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901A -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901A
KR20130129901A KR1020137003230A KR20137003230A KR20130129901A KR 20130129901 A KR20130129901 A KR 20130129901A KR 1020137003230 A KR1020137003230 A KR 1020137003230A KR 20137003230 A KR20137003230 A KR 20137003230A KR 20130129901 A KR20130129901 A KR 2013012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assembly
golf
golf cart
w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마이클 맥케이
존 프라이어
Original Assignee
컨코스 골프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090314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0903145A0/en
Application filed by 컨코스 골프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컨코스 골프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12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8Releasably mounted accessories fitted outside the bag, e.g. strap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0Sport articles
    • B62B2202/404Golf articles, e.g. golf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백이 결합되기 위한 카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트 조립체는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전환가능하고), 골프백이 장착되기 위한 연결장치를 가지며, 상기 연결장치는 골프백의 영역에 대응되는 모양을 갖는 하나 이상의 지지칼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칼라는 연결부가 부착되어 상기 연결장치는 카트 조립체에 위치하는 대응되는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맞춰진다.

Description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GOLF BAG AND GOLF CART ASSEMBLY}
본 발명은 골프백 조립체 및/또는 골프카트 조립체와 관련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컴팩트한 골프백 카트 배치(golf bag cart arrangement)를 제공하기 위해 연동가능한(결합가능한) 골프백 조립체와 골프카트 조립체에 관련된 것이다.
골프버지(golf buggies) 또는 골프트롤리(golf trolleys)라고도 알려진 골프카트는, 골프 라운드를 플레이하는 동안에 그들의 골프클럽들(golf clubs)이 적재된 골프백을 옮기기를 원치 않으며 동력을 갖는 골프버지의 사용을 원치 않는 대다수의 골퍼들에게 인기가 있다. 골프백은 일반적으로 두 개나 또는 그 이상의 휠들(wheels)을 갖는 카트에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고, 골퍼들은 그들의 앞쪽이나 뒷쪽으로 상기 카트를 끌고 나가되, 이는 대략 5 내지 9 킬로미터의 이동을 포함하는 거리를 직접 그것들(골프백)을 들고 다닌는 것보다 훨씬 용이하게 골프 코스를 따라 골프 클럽이 적재된 골프백을 이동시킨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카트는 다양한 종류들이 있으며, 이것들 중 많은 것들은 골프코스를 따라서 이동하는 동안에 그것의 크기를 어느 정도 줄이기 위하여 접혀진다. 그러나, 대다수의 골프카트는 다수 개의 골프백들과 카트들이 일반적인 크기의 차량 화물칸(트렁크 내부)에 적재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도로 접히지는 않는다. 이러한 골프카트들은 또한 평면 상에서 용이하게 짐이 적재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기가 줄어들지 않는다.
그것들(골프카트들)이 운송에 더 적합해지도록 골프카트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그 중 어떤 것은 (골프)카트와 (골프)백의 배치를 통합시켜 전체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키도록 골프백의 측면 상에 휠들을 직접 장착시킨 것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골프백을 끌때 안정적인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할 만큼 휠들 사이에서 충분한 폭을 제공하지 않아서, 골프코스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기복이 있는 지역을 지나갈 때 골프백은 자주 휘청댄다.
따라서, 적재이동 요건에 맞도록 충분히 소형화되고 골프코스에서 사용될 때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카트 조립체 또는 골프백과 카트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골프백이 결합되기 위한 카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 조립체는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펼쳐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며(전환 또는 변환되며), 상기 카트 조립체는 하기의 사항을 포함한다:
골프백이 결합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들(coupling elements)을 포함하는 메인바디부(main body portion);
일측에서 핸들(handle)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상기 메인바디부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점(connection point)를 갖는 핸들부(handle member); - 상기 핸들부는 연결점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카트조립체를 이동(전환)시키되,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는 메인바디부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는 메인바디부에서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이 일측 끝단에서 휠과 연동하기 위한 휠연결점(wheel coupling point) 및 타측 끝단에서 상기 메인바디부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장치(connecting arrangement)를 포함하는 두 개의 휠지지부들(wheel supporting members); - 각 휠지지부는 메인바디부에 결합된 연결장치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카트조립체를 이동(전환)시키되, 접힌 상태에서 각 휠지지부는 메인바디부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전개된 상태에서 각 휠지지부는 메인바디부에서 멀어지게 된다.
상기 메인바디부의 한 예(하나의 사례)는 (길게) 연장된 모양(기다란 모양)이며, 골프백에 연결되었을 때 골프백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상기 메인바디부의 한 예는 골프백에 연결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휠지지부들의 연결장치들의 한 예는 골프백이 연결되었을 때 골프백의 중간 영역에 위치되는 한 지점에서 상기 메인바디부로 연결된다. 두 개의 휠지지부들의 연결장치들의 한 예는 서로에게 가깝게 상기 메인바디부에 연결된다.
