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051A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4051A KR20170134051A KR1020160065726A KR20160065726A KR20170134051A KR 20170134051 A KR20170134051 A KR 20170134051A KR 1020160065726 A KR1020160065726 A KR 1020160065726A KR 20160065726 A KR20160065726 A KR 20160065726A KR 20170134051 A KR20170134051 A KR 201701340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 fixing member
- support member
- fix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충격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을 지을 때 층간 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 장비인 충격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충격발생장치는 타이어 자동낙하장치(일명 Bang machi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발생장치는 타이어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타이어를 자동낙하시킴으로써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구 형태의 공을 일정 높이에서 사람이 낙하시킴으로써 충격에 따른 소음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 중 중량충격원인 타이어 이외에 고무공이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의 표준충격원으로서 채택될 예정이다. 지금까지는 고무공을 사람이 낙하시켜왔으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실험을 실시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매우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고무공 자동 낙하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충격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아치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는 지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충격구의 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충격구 중 하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충격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충격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실험 시, 고무공의 반복적인 낙하를 본 발명장치가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험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발생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발생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발생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발생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충격발생장치(100)는 바디부(110), 구동부(120) 및 충격발생부속장치(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발생부속장치는 연결부재(130), 고정부재(140), 지지부재(150), 충격구(160) 및 충격흡수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111)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바디부(11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0)는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또는 감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구동부(120)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0)에는 연결부재(130)와 별도로 연결되도록 샤프트가 구비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0)는 구동부(120)와 볼트, 나사, 클램프, 핀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와 구동부(120)의 결합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재(130)를 구동부(120)에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방법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연결부재(1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는 연결부재(130)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131)가 배치되어 연결부재(130)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연결부재(130)의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연결부재(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와 연결부재(130)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140)와 연결부재(130)는 금속 재질과 같은 딱딱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의 내면의 지름은 충격구(160)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0)는 충격구(160)의 중심을 지나는 원형의 단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연결부재(130)와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연결부재(130)에 분리 가능함으로써 충격구(160)의 크기에 따라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재(150)는 고정부재(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50)는 고정부재(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충격구(1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15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충격구(160)의 중심을 지나는 원형 단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50) 또는 충격구(160) 중 하나는 삽입부(1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50) 또는 충격구(160) 중 다른 하나는 삽입부(161)에 삽입되는 돌출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부재(150)는 돌출부(151)를 구비하고, 충격구(160)는 삽입부(16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부(161)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61)는 충격구(160)의 외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삽입부(161)는 충격구(160)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홈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51)는 삽입부(161)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50)로부터 삽입부(161)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51)도 지지부재(150)의 내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삽입부(161)와 돌출부(151)가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충격구(160)는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구(160)는 고무공 형태일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70)는 지지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170)는 지지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5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격흡수부재(170)가 지지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충격흡수부재(170)는 충격구(16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충격흡수부재(170)는 충격구(160)가 충돌하는 면과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충격구(160)의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70)는 지지부재(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17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충격구(16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충격흡수부재(170)가 충격구(160)의 상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충격발생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서 연결부재(130)를 구동부(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른 형태의 충격시험을 위한 장비를 연결하거나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20)에 연결부재(130)를 연결한 후 구동부(120)를 작동시키면, 연결부재(13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 지지부재(150) 충격구(160) 및 충격흡수부재(170)가 연결부재(13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지지부재(150)의 지름의 크기는 충격구(160)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의 지름의 크기 이하일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150)로부터 충격구(16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120)의 작동이 중지한 상태에서 구동부(120)는 충격구(160)가 자유낙하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격구(160)는 고정부재(140), 지지부재(150), 충격흡수부재(170)를 같이 이동시키고, 연결부재(130)를 이동시켜 외부 물체(예를 들면, 건물의 바닥면 등)에 충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충돌하는 경우, 충격구(160)는 외부 물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170)는 충격구(160)의 이동을 방지하고, 충격구(160)에 가해진 충격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충격구(160)가 지지부재(150) 및 고정부재(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발생장치(100)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실험 시, 충격구(160)의 반복적인 낙하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험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발생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격발생부속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충격발생장치(200)는 바디부(210), 구동부(220) 및 충격발생부속장치(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발생부속장치는 연결부재(230), 고정부재(240), 지지부재(250) 및 충격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 구동부(220) 및 충격구(26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재(230)는 구동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30)는 구동부(2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31) 및 제1 연결부재(231)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31)와 제2 연결부재(232)는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연결부재(231)와 제2 연결부재(232)는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부재(232)는 충격구(260)의 충돌 시 충돌하는 면과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는 제1 고정부재(241), 제2 고정부재(242), 힌지부(243) 및 결속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는 힌지부(24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가 분리된 끝단에는 결속부(244)가 설치되어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를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속부(24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부(244)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결속부(244)는 고리와 고리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결속부(244)는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에 각각 형성된 돌기와 돌기를 구속하는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속부(24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부재(241)와 제2 고정부재(242)의 분리된 끝단을 결속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제1 지지부재(252)와 제2 지지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252)와 제2 지지부재(253)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52)와 제2 지지부재(253)에는 각각 제1 고정부재(241) 및 제2 고정부재(242)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충격구(26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50)는 충격구(26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250)는 충격구(26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의 외주면과 그 주변(예를 들면, 단면의 상하면)을 감쌈으로써 충격구(260)의 충격 시 충격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지지부재(250)는 충격구(260)의 중앙 부분과 상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250)에는 삽입부(261) 또는 돌출부(251) 중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격구(260)에는 삽입부(261) 또는 돌출부(251)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선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격구(260)는 삽입부(261)를 포함하고, 지지부재(250)는 돌출부(25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충격발생장치(200)의 작동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면, 전원 인가, 사용자의 입력신호 입력 등) 구동부(220)가 작동하여 연결부재(2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구동부(220)는 연결부재(230)를 일정 각도에서 정지시켜 충격구(260)를 충돌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킨 후 충격구(260)를 자유낙하시킬 수 있다.
