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795A - 기립 보조기 - Google Patents

기립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795A
KR20170135795A KR1020170160284A KR20170160284A KR20170135795A KR 20170135795 A KR20170135795 A KR 20170135795A KR 1020170160284 A KR1020170160284 A KR 1020170160284A KR 20170160284 A KR20170160284 A KR 20170160284A KR 20170135795 A KR20170135795 A KR 20170135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river
pair
beams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호
Original Assignee
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호 filed Critical 서재호
Priority to KR102017016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795A/ko
Publication of KR2017013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노인이나 장애인이 앉은 자세일 때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립 보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기립 보조기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베이스의 전단부에 끼워지며 상하로 연장된 베이스 연결 빔(base connecting beam),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 연결 빔의 상단에 자신의 전단부가 힌지(hinge) 체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구동기 보디(body)와, 전력 공급에 의해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기 로드(rod)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동기 로드의 상단이 회전 프레임에서 전단부보다 후방의 지점에 힌지 체결되고, 구동기 보디는 베이스에 체결되는 전동 구동기를 구비한다. 구동기 로드가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면, 회전 프레임의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오도록 회전 프레임이 자신의 전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기립 보조기{Device to assist standing up}
본 발명은 노인이나 장애인이 앉은 자세일 때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립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력이 약한 고령자가 앉은 자세로부터 스스로 일어나지 못하거나 무리하게 일어나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하여,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도 노약자가 혼자서 앉은 자세로부터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립 보조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립 보조기는 사고로 인해 일시적으로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환자, 또는 장애인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립 보조기는,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형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혼자 기립하기 힘들 정도의 노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은 바닥에 앉는 생활을 거의 하지 않고 의자에 앉는 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가 더욱 필요하다.
종래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는, 등받이가 기울어지거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가 올려지는 동작을 통해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만으로 기력이 없는 노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이 스스로 일어서도록 하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립 보조기의 동작을 유발하는 구동기(actuator)가 복수 개가 요구되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800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가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시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서도록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기(actuator)의 동력만으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를 기울여 사용자를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도록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이 혼자서도 좌변기에 앉았다가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로서, 좌변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끼워지며 상하로 연장된 베이스 연결 빔(base connecting beam),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상단에 자신의 전단부가 힌지(hinge)로 체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구동기 보디(body)와,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기 로드(rod)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 로드의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에서 상기 전단부보다 후방의 지점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구동기 보디는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전동 구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가 상기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오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이 자신의 전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승강 가능하며, 상기 구동기 로드가 상기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면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하고,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이 최대 상승 한계에서 상승을 멈춘 이후에도 상기 구동기 로드가 계속 돌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는,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베이스 연결 빔과 함께 승강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류(screw), 상기 스크류에 나사 체결된 너트(nut),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가 상승할 때 상기 너트를 가로막아 상기 스크류 및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에 체결된 상기 너트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에 지지되는 시트는 좌변기의 변기 시트(toilet seat)의 형상에 대응되게 중앙부에 개구(開口)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후 연장 빔(beam)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은 상기 좌변기가 양 자 사이에 개재될 수 있게 서로 이격되고, 상기 좌변기의 변기 시트보다 낮은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는,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의 위치를 상기 좌변기에서 이격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상기 좌변기를 가로지르며,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 후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말굽형 바(horseshoe shaped ba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는, 상기 전동 구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button) 및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가 상기 구동기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가 상기 구동기 보디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에 의하면, 전동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시트의 후단이 상승하도록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시트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올려짐과 동시에 다리가 펴지면서 사용자가 기립하는 자세가 되므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몸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쉽게 일어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는 하나의 전동 구동기의 동력만으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고장 가능성이 적어 기립 보조기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베이스 연결 빔의 최대 승강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인, 환자, 또는 장애인의 신장(身長) 차이에 불구하고 적절한 기립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좌변기에 장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는, 좌변기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의 거소 변경시에 다른 좌변기에 옮겨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노인, 환자, 또는 장애인의 화장실 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기립 보조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기립 보조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10)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전단부에 끼워진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base connecting beam)(30)과, 회전 프레임(20)과, 시트(seat)(45)와, 한 쌍의 팔걸이(27)와, 등받이(47)와, 전동 구동기(50)와, 리모트 콘트롤러(55)를 구비한다.
