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453A -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453A
KR20170134453A KR1020177028116A KR20177028116A KR20170134453A KR 20170134453 A KR20170134453 A KR 20170134453A KR 1020177028116 A KR1020177028116 A KR 1020177028116A KR 20177028116 A KR20177028116 A KR 20177028116A KR 20170134453 A KR20170134453 A KR 2017013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terminal
conductive por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스케 사와니시
히데유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에리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리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8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01M2/021
    • H01M2/0275
    • H01M2/206
    • H01M2/26
    • H01M2/3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전극 시트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와, 전해질을 구비한다.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와, 상기 전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를 형성한다. 상기 발전요소 및 상기 전해질은 상기 발전요소 수용부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제1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를 가진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인다.

Description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
본 발명은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assembled battery)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지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대용량의 전지는 전기자동차용 전원이나 전력저장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전지를 단전지로 사용하면, 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압보다도 전지의 전압이 낮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접속해서 공급 전압을 소망하는 전압까지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단전지에서는 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기량을 충분하게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복수의 전지를 병렬로 접속해서 공급 전기량을 소망하는 양까지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 전지 박스나 조립전지를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이동체나 축전용 등의 전지에서는 요구되는 전압ㆍ용량이 큰, 또, 단전지로 교환 가능한 부품으로서의 취급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는 조립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복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버스 바에 의해 외부단자를 접속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이나, 절곡한 전극단자를 용접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전극단자를 절곡시킨 전지를 전지 팩에 실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52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92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4387호
그러나 복수의 전지를 버스 바에 의해 접속하면, 버스 바를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전지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 버스 바를 절연시킬 필요가 있어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전극단자를 절곡시켜서 복수의 전지를 조합시키는 종래의 조립전지에서는 전지 간의 단자부를 절연하는 부재를 설치하는 필요가 있어,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극단자의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또 저코스트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전극 시트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와, 전해질을 구비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와, 상기 전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발전요소 및 상기 전해질은 상기 발전요소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제1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발전요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과, 전해질을 구비하고, 라미네이트 필름은, 라미네이트 필름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와, 전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를 형성하고, 발전요소 및 전해질은 발전요소 수용부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발전요소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전지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전극 시트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를 가지기 때문에 전지의 방전이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 접속부와 제1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를 가지기 때문에, 도전부를 절곡시킬 수 있고,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의 접속부에 맞추어서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나, 조립전지의 접속부 위치에 맞추어서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된 조립전지 등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전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도전부를 절연시킬 수 있고,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발전요소 수용부와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도전부를 뒤덮는 것에 의해, 전지의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도전부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비접착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를 용이하게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공성이 향상한다. 또, 도전부를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실링부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1점 쇄선 A-A에 있어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에 포함되는 절곡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7의 (a)∼(e)는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의 (a)∼(e)는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조립전지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9의 (a)∼(c)는 본 발명에 1실시형태의 조립전지의 개략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전극 시트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와, 전해질을 구비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와, 상기 전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발전요소 및 상기 전해질은 상기 발전요소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제1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전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고, 제2 실링부는 도전부와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도전부는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전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실링부의 실링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전해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전극 시트는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를 포함하고, 전극 접속단자는 양극 시트에 접속하는 양극 접속단자와, 음극 시트에 접속하는 음극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제1 실링부는 양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양극 실링부와, 음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음극 실링부를 포함하고, 양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양극 외부 접속부와, 양극 외부 접속부와 제1 양극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양극 도전부를 가지고, 음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음극 외부 접속부와, 음극 외부 접속부와 제1 