두 개의 휠지지부들의 한 예는 전개된 상태에서 메인바디부에 사실상 직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확장된다.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들에서 확장된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 각도의 한 예는, 대략 180 도 보다 작으며 대략 30 도 보다 크다. 추가적으로,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들에서 확장된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 각도의 한 예는, 대략 70 도 내지 95 도 사이에 있다. 아울러,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들에서 확장된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 각도의 한 예는 대략 85 도 이다.
카트 조립체의 한 예는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에 연결된 측방규제부(lateral restriction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측방규제부는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두 개의 휠지지부들이 서로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방규제부의 한 예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것이며, 접힌 상태로 움직임 중에 상기 휠지지부들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카트 조립체의 한 예는 두 개의 지지레일들(support rails)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레일 중 하나는 핸들부 및 (두 개의) 상기 휠지지부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레일은 핸들부와 상기 휠지지부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다.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핸들부 움직임의 한 예는, 상기 지지레일이 휠지지부를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지지레일의 한 예는 연결점에서 핸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둔 한 지점에서 핸들부에 연결된다. 연결점에서부터 핸들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거리의 한 예는 20 센티미터보다 작다. 상기 두 개의 지지레일들의 한 예는 볼조인트(ball joint)를 통하여 핸들부와 연결되며, 상기 볼조인트는 핸들부가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지지레일이 상기 핸들부에서 모든 평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 예로서 상기 핸들부의 길이는 조절가능하다.
상기 카트 조립체의 한 예는 메인바디부의 하부 끝단에 연결된 세번째 휠지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세번째 휠지지부는 골프백이 연결될 때 골프백 아래의 베이스구역(base region: 하측 구역)에서 세번째 휠을 위치시키기 위한 휠연결점(wheel coupling point)를 제공한다. 상기 세번째 휠지지부의 한 예는, 세번째 휠지지부가 메인바디부를 지나 확장된 전개된 위치;와 세번째 휠지지부가 메인바디부에 근접하게되는 수축 위치(접히거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카트 조립체의 한 예는 휠지지부들의 끝단에 위치하는 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모터 조립체(motor assembly)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는 휠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 조립체의 한 예는 컨트롤러를 통해 동작하는 것이되 상기 컨트롤러는 카트 조립체의 핸들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모터 조립체는 무선 제어를 통해 동작된다.
상기 휠연결점은 거기서부터 확장된 액슬부(axel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액슬부는 휠의 허브에 위치한 대응되는 오리피스(orifice, 구멍)와 연동될 수 있으며(오리피스에 끼워질 수 있으며) 유지될 수 있다(결속될 수 있다).
상기 카트 조립체의 한 예는 골프백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카트 조립체의 메인바디부의 한 예는, 골프백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장치들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 조립체의 다른 예는 골프백의 구조에 일체로 통합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프백을 물품(item)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골프백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지지칼라들(supporting collars)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칼라는 연결부(coupling member)가 부착되되, 상기 연결부는 물품에 위치하는 연결구역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맞춰진다.
상기 물품은 골프 카트 조립체이다. 추가적인 예로서 상기 물품은 여기에서 설명된 카트 조립체이다.
상기 골프백 일부분(구역 또는 영역)의 한 예는 골프백의 네크구역(neck region: 상측 구역) 및/또는 베이스구역에 위치한다. 추가적인 예로서 상기 지지칼라는 골프백의 구조체 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의 한 예는, 물품에 위치한 수연결부(male coupling member) 둘레에 형성된 스레드(thread, 나사산)에 대응하는 내부스레드(암나사산)를 갖는 암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더 명백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후에 참조적으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며, 이러한 도면들은 아래와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접힌 상태로 있는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상기 카트조립체는 점선들로 도시된 골프백에 연결되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된 모습이다.
도 3 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추가적으로 이동된 모습이다.
도 4 는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전개된 상태에서 일측 휠은 휠지지부에 장착되고 타측 휠은 제거된 모습이다.
도 5 는 도 1 내지 4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점선으로 표시된) 골프백을 카트 조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골프백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연결장치와 관련된 부품들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세번째 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골프백과 연결되거나 영구적으로 결합된 카트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카트 조립체는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움직이거나 전환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는 장착된 골프백을 골프코스와 같은 지역에서 운송할 수 있도록 지면을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를 밀거나 끌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접힌 상태에서, 상기 카트 조립체는 골프백이 장착된 상태일 지라도 골프백과 카트가 함께 용이하게 운송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갖는 상태에 놓인다. 이에 따라, 상기 골프백 및 카트 조립체는 골프코스에서는 운송수단으로서 이용되되, 골프백에서 상기 카트조립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짐으로서 (화물칸의) 면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카트 조립체는 시장에서 이미 존재하는 시중의 골프백들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시중의 골프백들은, 골프백의 구조내에 또는 골프백의 외부면상에 선택적으로 통합되는 지지칼라들과 관련된 여기에서 이후에 설명되는 연결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개조가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트 조립체는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엄지손가락으로 캐치(catch)를 작동시킴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핸들부가 해지가 되고 핸들부를 들어올림으로서 전개된 상태가 됨에 따라 단순히 한 손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상기 카트 조립체는 유지되고 있는 캐치를 해제시키고 핸들부를 내림으로서 접힌 상태로 다시 쉽게 이동된다.
