3996790A2 (en) * 2019-07-08 2022-05-18 B. Braun Melsungen AG Hybrid safety spring clip for sharp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2568975A (zh) 2019-09-27 2021-03-30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恒定扭矩骨内进入装置及其方法
CN112568961A (zh) 2019-09-27 2021-03-30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骨内装置的自动推进特征
EP4031027A4 (en) 2019-09-27 2023-09-13 Bard Access Systems, Inc. VARIED OPERATING MECHANISMS FOR INTRAOSSEOUS ACCESS MEDIC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13520512A (zh) 2020-04-21 2021-10-22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可重复使用的推动启动式骨内进入装置
USD974552S1 (en) * 2020-08-17 2023-01-03 Rejuvatek Medical Inc. Needle cartridge clip
CN114903553A (zh) 2021-02-08 2022-08-16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骨内进入系统和用于钻入穿过骨骼的方法
CN116916988A (zh) * 2021-03-02 2023-10-20 格莱恩比奥-奥内有限公司 针尖端屏蔽装置和用于制造热塑性单元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241A (en) * 1988-08-05 1990-05-29 Kulli John C Medical needle puncture guard
US5135504A (en) * 1989-07-17 1992-08-04 Mclees Donald J Needle tip guard
US5599310A (en) * 1995-06-07 1997-02-04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I.V. catheter assembly with automatic cannula tip guard
US6117108A (en) 1997-08-20 2000-09-12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6616630B1 (en) * 1997-08-20 2003-09-09 B.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ITMI20062127A1 (it) 2006-11-07 2008-05-08 Artsana Spa Ago cannula di sicurezza con elemento di protezione dell'ago attivantesi automaticamente con distacco di quest'ultimo dal catetere
EP2279770B1 (en) * 2007-07-17 2012-07-11 Poly Medicure Ltd. Needle
UA100143C2 (ru) * 2008-03-17 2012-11-26 Поли Медикьюэ Лимитед Игл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внутривенный катетер
ES2391140T3 (es) * 2008-05-28 2012-11-21 Poly Medicure Ltd. Introductor de catéter
WO2010061405A2 (en) * 2008-11-28 2010-06-03 Malhotra Samarth Safely disposable i.v. cannula device
SE535169C2 (sv) 2010-04-13 2012-05-08 Vigmed Ab Skyddsanordning av polymer för en kateternålspets
UA110794C2 (uk) * 2010-05-05 2016-02-25 Полі Медікьюе Лімітед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голки для медичних інструментів та вузол iv катетера, що містить зазначений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голки
SG10201503405SA (en) * 2010-08-05 2015-06-29 Braun Melsungen Ag Needle safety device and assembly
ES2662356T3 (es) * 2011-04-27 2018-04-06 Kpr U.S., Llc Conjuntos de catéter IV de seguridad
WO2013014638A1 (en) * 2011-07-26 2013-01-31 Poly Medicure Limited Needle tip protector assembly for safety iv catheter assembly
EP2736577B1 (en) 2011-07-26 2022-11-30 Poly Medicure Limited Needle tip protector assembly for safety iv catheter assembly
US9427555B2 (en) * 2011-08-09 2016-08-30 Poly Medicure Limited Needle safety device
JP5838681B2 (ja) * 2011-09-16 2016-01-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方法及び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US8628497B2 (en) * 2011-09-26 2014-01-14 Covidien Lp Safety catheter
CN107096092A (zh) * 2011-11-08 2017-08-29 波利麦迪克有限公司 静脉导管设备
SE537334C2 (sv) * 2012-04-27 2015-04-07 Vigmed Ab Skyddsanordning för nålspets och monteringsanordning
SE537262C2 (sv) 2012-06-15 2015-03-17 Vigmed Ab Ett stängt IV-katetersystem innefattande en nålskyddsanordning
WO2013190407A1 (en) 2012-06-19 2013-12-27 Poly Medicure Limited Needle guard
EP3560541A1 (en) 2013-12-20 2019-10-30 B. Braun Melsungen AG Safety iv catheter assembly
US20160008581A1 (en) * 2014-07-08 2016-01-14 B. Braun Melsungen Ag Needle safet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3146A4 (en) 2019-02-27
AU2016246366A1 (en) 2017-11-23
BR112017021515A2 (pt) 2018-07-03
CN107530505A (zh) 2018-01-02
US20180304048A1 (en) 2018-10-25
BR112017021515A8 (pt) 2022-08-16
US11202887B2 (en) 2021-12-21
ES2968791T3 (es) 2024-05-14
JP2018510722A (ja) 2018-04-19
CA2981463A1 (en) 2016-10-13
WO2016163939A1 (en) 2016-10-13
EP3283146A1 (en) 2018-02-21
EP3283146B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874A (ko) 바늘 끝 차폐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테터 허브
KR101835711B1 (ko) 폴리머 카테터 바늘 끝 차폐 장치
EP2861292B1 (en) Needle tip shielding device and fixing arrangement
BR112012002670B1 (pt) instrumento do tipo cateter compreendendo um cubo de cateter, uma unidade de agulha e um dispositivo protetor de ponta de agulha de plástico
US9302077B2 (en) Needle tip shielding device
KR20170102918A (ko) 니들 허브 및 이러한 니들 허브를 포함하는 iv 카테터 시스템
JP2006102521A (ja) 安全針組立体
JP2015514543A (ja) 針先遮蔽装置および固定機構
JPWO2016133138A1 (ja) 留置針組立体
BR112017021515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de ponta de agulha e instrumento de cateter
BR112017014247B1 (pt) Sistema de cateter iv compreendendo um cubo de cat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