음극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음극 도전부를 가지고,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에 있어서의 리크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양극 도전부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비접착으로 하고, 음극 도전부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비접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를 용이하게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를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양극 실링부 또는 제1 음극 실링부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양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양극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양극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양극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며, 또 음극 접속단자가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음극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음극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음극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고, 제2 양극 실링부는 양극 도전부와 양극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음극 실링부는 음극 도전부와 음극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양극 도전부는 양극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음극 도전부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양극 실링부 또는 제1 음극 실링부의 실링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전해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발전요소 수용부는 양극 도전부 수용부와 음극 도전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도전부 또는 음극 도전부에 용이하게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양극 시트는 양극 접속단자에 접속하는 양극 집전 시트와, 양극 집전 시트 상에 설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가지고, 음극 시트는 음극 접속단자에 접속하는 음극 집전 시트와, 음극 집전 시트 상에 설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가지고, 발전요소는, 양극 활물질층, 음극 활물질층 및 세퍼레이터가 중첩된 부분과, 양극 접속단자 사이의 간의 양극 집전 시트에 있어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 양극 활물질층, 음극 활물질층 및 세퍼레이터가 중첩된 부분과, 음극 접속단자 사이의 음극 집전 시트에 있어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외부 접속부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소형화된 조립전지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양극 접속단자 및 음극 접속단자는 L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외부 접속부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를 발전요소 수용부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양극 도전부 및 음극 도전부는 절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극 외부 접속부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소형화된 조립전지 등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를 복수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밀폐형 전지의 상기 외부 접속부를 접속한 조립전지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전지에 의하면, 소형화된 조립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에 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이나 이하의 기술 중에서 나타내는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이나 이하의 기술 중에서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도 3 또는 도 4의 1점쇄선 A-A에 있어서의 밀폐형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30)는 전극 시트(11) 및 세퍼레이터(16)를 포함하는 발전요소(10)와, 발전요소(10)를 사이에 감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1)과, 전극 시트(11)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20)와, 전해질(25)을 구비하고, 라미네이트 필름(1)은, 라미네이트 필름(1)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2)와, 전극 접속단자(20)가 라미네이트 필름(1)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3)에 의해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5)를 형성하고, 발전요소(10) 및 전해질(25)은 발전요소 수용부(5) 내에 수용되고, 전극 접속단자(20)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21)와, 외부 접속부(21)와 제1 실링부(3)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22)를 가지고, 도전부(22)는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밀폐형 전지(30)는 파우치 전지(pouch battery)이다. 또, 밀폐형 전지(30)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니켈ㆍ수소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이다.
라미네이트 필름(1)은 복수의 필름을 적층시킨 필름으로, 밀폐형 전지(30)의 외장이 된다.
라미네이트 필름(1)은 전지의 외장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 필름의 양면 상에 수지 필름을 적층시킨 것이다.
라미네이트 필름(1)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200㎛로 할 수 있다.
용착부(2)는 라미네이트 필름(1)을 중첩시켜서 용착시킨 부분이다. 용착부(2)는 발전요소 수용부(5)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 일 수도 있고, 도전부 수용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 일 수도 있다.
또, 제1 실링부(3)(제1 양극 실링부(3a) 또는 제1 음극 실링부(3b)) 및 제2 실링부(4)(제2 양극 실링부(4a) 또는 제2 음극 실링부(4b))는 전극 접속단자(20)(양극 접속단자(20a) 또는 음극 접속단자(20b))가 라미네이트 필름(1)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부분이다. 제1 실링부(3)의 폭 또는 제2 실링부(4)의 폭은 예를 들면 약 1cm로 할 수 있다.
용착부(2), 제1 실링부(3), 제2 실링부(4)는 예를 들면, 열 용착, 초음파 용착, 진동 용착, 적외선 용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용착부(2)는 중첩된 라미네이트 필름(1)을 접촉시켜 용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중첩된 라미네이트 필름(1) 사이에 프라이머 등의 다른 재료를 넣어 용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실링부(3) 또는 제2 실링부(4)는 전극 접속단자(20)에 라미네이트 필름(1)을 접촉시켜 용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전극 접속단자(20)과 라미네이트 필름(1) 사이에 프라이머 등의 다른 재료를 넣어 용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은 발전요소(10)과 전해질(25)을 수용하는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5)를 형성한다. 발전요소 수용부(5)는 2장의 라미네이트 필름(1) 사이에 발전요소(10)를 삽입하고, 발전요소(10)의 주위에 용착부(2), 제1 양극 실링부(3a), 제1 음극 실링부(3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 발전요소 수용부(5)는 1장의 라미네이트 필름(1)을 절곡시키고, 계곡 절곡부(valley fold area) 내에 발전요소(10)를 배치하고, 발전요소(10)의 주위에 용착부(2), 제1 양극 실링부(3a), 제1 음극 실링부(3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은 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를 비접착으로 뒤덮는다. 이것에 의해, 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가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에 있어서 리크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를 용이하게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은 양극 접속단자(20a)의 양극 도전부(22a)를 수용하는 양극 도전부 수용부(6a)를 형성할 수 있다. 양극 도전부 수용부(6a)에 있어서, 양극 도전부(22a)와 라미네이트 필름(1)은 비접착으로 할 수 있다. 또, 라미네이트 필름(1)은 음극 접속단자(20b)의 음극 도전부(22b)를 수용하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를 형성할 수 있다. 음극 도전부 수용부(6b)에 있어서, 음극 도전부(22b)와 라미네이트 필름(1)은 비접착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발전요소 수용부(5)가 양극 도전부 수용부(6a)와 음극 도전부 수용부(6b)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극 도전부 수용부(6a) 및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양극 도전부 수용부(6a) 또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는 상부나 하부 등이 열려 있을 수 있다. 이밖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와 하부만을 닫아서 측단부가 열려 있을 수도 있다.