실시예로서, 휠들은 카트 조립체에서 분리되되, 카트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일 때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휠의 크기는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카트 조립체의 주행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카트 조립체(10)는 (점선으로 표시된) 골프백(11)과 연결되되, 도 1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10)가 접힌 상태;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조립체(10)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다양한 상태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카트 조립체(10)는 기다란 메인바디부(15)를 포함하며, 그것(메인바디부)은 골프백(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위치한다. 두 개의 턴버클들(turnbuckles)(39, 42)은 골프백(11)의 네크구역 및 베이스구역들 각각에 위치된다. 각각의 턴버클(39, 42)은 암수용부(female receiving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용부는 카트 조립체(10)의 메인바디부(15)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위치하는 수연결부(male coupling portion)(37, 41)에 형성된 스레드에 상응하는 스레드를 내주면에 갖는다. 상기 수연결부(37, 41)는 턴버클들(39, 42)의 암수용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카트 조립체(10)의 메인바디부(15)를 골프백(11)에 부착시킨다.
상기 카트 조립체(1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일 때 메인바디부(15)에서 이격되도록 확장된 일측 끝단에서 핸들(18)을 갖는 핸들부(17)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부(17)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카트가 용이하게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는 핸들위치를 제공하도록 메인바디부(15)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상기 핸들부(17)는 연결점(19)에서 메인바디부(15)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점은 연결점(19)에서 핸들부(17)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부(17)와 메인바디부(15) 모두를 관통하는 볼트 또는 핀이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점(19)은, 핸들부가 접혀서 내려져 길이방향으로 메인바디부(15)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도 1 에 도시된 접힌 상태로부터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여러 이동(움직임) 상태들을 거쳐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상기 메인바디부(15)에서 핸들부(17)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점(19)은, 대략 180 도의 각이동으로 핸들부(17)가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전개된 상태로 이동됐을 때, 플랜지(flange)(35)에 탑재된 스프링은 상기 핸들부(17)를 전개된 상태로 잠그되, 카트 조립체(10)가 접힌 상태로 다시 이동되어야 하면 상기 플랜지부(35)는 스프링의 반력을 극복하며 압축시킨다.
상기 메인바디부(15)는 골프백(11)의 반대측에서 메인바디부의 전체라인(general line)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부(13)의 상단에 위치하는 두번째 핸들부(21)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두번째 메인바디부(21)는 카트 조립체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골프백(11) 및 카트 조립체(10)를 한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연결점(19)은 또한 두번째 핸들부(21)의 영역에서 공간을 두고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부(17)가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핸들부(17)는 또한 골프백 그것 자체에서 (도 4 와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카트가 끌리거나 밀릴 때 골프백(11)에서 운송되는 골프클럽들(golf clubs)은 상기 핸들부(17)에 닿지 않는다. 도면들 상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연결점(19)에서 완전히 회전하면 상기 핸들부(17)는 전개된 상태로서 두번째 핸들부(21)의 상단 부분에 지지된다.
골프백(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중간 지점 쯤에서 기다란 메인바디부(15) 중간에서 아래로 결합된 두 개의 휠지지부들(20)은, (도 1 내지 5 에서 하나는 미도시된) 두 개의 연결장치들(25)에 의해서 상기 메인바디부(15)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장치들(25)은 휠지지부들(20) 및 메인바디부(15)를 관통하는 볼트 또는 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휠지지부(20)는 연결장치들(25)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 1 에 도시된 접힌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상기 휠지지부들은 이동이(펼처짐이) 허용된다. 상기 연결장치들(25)은 메인바디부(15)의 길이 방향 상에서 서로 근접한 곳에 위치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바디부(15)에서 (서로의)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며 연결된다.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휠지지부들(20)은 카트 조립체(10)의 메인바디부(15)에서 사실상 수직방향으로 펼쳐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휠지지부들(20)은, 각각의 휠지지부(20)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부(15)에 근접하여 평평하게 놓인 접힌 상태에서 서로에게서 멀어지도록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이동하여 펼쳐지되, 두 개의 휠지지부들(20) 사이의 각도 α 는 대략 80 내지 90 도이다. 상기 휠지지부들(20)은 전개된 상태일 때 휠(47)이 끼워지도록 맞춰진 액슬부들(28)을 포함한다.