베이스(1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앞다리(12)와, 상기 한 쌍의 앞다리(12)의 뒤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뒷다리(19)와, 한 쌍의 앞다리(12)의 상단을 이어주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좌우 연장 빔(16)과, 한 쌍의 앞다리(12)의 하단을 이어주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좌우 연장 빔(13)과, 앞다리(12)의 상단과 뒷다리(19)의 상단을 이어주도록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8)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13)에는 힌지 브라켓(14)이 고정 결합된다.
베이스(11)를 구성하는 상기 빔들(12, 13, 16, 18, 19)은 예컨대, 스틸(steel) 소재로 형성되고, 속이 비어 있고 단면이 사각형인 빔(beam)으로 형성되며,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다만, 상기한 소재와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목재로 형성되고, 스크류(screw)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14)도 예컨대, 스틸 소재로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13)에 결합되나, 예시된 소재와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30)은 한 쌍의 앞다리(12)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앞다리(12)보다 얇으며, 상기 한 쌍의 앞다리(12)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미도시)를 통해 앞다리(12) 내부로 삽입된다.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30)의 상단에는, 힌지 체결부(32)와 스크류 지지부(33)를 구비한 복합 브라켓(31)이 각각 고정 결합된다. 복합 브라켓(31)은 앞다리(12)에 삽입될 수 없어 앞다리(12) 위에 노출된다.
회전 프레임(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자신의 전단부(21a)가 상기 복합 브라켓(31)의 힌지 체결부(32)에 체결 스크류(screw)에 의해 힌지(hinge) 체결된 한 쌍의 회전 빔(21)과, 상기 한 쌍의 회전 빔(21)을 이어주는 빔(beam)으로,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좌우 연장 빔(22, 23)과, 상기 한 쌍의 좌우 연장 빔(22, 23)을 이어주며 상기 회전 빔(21)과 평행하게 연장된 전후 연장 빔(24)을 구비한다. 상기 전후 연장 빔(24)의 하측면에는 힌지 브라켓(25)이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빔(21)의 전단부(21a)를 관통하고 Y축과 평행한 가상의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 프레임(20)에는 기립 보조기(10)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45)가 고정 지지된다. 한편, 베이스(11)의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8)에는 회전 프레임(20)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서포트(support)(17)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기립을 보조하는 동작을 하지 않을 때, 즉 회전 프레임(20)이 회전하지 않았을 때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한 쌍의 서포트(17)에 지지되어 수평한 자세가 유지된다(도 3 참조).
회전 프레임(20)의 한 쌍의 회전 빔(21)에는 사용자가 시트(45)에 앉았을 때 팔을 걸쳐놓을 수 있는 한 쌍의 팔걸이(27)가 고정 결합된다. 베이스(11)의 후단부,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뒷다리(19)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등받이 기둥(46)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등받이 기둥(46)에 등받이(47)가 고정 결합된다.
전동 구동기(50)는, 구동기 보디(body)(51)와,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기 보디(51)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기 로드(rod)(52)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 로드(52)의 상단은 회전 프레임(20)의 힌지 브라켓(25)에 체결 스크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고, 상기 구동기 보디(51)의 하단은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13)에 고정 결합된 힌지 브라켓(14)에 체결 스크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된다.
리모트 콘트롤러(55)는 전동 구동기(50)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button)(56)과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57)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상기 구동기 보디(5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기 로드(52)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반면,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57)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상기 구동기 보디(51)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57)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기 로드(52)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을 계속 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이미 구동기 보디(51)로부터 최대한 돌출된 상태이면 구동기 로드(52)는 더 이상 돌출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57)을 계속 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이미 구동기 보디(51)에 최대한으로 삽입된 상태이면 구동기 로드(52)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리모트 콘트롤러(55)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와이어(wire)(59)를 통해 구동기 보디(51)와 유선 연결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10)는 도 1에 도시된 유선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리모트 콘트롤러(55)와 전동 구동기(50)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을 눌러 구동기 로드(52)가 구동기 보디(51)에서 돌출되면, 회전 프레임(20)의 후단부(21b)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오도록 회전 프레임(20)이 한 쌍의 전단부(21a)를 가로지르는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세분하여 설명하면, 먼저 구동기 로드(52)가 구동기 보디(51)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디폴트(default) 위치인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0)과, 이에 지지된 시트(45)가 거의 수평인 자세를 유지하며, 회전 프레임(20)은 베이스(11)의 전후 연장 빔(18)에서 상향 돌출된 서포트(17)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을 누르면, 구동기 로드(52)가 구동기 보디(51)에서 돌출되기 시작하며,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위로 올려주는 힘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0)의 전단부(21a)가 위로 상승한다. 부연하면, 회전 프레임(20)의 힌지 브라켓(25)의 위치가, 서로 결합된 회전 프레임(2), 복합 브라켓(31), 베이스 연결 빔(35), 후술할 스크류(40) 및 너트(nut)(43)의 무게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회전 프레임(20)이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합 브라켓(31)에 힌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 브라켓(25)이 구동기 로드(52)에 의해 위로 올려지면 회전 프레임(20)의 전단부(21a)는 상승하고, 회전 프레임(20)의 후단부(21b)는 상승하지 않아서 시트(45)와 회전 프레임(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된다.