도 3, 4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양극 도전부 수용부(6a) 또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는 밀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밀봉된 양극 도전부 수용부(6a)는 양극 도전부(22a)의 주위에 용착부(2)와 제1 양극 실링부(3a)와 제2 양극 실링부(4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 양극 실링부(4a)는 양극 도전부(22a)와 양극 외부 접속부(21a) 사이에 설치된다.
밀봉된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는 음극 도전부(22b)의 주위에 용착부(2)와 제1 음극 실링부(3b)와 제2 음극 실링부(4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 음극 실링부(4b)는 음극 도전부(22b)와 음극 외부 접속부(21b)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밀봉된 양극 도전부 수용부(6a) 또는 밀봉된 음극 도전부 수용부(6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밀폐형 전지(3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양극 실링부(3a) 또는 제1 음극 실링부(3b)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고, 전해질(25)이 누출되었다고 해도, 누출된 전해질(25)은 양극 도전부 수용부(6a) 또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6b)에 체류하게 되고, 밀폐형 전지(3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해질(25)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30)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발전요소(10)는 전극 시트(11)(양극 시트(11a) 또는 음극 시트(11b)) 및 세퍼레이터(16)를 포함한다. 또, 발전요소(10)는 발전요소 수용부(5) 내부에 수용되어 전해질(25)과 함께 전지 반응을 한다. 이 전지 반응에 의해 밀폐형 전지(30)는 방전 또는 충전을 할 수 있다. 또, 밀폐형 전지(30)가 1개의 발전요소(10)를 가질 수도 있고, 밀폐형 전지(30)이 복수의 발전요소(10)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양극 시트(11a)의 폭과 음극 시트(11b)의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양극 시트(11a)의 폭과 음극 시트(11b)의 폭이 다른 경우, 적어도 폭이 큰 쪽의 전극 시트(11)의 단부가 세퍼레이터(16)와 접촉하지 않도록 발전요소(1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발전요소(10)는 세퍼레이터(16)와, 세퍼레이터(16)를 통해서 배치된 양극 시트(11a) 및 음극 시트(11b)를 구비한다. 발전요소(10)는 세퍼레이터(16)을 통해서 배치된 양극 시트(11a) 및 음극 시트(11b)를 중첩시킨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세퍼레이터(16)을 통해서 배치된 양극 시트(11a) 및 음극 시트(11b)를 감은 와인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전요소(10)는 꾸불꾸불하게 접어진 1장의 세퍼레이터(16)와, 세퍼레이터(16)의 각 계곡 절곡(valley fold)에 배치되며, 또, 세퍼레이터(16)를 통해서 교호로 배치된 양극 시트(11a) 및 음극 시트(1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 1개의 발전요소(10)에 포함되는 양극 시트(11a) 또는 음극 시트(11b)의 적층 수는 필요한 전지용량에 맞추어서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6)는 시트형상이고, 양극 시트(11a)와 음극 시트(11b) 사이에 배치된다. 세퍼레이터(16)는 양극 시트(11a)와 음극 시트(11b) 사이에 쇼트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해질이 투과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의 미세 다공성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양극 시트(11a)는 양극 집전 시트(14)와, 양극 집전 시트(14) 상에 설치된 양극 활물질층(12)을 구비한다. 양극 시트(11a)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양극 집전 시트(14)의 양면 상에 양극 활물질층(1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12)은 양극 집전 시트(14)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극 집전 시트의 단부에 미코팅부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 양극 집전 시트(14)의 양면 상의 양극 활물질층(12)의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양극 시트(11a)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6cm×약 12cm으로 할 수 있다.
양극 시트(11a)는 양극 접속단자(20a)의 양극 접속부(23a)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 접속부를 가질 수 있고, 이 단자 접속부는 양극 시트(11a)의 단부의 양극 집전 시트(14)의 양면 상에 양극 활물질층(12)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또, 양극 집전 시트(14)에 1개의 단부에, 이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볼록한 모양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해당 돌기부에 양극 활물질층(12)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단자 접속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양극 집전 시트(14)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표면 상에 양극 활물질층(12)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박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박이다. 양극 집전 시트(14)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400㎛이다.