상기 휠들(47)은 액슬부들(28)에서 분리될 수 있어서, 상기 휠지지부들(2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에게서 멀어지는 측방향으로 상기 휠지지부들(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갖는 길다란 재질로 제조된 측방규제부(30)가 두 개의 휠지지부들(20)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측방규제부(30)는 가요성을 가지므로서 카트 조립체가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할 때(진행될 때) 휠지지부들(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접히거나 꺽일 수 있다. 상기 측방규제부(30)는 전개된 상태일 때 휠지지부들(20)에 중대한 의미있는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므로, 카트 조립체(10)가 지지해야 할 골프백(11)의 중량에 기인하여 상기 휠지지부들(20)이 측방향으로 벌어져 측방향으로 서로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휠지지부들(20)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두 개의 지지레일들(22)이 휠이 연결된 지점이나 액슬부들(28)에 근접한 지점(43)에서 상기 휠지지부들(20)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의 다른 쪽 끝단들은 핸들부(17)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은 연결점(31)에서 핸들부(17)에 연결되되,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점은 메인바디부(15)과 핸들부(17)를 연결하는 연결점(19)과 인접하여 상기 핸들부의 하부 끝단에 고정된 볼조인트(ball joint)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점(31)은 (메인바디부와 핸들부의) 연결점(19)에서 핸들부(17)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10 내지 20 센티미터 정도 이격된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은 전개된 상태일 때 카트 조립체(10)의 구조를 추가적으로 지지하고, 아울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이동 시에 핸들부(17)의 운동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 휠지지부들(20)을 이동시키는 것을 또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개된 상태와 접힌 상태들 사이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들 사이로 카트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단지 한 손만 요구 된다 즉, 상기 카트 조립체(10)는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한번의 동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핸들부(17)에서 지지레일들(22)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들은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볼조인트는 핸들부(17)에서 구속되되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전환시의 운동 범위 내에서 전환이동이 가능한 세 축(x, y, z) 상에서 상기 지지레일들(22)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을 휠지지부(20)에 연결하는 지지레일들(22) 타측 끝단의 연결점(43)은,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들(20)의 운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들(20)에 대해 지지레일들(22)의 끝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의 끝단들은 지지레일들(22)의 길다란 몸체가 펼쳐지는 80 도 내지 90 도가 되기에 앞서 짧은 거리 만큼 휠지지부들(20)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각이 형성되며 확장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접힌 상태의 카트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되, 액슬부들(28)에서 휠(47)은 제거되어 있다. 이러한 접힌 상태에서, 핸들부(17), 휠지지부들(20), 지지레일들(22) 및 측방규제부(30) 모두는 메인바디부(15)에 근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놓인다. 볼조인트들(31) 및 가요성의 측방규제부(30)에 의해 상기 지지레일들의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는 이러한 접힌 상태는 매우 컴팩트하며(매우 크기가 작으며), 상기 골프 카트 조립체(10)는 점선을 따라 도시된 골프백(11)에 얹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의 카트 조립체(10)는 골프백(11)에서 별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카트 조립체는 실용적으로 거기에(골프백에) 통합된다.
도 1 에 도시된 접힌 상태에서부터, 상기 카트 조립체는 레버(46)에 의해 작동하되 스프링 하중을 받는 캐치를 해제함에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이동될 수 있고), 상기 캐치는 골프 카트 조립체(10)의 메인바디부(15)에 위치하는 연결점(19)에서 핸들부(17)가 상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17)가 메인바디부(15)에서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짐에 따라, 상기 레일지지부재들(22: 지지레일들)은 메인바디부(15)에서 떨어지며 휠지지부들(20)을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도 3 으로 넘기면, 연결점(19)에서 상기 핸들부(17)의 추가적인 운동은, 연결점(19)에서 떨어진(이격된) 상기 핸들부(17)의 일측 끝단이 확장되면서(펼쳐지면서)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도 4 와 도 5 의 전개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레일지지부재들(22: 지지레일들)이 추가적으로 휠지지부들(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레일들(22)이 휠지지부들(20)을 완전히 확장시키면, 그것들(휠지지부들)은 골프백(11)의 길이방향에서 멀어져 사실상 직각으로 확장된다.
전개된 상태에 도달했을 때, 두 개의 휠들이 휠지지부들(20)의 액슬부들(28)에 끼워질 것이고, 골프백 카트 조립체는 동작 대기 상태가 된다.
