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80B1 - 골프 트롤리 백 - Google Patents

골프 트롤리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80B1
KR101574580B1 KR1020150060616A KR20150060616A KR101574580B1 KR 101574580 B1 KR101574580 B1 KR 101574580B1 KR 1020150060616 A KR1020150060616 A KR 1020150060616A KR 20150060616 A KR20150060616 A KR 20150060616A KR 101574580 B1 KR101574580 B1 KR 10157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g
golf
connecting memb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순
Original Assignee
씨와이스포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와이스포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와이스포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트롤리 백에 관한 것으로,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일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트롤리 백{GOLF TROLLEY BAG}
본 발명은 골프 트롤리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와, 이동부와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다리부는 본체의 하부의 일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와, 본체의 하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제1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트롤리 백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백은 골프백의 어깨 끈으로 둘러메거나 골프백의 손잡이를 잡고 운반하는데, 골프채를 여러 개 삽입한 상태의 골프백은 상당한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넓은 골프장에서 무거운 골프백을 들고 장거리를 이동하는 골퍼는 쉽게 피로해 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골퍼들은 골프백을 카트 등과 같은 별도의 운반장치에 실어 운반하고 있으나, 이 경우 골프장에서 이동할 때 골프백과 카트를 각각 따로 이동시켜야 하고, 카트 자체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골프백을 쉽게 운반할 수 없었다.
이에 골프백 자체에 운반장치를 장착한 골프백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10-0341931호의 카트 장착 골프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카트 장착 골프백은 가방몸체(1)를 기울여 가압부재(5)가 지면에 가압되게 하면, 가압부재(5)에 연결된 링크부재(13)는 회전하면서 상승되고, 링크부재(13)에 연결된 다리부재(9)가 펼쳐지고, 다리부재(9)에 연결된 바퀴부재(11)에 의해 가방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방몸체(1)를 직립하게 하여 가압부재(5)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하면, 다리부재(9) 및 바퀴부재(11)의 자중에 의하여 다리부재(9)가 접히게 된다. 그러나 이 카트 장착 골프백은 다리부재(9)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방몸체(1)를 반드시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0341931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와, 이동부와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다리부는 본체의 하부의 일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와, 본체의 하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제1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는 골프 트롤리 백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일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다리부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다리부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을 제공한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펼쳐지고 상기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되,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는 2개의 기둥 부재와, 상기 2개의 기둥 부재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측은 상기 가로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보다 딱딱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헤드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가방 몸체를 리벳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트롤리 백의 손잡이의 상하 이동에 따라 다리부가 펼쳐지거나 접힘으로써, 골프 트롤리 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손잡이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골프 트롤리 백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의 일측은 제1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제1 연결부재의 타측은 가로대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의 일측은 제2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의 타측은 가로대에 연결되되,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가 각각 제1 다리부재 및 제2 다리부재에 힘을 작용시키는 각도가 크고, 따라서 손잡이의 상하 이동에 의한 가로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다리부재 및 제2 다리부재를 확실하고 부드럽게 밀어내고 당길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10-0341931호의 카트 장착 골프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골프 트롤리 백에 가방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또다른 사시도로,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또다른 사시도로,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의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트롤리 백은 크게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200)와, 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300)와, 다리부(30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400)와, 이동부(200)와 다리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본체 프레임(110)과,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20)와,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10)에는 관통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관통 구멍에 이동부(200)의 기둥 부재(22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 프레임(110)의 정면 좌측에는 좌측 개구부(11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정면 우측에는 우측 개구부(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110)의 배면 좌측에는 좌측 개구부(113)가 복수 개 형성되고, 배면 우측에는 우측 개구부(114)가 복수 개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110)에 형성된 이들 개구부(111, 112, 113, 114)를 통해 이동부(200)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효과까지 낼 수 있다. 