한 쌍의 복합 브라켓(31)에 결합된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30)은 베이스(11)에 대해 상승하여 상기 디폴트 위치인 때보다 베이스 연결 빔(30)의 상부가 베이스(11) 위로 더 많이 노출된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30)은 상기 한 쌍의 앞다리(12)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므로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연결 빔(35)은 자신의 최대 상승 한계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이 계속 눌려지더라도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다.
상기 베이스 연결 빔(35)이 상기 최대 상승 한계에 도달한 이후에도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56)이 계속 눌려져 구동기 로드(52)가 계속 돌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0)이 상기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 프레임(20)의 후단부(21b)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 로드(52)가 최대로 돌출되면, 시트(45)는 도 3의 디폴트 위치인 때보다 전체적으로 상승하며, 시트(45)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높아지게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시트(45)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올려짐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리가 펴지면서 사용자가 기립하는 자세가 되므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몸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쉽게 일어설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45) 및 회전 프레임(2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57)을 계속 누르면 구동기 로드(52)가 구동기 보디(51)에 삽입되고, 그 과정에서 상술한 회전 프레임(20) 및 시트(45)가 자신의 상승 및 회전 과정의 역 방향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기립 보조기(10)는 상기 베이스 연결 빔(35)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수단은, 앞다리(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류(screw)(40)와, 너트(nut)(43)와, 스토퍼(stopper)(37)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40)는 상단의 스크류 헤드(head)(41)와, 스크류 헤드(41) 아래에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수나사 패턴이 가공된 스크류 보디(42)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 헤드(41)는 복합 브라켓(31)의 스크류 지지부(33)에 체결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 보디(42)는 상기 스크류 지지부(33)를 관통하여 앞다리(12) 및 베이스 연결 빔(35)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 보디(42)는 상기 스토퍼(37)를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37)는 상기 앞다리(12)의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너트(43)는 상기 스크류 보디(42)의 스토퍼(37) 아래 부분에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구동기 로드(52)가 도 3의 디폴트 위치로부터 돌출되면 베이스 연결 빔(30)과 함께 스크류(40)와 너트(43)도 상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43)가 상기 스토퍼(37)에 충돌하면 스크류(40)와 베이스 연결 빔(30)은 구동기 로드(52)가 계속 상승하더라도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상승이 제한되며, 이 상태까지 베이스 연결 빔(30)이 상승한 높이가 최대 상승 한계가 된다.
기립 보조기(10)의 사용자는 상기 너트(43)를 상기 스크류 보디(42)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40)에 체결된 너트(43)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연결 빔(30)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43)를 스크류 보디(41)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너트(43)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상기 디폴트 위치에서 스토퍼(37)와 너트(4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베이스 연결 빔(30)의 최대 상승 한계는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너트(43)를 스크류 보디(41)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너트(43)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기 디폴트 위치에서 스토퍼(37)와 너트(4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베이스 연결 빔(30)의 최대 상승 한계는 낮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베이스 연결 빔(30)의 최대 상승 한계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인하여, 상기 기립 보조기(10)는 노인, 환자, 또는 장애인의 신장(身長) 차이에 불구하고 적절한 기립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60)는 화장실의 좌변기(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61)와, 베이스(61)의 전단부에 끼워진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80)과, 회전 프레임(70)과, 시트(seat)(93)와, 한 쌍의 팔걸이(79)와, 전동 구동기(50)와, 리모트 콘트롤러(95)를 구비한다.