양극 활물질층(12)은 양극 활물질에 도전제, 결착제 등을 첨가하고, 응용법 등에 의해 양극 집전 시트(14)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흡장ㆍ방출하는 것이 가능한는 리튬 천이금속 복합 산화물 즉, LiCoO2, LiNiO2, LiNixCo1 - xO2(x=0.01∼0.99), LiMnO2, LiMn2O4, LiCoxMnyNizO2(x+y+z=1) 또는 올리빈형의 LiFePO4나 LixFe1 - yMyPO4(단, 0.05≤x≤ 1.2, 0≤y≤0.8이고, M은 Mn, Cr, Co, Cu, Ni, V, Mo, Ti, Zn, Al, Ga, Mg, B, Nb 가운데 적어도 1종 이상이다) 등이 1종 혹은 복수 종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음극 시트(11b)는 음극 집전 시트(15)와, 음극 집전 시트(15) 상에 설치된 음극 활물질층(13)을 구비한다. 음극 시트(11b)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음극 집전 시트(15)의 양면에 음극 활물질층(1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층(13)은 음극 집전 시트(15)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음극 집전 시트(15)의 단부에 미코팅부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 음극 집전 시트(15)의 양면 상의 음극 활물질층(13)의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음극 시트(11b)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6cm × 약 12cm로 할 수 있다.
음극 시트(11b)는 음극 접속단자(20b)의 음극 접속부(23b)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 접속부를 가질 수 있고, 단자 접속부는 음극 시트(11b)의 단부의 음극 집전 시트(15)의 양면 상에 음극 활물질층(13)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또, 음극 집전 시트(15)에 1개의 단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해당 돌기부에 음극 활물질층(13)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단자 접속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음극 집전 시트(15)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표면 상에 음극 활물질층(13)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박이다. 바람직하게는 구리박이다. 음극 집전 시트(15)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400㎛이다.
음극 활물질층(13)은 음극 활물질에 도전제, 결착제 등을 첨가하고, 응용법 등에 의해 음극 집전 시트(15)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경우, 그래파이트, 부분 흑연화한 탄소, 하드카본, 소프트 카본, LiTiO4, Sn 합금 등을 1종 혹은 복수 종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발전요소(10)는 양극 활물질층(12), 음극 활물질층(13) 및 세퍼레이터(16)가 중첩된 부분과, 양극 접속단자(20a) 사이의 양극 집전 시트(14)를 절곡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부분에는 양극 활물질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양극 집전 시트(14)만이고, 절곡시켜도 전지 성능에 영향은 없다. 또, 양극 접속단자(20a)와의 접속 부분도 아니므로, 기계적 특성 등을 걱정하는 않고 절곡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극 접속단자(20a)의 배치를 바꿀 수 있고, 밀폐형 전지(30)를 더 좁은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5의 파선 D-D에 있어서 발전요소(10)를 절곡시킬 수 있다.
발전요소(10)는 양극 활물질층(12), 음극 활물질층(13) 및 세퍼레이터(16)가 중첩된 부분과, 음극 접속단자(20b) 사이의 음극 집전 시트(15)를 절곡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부분에는 음극 활물질층(13)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음극 집전 시트(15)만이고, 절곡시켜도 전지 성능에 영향은 없다. 또, 음극 접속단자(20b)와의 접속 부분도 아니므로 기계적 특성 등을 걱정하는 않고 절곡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음극 접속단자(20b)의 배치를 바꿀 수 있고, 밀폐형 전지(30)을 더 좁은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5의 파선 C-C에 있어서 발전요소(10)를 절곡시킬 수 있다.
전해질(25)은 용매로서 카보네이트류, 락톤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용매의 2종 류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들 중에서는 특히 환상 카보네이트와 쇄상 카보네이트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25)은 예를 들면, 전해질로서의 LiCF3SO3, LiAsF6, LiClO4, LiBF4, LiPF6, LiBOB, LiN(CF3SO2)2, LiN(C2F5SO2) 등의 리튬염 용질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용액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VC(비닐렌카보네이트), PS(프로판설톤), VEC(비닐에틸카보네이트), PRS(프로펜설톤),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또는 복수 종을 혼합해서 배합할 수도 있다.
전극 접속단자(20)(양극 접속단자(20a) 또는 음극 접속단자(20b))는 전극 시트(11)(양극 시트(11a) 또는 음극 시트(11b))에 접속하기 위한 전극 접속부(23)(양극 접속부(23a) 또는 음극 접속부(23b))와,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21)(양극 외부 접속부(21a)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21b))와, 전극 접속부(23)와 외부 접속부(21)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를 포함한다. 또, 양극 접속단자(20a)는 양극 접속부(23a)와 양극 외부 접속부(21a)와 양극 도전부(22a)를 포함하고, 음극 접속단자(20b)는 음극 접속부(23b)와 음극 외부 접속부(21b)와 음극 도전부(22b)를 포함한다.
전극 접속단자(20)는 예를 들면, 두께가 100㎛∼500㎛의 금속판으로 할 수 있다. 이 금속판은 프레스가공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절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양극 접속단자(20a)는 알루미늄판으로 할 수 있고, 음극 접속단자(20b)는 동판으로 할 수 있다.
