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423B1 -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423B1
KR101785423B1 KR1020160059734A KR20160059734A KR101785423B1 KR 101785423 B1 KR101785423 B1 KR 101785423B1 KR 1020160059734 A KR1020160059734 A KR 1020160059734A KR 20160059734 A KR20160059734 A KR 20160059734A KR 101785423 B1 KR101785423 B1 KR 10178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olf bag
plate
golf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주) 한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호기술 filed Critical (주) 한호기술
Priority to KR102016005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A63B2055/0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3Ridable golf 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골프백 거치대로서, 전동 카트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골프백에 형성된 하부받침을 수용하는 백수용부, 전동 카트의 운전자 시트의 등받이 측에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기립 플레이트 및 기립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골프백에 형성된 클럽입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백고정부를 포함하되, 백수용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 거치플레이트에 형성되어 골프백의 하부받침이 삽입되도록 원형의 받침수용부,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의 양단에 형성되며 전동 카트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거치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밀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GOLF BAG HOLDER FOR ELECTRICAL CART}
본 발명은 전동카트용 골프백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골프백을 적재할 수 있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골프가 대중화되고 있는 가운데 골프장 및 골프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골프인구의 증가 및 골프의 대중화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골프 환경을 요구하고 있으나 한 번의 경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여전히 높아 골프의 대중화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비용의 요인중 가장 큰 부분은 캐디피라고 불리는 캐디 봉사료이다
따라서 골프장 내에서 골프장비를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캐디를 대체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였으며 그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골프 장비를 운반하는 골프카트이다.
종래에 개발된 골프카트 중 수동식 골프카트는 골프용품을 적재함에 적재하고 골퍼가 이를 밀거나 끌면서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수동식 골프카트는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골퍼가 이를 일일이 끌고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골퍼가 골프를 즐기기 이전에 장비의 이동 과정에서 지쳐 골프의 재미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가 심한 문제가 있어 많은 골퍼들이 이 장비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 수동식 골프카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440827호(탑승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가 제안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0827호는 전방에 골프카트를 적재하고 끝 등으로 묶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골프백 설치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동중 골프백이 카트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약자 등이 사용하는 1인승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골프백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골프백 거치대로서, 상기 전동 카트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골프백에 형성된 하부받침을 수용하는 백수용부; 상기 전동 카트의 운전자 시트의 등받이 측에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기립 플레이트; 및 상기 기립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골프백에 형성된 클럽입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백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백수용부는 상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골프백의 하부받침이 삽입되도록 원형의 받침수용부;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 카트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밀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백고정부는 상기 기립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는 회동결합부; 상기 회동결합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립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골프백에 접촉되는 푸시버튼;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 후면 일측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기립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골프백을 감싸도록 회동되는 제1 홀더부;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 후면 타측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기립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골프백을 감싸도록 회동되는 제2 홀더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홀더부에 형성되어 서로 맞닿은 제1 및 제2 홀더부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홀더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고정부는 상기 제1 홀더부 또는 제2 홀더부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회동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홀더부의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부는 상기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골프백 거치대로서, 상기 전동 카트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골프백에 형성된 하부받침을 수용하는 백수용부; 상기 전동 카트의 운전자 시트의 후면측에 형성되는 샤클 장착부; 상기 샤크 장착부에 고정되는 샤클; 및 상기 샤클과 상기 골프백에 형성된 손잡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밸크로 밸트를 포함하되, 상기 백수용부는 상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골프백의 하부받침이 삽입되도록 원형의 받침수용부;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 카트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밀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전동 카트에 장착되어 편리하게 골프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수용된 골프백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에 골프백이 수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에 골프백이 수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백수용부(100), 기립 플레이트(210) 및 백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동 카트(10)는 배터리 등이 전기를 동력으로 이동하는 소형 이동 수단이다. 전동 카트(10)는 상시에 길거리 등을 이동할 수 있으며, 골프장에서는 골퍼가 스스로 운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카트에는 골프백을 수용하기 위하여 백수용부(100), 기립플레이트(210) 및 백고정부(200)가 탈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백수용부(100)는 전동 카트(1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골프백(50)에 형성된 하부받침(52)을 수용할 수 있다. 백수용부(100)는 골프백(50)을 지지하도록 지면과 수평 또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판상 구조물이 부착될 수 있다. 백수용부(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골프백(5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받침이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백수용부(100)는 형성된 홀 또는 홈으로 골프백(50)의 하부받침이 안착되거나, 삽입될 때, 골프백(5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기립 플레이트(210)는 전동 카트(10)의 후방 상부 또는 운전자 시트(15)의 등받이 측에 설치된다. 기립 플레이트(210)는 전동 카트(10)의 후방에 설치된 골프백(50)에 내재된 골프클럽들이 운전자의 후두부를 가격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립 플레이트(210)는 사각의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동 카트(10)의 운전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가능하다.