휠들의 액슬부들(28)이 카트 조립체(10)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카트 조립체가 접힌 상태에 있되 골프백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이거나 클립(clip)이나 이와 유사한 수단을 통해 골프백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휠들은 두 개가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액슬부들(28)은 카트 조립체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상태일 때 핸들(18)에 의해서 덮힌다. 상기 핸들(18)은 액슬부들(28)을 덮을 수 있는 모양을 가지며, 또한 카트 조립체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골프백(11) 베이스면(하부면)의 곡면에 도달하도록 꺽인 형태의 모양을 갖는다. 전개된 상태일 때, ('D' 형태의) 핸들부(18) 모양은 카트 조립체(10)과 골프백(11)의 배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모양을 제공한다.
도 6 으로 넘기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가 도시된 골프백의 앞쪽 입면도(front elevation view)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실상 꺽여진 골프백(11)의 네크구역이나 베이스구역에 상응하는 모양을 갖는 지지칼라(53, 54)를 포함한다.
도 7 은 로케이팅플레이트(locating plate) 및 암수용부 뿐만아니라 지지칼라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칼라(53, 54)는 골프백(11)에 구조적으로 통합되되 골프백(11)의 외부 층(outside layer)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칼라(53, 54)는, 특히 도 1 내지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11)이 카트 조립체(10)에 연결됐을 때, 골프백(11)의 네크구역이나 베이스구역 중 어느 한 곳에서 골프백(11)의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칼라는 그것 자체가 카트 조립체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골프백의 외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칼라(53, 54)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구조적 보존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와 같은 적합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로케이팅플레이트(39)는 리벳을 통해 지지칼라(53, 54) 및/또는 골프백(11)에 연결되되, 상기 리벳은 도 1 내지 5 에 도시된 카트 조립체(10)에 포함되는 수연결부에 상응하는 수용부로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수용부(56)를 포함한다. 상기 리벳은 지지칼라(53, 54)의 개구된 부분(개구부) 주변에서 접하도록 상기 암수용부의 반대측 끝단 상에서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상기 리벳의 말단상에 있는 추가적인 플랜지는, 골프백 구조물의 외부면 상에서 리벳이 로케이팅플레이트(39)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카트 조립체(10)의 수연결부에 결합되도록 개구부(opening)(56)를 갖는 접하는 면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칼라(53)는 골프백의 곡면을 따르되 그것(골프백)의 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매우 신중하게 검토된 홈들(grooves)이 조직된다.
그러나, 턴버클들(39, 42)이 카트 조립체(10)에 위치하는 암수용부들에 대응하는 수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연결은 동등하게 반대로 될 수 있다.
도 8 에는, 카트 조립체(10)에 골프백(11)을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대신하여 골프백(미도시)의 네크구역 및 베이스구역 각각을 둘러 싸는 줄(tether)(70, 72)을 사용하여 카트 조립체가 부착되는 방식을 갖는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 조립체(10)에 골프백을 효율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카트 조립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용 부재들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카트 조립체(10)의 상측 및 하측 끝단들에 브라켓들(60)이 맞춰지며, 그것들(브라켓들)은 구부러진 모양을 갖되 접힌 상태나 전개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일 때 골프백이 위치될 수 있는 크래들(cradle)을 제공한다. 상기 브라켓들(60)에는, 골프백의 네크구역 및 베이스구역을 둘러 싸메어 골프백을 카트 조립체(10)에 고정시키는 줄들(70, 72)이 연결된다.
또한, 하부의 브라켓(60)은 골프백이 카트 조립체(10)에 묶일 때 상기 골프백의 저면이 거치되는 브라켓지지플랜지(bracket support flange)(62)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지지플랜지(62)는 골프백의 하중을 지지하고, 골프백이 카트 조립체(10)에 의해 운송되는 동안에 줄들(70, 72)을 통하여 밑으로 빠지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상기 브라켓지지플랜지(62)는 골프백들의 서로 다른 크기의 하부면 상에 맞춰질 수 있도록 브라켓(60)에서 상기 브라켓지지플랜지들의 회전을 허용하는 핀장치(pin arrangement)(61)를 통해 브라켓들(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 조립체(10)는 시중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형태의 골프백들에 맞춰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브라켓들(60)은 카트 조립체(10)에 위치하는 수연결부의 나사산을 통하여 상기 카트 조립체(10)로 연결될 수 있고, 카트 조립체를 골프백과 연결시키기 위한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장치들로도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9 에 도시되었으며, 도 9 에는 골프백(11)과 결합된 카트 조립체(10)가 도시되었고, 카트 조립체(10)의 메인바디부(15) 하부에서 확장되어 조립된 세 번째 휠(8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세 번째 휠(80)은 세 번째 휠액슬(wheel axle)(81) 또는 세 번째 휠연결점(wheel coupling point)에서 지지되며, 그것(휠액슬 또는 휠연결점)은 세 번째 휠지지부(82)에 의해 차례로 지지된다. 상기 세 번째 휠지지부(82)는 세 번째 휠연결점(83)을 경유해 메인바디부(15)의 하부로 연결되고, 그것(세 번째 휠연결점)은 세 번째 휠지지부(82)와 메인바디부(15)를 관통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 번째 휠연결점(83)은 세 번째 휠지지부(82)가 메인바디부(15)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함에 따라, 세 번째 휠지지부가 길다란 메인바디부(15)에서 일체로 정렬되어 멀어지도록 확장된 전개된 상태(펼쳐진 상태)에서부터; 세 번째 휠지지부(82)가 메인바디부(15)에 근접하게 정렬되어 크기(길이)가 줄어든 수축된 상태(retracted state)로; 상기 세 번째 휠지지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세 번째 휠지지부(82)가 수축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로 움직여지는 메커니즘은 세 번재 휠지지부(82)에 부착된 액추에이터라인(actuator line)(87)을 포함하며, 그것은(액추에이터라인)은 액추에이터라인의 패스너(fastener, 죔쇠)(91)를 경유해 상기 액추에이터라인(87)에 연결된 액추에이터(90)를 통해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카트 조립체(10)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수축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되, 전개된 상태가 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90)는 액추에이터라인을 작동시키도록 움직여지며, 차례대로 그것(액추에이터라인)은 세 번째 휠지지부(82)를 수축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상기 세 번째 휠(80)은 세 개의 휠을 갖는 카트 조립체(10)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 번째 휠액슬(81)에 장착될 수 있다.