베이스(6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앞다리(62)와, 상기 한 쌍의 앞다리(62)의 뒤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뒷다리(68)와, 한 쌍의 앞다리(62)의 상단을 이어주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좌우 연장 빔(64)과, 한 쌍의 앞다리(62)의 하단을 이어주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좌우 연장 빔(65)과, 앞다리(62)의 상단과 뒷다리(68)의 상단을 이어주도록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에는 후술할 회전 프레임(70)을 지지하는 서포트(support)(69)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65)에는 힌지 브라켓(66)이 고정 결합된다.
베이스(61)를 구성하는 상기 빔들(62, 64, 65, 67, 68)은 예컨대, 스틸(steel) 소재로 형성되고, 속이 비어 있고 단면이 사각형인 빔(beam)으로 형성되며,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다만, 상기한 소재와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목재로 형성되고, 스크류(screw)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66)도 예컨대, 스틸 소재로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65)에 결합되나, 예시된 소재와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은 좌변기(1)가 양 자(67) 사이에 개재될 수 있게 서로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좌변기(1)는 오목하게 파인 그릇 형태로서 사용자의 변(便)이 낙하되는 변통(便桶)(4)과, 상기 변통(4)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변통(4)보다 높게 위치하는 수조(2)를 구비한다. 수조(2)에 장착된 레버(3)를 내리면 상기 수조(2)에 저장된 물이 상기 변통(4)으로 흘러 변통(4) 내부를 씻어내며 상기 변통(4)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은 상기 변통(4)이 양 자(67) 사이에 개재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은 좌변기(1)의 변통(4) 상단에 힌지(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변기 시트(6)보다 낮은 높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립 보조기(60)는 좌변기(1)의 변통(4)을 가로지르며, 양 단부(91)가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의 후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말굽형 바(horseshoe shaped bar)(90)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의 후단부에는 상기 말굽형 바의 하향 연장된 양 단부(91)가 삽입 가능한 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말굽형 바(90)의 양 단부(91)가 삽입되면 상기 말굽형 바(90)의 중간 부분이 변기 시트(6)와 수조(2) 사이의 변통(4) 상단에 가로막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상기 말굽형 바(90)의 양 단부(91)는 한 쌍의 뒷다리(68)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기립 보조기(60)를 좌변기(1)에 설치할 때 먼저, 한 쌍의 뒷다리(68)가 상기 변통(4)의 좌우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베이스(61)를 변통(4)의 앞에서 뒤로 밀어 이동시킨 다음, 말굽형 바(90)의 양 단부(91)를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 후단부의 개구(미도시)에 삽입하고 상기 말굽형 바(90)를 아래로 내려 베이스(61)의 후단부를 좌변기(1)에 대해 고정한다. 상기 말굽형 바(90)에 의해 베이스(61)의 위치가 좌변기(1)에서 이격되지 않게 고정되고, 한 쌍의 뒷다리(68) 및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의 후단부가 상기 변통(4)에서 이격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말굽형 바(90)의 양 단부(9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방법으로만 체결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상기 말굽형 바의 양 단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전후 연장 빔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를 매개로 하여 말굽형 바의 양 단부와 전후 연장 빔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말굽형 바의 양 단부를 볼트(bolt)로 체결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전후 연장 빔을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말굽형 바를 상기 전후 연장 빔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에는 상기 베이스(61)를 상기 변통(4)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100)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고정구(100)는 볼트(bolt)(101)와, 브라켓(bracket)(104)과, 탄성체(105)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101)는 나사 패턴이 형성된 볼트 보디(102)가 상기 전후 연장 빔(67)을 관통하며, 볼트 보디(102)의 말단이 상기 변통(4)에 가깝게 배치되고, 볼트 헤드(103)가 상기 변통(4)에서 멀리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04)은 상기 볼트 보디(102)의 말단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체(105)는 상기 브라켓(104)에 수용된 채 상기 변통(4)의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체(105)는 예컨대, 우레탄 폼(urethane foam)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의 후단부에 말굽형 바(90)의 양 단부(91)를 체결한 후에, 볼트(100)를 변통(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체(105)가 변통(4)에 밀착되면서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 및 이를 포함하는 베이스(61)가 좌변기(1)에 대해 고정된다.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80)은 한 쌍의 앞다리(62)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앞다리(62)보다 얇으며, 상기 한 쌍의 앞다리(62)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미도시)를 통해 앞다리(62) 내부로 삽입된다.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80)의 상단에는, 힌지 브라켓(82)이 각각 고정 결합된다. 힌지 브라켓(82)은 상기 앞다리(62)에 삽입될 수 없어 앞다리(62) 위에 노출된다.