또한, 기립 플레이트(210)는 골프백(50)의 상부를 고정하는 백고정부(20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백고정부(200)는 기립 플레이트(210)에 설치되며 골프백(50)의 클럽입구의 외주면(54)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백고정부(200)는 2개의 반원형 바가 구비되어, 골프백(50)을 용이하게 장착하고, 장착된 골프백(5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백수용부(100)와 백고정부(200)는 이하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백수용부(100)는 거치플레이트(110), 받침수용부(120), 연결부(130) 및 바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플레이트(110)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수용부(120)는 거치플레이트(110)의 중앙에 골프백(50)이 안착되도록 홀 또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받침수용부(120)는 골프백(50)의 하부받침(52)이 수용되도록 하부받침(52)의 직경보다 큰 구멍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수용부(120)는 받침수용부(120)에 골프백(50)의 하부받침(52)이 수용되면 골프백(50)의 하부받침(52) 바로 상부의 골프백(50) 몸체가 거치플레이트(110)에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연결부(130)는 전동 카트(10)의 후방 하단에 형성된 프레임(20)에 거치플레이트(110)를 고정시킨다. 이때, 연결부(130)는 거치플레이트(110)의 일단 양끝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접철식 힌지 구조가 적용되어 거치플레이트(110)가 상부방향으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전동 카트(10)의 후방 하단 프레임(20)에 연결용 브라켓(135)에 볼트 등으로 결합된다.
바퀴부(140)는 거치플레이트(110)의 연결부(130) 반대편에 결합된다. 바퀴부(140)는 모듈형태로 형성되며, 거치플레이트(110)의 돌출부(115)에 볼트(117) 등을 통해 결합된다. 바퀴부(140)는 지면에 접촉되어 전동 카트(10)가 이동할 때, 자연스럽게 끌려가도록 바퀴가 구비되며, 내부에 스프링 등의 충격흡수부재(145)가 구비되어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은 충격흡수부재(145)에 의해 흡수되기도 하며, 아울러 연결부(130)가 힌지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추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골프백(50)이 받침수용부(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백고정부(200)는 회동결합부(245), 푸시부, 제1 홀더부(220), 제2 홀더부(230) 및 홀더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결합부(245)는 기립플레이트(2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홀더부(220, 2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동결합부(245)는 두 개의 판형상의 구조물이 제1 및 제2 홀더부(220, 230)의 일단측이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홀더부(220, 230)의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 삽입된 각각의 핀은 두 판형상의 구조물 사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동결합부(245)는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유사하게 두 개의 판형상의 구조물 양단측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홀더부(220, 230)이 일단측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 홀더부(220, 230)가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푸시부는 탄성부재(247) 및 푸시버튼(240)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47)는 스프링 등이 이용되며, 회동결합부(245) 내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247)는 기립플레이트(210)의 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탄성부재(247)는 푸시버튼(240)을 탄성력이 작용하여 푸시버튼(240)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푸시버튼(240)은 탄성부재(247)의 일단에 설치된다. 푸시버튼(240)은 골프백(50)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서 수평이동한다. 푸시버튼(240)은 골프백(50)의 푸시 또는 이동에 따라 기립플레이트(210)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골프백(50)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47)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푸시버튼(240)의 배면 즉, 골프백(50)과 마주하는 반대면에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돌기 또는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홀더부(220)는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부(220)의 일단은 상기 푸시버튼(240)의 후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홀더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240)과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동결합부(245)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제2 홀더부(230)는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30)의 일단은 상기 푸시버튼(240)의 후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2 홀더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240)과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동결합부(245)의 타측에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홀더고정부(250)는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가 마주할 때, 이를 결합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홀더고정부(250)는 제1 홀더부(22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더고정부 몸체(252)가 구비되며, 홀더고정부 몸체(252)의 내측에 고정돌기(254)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고정부 몸체(252)는 제2 홀더부(230)의 일부에 거치되도록 내측이 제2 홀더부(23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30)는 고정돌기(2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54)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홀(260) 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골프백을 고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50)을 수용하기 이전에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는 푸시버튼(240)의 동작에 따라 서로 이격 되게 위치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50)이 장착되면 푸시버튼(240)이 눌리고, 푸시버튼(240)의 배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의 일단은 푸시버튼(240)의 누름에 따라 이동한다. 이때, 지렛대 원리와 같이, 회동결합부(245)에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가 회동하도록 결합되므로 회동결합부(245)를 축으로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가 회전하여 그 끝단이 서로 맞닿게 된다. 이후, 홀더고정부 몸체(252)를 회전시켜 고정홀(260) 에 삽입하여 골프백(50)을 고정한다.