전극 접속단자(20)는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일 수도, L자 형상일 수도 있다. 또, 외부 접속부(21)는 전극 접속단자(20) 그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 외부 접속부를 용접 등에 의해 전극 접속단자(2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 3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전극 접속단자(20)를 L자 형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L자 형상의 전극 접속단자(20)의 한쪽 단에 전극 접속부(23)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단에 외부 접속부(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면, 도전부(22)에 절곡부(26)를 형성했을 때에, 밀폐형 전지(30)의 측면 상부에 외부 접속부(21)를 배치할 수 있고, 좁은 스페이스에 밀폐형 전지(3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L자 형상의 전극 접속단자(20)는 예를 들면, 전극 접속부(23) 및 도전부(22)에 있어서의 폭을 약 5cm로 할 수 있다. 전극 시트(11)의 단자 접속부와 전극 접속부(23)는 예를 들면, 약 1cm 중첩시켜서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도전부(22)에 절곡부(26)를 형성했을 때에, 밀폐형 전지(30)의 측부에 외부 접속부(21)가 배치되도록 외부 접속부(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실링부(3)(제1 양극 실링부(3a) 또는 제1 음극 실링부(3b))는 전극 접속부(23)(양극 접속부(23a) 또는 음극 접속부(23b))와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 사이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전극 접속부(23)는 발전요소 수용부(5)의 내부에 위치하고, 도전부(22) 및 외부 접속부(21)는 발전요소 수용부(5)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발전요소 수용부(5)의 밀폐 상태를 유지한 채, 양극 집전 시트(14) 또는 음극 집전 시트(15)에서 집전한 전하를 전극 접속단자(20)에 의해 외부회로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밀폐형 전지(30)의 방전 또는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 접속부(21)(양극 외부 접속부(21a)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21b))는 밀폐형 전지(30)가 다른 전지나 외부배선이나 버스 바나 기기 측의 단자 등과 접속하는 부분이다. 이 외부 접속부(21)를 통해서 밀폐형 전지(30)가 기기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밀폐형 전지(30)를 조합시켜서 조립전지(35)를 구성하는 경우, 복수의 밀폐형 전지(30)의 외부 접속부(21)르 접속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밀폐형 전지(30)를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할 수 있다.
외부 접속부(21)는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뒤덮이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부(21)이 기기측의 단자나 다른 전지의 외부 접속부 등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는 외부 접속부(21)(양극 외부 접속부(21a) 또는 음극 외부 접속부(21b))와 제1 실링부(3)(제1 양극 실링부(3a) 또는 제1 음극 실링부(3b) 사이에 설치되고, 전극 접속부(23)와 외부 접속부(21) 사이의 도전 경로가 된다. 도전부(2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접속부(21)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기기측의 전지 접속부의 위치와 외부 접속부(21)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 복수의 밀폐형 전지(30)에 의해 조립전지(35)를 구성하는 경우, 복수의 밀폐형 전지(30)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는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인다. 이것에 의해, 도전부(22)를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절연시킬 수 있고,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전부(22)을 보호할 수 있다. 또,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도전부(22)를 뒤덮는 것에 의해, 밀폐형 전지(30)의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도전부(22)의 전체가 라미네이트 필름(1)으로 뒤덮일 수도 있고, 도전부(22)의 일부만이 라미네이트 필름(1)으로 뒤덮일 수도 있다. 또, 도전부(22)의 한쪽 면만이 라미네이트 필름(1)으로 뒤덮일 수도 있다.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는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형성된 도전부 수용부(22)(양극 도전부 수용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 수용부(22b))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도전부 수용부(22)의 내부에서는 라미네이트 필름(1)과 도전부(22)는 비접착으로 한다.
도전부(22)는 도 2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열린 도전부 수용부(22)에 수용할 수도 있고, 도 3, 4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와 같이 밀봉된 도전부 수용부(22)에 수용할 수도 있다.