본체 프레임(110)의 하면 부분은 하면 위의 부분보다 연질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접혀진 다리부(300)를 펼치기 위해 손잡이(210)를 위로 최대한 잡아 당겨 가로대(230)의 상면이 본체 프레임(110)의 하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헤드부(120)에는 복수의 칸으로 구획된 골프채 수납부(123)가 형성되어 있어 골프채를 종류별로 여러 개 삽입할 수 있고, 우산을 보관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골프채 수납부(123)로서 15개의 칸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칸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헤드부(120)에는 본체 프레임(110)의 관통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동부(200)의 기둥 부재(220)가 삽입된다. 헤드부(120)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제1 헤드부(121)와, 제1 헤드부(121)보다 딱딱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제1 헤드부(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헤드부(122)를 포함한다. 즉, 헤드부(120)는 제1 헤드부(121)와 제2 헤드부(122)를 각각 사출하는 2단 사출에 의해 형성한다. 제1 헤드부(121)를 연질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펼쳐진 다리부(300)를 접기 위해 손잡이(210)가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하여 손잡이(210)의 하면이 제1 헤드부(121)의 상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헤드부(121)와 제2 헤드부(122)에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골프채 수납부(123)는 제2 헤드부(122)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0)는 헤드부(120)에 삽입된 골프채를 지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트롤리 백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지지부(130)와 바퀴부(400)는 둘 다 지면에 닿기 때문에 골프 트롤리 백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양측에는 바퀴부(400)를 보호하는 바퀴 커버(131)가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110), 헤드부(120), 지지부(130)에는 각각 복수의 리벳 구멍(115, 125, 135)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에 가방 몸체(600)를 리벳(610)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부(200)는 손잡이(210)와, 손잡이(210)의 하부에 상측이 연결되고 본체 프레임(110)의 관통 구멍 및 헤드부(120)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2개의 기둥 부재(220)와, 2개의 기둥 부재(220)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230)를 포함한다. 손잡이(210)에는 손 삽입구멍(211)과, 골프공 삽입구멍(212)과, 수건 삽입구멍(213)과, 우산 삽입구멍(214)과, 거리 측정계 삽입홈(215)이 형성된다. 손잡이(2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기둥 부재(220) 및 가로대(230)는 동일한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리부(300)는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310)와,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 다리부재(310)의 일측(311)은 제1 브라켓(330)에 의해 본체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다리부재(320)의 일측(321)은 제2 브라켓(340)에 의해 본체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다리부재(310)의 타측(312)에는 제3 브라켓(35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다리부재(320)의 타측(322)에는 제4 브라켓(36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바퀴부(400)는 제1 다리부재(310)에 제3 브라켓(350)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바퀴(410)와, 제2 다리부재(320)에 제4 브라켓(360)에 의해 설치되는 제2 바퀴(420)를 포함한다.
연결부(500)는 제1 다리부재(310)의 일측(311)과 타측(312)의 사이에 일측(511)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로대(230)에 타측(51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510)와, 제2 다리부재(320)의 일측(321)과 타측(322)의 사이에 일측(521)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로대(230)에 타측(52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510)의 일측(511)과 타측(512)은 본체(10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제2 연결부재(520)의 일측(521)과 타측(522)은 본체(10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재(510)와 제2 연결부재(520)는 X자 형상을 취하게 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2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른 가로대(2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제1 연결부재(510) 및 제2 연결부재(520)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제1 다리부재(310) 및 제2 다리부재(320)가 움직이므로, 골프 트롤리 백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제1 연결부재(510) 및 제2 연결부재(520)는 서로 접촉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트롤리 백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해 있는 손잡이(210)를 위로 잡아 당기면, 손잡이(210)의 상방 이동에 따라 손잡이(210)에 연결된 2개의 기둥 부재(220)는 본체 프레임(110)의 관통 구멍 및 헤드부(120)의 관통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2개의 기둥 부재(220)에 연결된 가로대(230)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가로대(230)가 최대한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로대(230)의 상면이 본체 프레임(11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면, 가로대(230)의 상방 이동은 멈추게 되고, 손잡이(210)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최대한 잡아 당겨진 상태가 된다. 