세 번째 휠(80)은 뒷쪽의 휠들(47) 보다 통상적으로 더 작다. 추가적으로, 세 번째 휠은 끌리는 것보다 밀리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상기 세 번째 휠의 선택은 조절가능한 핸들부(18)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핸들부(17)에서 상기 조절가능한 핸들부(1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조절가능한 핸들부(18)는 두 손에 맞는 크기를 가짐으로, 사용 시 지압치료적으로 친숙한 대칭형태(chiropractically friendly symmetrical)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 번째 휠의 사용은, 세 번째 휠에 대한 실시예에서 카트 조립체를 사용하는 사람의 제어가 없이 카트 조립체의 이동이 경사면 상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뒷쪽 휠에 대한 브레이크 메커니즘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 조립체(10)의 세 번째 휠 구조는 또한, 상기 카트 조립체의 뒷쪽 두 개의 휠들(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전기 모터들과 배터리들 전체는 뒷쪽 휠들(47) 각각의 허브(hub) 내에 안착될 것이다. 상기 전기 모터들과 배터리들의 하중은 휠들 내에서 가해짐에 따라서, 추가적인 하중을 감당하도록 상기 카트 조립체의 프레임을 강화시킬 필요는 없다.
이러한 전기 모터의 제어는 카트 조립체(10)의 핸들(18)에서 또는 무선 제어를 통해서 이뤄질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에 통합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 및/또는 충전을 위해 탈거될 수 있다.
도 10 에는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두 개의 휠을 갖는 카트 조립체(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었다. 특히, 도 10 에는, 상기 카트 조립체(10)가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휠이 액슬부들(28)로 직접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47)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 조립체(10)가 접힌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휠(47)은 릴리스버튼(release button)(109)이 눌려짐으로서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되, 그것(릴리스버튼)은 스프링(107)을 액슬부(28) 상에 위치하는 대응되는 톱니부(indented portion)(111)에서 이탈시킨다. 휠 조립체(wheel assembly)는 고무재 타이어(101)가 (둘러싸도록) 끼워지는 휠허브(wheel hub)(100)를 포함한다. 상기 휠허브의 안쪽에는, 릴리스버튼(109), 아우터와셔(outer washer)(108), 스프링(107), 이너와셔(inner washer)(106), 아우터스페이서(outer spacer)(105)의 뒷쪽에 위치하는 아우터베어링(outer bearing) 내에서 베어러스페이서(bearer spacer)(103) 옆에 위치하는 이너베어링(inner bearing)(102)을 포함하고, 상기의 것들 모두는 커버(110)내에 장착된다.
상기의 휠(47) 구조는 사용자가 단지 릴리스버튼(109)을 누름에 따라서 카트 조립체(10)의 액슬부(28)에서 휠을 분리시킬 수 있는 용이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전환될 카트 조립체(10)는 신속하게 보관을 위해서 접힌상태로 전환되어 적재될 수 있다. 또한, 휠들(47)이 완전하게 액슬부들(28) 상에 장착되고 릴리스버튼(109)이 다시 눌려지기 전까지는 (장착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카트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로 이동된(전환된) 다음에 상기 휠(47)의 조립체가 부착되는 것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도 9 에 도시된 더 작은 세 번째 휠(80)이 도 10 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구조상에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및 이후의 청구항들 전체에서, 문맥상 특정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포함한다" 및 이의 변화형인 "포함하는" 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규정된 완전한 것들(integer)이나 단계들 또는 상기 완전한 것들과 단계들의 조합을 포괄하는 의미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되, 다른 특정한 완전한 것들이나 단계들 또는 상기 완전한 것들과 단계들의 조합을 배제시키 않는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전의 특정 공개공보의 내용(또는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공지된 형태의 내용이 참조되지 않았고, 이전의 공개공보(또는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의 일부들로서 알려진 내용에서 암시되는 지식 이나 정보 등은 차용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술된 상세한 설명의 일반성(generality)은 첨부된 도면들의 특징에 의해 대치될 수 없으므로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있어 본 발명의 개념은 다른 구조로서 많은 형태가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야되어 한다. 다양한 변형, 개조 및/또는 추가가 본 발명의 개념이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체 및 구성부의 배치로들로서 통합될 수 있다.