도전부(22)를 도전부 수용부(22)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22)가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형 전지(3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전부(22)(양극 도전부(22a) 또는 음극 도전부(22b))는 절곡부(26)를 가질 수 있다. 다. 양극 도전부(22a)의 절곡부(26)는 예를 들면 도 2∼5의 파선 E-E에 있어서, 양극 도전부(22a)를 절곡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음극 도전부(22b)의 절곡부(26)는 예를 들면 도 2∼5의 파선 B-B에 있어서, 음극 도전부(22b)를 절곡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2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접속부(2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의 단자 위치에 맞추어서 외부 접속부(21)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나, 조립전지(35)의 접속부(33)의 위치에 맞추어서 외부 접속부(21)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된 조립전지(35) 등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버스 바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밀폐형 전지(30)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절곡부(26)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절곡부(26)에서는 도전부(22)가 절곡되기 때문에 도전부 수용부(6)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필름(1)도 절곡된다. 절곡부(26)의 내측 라미네이트 필름(1)에는 압축력이 걸리고, 절곡부(26)의 외측 라미네이트 필름(1)에는 인장력이 걸린다. 그러나 절곡부(26)에서는 도전부(22)과 라미네이트 필름(1)은 비접착이기 때문에, 도전부(22)에 대해서 라미네이트 필름(1)이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필름(1)에 걸리는 인장력 및 압축력은 분산된다. 이 때문에, 가공성 좋게 절곡부(26)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절곡부(26)를 형성해도, 제1 실링부(3)의 실링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절곡부(26)에 있어서 도전부(22)와 라미네이트 필름(1)이 접착되어 있는 경우, 라미네이트 필름(1)에 걸리는 인장력 및 압축력은 분산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절곡부(26)를 형성하기 위해서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가공성이 좋지않다. 또, 절곡부(26)를 형성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이 도전부(22)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 박리가 발생하면, 박리가 서서히 전파되고, 제1 실링부(3)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고, 제1 실링부(3)로부터 전해질(25)이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링부(3)(제1 양극 실링부(3a) 또는 제1 음극 실링부(3b))에서 전지를 절곡시킨 것과, 도 2의 파선 E-E에서 전지를 절곡시켰을 경우를 절곡시킨 것에 히트 사이클 시험(-40℃∼75℃, 50사이클)을 실시한 바, 도 2의 파선 E-E에서 전지를 절록시킨 것에서는 전해액의 누출은 확인할 수 없었지만, 제1 실링부(3)에서 전지를 절곡시킨 것에서는 전해액이 발전요소 수용부(5)로부터 누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절곡부(26)에 있어서 도전부(22)과 라미네이트 필름(1)이 접착되어 있으면 밀폐형 전지(30)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도 1∼3, 도 5에 나타낸 밀폐형 전지(30)를 파선 B-B, 파선 C-C, 파선 D-D, 파선 E-E에 있어서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e)는 밀폐형 전지(30)의 절곡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d)와 같이, 도전부 수용부(6)가 발전요소 수용부(5)에 감기도록 파선 B-B, 파선 C-C, 파선 D-D, 파선 E-E에서 절곡시키고, 양극 외부 접속단자(21a)와 음극 외부 접속단자(2lb)를 발전요소 수용부(5)의 동일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7의 (b), (c)와 같이, 도전부 수용부(6)가 발전요소 수용부(5)에 감기도록 파선 B-B, 파선 C-C, 파선 D-D, 파선 E-E에서 절곡시키고, 양극 외부 접속부(21a)를 발전요소 수용부(5)의 한쪽 측면에 배치하고, 음극 외부 접속부(21b)를 다른 쪽의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전요소 수용부(5)가 넓은 쪽의 측면이 마주 보도록 2개의 밀폐형 전지(30)를 배치하고, 접속부(33)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21)를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밀폐형 전지(30)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접속부(33)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21)는 볼트나 클립 등의 잠금쇠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도전성 테이프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또, 파선 B-B와 파선 C-C 또는 파선 D-D와 파선 E-E에서, 계곡일 때와 산일 때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e) 그러면 파선 D-D와 파선 E-E에 있어서 계곡 절곡과 산 절곡(mountain fold)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전요소 수용부(5)의 좁은 쪽의 측면이 마주 보도록 2개의 밀폐형 전지(30)를 배치한 조립전지(35)을 형성했을 때, 2개의 밀폐형 전지(30)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절곡부(26)를 형성한 복수의 밀폐형 전지(30)를 근접시켜서 조합시키고, 인접하는 2개의 밀폐형 전지(30)의 외부 접속부(21)를 접속부(33)에 있어서 접속하고, 조립전지(35)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부(22)는 라미네이트 필름(1)에 의해 뒤덮여 절연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립전지(35)을 형성해도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의 (a)∼(e)는 복수의 밀폐형 전지(30)가 직렬 접속된 조립전지(35)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9의 (a)∼(e)는 복수의 밀폐형 전지(30)가 병렬 접속된 조립전지(35) 또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밀폐형 전지(30)가 병렬 접속된 조립전지(35)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의 (a), (d)와 같이, 외부 접속부(21)가 밀폐형 전지(30)의 넓은 쪽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를 조합시켜 인접하는 2개의 밀폐형 전지(30)의 양극 외부 접속부(21a)와 음극 외부 접속부(21b)를 