회전 프레임(7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자신의 전단부(71a)가 상기 힌지 브라켓(82)에 체결 스크류(screw)에 의해 힌지(hinge) 체결된 한 쌍의 회전 빔(71)과, 상기 한 쌍의 회전 빔(71)을 이어주는 빔(beam)으로,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좌우 연장 빔(73)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 연장 빔(73)의 하측면에는 힌지 브라켓(74)이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70)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빔(71)의 전단부(71a)를 관통하고 Y축과 평행한 가상의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 프레임(70)은 기립 보조기(60)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93)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지지 빔(76, 77)을 더 구비한다. 한 쌍의 제1 시트 지지 빔(76)은 한 쌍의 회전 빔(71)의 후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한 쌍의 제2 시트 지지 빔(77)은 한 쌍의 회전 빔(71)과 하나의 좌우 연장 빔(73)을 이어주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트(93)는 상기 시트 지지 빔들(76, 77)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좌변기(1)의 변기 시트(6)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7)에 대응되게, 상기 시트(93)의 중앙부에도 개구(9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 지지 빔들(76, 77)은 상기 시트(93)의 개구(94)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지 않게 배열된다.
한편, 상기 회전 프레임(70)이 기립을 보조하는 동작을 하지 않을 때, 즉 후술할 구동기 로드(88)가 돌출되지 않아 회전 프레임(70)이 회전하지 않았을 때 회전 프레임(70)은 한 쌍의 전후 연장 빔(67)에서 상향 돌출된 서포트(69)에 지지되어 거의 수평한 자세를 유지한다. 회전 프레임(70)의 한 쌍의 회전 빔(71)에는 사용자가 시트(94)에 앉았을 때 팔을 걸쳐놓을 수 있는 한 쌍의 팔걸이(79)가 고정 결합된다.
전동 구동기(86)는, 구동기 보디(body)(87)와,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기 보디(87)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기 로드(rod)(88)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 로드(88)의 상단은 회전 프레임(70)의 힌지 브라켓(74)에 체결 스크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고, 상기 구동기 보디(87)의 하단은 상기 하측 좌우 연장 빔(65)에 고정 결합된 힌지 브라켓(66)에 체결 스크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된다.
리모트 콘트롤러(95)는 전동 구동기(86)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button)(96)과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97)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96)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88)가 상기 구동기 보디(87)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96)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기 로드(88)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반면,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97)이 눌려지면 눌려진 동안만 상기 구동기 로드(88)가 상기 구동기 보디(87)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97)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기 로드(88)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96)을 계속 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구동기 로드(88)가 이미 구동기 보디(87)로부터 최대한 돌출된 상태이면 구동기 로드(88)는 더 이상 돌출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97)을 계속 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구동기 로드(88)가 이미 구동기 보디(87)에 최대한으로 삽입된 상태이면 구동기 로드(88)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리모트 콘트롤러(95)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와이어(wire)(99)를 통해 구동기 보디(87)와 유선 연결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립 보조기(60)는 도 6에 도시된 유선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리모트 콘트롤러(95)와 전동 구동기(86)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80)은 베이스(61)에 대해 높이 조정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한 쌍의 앞다리(62)에 핀(pin)(84)이 관통 가능한 복수의 핀 홀(pin hole)(63)이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연결 빔(80)의 하단에도 상기 핀(84)이 관통 가능한 하나의 핀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다리(62)의 복수의 핀 홀(63) 중 하나와 상기 베이스 연결 빔(80)의 핀 홀(미도시)이 정렬되는 높이로 상기 베이스 연결 빔(80)을 유지하면서 상기 정렬된 앞다리(62)의 핀 홀(63)과 베이스 연결 빔(80)의 핀 홀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핀(84)을 끼우면 베이스 연결 빔(80)은 베이스(70)에 대해 특정된 일 높이에서 고정된다. 상기 앞다리(62)의 복수의 핀 홀(63)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베이스 연결 빔(80)의 핀 홀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핀(84)을 끼우면, 상기 베이스 연결 빔(80)과 그에 연결된 회전 프레임(70)의 높이가 변경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처럼 베이스 연결 빔(80)과 회전 프레임(70)의 높이가 조정되기 때문에 변통(4) 상단과 이에 지지되는 변기 시트(6)의 높이가 좌변기(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그 높이에 맞춰 기립 보조기(60)를 좌변기(1)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좌변기(1)의 변기 시트(4) 일 측에는 비데(bidet) 기능을 입력 및 제어하기 위한 비데 콘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는데, 베이스(61)의 전후 연결 빔(67)과 회전 프레임(70) 사이에 상기 비데 콘트롤러가 위치하도록 상술한 방식으로 베이스 연결 빔(80)과 회전 프레임(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좌변기(1)에 기립 보조기(6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96)을 눌러 구동기 로드(88)가 구동기 보디(87)에서 돌출되면, 회전 프레임(70)의 후단부, 즉 제1 시트 지지 빔(76)이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오도록 회전 프레임(70)이 한 쌍의 전단부(71a)를 가로지르는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구동기 로드(88)가 구동기 보디(87)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디폴트(default) 위치인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70)이 상기 서포트(69)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70)과 이에 지지된 시트(93)가 거의 수평인 자세를 유지한다.