이와 반대로, 골프백(50)을 꺼낼 때 홀더고정부 몸체(252)의 고정을 해제하고, 골프백(5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247)에 의해 푸시버튼(240)이 골프백(50)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홀더부(220)와 제2 홀더부(230)는 서로 이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백고정부(20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백수용부(10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골프백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샤클(320), 샤클 장착부(310) 및 밸크로 밸트(3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클 장착부(310)는 운전자 시트의 후면측에 설치된다. 설치의 안전성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시트의 양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샤클(320)은 샤클 장착부(310)에 고정된다. 샤클(32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원형 링모양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샤클(320)을 설치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샤클(320) 대신 샤클 장착부(310)의 일부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다.
밸크로 밸트(330)는 골프백 손잡이와 샤클(32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이때, 밸크로 밸트(330)는 밸크로 타입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길이조절을 할 수 있게 한다.
밸크로 밸트(330) 이외에 다른 형태의 밸트 또는 고정수단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전동 카트에 장착되어 편리하게 골프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는 수용된 골프백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10: 전동 카트
15: 운전자 시트
20: 프레임
50: 골프백
52: 하부받침
54: 클럽입구 외주면
100: 백수용부
110: 거치플레이트
115: 돌출부
117: 볼트
120: 받침수용부
130: 연결부
135: 연결용 브라켓
140: 바퀴부
145: 충격흡수부재
200: 백고정부
210: 기립플레이트
220: 제1 홀더부
230: 제2 홀더부
240: 푸시버튼
245: 회동결합부
247: 탄성부재
250: 홀더고정부
252: 홀더고정부 몸체
254: 고정돌기
260: 고정홀
310: 샤클 장착부
320: 샤클
330: 밸크로 밸트

Claims (5)

  1. 전동 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골프백 거치대로서,
    상기 전동 카트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골프백에 형성된 하부받침을 수용하도록 홈 또는 홀이 형성되는 백수용부;
    상기 전동 카트의 운전자 시트의 등받이 측에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기립 플레이트; 및
    상기 기립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골프백에 형성된 클럽입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백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백수용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골프백의 하부받침이 삽입되도록 원형의 받침수용부;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 카트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밀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백고정부는
    상기 기립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는 회동결합부;
    상기 회동결합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립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골프백에 접촉되는 푸시버튼;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 후면 일측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골프백이 상기 푸시버튼을 누르면,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기립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골프백을 감싸도록 회동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와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 후면 타측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골프백이 상기 푸시버튼을 누르면,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기립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골프백을 감싸도록 회동되는 제2 홀더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홀더부에 형성되어 서로 맞닿은 제1 및 제2 홀더부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홀더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제1 홀더부 또는 제2 홀더부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회동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홀더부의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연결부 반대편에 결합되며, 거치플레이트의 돌출부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59734A 2016-05-16 2016-05-16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KR10178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4A KR101785423B1 (ko) 2016-05-16 2016-05-16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4A KR101785423B1 (ko) 2016-05-16 2016-05-16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423B1 true KR101785423B1 (ko) 2017-10-16

Family

ID=6029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34A KR101785423B1 (ko) 2016-05-16 2016-05-16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34A (zh) * 2019-09-18 2019-12-06 厦门兴联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小型工具车及其自动驻车方法
KR102415899B1 (ko) 2021-11-18 2022-07-05 (주)디테크게엠베하 전동 골프카트용 적재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649A (ja) * 2004-04-20 2005-11-0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乗用ゴルフカ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649A (ja) * 2004-04-20 2005-11-0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乗用ゴルフカ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34A (zh) * 2019-09-18 2019-12-06 厦门兴联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小型工具车及其自动驻车方法
KR102415899B1 (ko) 2021-11-18 2022-07-05 (주)디테크게엠베하 전동 골프카트용 적재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059B1 (ko) 접철식 자전거
JP2016538039A (ja) 軽量ポータブル自転車ローラ
US20090098987A1 (en) Portable workout apparatus having a pivotally mounted exercise bar
KR101785423B1 (ko)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CN206856839U (zh) 个人交通设备
US6299195B1 (en) Golf cart
US6338703B1 (en) Sliding exerciser
KR20130129901A (ko)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WO2001024890A1 (en) Golf bag wheeling device
CA2763068A1 (en) Twist board
JP2001170235A (ja) カート装着ゴルフバック(golfbagmountedcart)
KR101574580B1 (ko) 골프 트롤리 백
KR200488251Y1 (ko) 골프백용 캐리어 구조체
US3995881A (en) Golf cart seat assembly
US7931141B2 (en) Golf bag carrier
JP2009526597A (ja) ゴルフバッグキャリー
CN210433893U (zh) 一种折叠走步机
KR102283374B1 (ko) 능동 기울기 가변형 서핑운동용 훈련장치
KR101728705B1 (ko) 골프 트롤리 백
JP6671697B1 (ja) 伸縮式スタンド
US3999777A (en) Bicycle trailer
KR20060087061A (ko) 골프가방 캐리어
KR101286618B1 (ko) 연결형 자전거
JP2001178520A (ja) 手荷物バッグ用緩衝車輪組立体
CN212789750U (zh) 一种摇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