접속부(33)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도 8의 (a), (b)와 같은 직렬 접속한 조립전지(35) 또는 도 9의 (a)와 같은 병렬 접속한 조립전지(35)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7의 (e)와 같이 계곡 절곡과 산 절곡이 되도록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와, 외부 접속부(21)가 밀폐형 전지(30)의 넓은 쪽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를 좁은 쪽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도 8의 (c), (d)와 같은 직렬 접속된 조립전지(35)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7의 (e)와 같이 안쪽 절곡과 바깥 쪽 절곡이 되도록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와, 외부 접속부(21)가 밀폐형 전지(30)의 넓은 쪽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절곡시킨 밀폐형 전지(30)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도 8의 (e)와 같은 직렬 접속된 조립전지(35) 또는 도 9의 (b), (c)와 같은 직렬 접속된 밀폐형 전지(30)가 병렬 접 된 조립전지(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립전지(35)에서는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형성하지 않고 조립전지(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9는 버스 바를 사용하지 않는 바람직한 형태의 조립전지를 예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립전지에 버스 바를 사용하는 것을 전혀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1: 라미네이트 필름
2: 용착부
3: 제1 실링부
3a: 제1 양극 실링부
3b: 제1 음극 실링부
4: 제2 실링부
4a: 제2 양극 실링부
4b: 제2 음극 실링부
5: 발전요소 수용부
6: 도전부 수용부
6a: 양극 도전부 수용부
6b: 음극 도전부 수용부
10: 발전요소
11: 전극 시트
11a: 양극 시트
1lb: 음극 시트
12: 양극 활물질층
13: 음극 활물질층
14: 양극 집전 시트
15: 음극 집전 시트
16: 세퍼레이터
20: 전극 접속단자
20a: 양극 접속단자
20b: 음극 접속단자
21: 외부 접속부
21a: 양극 외부 접속부
2lb: 음극 외부 접속부
22: 도전부
22a: 양극 도전부
22b: 음극 도전부
23: 전극 접속부
23a: 양극 접속부
23b: 음극 접속부
25: 전해질
26: 절곡부
30, 30a, 30b, 30c, 30d, 30e, 30f: 밀폐형 전지
31: 양극측 종단
32: 음극측 종단
33: 접속부
35: 조립전지

Claims (9)

  1.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전극 시트에 접속하는 전극 접속단자와, 전해질을 구비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중첩시켜서 용착한 용착부와, 상기 전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발전요소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발전요소 및 상기 전해질은 상기 발전요소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제1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전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실링부에 의해 밀봉된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고,
    제2 실링부는 상기 도전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된 밀폐형 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시트는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접속단자는 상기 양극 시트에 접속하는 양극 접속단자와, 상기 음극 시트에 접속하는 음극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제1 실링부는 상기 양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양극 실링부와, 상기 음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1 음극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양극 외부 접속부와, 상기 양극 외부 접속부와 제1 양극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양극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음극 접속단자는 외부접속하기 위한 음극 외부 접속부와, 상기 음극 외부 접속부와 제1 음극 실링부 사이에 설치된 음극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양극 도전부 또는 상기 음극 도전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비접착으로 뒤덮이는 밀폐형 전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양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양극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양극 실링부에 의해서 밀봉된 양극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며, 또, 상기 음극 접속단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삽입되어 용착된 제2 음극 실링부와, 상기 용착부와, 제1 음극 실링부에 의해 밀봉된 음극 도전부 수용부를 형성하고,
    제2 양극 실링부는 상기 양극 도전부와 상기 양극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음극 실링부는 상기 음극 도전부와 상기 음극 외부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극 도전부는 상기 양극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음극 도전부는 상기 음극 도전부 수용부 내에 수용된 밀폐형 전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요소 수용부는 상기 양극 도전부 수용부와 상기 음극 도전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된 밀폐형 전지.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시트는 상기 양극 접속단자에 접속하는 양극 집전 시트와, 상기 양극 집전 시트 상에 설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가지고,
    상기 음극 시트는 상기 음극 접속단자에 접속하는 음극 집전 시트와, 상기 음극 집전 시트 상에 설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가지고,
    상기 발전요소는 상기 양극 활물질층, 상기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세퍼레이터가 중첩된 부분과, 상기 양극 접속단자 사이의 양극 집전 시트에 있어서 절곡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 상기 양극 활물질층, 상기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세퍼레이터가 중첩된 부분과, 상기 음극 접속단자 사이의 음극 집전 시트에 있어서 절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밀폐형 전지.
  7. 제3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접속단자 및 상기 음극 접속단자는 L자 형상인 밀폐형 전지.