상기 구동기 로드 상승 버튼(96)을 누르면, 구동기 로드(88)가 구동기 보디(87)에서 돌출되며, 베이스 연결 빔(80)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프레임(70)이 상기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 프레임(70)의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온다. 이로 인해, 회전 프레임(70)에 지지된 시트(93)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높아지게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시트(93)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올려짐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리가 펴지면서 사용자가 기립하는 자세가 되므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몸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쉽게 일어설 수 있다. 한편, 구동기 로드(88)가 돌출되어 시트(93) 및 회전 프레임(7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 로드 하강 버튼(97)을 계속 누르면 구동기 로드(88)가 구동기 보디(87)에 삽입되고, 그 과정에서 상술한 회전 프레임(70) 및 시트(93)가 상술한 회전 과정의 역 방향 과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기(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좌변기(1)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예컨대, 사용자의 거소 변경시와 같이 사정이 있을 때 다른 좌변기에 옮겨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 환자, 또는 장애인의 화장실 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립 보조기 11: 베이스
20: 회전 프레임 30: 베이스 연결 빔
42: 스크류 43: 너트
45: 시트 47: 등받이
50: 전동 구동기 55: 리모트 콘트롤러

Claims (1)

  1.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끼워지며 상하로 연장된 베이스 연결 빔(base connecting beam);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연결 빔의 상단에 자신의 전단부가 힌지(hinge) 체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구동기 보디(body)와,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기 로드(rod)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 로드의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에서 상기 전단부보다 후방의 지점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구동기 보디는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전동 구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 로드가 상기 구동기 보디에서 돌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앞으로 나오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이 자신의 전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기.
KR1020170160284A 2017-11-28 2017-11-28 기립 보조기 KR20170135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84A KR20170135795A (ko) 2017-11-28 2017-11-28 기립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84A KR20170135795A (ko) 2017-11-28 2017-11-28 기립 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35A Division KR101838105B1 (ko) 2016-03-07 2016-03-07 기립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95A true KR20170135795A (ko) 2017-12-08

Family

ID=6092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284A KR20170135795A (ko) 2017-11-28 2017-11-28 기립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7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678A (en) Toilet seat booster
US8973997B2 (en)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US5309583A (en) Powered lift toilet seat
US4003479A (en) Hoist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6035462A (en) Portable commode seat with lift assist
KR101965161B1 (ko)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CN108118767B (zh) 一种智能升降清洁马桶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US20110121625A1 (en) Lift chair
US2020009575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US20200093665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US11701277B1 (en) Configurable elevated seat
KR101838105B1 (ko) 기립 보조기
JP6476390B2 (ja) 起立着座支援椅子
US6438769B1 (en) Mobile seat lifting apparatus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WO2014168080A1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KR20170135795A (ko) 기립 보조기
US4358156A (en) Foot rest and actuator for chairs for patients and invalids
JP2016036366A (ja) 起立着座支援装置
CN220175007U (zh) 一种如厕辅助装置
JP3304723B2 (ja) 介助機能付用便装置
JP6653937B2 (ja) 起立着座支援装置
KR102047041B1 (ko)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CN220494907U (zh) 坐便用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