Claims (31)

  1.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골프백이 결합되는 골프카트 조립체에 있어서,
    골프백이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메인바디부;
    일측에서 핸들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상기 메인바디부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점를 갖고, 상기 연결점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메인바디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접힌 상태에서 메인바디부에서 멀어지게 되는 전개된 상태로 카트 조립체에서 전환되는 핸들부; 및
    두 개이되 각각이 일측 끝단에서는 휠과 결합하기 위한 휠연결점 및 타측 끝단에서는 상기 메인바디부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은 메인바디부에 결합된 상기 연결장치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각각이 메인바디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접힌 상태에서 각각이 메인바디부에서 멀어지게 되는 전개된 상태로 카트 조립체에서 전환되는 휠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기다란 모양을 갖되 골프백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골프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골프백을 상기 메인바디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휠지지부들의 연결장치들은, 골프백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골프백의 가운데에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메인바디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휠지지부들의 연결장치들은, 서로에게서 인접하여 상기 메인바디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일 때, 두 개의 휠지지부들은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사실상 직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에서 펼쳐진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의 각도는 180 도 보다 작고 30 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에서 펼쳐진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의 각도는 70 도 내지 95 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장치에서 펼쳐진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의 각도는 85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두 개의 휠지지부들 사이로 연결된 측방규제부를 더 포함하고, 전개된 상태일 때 상기 측방규제부는 두 개의 휠지지부들이 서로에게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규제부는 접힌 상태로 전환될 때 휠지지부들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2. 제 1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두 개의 지지레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일 중 하나는 핸들부 및 어느 하나의 휠지지부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지지레일은 핸들부 및 다른 하나의 휠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의 핸들부의 이동은 상기 지지레일들이 휠지지부들을 접힌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들은, 상기 연결점으로부터 핸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지점 상에서 핸들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점으로부터 핸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거리는 20 센티미터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지지레일들은 볼조인트를 통하여 핸들부에 결합되되,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핸들부가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핸들부에서 지지레일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길이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메인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된 세 번째 휠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 번째 휠지지부는 골프백이 결합됐을 때 상기 골프백 하부 영역에서 세 번째 휠이 위치되도록 휠연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 번째 휠지지부는, 상기 세 번째 휠지지부가 메인바디부를 지나서 확장된 전개된 상태;와 상기 세 번재 휠지지부가 메인바디부에 인접하게 되는 수축된 상태;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부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휠지지부들의 끝단에 위치하는 휠들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모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조립체는 휠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골프카트 조립체의 핸들부에 위치하는 컨트롤러를 통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 조립체는 무선 제어를 통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연결점들은 거기에서 확장된 액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슬부는 휠의 허브에 위치하는 대응되는 오리피스에 결합되어 결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골프백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의 메인바디부는
    골프백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장치들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카트 조립체는 골프백에 구조적으로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 조립체.