  8. 제3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도전부 및 상기 음극 도전부는 절곡부를 가지는 밀폐형 전지.
  9. 제8 항에 기재된 밀폐형 전지를 복수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밀폐형 전지의 상기 외부 접속부를 접속한 조립전지.
KR1020177028116A 2015-03-30 2015-03-30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 KR20170134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9955 WO2016157370A1 (ja) 2015-03-30 2015-03-30 密閉型電池及び組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453A true KR20170134453A (ko) 2017-12-06

Family

ID=5700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116A KR20170134453A (ko) 2015-03-30 2015-03-30 밀폐형 전지 및 조립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7922B2 (ko)
EP (1) EP3279976A4 (ko)
JP (1) JP6582257B2 (ko)
KR (1) KR20170134453A (ko)
CN (1) CN107431177B (ko)
WO (1) WO2016157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99B1 (ko) * 2016-04-25 2020-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규격화된 구조에 기반하여 제조 공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극리드의 절연 성능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119535B1 (ko) * 2017-01-18 2020-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285642B1 (ko) * 2017-04-28 2021-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리드가 면에 위치한 전지셀
WO2019026672A1 (ja) 2017-08-03 2019-02-07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組電池及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2320342B1 (ko) * 2018-05-29 2021-1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CN110429234A (zh) * 2019-07-05 2019-11-08 恒大新能源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无汇流排电池模组结构及组装方法
WO2021065340A1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85461A1 (en) * 2019-10-29 2022-03-1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JP7229893B2 (ja) * 2019-11-05 2023-02-28 愛三工業株式会社 電池
JP2023505133A (ja) * 2020-04-02 2023-02-08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二次電池及び当該二次電池を含む装置
JP7463930B2 (ja) * 2020-09-30 2024-04-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CN115347327A (zh) * 2021-05-14 2022-11-15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及电池组的成组方法
CN114361727B (zh) * 2021-07-15 2023-12-26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方壳电池模组
JP2023163373A (ja) * 2022-04-28 2023-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499A (ja) * 1999-06-09 2000-12-19 Toshiba Battery Co Ltd 薄形電池
KR100502353B1 (ko) * 2003-06-12 2005-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JP2005044523A (ja) * 2003-07-22 2005-02-17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電流遮断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備えた二次電池
JP4403375B2 (ja) * 2003-08-28 2010-01-27 パイオニクス株式会社 薄型パック電池
JP2006318752A (ja) * 2005-05-12 2006-11-24 Nissan Motor Co Ltd 電池
KR20110049864A (ko) * 2009-02-05 2011-05-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를 구비한 전지 팩, 그리고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110206976A1 (en) * 2010-02-19 2011-08-25 Kyung-Mo Yoo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12174442A (ja) * 2011-02-21 2012-09-10 Sumitomo Electric Ind Ltd 溶融塩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6639B2 (ja) 2011-11-14 2014-02-26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74622B2 (ja) 2012-05-14 201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集合体
DE102012212937A1 (de) * 2012-07-24 2013-09-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atterie mit mehrer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Batterie
JP6250921B2 (ja) * 2012-09-14 2017-12-20 株式会社東芝 電池
JP2014078471A (ja) * 2012-10-12 2014-05-01 Toshiba Corp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JP5985993B2 (ja) 2013-01-10 2016-09-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7922B2 (en) 2019-12-03
EP3279976A1 (en) 2018-02-07
EP3279976A4 (en) 2018-10-17
JP6582257B2 (ja) 2019-10-02
US20180090737A1 (en) 2018-03-29
JPWO2016157370A1 (ja) 2018-01-25
WO2016157370A1 (ja) 2016-10-06
CN107431177B (zh) 2021-05-07
CN107431177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4892B2 (ja)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6582257B2 (ja) 密閉型電池及び組電池
JP5830953B2 (ja)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47280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870314B1 (ko)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JP6250921B2 (ja) 電池
JP2013016375A (ja) 非水電解質電池モジュール
KR102263200B1 (ko) 배터리 팩
WO2011040297A1 (ja) 蓄電デバイス組立構造体と蓄電デバイス単位構造体
JP5953549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15210944A (ja) 角形二次電池
WO2013002058A1 (ja) 蓄電デバイス
KR101750382B1 (ko) 전지 케이스로 연결된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 방법
JP6055983B2 (ja) 電池用集電体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20150104674A1 (en) Rechargeable battery
JP6886725B2 (ja) 組電池
JPWO2019026672A1 (ja) 密閉型電池、組電池及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722662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6873496B2 (ja) 密閉型電池及び組電池
JP2005174661A (ja) 電源装置及び電池と基板との接続方法
KR10172266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785573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20170014293A (ko)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20060118956A (ko)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