충격구(260)는 자유낙하하여 충돌 면에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50)의 지름은 충격구(26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의 지름 이하이므로 충격 시 충격구(26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50)의 일부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충격구(26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과 그 주변을 감쌈으로써 충격구(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출부(251)는 삽입부(26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충격구(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발생장치(200)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실험시, 충격구(260)의 반복적인 낙하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험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 충격발생장치
110,210: 바디부
120,220: 구동부
130,230: 연결부재
140,240: 고정부재
150,250: 지지부재
160,260: 충격구
170: 충격흡수부재
110,210: 바디부
120,220: 구동부
130,230: 연결부재
140,240: 고정부재
150,250: 지지부재
160,260: 충격구
170: 충격흡수부재
Claims (10)
-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충격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아치형인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는 지면 방향으로 절곡된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재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충격구의 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충격구 중 하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충격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충격발생부속장치.
-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충격구;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726A KR101915355B1 (ko) | 2016-05-27 | 2016-05-27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726A KR101915355B1 (ko) | 2016-05-27 | 2016-05-27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4051A true KR20170134051A (ko) | 2017-12-06 |
KR101915355B1 KR101915355B1 (ko) | 2018-11-05 |
Family
ID=6092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726A KR101915355B1 (ko) | 2016-05-27 | 2016-05-27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53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22175A1 (de) | 2017-10-16 | 2019-04-18 | FEV Europe GmbH | Abgasreinigungssystem zur Steuerung der Einspritzmenge eines Reduktionsmittel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488B1 (ko) | 2019-03-13 | 2020-08-1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용 고무공 자동 낙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7870B2 (ja) * | 1999-09-08 | 2003-05-19 | リオン株式会社 | 球状衝撃源の保持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衝撃力付与装置 |
KR200370830Y1 (ko) * | 2004-10-05 | 2004-12-17 |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 바닥 충격음 발생기 |
-
2016
- 2016-05-27 KR KR1020160065726A patent/KR101915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22175A1 (de) | 2017-10-16 | 2019-04-18 | FEV Europe GmbH | Abgasreinigungssystem zur Steuerung der Einspritzmenge eines Reduktionsmitte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5355B1 (ko) | 2018-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5355B1 (ko)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
CN108458038B (zh) | 减震装置及采用该减震装置的车载云台 | |
KR101660959B1 (ko) | 감시장비의 장착장치 | |
CN108779892A (zh) | 云台的减震器、云台组件、及可移动拍摄设备 | |
KR200458137Y1 (ko) | 핀스크린 | |
KR101675723B1 (ko) | 계단부가 구비된 고소용 이동식 cctv 장치 | |
CN102072231B (zh) | 计算机及其周边设备的固定件 | |
KR101567228B1 (ko) | 차량용 패널의 홀 마운팅 장치 | |
JP2016217786A (ja) | 車両拘束装置 | |
EP3511593A1 (en) | Fan | |
KR101979112B1 (ko) |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 |
KR200474331Y1 (ko) |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 |
KR101785423B1 (ko) |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 |
KR101617365B1 (ko) | 트레일러 견인장치 | |
CN212579524U (zh) | 一种具有减震功能的万向轮 | |
KR101751055B1 (ko) | 디스플레이 기기 | |
TWM635430U (zh) | 緩衝吸能支架 | |
CN215361641U (zh) | 一种儿童平衡车跌倒保护装置 | |
CN214545129U (zh) | 一种减震性能较好的电子信息保护器 | |
KR200492436Y1 (ko) | 축 장착장치 | |
CN210735483U (zh) | 移动式底盘装配、测试用工装 | |
CN113873813B (zh) | 基于弹性扣件的箱体设备 | |
KR101613567B1 (ko) | 방진 마운트 | |
JP5817902B1 (ja) | 車両拘束装置 | |
CN104925176A (zh) | 支架及使用该支架的运载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