  26. 골프백에 물품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골프백의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지지칼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칼라들은 연결부가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물품에 위치된 대응되는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맞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골프카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골프카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백의 영역은 골프백의 네크 구역 및/또는 베이스 구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칼라는 골프백의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1. 제 2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내부스레드를 갖는 암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스레드는 물품에 위치하는 수연결부의 스레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20137003230A 2010-07-14 2011-07-14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KR20130129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903145A AU2010903145A0 (en) 2010-07-14 Golf bag and golf cart assembly
AU2010903145 2010-07-14
PCT/AU2011/000889 WO2012006676A1 (en) 2010-07-14 2011-07-14 Golf bag and golf car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901A true KR20130129901A (ko) 2013-11-29

Family

ID=4546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30A KR20130129901A (ko) 2010-07-14 2011-07-14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0595A1 (ko)
EP (1) EP2593194A4 (ko)
KR (1) KR20130129901A (ko)
CN (1) CN103140263A (ko)
AU (1) AU2011279550A1 (ko)
WO (1) WO20120066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79B1 (ko) 2018-01-19 2019-05-21 성 호 김 조립식 골프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7447A2 (fr) * 2012-10-12 2014-04-17 Swiss Birdie International Sarl Sac de golf motorise
BE1022082B1 (nl) 2013-10-11 2016-02-15 Bvba Kinépraktijk Baert - Cuppers Loophulp
CN104587651B (zh) * 2015-01-16 2018-04-27 何龙 一种多功能高尔夫旅行箱
WO2016115657A1 (zh) * 2015-01-19 2016-07-28 何龙 一种多功能高尔夫旅行箱
US11956414B2 (en) 2015-03-17 2024-04-09 Raytrx, Llc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correction for vision defect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US9955862B2 (en) 2015-03-17 2018-05-01 Raytrx, Llc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related to correction of vision defects using a visual display
CN105169654B (zh) * 2015-09-28 2017-08-25 李烈熊 一种滚轮和撑杆联动设置的高尔夫球袋
US9895586B2 (en) * 2016-05-09 2018-02-20 Abe Hecht Golf trolley,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259479B1 (en) * 2017-11-03 2019-04-16 Altan Safe Outdoors Inc. Game car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2681A (en) * 1963-03-13 1965-03-09 Moses Charles Golf club carrier
GB1511471A (en) * 1976-02-03 1978-05-17 Oeckl O Telescopic containers for golf clubs
DE9010525U1 (ko) * 1990-07-12 1990-09-20 Optim-Golf Handelsgesellschaft Michael Monfort, 4130 Moers, De
US5180023A (en) * 1990-10-22 1993-01-19 Reimers Eric W Self propelled golf bag cart
US5526894A (en) * 1995-04-13 1996-06-18 Wang; Eric J. F. Power- and/or manually-driven collapsible golf cart
US6079718A (en) * 1998-11-10 2000-06-27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Golf club cart collapsing device
KR200181900Y1 (ko) * 1999-12-13 2000-05-15 강판규 카트 장착 골프백
US20030184053A1 (en) * 2002-03-28 2003-10-02 Jacobs Richard H. Hand-propelled golf bag cart
US20040108668A1 (en) * 2002-12-09 2004-06-10 Chong-Yong Liu Connecting structure of a golf cart
US6789808B2 (en) * 2003-01-29 2004-09-14 Lien-Chuan Yang Three-sectional golf cart structure
US6883824B2 (en) * 2003-01-29 2005-04-26 Lien-Chuan Yang Twin-bar golf cart
CN2730432Y (zh) * 2004-05-13 2005-10-05 上海依莱達電動車有限公司 折叠式电动双驱高尔夫球袋车
CN2746945Y (zh) * 2004-09-24 2005-12-21 张祖杰 便携式高尔夫球袋车
US7121563B1 (en) * 2005-03-22 2006-10-17 Unique Products & Design Co., Ltd. Golf cart front-wheel collapsing device
US7347443B2 (en) * 2005-05-02 2008-03-25 Barton Michael R Wheeled golf bag arrangement
US20080252027A1 (en) * 2007-04-10 2008-10-16 Wen-Tsan Lin Golf Trolley with Easy-Collapsed Auxiliary Whe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79B1 (ko) 2018-01-19 2019-05-21 성 호 김 조립식 골프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6676A1 (en) 2012-01-19
CN103140263A (zh) 2013-06-05
EP2593194A1 (en) 2013-05-22
EP2593194A4 (en) 2014-04-09
US20130200595A1 (en) 2013-08-08
AU2011279550A1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901A (ko) 골프백 및 골프카트 조립체
CN102202955B (zh) 可折叠的婴儿车
US7624954B2 (en) Infant car seat caddy
US8651500B2 (en) Dolly transport systems
US20060260893A1 (en) Rotatable handle and method for attaching a first carry bag system to a second carry bag system, and carry bag having same
US20060255564A1 (en) Steerable wheeled cart
WO2012069656A1 (en) Self-propelled golf vehicle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US7293792B2 (en) Transportable child booster seat/carrying bag
EP3954553A1 (en) Load carrying device
US8678424B2 (en) Bicycle trailor front wheel arrangement
US7997590B2 (en) Infant car seat caddy
US10035528B2 (en) Cart system for holding and retaining portable ball hoppers
US7229082B1 (en) Wheeled golf bag carrier
US9914468B2 (en) Collapsible cart
EP2151365A1 (en) Vehicle
JP2012500103A (ja) 折り畳み式ゴルフバッグカート
US20070013170A1 (en) Portable universal adaptable wheel and handle assemblies for golf bag assembly unit
US7159877B2 (en) Golf bag
WO2007094590A2 (en) Carrier for golfbag
WO2017081269A2 (en) Device for carrying golf clubs and accessories
GB2541123A (en) A wheeled bag suitable for attaching to a buggy
KR20060087061A (ko) 골프가방 캐리어
KR20110061702A (ko) 어깨에 멜 수 있는 휴대용 운반장치
WO2018014175A1 (zh) 一种电动平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