가로대(230)의 상방 이동에 따라 가로대(230)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510)의 타측(512) 및 제2 연결부재(520)의 타측(522)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510)의 일측(511)에 연결된 제1 다리부재(31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제2 연결부재(520)의 일측(521)에 연결된 제2 다리부재(320)를 바깥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제1 다리부재(310) 및 제2 다리부재(320)는 펼쳐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다리부재(310) 및 제2 다리부재(32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가 지면에 닿도록 손잡이(210)를 잡고 골프 트롤리 백을 기울이면 지면에 닿아 있던 지지부(13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골프 트롤리 백를 원하는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골프 트롤리 백를 원하는 곳으로 운반한 후에는 손잡이(210)를 잡고 골프 트롤리 백을 세워서 지지부(130)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해 있는 손잡이(210)를 아래로 밀면, 손잡이(210)의 하방 이동에 따라 손잡이(210)에 연결된 2개의 기둥 부재(220)는 본체 프레임(110)의 관통 구멍 및 헤드부(120)의 관통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2개의 기둥 부재(220)에 연결된 가로대(230)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손잡이(210)가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하여 손잡이(210)의 하면이 제1 헤드부(121)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면, 손잡이(210)의 하방 이동은 멈추게 되고, 가로대(23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아래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가로대(230)의 하방 이동에 따라 가로대(230)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510)의 타측(512) 및 제2 연결부재(520)의 타측(522)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510)의 일측(511)에 연결된 제1 다리부재(310)를 안쪽으로 당기고 제2 연결부재(520)의 일측(521)에 연결된 제2 다리부재(320)를 안쪽으로 당김으로써 제1 다리부재(310) 및 제2 다리부재(320)는 접히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1 다리부재(310) 및 제2 다리부재(32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닿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본체 200: 이동부
300: 다리부 400: 바퀴부
500: 연결부 600: 가방 몸체

Claims (8)

  1. 골프 백이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일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리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다리부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다리부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되,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본체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보다 딱딱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헤드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펼쳐지고 상기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는 2개의 기둥 부재와, 상기 2개의 기둥 부재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측은 상기 가로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X자 형상을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가방 몸체를 리벳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트롤리 백.
KR1020150060616A 2015-04-29 2015-04-29 골프 트롤리 백 KR10157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16A KR101574580B1 (ko) 2015-04-29 2015-04-29 골프 트롤리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16A KR101574580B1 (ko) 2015-04-29 2015-04-29 골프 트롤리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80B1 true KR101574580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16A KR101574580B1 (ko) 2015-04-29 2015-04-29 골프 트롤리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705B1 (ko) * 2016-02-01 2017-04-21 씨와이스포츠 주식회사 골프 트롤리 백
KR101860505B1 (ko) * 2017-12-08 2018-05-23 박성식 캐리어 카트가 필요 없는 골프 가방
KR102196780B1 (ko) 2020-04-28 2020-12-30 선명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골프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145B2 (ja) 1993-03-05 2000-07-1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直列5気筒エンジンのクランクシャフ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145B2 (ja) 1993-03-05 2000-07-1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直列5気筒エンジンのクランクシャフ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705B1 (ko) * 2016-02-01 2017-04-21 씨와이스포츠 주식회사 골프 트롤리 백
KR101860505B1 (ko) * 2017-12-08 2018-05-23 박성식 캐리어 카트가 필요 없는 골프 가방
KR102196780B1 (ko) 2020-04-28 2020-12-30 선명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골프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719B2 (en) Stand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US9585467B2 (en) Lifting desk
US8544871B1 (en) Three-fold three-wheel golf bag cart folding device
KR101574580B1 (ko) 골프 트롤리 백
US20140073488A1 (en) Standing office walking equipment
US9630050B2 (en) Office walking equipment
US9533410B2 (en) Foldable stand
US9004505B1 (en) Folding device for golf cart
CN108078106A (zh) 一种可调式旅行箱
US20140333049A1 (en) Foldable golf cart
CA2926486C (en) Dropstep for ball cart
CN207403774U (zh) 一种多功能乌龟车
US5226666A (en) Golf club rack
JP5732106B2 (ja) 最小の容積を有する折り畳み式ボールトロリー
TWM488431U (zh) 置物車
KR101728705B1 (ko) 골프 트롤리 백
JP3197287U (ja) ゴルフボールショット用ハイブリッドゴルフボール支持具
CN205164064U (zh) 组合式儿童玩具
KR101785423B1 (ko) 전동 카트용 골프백 거치대
US9371082B1 (en) Rotating positioning member of front wheel of golf trolley
KR100900715B1 (ko) 골프백용 카트
CN207445436U (zh) 跑步机机架及跑步机
KR200488251Y1 (ko) 골프백용 캐리어 구조체
KR101127425B1 (ko) 골프백 카트
US20060001243A1 (en) Golf bag with retractable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